KR102135613B1 -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613B1
KR102135613B1 KR1020190086109A KR20190086109A KR102135613B1 KR 102135613 B1 KR102135613 B1 KR 102135613B1 KR 1020190086109 A KR1020190086109 A KR 1020190086109A KR 20190086109 A KR20190086109 A KR 20190086109A KR 102135613 B1 KR102135613 B1 KR 10213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latch
module
module panel
latch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조훈주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모듈의 모듈 패널과 연결되는 리테이너의 연결부 표면에서 리브를 형성하여 래치 리테이너를 모듈 패널에 장착할 때 리브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함으로써,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간 기울임을 발생시켜,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기존 결합 방식에 따른 래치 리테이너 금형의 설계 변경을 최소화 하여 금형 수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Press Fitting Retainer Assembly Structure for Car Door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래치 모듈을 도어의 모듈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리테이너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패널과 연결되는 리테이너의 연결부 표면에서 리브를 형성하여 래치 리테이너를 모듈 패널에 장착할 때 리브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함으로써,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간 기울임을 발생시켜,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기존 결합 방식에 따른 래치 리테이너 금형의 설계 변경을 최소화 하여 금형 수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하강을 발생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스피커 등이 장착되는 모듈 패널(20)이 장착되고, 모듈 패널(20)에는 래치 리테이너(30)를 통해 래치 모듈(10)이 연결되며, 래치 모듈은 자동차 섀시에 장착된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와 연결 또는 연결 해제 되면서 자동차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발생시킨다.
래치 리테이너(30)를 통한 래치 모듈(10)과 모듈 패널(20)간 조립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리테이너(30)의 래치 모듈 연결부를 래치 모듈(10)과 결합시키고,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를 모듈 패널(20)에 슬라이드를 통한 끼움에 의해 고정 결합하게 되는데, 스트라이커와 연결되는 래치 모듈(10)의 일측 끝단이 볼트 결합을 통해 도어 모듈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존의 도어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연결 구조에서는 래치 모듈(10)과 도어 모듈간 볼트를 결합하는 공정 수행시 래치 모듈(10)에 형성된 볼트홀이 쉽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모듈 패널(20)에 결합된 래치 리테이너(30)에 외력을 가하여 모듈 패널(20)의 휘어짐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모듈 패널(20)이나 래치 리테이너(30) 연결부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래치 모듈(10)의 볼트 홀을 한 번에 찾지 못한 경우 모듈 패널(20)에 힘을 가하여 휘어짐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볼트 체결 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8409호 (2015.12.11.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래치 모듈과 도어 모듈간 볼트를 결합하는 공정 수행시 모듈 패널에 결합된 래치 리테이너에 외력을 가하여 모듈 패널의 휘어짐을 가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모듈 패널이나 래치 리테이너 연결부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래치 모듈과 도어 모듈간 볼트를 결합하는 공정 수행시 래치 모듈의 기울어짐을 쉽게 발생시켜 도어 모듈의 조립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세서는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의 연결 및 고정 방식을 단순화하여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간 조립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섀시에 장착된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를 잠그는 래치 모듈 및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을 서로 연결하는 래치 리테이너와, 래치 리테이너의 일측에 형성되어 래치 모듈과 결합하는 래치 모듈 연결부와, 래치 리테이너의 래치 모듈 연결부 반대측에 형성되어 모듈 패널과 결합되는 모듈 패널 연결부와, 모듈 패널 일측 끝단에 래치 리테이너의 모듈 패널 연결부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모듈 패널 연결부가 안착되는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과,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 일측 끝단 상부에 돌출되어 모듈 패널 연결부 끝단을 고정하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와,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에 끼워지는 모듈 패널 연결부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구 홀과, 모듈 패널 연결부의 고정구 홀에 끼워져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을 서로 고정하도록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 중앙부 표면에 형성된 제2 리테이너 고정구와, 모듈 패널 연결부 끝단 모듈 패널 연결부 표면에서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로 구성되되, 래치 리테이너를 모듈 패널에 장착할 때 리브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여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간 기울임을 발생시킴으로써,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리테이너 고정구는 탄성재질로 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듈 패널에 래치 리테이너 장착시 제2 리테이너 고정구의 후크 돌기가 고정구 홀에 끼워지면서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가 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 표면에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와 제2 리테이너 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가 돌출되고, 래치 리테이너의 모듈 패널 연결부에는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간 결합시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가이드 홀에는 모듈 패널 연결부 끝단까지 연결되는 오목 홈인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간 기울임을 발생시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간 분리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래치 리테이너를 고정하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의 끝단의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을 위한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간 기울임 발생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래치 리테이너에 형성된 리브를 통해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 결합시 래치 리테이너의 기울임을 쉽게 발생시켜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어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 완료 후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을 결합할 때, 수직 방향 결합을 통해 래치 리테이너와 모듈 패널을 서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도어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패널에 형성된 가이드 및 래치 리테이너에 형성된 가이드 홀의 연결을 통해, 래치 모듈의 볼트 고정 작업시 래치 리테이너의 기울임을 발생시킬 때 래치 모듈이 모듈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패널의 래치 리테이너 연결부와 래치 리테이너의 모듈 패널 연결부의 형상 변경을 최소화 하여 모듈 패널 및 래치 리테이너의 생산을 위한 금형의 수정에 따른 비용 발생 및 금형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래치 리테이너를 통한 래치 모듈과 모듈 패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치 리테이너의 하부와 상부 및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의 연결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패널의 래치 리테이너 연결부 측면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패널과 래치 리테이너간 기울임 연결 및 고정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는 자동차 섀시에 장착된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를 잠그는 래치 모듈(10)과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20) 및 래치 모듈(10)과 모듈 패널(20)을 서로 연결하는 래치 리테이너(30)로 구성된다.
래치 리테이너(3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에 래치 모듈(10)과 결합하는 래치 모듈 연결부(31)가 형성되고, 래치 모듈 연결부(31) 반대측에는 모듈 패널(20)과 결합되는 모듈 패널 연결부(32)가 형성된다.
모듈 패널(20)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 형상의 홈인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이 형성되어 모듈 패널 연결부(32)가 안착되고,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일측 끝단 상부에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가 돌출되어 모듈 패널(20)과 연결된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을 고정한다.
이때,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의 끝단의 모서리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24)은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간 결합 과정에서 래치 모듈(10)의 볼트 고정 작업을 위해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간 기울임을 발생시킬 때 래치 리테이너(30)의 기울임 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듈 패널 연결부(32) 중앙부에는 고정구 홀(33)이 형성되고,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중앙부 표면에는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가 형성되어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결합시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가 모듈 패널 연결부(32)의 고정구 홀(33)에 끼워지면서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이 서로 고정되며,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의 모듈 패널 연결부(32) 표면에는 리브(34)가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는 탄성재질로 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모듈 패널(20)에 래치 리테이너(30)를 장착할 때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의 후크 돌기가 고정구 홀(33)에 끼워지면서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를 고정구 홀(33)에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후크 돌기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와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 사이의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표면에는 가이드(25)가 돌출되고,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에는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결합시 가이드(2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5)이 형성되며, 가이드 홀(35)은 오목 홈 형상의 가이드 레일(36)을 통해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과 연결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에 따른 래치 리테이너(3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리테이너(30)의 래치 모듈 연결부(31)에 래치 모듈(10)을 연결한 후,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를 모듈 패널(20)의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에 접근시킨다.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을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 끝단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래치 리테이너(30)를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 하부 방향으로 밀면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의 가이드(25)가 모듈 패널 연결부(32)의 가이드 레일(36)에 끼워되면서 래치 리테이너(3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게 되고, 가이드(25)가 가이드 홀(35)에 끼워져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가결합이 발생하게 된다.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가 서로 가결합 되면 리브(34)를 지렛대 지지점으로 하여 래치 리테이너(30)의 기울임을 발생시켜 도어 모듈과 래치 모듈(10)간 볼트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25)와 가이드 홀(35)간 가결합에 의해 도어 모듈과 래치 모듈(10)간 볼트 고정 작업 과정에서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 모듈과 래치 모듈(10)간 볼트 고정 작업 수행시 래치 리테이너(30) 분리에 의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는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 상부면을 고정하여 래치 리테이너(30)가 모듈 패널(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래치 리테이너(30)의 기울임 발생시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가 영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모듈과 래치 모듈(10)간 볼트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모듈 패널(20)의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와 래치 리테이너(30)의 고정구 홀(33)간 끼움 결합을 통해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의 고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래치 리테이너(30)가 리브(34)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져 모듈 패널(20)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래치 리테이너(30)를 수직방향으로 압입하여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와 고정구 홀(33)간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는 탄성재질로 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는 후크가 형성된 걸림부와 모듈 패널(20)과 장착된 래치 리테이너(30)의 유동 또는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고정부의 2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래치 리테이너(30)에 형성된 리브(34)를 통해 도어 모듈과 래치 모듈(10)간 볼트 고정 작업시 래치 리테이너(30)의 기울임을 쉽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모듈 패널(20)에 결합된 래치 리테이너(30)에 외력을 가하여 모듈 패널(20)의 휘어짐을 발생시켜 래치 모듈(10)의 볼트 고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모듈 패널(20)이나 래치 리테이너(30)간 연결부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래치 모듈(10)의 볼트 고정 작업 완료 후 수직 방향 결합을 통해 고정구 홀(33)과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간 서로 끼움 결합을 통해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을 서로 고정함으로써, 슬라이드 결합을 통한 기존의 모듈 패널(20) 및 래치 리테이너(30)간 조립 방식에 비하여 조립 속도를 50% 가까이 향상시켜 도어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모듈 패널(20) 및 래치 리테이너(30)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모듈 패널(20)의 래치 리테이너 연결부와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의 형상 변경을 최소화 함으로써, 모듈 패널(20) 및 래치 리테이너(30)의 설계 변경에 따른 금형의 수정에 비용 및 금형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래치 모듈
20: 모듈 패널
21: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
22: 제1 리테이너 고정구
23: 제2 리테이너 고정구
24: 경사면
30: 래치 리테이너
31: 래치 모듈 연결부
32: 모듈 패널 연결부
33: 고정구 홀
34: 리브
35: 가이드 홀
36: 가이드 레일

Claims (4)

  1. 자동차 섀시에 장착된 도어 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를 잠그는 래치 모듈(10) 및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패널(20)을 서로 연결하는 래치 리테이너(30)와;
    래치 리테이너(30)의 일측에 형성되어 래치 모듈(10)과 결합하는 래치 모듈 연결부(31)와;
    래치 리테이너(30)의 래치 모듈 연결부(31) 반대측에 형성되어 모듈 패널(20)과 결합되는 모듈 패널 연결부(32)와;
    모듈 패널(20) 일측 끝단에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모듈 패널 연결부(32)가 안착되는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과;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일측 끝단 상부에 돌출되어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을 고정하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와;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에 끼워지는 모듈 패널 연결부(32)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구 홀(33)과;
    모듈 패널 연결부(32)의 고정구 홀(33)에 끼워져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을 서로 고정하도록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중앙부 표면에 형성된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와;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 모듈 패널 연결부(32) 표면에서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34);
    로 구성되되, 래치 리테이너(30)를 모듈 패널(20)에 장착할 때 리브(34)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여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간 기울임을 발생시킴으로써, 래치 모듈(10)의 볼트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는 탄성재질로 된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듈 패널(20)에 래치 리테이너(30) 장착시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의 후크 돌기가 고정구 홀(33)에 끼워지면서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가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리테이너 결합홈(21) 표면에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와 제2 리테이너 고정구(23)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25)가 돌출되고, 래치 리테이너(30)의 모듈 패널 연결부(32)에는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결합시 가이드(2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5)이 형성되며, 가이드 홀(35)에는 모듈 패널 연결부(32) 끝단까지 연결되는 오목 홈인 가이드 레일(36)이 형성되어,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간 기울임을 발생시 모듈 패널(20)과 래치 리테이너(30)간 분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래치 리테이너(30)를 고정하는 제1 리테이너 고정구(22)의 끝단의 모서리에 경사면(24)이 형성되어, 래치 모듈(10)의 볼트 고정 작업을 위한 래치 리테이너(30)와 모듈 패널(20)간 기울임 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KR1020190086109A 2019-07-17 2019-07-17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KR10213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09A KR102135613B1 (ko) 2019-07-17 2019-07-17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09A KR102135613B1 (ko) 2019-07-17 2019-07-17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613B1 true KR102135613B1 (ko) 2020-07-20

Family

ID=7183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09A KR102135613B1 (ko) 2019-07-17 2019-07-17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61B1 (ko) * 2020-01-15 2020-12-23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오조립 방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1956A (ja) * 1997-02-20 1998-09-02 Daihatsu Motor Co Ltd クランプの取付構造
KR101567706B1 (ko) * 2014-07-02 2015-11-09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9B1 (ko) 2014-07-02 2015-12-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1956A (ja) * 1997-02-20 1998-09-02 Daihatsu Motor Co Ltd クランプの取付構造
KR101567706B1 (ko) * 2014-07-02 2015-11-09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9B1 (ko) 2014-07-02 2015-12-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61B1 (ko) * 2020-01-15 2020-12-23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오조립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4702B (zh) 固定工具、被固定部件的固定方法及固定工具的固定解除方法
WO2010001995A1 (ja) 二部材組付け構造
KR102135613B1 (ko)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CN102016342A (zh) 用于盘式制动器的制动衬片装置
KR20200019985A (ko) 필터 하우징과 필터 엘리먼트에 자동차의 에어 필터 장치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 구조 및 해당 필터 엘리먼트
US7272873B2 (en) Sill plate retainer
CN214196913U (zh) 车门锁扣螺母板和车辆
JP2011037589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H089532A (ja) 電気接続箱のロック構造
JP2007510576A (ja) 車両用ドアのための、一体式ロック固定装置を有するユニットキャリア
JP200902929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JP2008149893A (ja) 車体構造
CN111152704B (zh) 一种保持结构及保持结构的安装方法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CN210101837U (zh) 一种车身三角窗的定位结构
JP2001334826A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H10318232A (ja) 装備部品をねじなし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CN100425471C (zh) 汽车地板垫及其紧固件
JP2006264551A (ja) ガラス用の仮止め装置
JP2020102333A (ja) 分割コネクタ
CN218413177U (zh) 弧形板连接结构
CN114834545B (zh) 振动焊接成形品、振动焊接装置以及振动焊接成形品的制造方法
CN220687004U (zh) 锁芯连接结构及锁芯
CN218029655U (zh) 一种快速装卸插销、铰链及窗
JP2013116683A (ja) カバー部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