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409B1 - 차량용 도어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09B1
KR101578409B1 KR1020140082610A KR20140082610A KR101578409B1 KR 101578409 B1 KR101578409 B1 KR 101578409B1 KR 1020140082610 A KR1020140082610 A KR 1020140082610A KR 20140082610 A KR20140082610 A KR 20140082610A KR 101578409 B1 KR101578409 B1 KR 10157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anel
door
unit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원재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4008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모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모듈은: 도어트림과 조립되는 도어패널부와, 도어패널부상에 도어패널부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도어패널부의 외측으로부터 충격력이 작용 시 도어패널부의 내측에 위치된 도어트림의 하부가 파단되게 유도하는 안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모듈{DOOR MODU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에 패널 형상으로 내장되고 글라스, 차체프레임, 도어트림 등의 차량용 도어 부품과 조립되는 차량용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부품을 조립하여 차량을 제조함에 있어서, 조립라인의 축소, 작업성 개선 등을 위하여 단위부품을 집합하여 모듈화시킨 후,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기 위해 차량용 도어의 내부에 글라스를 지지하는 캐리어, 캐리어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권취드럼 등을 패널 형상의 도어패널에 집합하여 조립한 차량용 도어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946호(2006.11.06. 등록, 고안의 명칭 : 자동차용 도어모듈패널 및 도어인너패널과의 조립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외측으로부터 충격력이 작용 시, 도어패널부가 파단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측으로 밀려나고, 도어트림이 연속하여 파단되면서 그 뾰족한 단부가 차량 내부의 승차자를 찔러 상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도어패널부측으로 충격력이 작용 시, 승차자의 엉덩이 아래 내지 좌석의 상면부 아래에 해당되는 도어트림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파단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승차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은: 도어트림과 조립되는 도어패널부; 및 상기 도어패널부상에 상기 도어패널부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패널부의 외측으로부터 충격력이 작용 시 상기 도어패널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도어트림의 하부가 파단되게 유도하는 안전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파단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부는, 패널본체부; 상기 패널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패널본체부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차체프레임과 조립되는 프레임조립부; 및 상기 패널본체부상에서 상기 도어트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도어트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상기 패널본체부와 상기 프레임조립부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파단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파단유도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및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상기 횡연장부와 연속되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종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패널본체부와 상기 도어트림연결부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파단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상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에 의하면,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안전파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도어패널부측으로 충격력이 작용 시, 도어패널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이 그 상부에 비해 하부가 집중적으로 파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패널부상에 충격력이 작용 시, 제1파단유도부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패널본체부의 하부 일부가 패널본체부로부터 뜯겨져나감과 동시에 도어트림측으로 밀려나, 도어트림의 하부에 충격력이 집중적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패널부에 충격력이 작용 시,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의 승차자의 엉덩이 아래 내지 좌석의 상면부 아래에 해당되는 도어트림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파단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어트림의 상부가 파단 시, 도어트림의 뾰족한 단부 등에 찔려 승차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패널부에 충격력이 작용 시, 상기와 같이 제1파단유도부가 파단되며 패널본체부의 하부가 도어트림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패널본체부의 상부에 도어트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트림연결부가 제2파단유도부에 의해 패널본체부로부터 분리되면서 도어트림의 상부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도어트림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파단이 발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을 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을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과 글라스, 차체프레임, 도어래치, 도어트림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파단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연결부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파단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부와 케이블부, 캐리어, 케이블클립부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엉킴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부와 케이블부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조립방지캐리어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 및 제1패널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 및 제1패널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차체프레임에 임시로 거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를 이용해 도어래치를 도어패널부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와 도어래치, 도어패널부를 상호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 및 소음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연결부에서 체결력유지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연결부에서 체결력유지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을 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을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과 글라스, 차체프레임, 도어래치, 도어트림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모듈(10)은 도어패널부(100), 권취드럼부(200), 케이블부(300), 캐리어(400), 장력조절부(500), 가거치부(600), 리테이너부(700), 체결력유지부(800)를 포함하며, 글라스(11), 차체프레임(12), 도어래치(13), 도어트림(door trim)(14), 오디오부품(15)과 조립된다. 차량에서 트림(trim)은 내장이란 뜻으로, 차음, 흡음, 충돌할 때 승객 보호 등의 기능을 하기 위해 도어패널부(10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도어패널부(100)는 권취드럼부(200), 케이블부(300), 캐리어(400), 장력조절부(500), 가거치부(600), 리테이너부(700), 체결력유지부(800)를 정위치에 조립가능한 패널 형상의 골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패널부(100)는 패널본체부(110), 레일부(120), 리테이너결합부(130), 프레임조립부(140), 차량부품결합부(160), 안전파단부(170), 드럼커버부(180), 엉킴방지부(190)를 포함한다.
패널본체부(110)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도어패널부(10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권취드럼부(200), 케이블부(300), 캐리어(400), 장력조절부(500), 가거치부(600), 리테이너부(70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한다.
레일부(120)는 캐리어(40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패널본체부(110)상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리테이너결합부(130)는 도어래치(13)를 패널본체부(110)상에 조립할 수 있는 연결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결합부(130)는 끼움부(131)와 리테이너걸림부(132)를 포함한다. 끼움부(131)는 리테이너부(700)가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조립되는, 즉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이다. 끼움부(131)는 리테이너부(700)의 상부와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개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끼움부(131)는 리테이너부(700)가 슬라이딩 조립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리테이너부(7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리테이터부(700)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접하는 가이드부(131a)와, ㄱ자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고리 형상의 밀착구속부(131b)를 구비한다. 즉, 리테이너부(700)의 상부와 접하는 밀착구속부(131b)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리테이너부(700)와 하부와 접하는 밀착구속부(131b)는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리테이너부(700)는 상기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끼움부(131) 사이에 측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조립된다. 리테이너걸림부(132)는 끼움부(131)에 끼워진 리테이너부(7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리테이너걸림부(132)는 끼움부(131)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리테이너부(700)에 마련된 이탈방지홀부(713)에 끼워져 리테이너부(700)의 이동을 구속한다. 리테이너걸림부(132)는 리테이너부(700)의 조립 방향측으로 갈수록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점차 더 돌출되게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부(7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끼움부(131)에 조립하는 경우, 리테이너걸림부(132)는 우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부(7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끼움부(131)에 조립 시, 리테이너부(700)는 경사지게 형성된 리테이너걸림부(132)의 전면부를 타고 우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부(700)가 우측으로 진행되다가 이탈방지홀부(713)의 내부에 리테이너걸림부(132)가 삽입되면, 리테이너부(700)의 진행이 정지된다. 이때, 리테이너부(700)는 좌측부에 비해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테이너걸림부(132)의 우측부에 걸려 좌측으로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저지된다.(도 26 내지 도 28 참조)
프레임조립부(140)는 차체프레임(12)과 조립되는 부분이다. 프레임조립부(140)는 패널본체부(110)의 가장자리부에 패널본체부(110)와 단차(段差)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패널본체부(110)의 가장자리부는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조립부(140)는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패널본체부(110)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차량부품결합부(160)는 도어트림(14), 오디오부품(15) 등의 다른 차량 부품과의 연결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결합부(160)는 도어트림연결부(160A)와 오디오연결부(160B)를 포함한다. 도어트림연결부(160A)는 도어패널부(100)와 도어트림(14)간의 연결부에 도어트림(1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오디오연결부(160B)는 도어패널부(100)와 오디오부품(15)간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차량부품결합부(160) 각각은, 예를 들어 도어트림연결부(160A)와 오디오연결부(160B) 각각은 결합홀부(161)와 체결턱부(162)를 포함한다. 결합홀부(161)는 너트부재의 구조를 가지는 체결력유지부(800)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패널본체부(110)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결합홀부(161)는 내부로 유입된 체결력유지부(800)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된다. 결합홀부(161)가 체결력유지부(800)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깊이를 가짐에 따라,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의 일측으로부터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홀부(161)의 타측으로부터 손가락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2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체결턱부(162)는 체결력유지부(800)가 체결될 수 있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으로, 결합홀부(161)의 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에 끼우는 조립 시, 체결력유지부(800)에 형성된 체결홈부(840)가 체결턱부(162)에 걸려 그 이동이 구속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홀부(161)의 단부에 체결턱부(162)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력유지부(800)를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상의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상기와 같이 손가락이나 공구(20) 등을 이용해 외력을 가함으로써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로부터 강제로 이탈시킬 수도 있다.(도 30 내지 도 32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파단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연결부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파단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안전파단부(170)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도어패널부(100)측으로 충격력이 작용 시, 즉 도어패널부(100)의 외측(도 3상에서 좌측)으로부터 충격력이 작용 시, 도어패널부(100)의 내측(도 3상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도어트림(14)의 하부가 파단되게 유도하는 부분이다. 안전파단부(170)는 패널본체부(110)상에 패널본체부(110)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충격력이 작용 시 안전파단부(170)에 응력이 집중되어 안전파단부(170)가 패널본체부(1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보다 쉽게 파단된다. 따라서 패널본체부(110)에 충격력이 작용 시, 안전파단부(170)가 다른 부분보다 먼저 파단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파단부(170)는 제1파단유도부(171)와 제2파단유도부(174)를 포함한다. 제1파단유도부(171)는 도어패널부(10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파단유도부(171)는 패널본체부(110)의 하부에 패널본체부(110)와 프레임조립부(140)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횡연장부(172)와 종연장부(173)를 포함한다. 횡연장부(172)는 패널본체부(1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종연장부(173)는 패널본체부(110)의 하부에 횡연장부(172)와 연속되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패널부(100)상에 충격력이 작용 시, 프레임조립부(1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차체프레임(12)에 조립,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횡연장부(172)와 종연장부(173)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패널본체부(110)의 하부 일부가 프레임조립부(140)로부터 뜯겨져나감과 동시에 도어트림(14)측으로 밀려나며, 도어트림(14)의 하부에 충격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제1파단유도부(171)가 파단됨과 동시에 패널본체부(110)의 하부가 도어트림(14)측으로 밀려나고, 도어트림(14) 하부에 충격력이 집중적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도어패널부(100)에 충격력이 작용 시,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의 승차자의 엉덩이 아래 내지 좌석의 상면부 아래에 해당되는 도어트림(14)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트림(14)의 상부가 파단 시, 도어트림(14)의 뾰족한 단부 등에 찔려 승차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트림연결부(160A)는 패널본체부(110)의 상부에서 도어트림(14)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단부가 도어트림(14)과 연결된다. 또한, 도어트림연결부(160A)는 패널본체부(110)상에서 도어트림(14)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즉, 도어트림연결부(160A)와 패널본체부(110)간의 연결부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미소한 두께차를 가진다. 제2파단유도부(174)는 패널본체부(110)와 도어트림연결부(160A)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패널부(100)에 충격력이 작용 시, 상기와 같이 제1파단유도부(171)가 파단되며 패널본체부(110)의 하부가 도어트림(14)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패널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된 도어트림연결부(160A)가 제2파단유도부(174)에 의해 패널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면서 도어트림(14)의 상부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1파단유도부(171)와 제2파단유도부(174)는 도어트림(14)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파단이 발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구현하게 된다. 안전파단부(170)를 패널본체부(110)상에 패널본체부(110)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은, 프레임조립부(140)와 패널본체부(110)간의 경계부, 도어트림연결부(160A)와 패널본체부(110)간의 경계부 등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치를 형성시킨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파단 작용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부와 케이블부, 캐리어, 케이블클립부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엉킴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부와 케이블부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드럼커버부(180)는 권취드럼부(200) 중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이 인출되지 않는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커버부(180)는 패널본체부(110)의 전면부측에 설치되는 권취드럼부(200)의 전면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권취드럼부(200)의 외면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면부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드럼커버부(180)는 권취드럼부(200)의 전방 이동 및 측방향 이동을 구속하게 되며, 권취드럼부(200)는 드럼커버부(180)에 의해 전방 및 측방향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패널본체부(110)상의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드럼커버부(180)는 권취드럼부(200)측으로 또는 권취드럼부(200)에 권취된 케이블부(30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도 9를 참조하면, 케이블부(300)는 도어패널부(100)상에 설치된 권취드럼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글라스(11)를 지지하는 캐리어(400)를 승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300)는 제1케이블(310), 제2케이블(320), 제3케이블(330)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제1케이블(310)은 권취드럼부(200)에 일측부가 권취되며, 타측부가 도어패널부(100)의 우측하부를 향해 연장되다가 제1걸림부(910)에 걸려 상향 연장되고 캐리어(400) 중 글라스(11)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연결된다. 제2케이블(320)은 권취드럼부(200)상에 제1케이블(310)과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며, 도어패널부(100)의 좌측상부를 향해 연장되다가 제2걸림부(920)에 걸려 하향 연장되고 캐리어(400) 중 상기 글라스(11)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안착캐리어(420)와 연결된다. 제3케이블(330)은 캐리어(400)를 매개로 하여 제1케이블(310), 제2케이블과 연결된다. 제3케이블(330)의 일측부는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연결되며, 타측부는 제1걸림부(910)의 상측에 위치된 제3걸림부(930)에 걸려 하향 연장되다가 제2걸림부(920)의 하측에 설치된 제4걸림부(940)에 걸려 상향 연장되고 안착캐리어(4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걸림부(910), 제2걸림부(920), 제3걸림부(930), 제4걸림부(940)는 외면부에 케이블부(300)가 걸쳐진 상태로 케이블부(3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는 롤러 내지 도르래 형상을 가진다.
엉킴방지부(190)는 권취드럼부(200)에서 인출되는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의 인출 방향이 상호 구분되도록 권취드럼부(200)와 근접한 위치에서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의 사이를 가로막는 부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엉킴방지부(190)는 오조립방지부(191), 보강연결부(192), 보강리브부(193)를 포함한다. 오조립방지부(191)는 패널본체부(110)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즉 권취드럼부(2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의 사이를 가로막는다. 제1케이블(310)은 오조립방지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인출되고, 제2케이블(320)은 오조립방지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제1케이블(310)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제1케이블(310)을 오조립방지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권취드럼부(2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케이블(310)을 권취드럼부(200)상에 권취할 수 있다. 이후, 제2케이블(310)을 오조립방지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권취드럼부(2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케이블(310)과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권취드럼부(200)상에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6)를 이용해 권취드럼부(2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면서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제1케이블(310) 또는 제2케이블(320)이 순간적으로 딸려나가거나 느슨해지면서 상호 간섭되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연결부(192)는 오조립방지부(191)의 단부와 드럼커버부(180)를 일체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하중이나 외력 또는 열변형, 노후변형 등의 자체 변형에 의해 오조립방지부(191)의 단부가 임의로 휘어지는 것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리브부(193)는 제1케이블(310), 제2케이블(320)과 접하지 않는 오조립방지부(191)의 일측부에 오조립방지부(191)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부(193)의 일측부는 오조립방지부(191)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부는 패널본체부(1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리브부(193)는 제1보강리브부(194)와 제2보강리브부(195)를 포함한다. 제1보강리브부(194)는 오조립방지부(191)와 일체로 연결되고, 권취드럼부(2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보강리브부(195)는 제1보강리브부(194)와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드럼부(210)의 반경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제1보강리브부(194)와 제2보강리브부(19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리브부(193)가 구부러진 형상을 이룸에 따라, 권취드럼부(200)의 반경방향, 접선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에서 오조립방지부(191)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휨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연결부(192)와 보강리브부(193)에 의해 오조립방지부(191)의 휨강성을 다중으로 보강할 수 있다.
권취드럼부(200)는 패널본체부(110)상의 정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외면부에 일부가 권취된 케이블부(30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권취드럼부(200)는 회전드럼부(210), 제1고정부(220), 제2고정부(230)를 포함한다.
회전드럼부(210)는 원주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패널본체부(110)에 설치되며, 모터(16)에 연동하여 회전 구동된다.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은 회전드럼부(210)의 외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취된다.
제1고정부(220)는 회전드럼부(210)의 축방향 일측부에 형성되며, 제1케이블(310)의 단부가 결속된다. 제1고정부(220)는 드럼커버부(180)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회전드럼부(210)의 일측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고정부(220)는 제1홀딩부(221)와 제1안내부(222)를 포함한다. 제1홀딩부(221)는 제1케이블(310)의 단부에 제1케이블(310)의 단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 결합구(340)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안내부(222)는 결합구(340)와 연결된 제1케이블(3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홀딩부(221)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1안내부(222)는 회전드럼부(210)의 일측면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호 형상을 이루면서 회전드럼부(210)의 일측면부 말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케이블(310)은 제1안내부(222)를 따라 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면서 회전드럼부(210)의 일측면부의 말단까지 연장된 후, 회전드럼부(210)의 원통형 외면부에 연속하여 권취된다.
제2고정부(230)는 회전드럼부(210)의 축방향 타측부에 형성되며, 제2케이블(320)의 단부가 결속된다. 제2고정부(230)는 회전드럼부(210)의 외면부상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고정부(230)는 제2홀딩부(231)와 제2안내부(232)를 포함한다. 제2홀딩부(231)는 제2케이블(320)의 단부에 제2케이블(310)의 단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 결합부(340)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안내부(232)는 결합구(340)와 연결된 제2케이블(3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홀딩부(231)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2안내부(232)는 회전드럼부(210)의 외면부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케이블(320)은 제2안내부(232)를 따라 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다가 회전드럼부(210)의 외면부에 연속하여 권취된다. 이때, 제1케이블(310)은 제1고정부(220)에 단부가 결속된 상태로 회전드럼부(210)에 정방향으로 권취되고, 제2케이블(320)은 제2고정부(230)에 단부가 결속된 상태로 회전드럼부(210)에 역방향으로 권취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조립방지캐리어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 및 제1패널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 및 제1패널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캐리어(400)는 글라스(1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케이블부(3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승강되면서 글라스(1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도 12를 참조하면, 캐리어(400)는 동일한 상하 높이상에서 케이블부(30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권취드럼부(200)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 제1케이블(310)이 권취드럼부(200)에서 풀려남과 동시에 제2케이블(320)이 제1케이블(310)의 풀려난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권취드럼부(200)에 권취되면서, 한 쌍의 캐리어(400)가 동시에 동일 변위로 상향 이동된다. 권취드럼부(200)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 제2케이블(320)이 권취드럼부(200)에서 풀려남과 동시에 제1케이블(310)이 제2케이블(320)의 풀려난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회전드럼부(210)에 권취되면서, 한 쌍의 캐리어(400)가 동시에 동일 변위로 하향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400)는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안착캐리어(420)를 포함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글라스(11)는 일측부에서 타측부측으로 갈수록 상하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일측부는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고, 타측부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진다.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안착캐리어(420)는 상기와 같이 횡방향 무게 편차를 가지는 글라스(11)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각각 하단 지지한다.
오조립방지캐리어(410)는 타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글라스(11)의 일측부에 체결된 상태로 글라스(11)를 지지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조립방지캐리어(410)는 글라스홀더부(411), 홀더결합부(416), 제1패널연결부(418)를 포함한다. 글라스홀더부(411)는 글라스(11)의 하부에 체결되어 글라스(11)와 일체로 연결되며, 체결부재(19)에 의해 홀더결합부(416)와 조립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홀더부(411)는 글라스고정부(412), 커브구속리브부(414), 마운팅부(415)를 포함한다. 글라스고정부(412)는 글라스(11)의 하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글라스고정부(412)는 글라스(11)의 전면부와 접하는 전면접촉부와 글라스(11)의 후면부와 접하는 후면접촉부를 구비하여 글라스(11)의 하부에 끼워진다. 커브구속리브부(414)는 글라스고정부(412) 중 글라스(11)와 접촉되는 글라스접촉부(413)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브구속리브부(414)는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커브구속리브부(414) 횡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글라스(11)를 글라스고정부(412)에 억지끼움한 상태에서, 글라스(11)는 복수개의 커브구속리브부(414)와 압접된 상태가 된다. 특히, 글라스(11)가 곡면을 가지는 경우에도, 커브구속리브부(414)는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글라스고정부(412)에 끼워진 글라스(11)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마운팅부(415)는 체결부재(19)에 의해 홀더결합부(416)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마운팅부(415)는 글라스고정부(412)와 일체로 연결되며, 체결부재(19)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19)에 의해 홀더결합부(416)와 결합된다. 글라스홀더부(411)가 합성수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마운팅부(415)에 형성된 홀부의 가장자리부를 금속재로 구성하면, 볼트 형상을 가지는 금속재 체결부재(19)를 이용해, 글라스홀더부(411)와 홀더결합부(416)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홀더결합부(416)와 제1패널연결부(418)는 일체로 연결되며, 제1케이블(310)과 제3케이블(330)의 연결부에 결합된다. 홀더결합부(416)에는 글라스홀더부(411)와 조립되는 조립부(417)가 형성된다. 조립부(417)는 마운팅부(415)에 형성된 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416)는 홀더안착부(416a), 접속지지부(416d), 장착안내부(416e), 배수홀부(416g)를 포함한다. 홀더안착부(416a)는 글라스홀더부(41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마운팅부(415)를 포함한 글라스홀더부(411)의 하부에 대응되는 상면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안착부(416a)는 상부안착부(416b)와 하부안착부(416c)를 포함한다. 상부안착부(416b)는 글라스고정부(412)의 하부가 안착되는 부분이고, 하부안착부(416c)는 글라스고정부(412)의 하부에 형성되는 마운팅부(415)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하부안착부(416c)는 상부안착부(416b)상에 마운팅부(4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안착부(416c)상에는 조립부(417)가 형성되어, 하부안착부(416)에 마운팅부(415)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부재(19)에 의해 마운팅부(415)와 조립부(417)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접속지지부(416)는 글라스홀더부(411)를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접속지지부(416d)는 홀더안착부(416a)의 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마운팅부(415)의 후면부와 접한 상태로 글라스홀더부(411)를 지지하게 된다. 장착안내부(416e)는 중량의 하중을 가지는 글라스(11)를 홀더결합부(416)상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글라스홀더부(411)를 홀더안착부(416a)측으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장착안내부(416e)는 글라스홀더부(411)를 홀더안착부(416a)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부(416f)를 구비하여 홀더안착부(416a)의 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장착안내부(416e)는 홀더안착부(416a)의 전방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글라스(11)에 결합된 글라스홀더부(411)를 장착안내부(416e)상에 안착시킨 후, 글라스(11)를 리프팅시킨 견인력을 해제하면, 글라스홀더부(411)가 장착안내부(416e)의 경사부(416f)를 타고 후방의 홀더안착부(416a)측으로 자연히 이동되면서 글라스홀더부(411)가 홀더안착부(416a)의 정위치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중량의 글라스(11)를 리프팅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글라스홀더부(411)를 홀더안착부(416a)에 정확하게 끼울 필요 없이, 상기와 같이 글라스홀더부(411)를 장착안내부(416e)에 안착시킨 상태로 글라스(11)를 리프팅시킨 견인력을 해제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글라스홀더부(411)를 홀더결합부(416)상의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배수홀부(416g)는 홀더안착부(416a)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부분이다. 배수홀부(416g)는 홀더안착부(416a)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11)의 표면을 타고 홀더안착부(416a)로 유입된 물이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홀더안착부(416a)의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수홀부(416g)를 통해 홀더안착부(416a)의 외부로 신속하게 하향 배출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부(415)와 조립부(417)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금속재 체결부재(19) 등이 물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패널연결부(418)는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되는 부분으로, 레일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부(120)에 결합된다. 또한, 제1패널연결부(418)는 홀더결합부(416)와 일체로 연결되며, 제1케이블(310), 제3케이블(330)과 연결되어, 권취드럼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글라스홀더부(411), 홀더결합부(416)와 함께 승강된다. 제1패널연결부(418) 중 레일부(120)와의 결합부는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공지의 이동부재의 구조를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착캐리어(420)는 일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글라스(11)의 타측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글라스(11)를 지지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캐리어(420)는 클램핑부(421)와 제2패널연결부(424)를 포함한다. 클램핑부(421)는 글라스(11)의 하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421)는 글라스가압부(422)와 마찰접촉부(423)를 포함한다. 글라스가압부(411)는 글라스(11)의 전면부, 후면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며, 볼트 형상을 가지는 체결부재(19)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마찰접촉부(423)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글라스가압부(411)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체결부재(19)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글라스가압부(411)간의 간격이 점차 확장되면서 한 쌍의 글라스가압부(422) 사이에, 즉 마찰접촉부(423)의 내부에 글라스(11)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9)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글라스가압부(411)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면서 마찰접촉부(423)와 글라스(11)가 밀착된다. 이때, 글라스(11)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마찰접촉부(423)와 마찰 접촉된 상태가 되어, 그 유동이 방지된다. 제2패널연결부(424)는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되는 부분으로, 레일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부(120)에 결합된다. 또한, 제2패널연결부(424)는 제2케이블(320), 제3케이블(330)과 연결되어, 권취드럼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램핑부(421)와 함께 승강된다. 제2패널연결부(424) 중 레일부(120)와의 결합부는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공지의 이동부재의 구조를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글라스(11)가 횡방향 무게 편차를 가지는 경우, 글라스(11)가 타측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무게가 가벼운 일측부가 상측으로 젖혀지려는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400)에 의하면, 상향 이동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글라스(11)의 일측부를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글라스(11)의 일측부가 상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11)의 일측부를 오조립방지캐리어(410)와 연결한 후, 글라스(11)를 리프팅시킨 견인력을 해제하면 글라스(11) 중 무게가 무거운 타측부가 안착캐리어(420)상에 자연히 안착된다. 이에 따라, 안착캐리어(420)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캐리어(400)와 글라스(11)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글라스(11) 중 가벼운 일측부가 상측으로 젖혀지거나, 글라스(11) 중 무거운 타측부가 하측으로 젖혀짐에 따른 조립의 어려움 없이, 글라스(11)를 캐리어(400)와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케이블클립부(510)는 케이블부(300)의 연장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케이블부(300)를 구속하는 부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클립부(510)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300)는 권취드럼부(200)에서 좌측상부에 위치된 제2걸림부(920)측으로 연장되는 제2케이블(320)과, 우측상부에 위치된 제3걸림부(930)측에서 좌측하부에 위치된 제4걸림부(940)측으로 연장되는 제3케이블(330)이 교차되는 형상을 가진다.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는 제2케이블(320)과 제3케이블(330)의 교차부(C)상에서 제2케이블(320)과 제3케이블(330)간에 높이차를 형성하여, 제2케이블(320)과 제3케이블(330)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높이는 패널본체부(110)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는 제3케이블(330)를 제2케이블(320)보다 더 높게 위치시키기 위해 제3케이블(330)의 연장경로상에 위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는 지지부(511), 케이블걸림부(512), 케이블안내부(516)를 포함한다. 지지부(511)는 제3케이블(330)의 연장경로상에 제3케이블(33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부(511)는 장력이 걸린 상태로 케이블걸림부(512)에 끼워진 제3케이블(33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3케이블(330)을 지지한다. 즉, 지지부(511)의 돌출 정도에 따라 제3케이블(330)의 높이가 결정된다. 케이블걸림부(512)는 제3케이블(330)이 끼워지는 부분으로 지지부(511)의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걸림부(512)는 케이블안착부(513), 공간형성부(514), 걸림고리부(515)를 포함한다. 케이블안착부(513)는 케이블안내부(516)를 타고 케이블걸림부(512)측으로 이동된 제3케이블(33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케이블안착부(513)를 케이블안내부(516)와 연속된 평탄면을 이루게 형성하면, 장력이 걸린 상태로 케이블안내부(516)를 타고 케이블걸림부(512)측으로 이동된 제3케이블(330)이 자연히 케이블안착부(513)상에 안착된다. 또한, 케이블안착부(513)를 지지부(511)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면, 케이블안내부(516)를 타고 케이블걸림부(512)측으로 이동된 제3케이블(330)이 케이블안착부(513)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된다. 공간형성부(514)는 케이블안내부(51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부(511)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공간형성부(514)는 제3케이블(330)을 사이에 두고 케이블안내부(516)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걸림고리부(515)는 공간형성부(514)의 단부에서 케이블안내부(516)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간형성부(514)와 걸림고리부(515)는 내부에 제3케이블(330)을 끼울 수 있는 고리 형상을 이룬다. 제3케이블(330)을 케이블걸림부(512)에 끼우는 조립을 하기 전, 제3케이블(330)은 장력이 걸린 상태에서 걸림고리부(515)의 외면부와 접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고리부(515)는 케이블안내부(516)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력이 걸린 상태의 제3케이블(330)을 케이블걸림부(512)에 끼우기 위해 걸림고리부(515)의 단부측으로 당겨 이동시킬 시, 걸림고리부(515)의 경사면을 이용해 제3케이블(330)을 케이블안내부(516)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케이블(330)을 걸림고리부(515)의 단부까지 당겨 이동시키면, 제3케이블(330)이 그 장력에 의해 자연히 케이블안내부(516)측으로 이동되고, 케이블안내부(516)를 타고 케이블안착부(513)측으로 이동된다. 케이블안내부(516)는 케이블걸림부(512)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3케이블(330)을 케이블걸림부(512)의 내부측으로 유도하는 케이블 안내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케이블안내부(516)는 지지부(511)의 단부에 케이블걸림부(51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장력이 걸린 상태로 케이블안내부(516)에 안착된 제3케이블(330)은 케이블안내부(516)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히 케이블걸림부(512)로 이동되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장력이 걸린 상태의 제3케이블(330)을 케이블안내부(516)와 접하도록 당긴 후, 제3케이블(330)을 당기는 외력을 해제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제3케이블(330)을 목적한 높이상에 구속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비교해 멈춤턱부(517)를 추가로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멈춤턱부(517)는 케이블부(300)가 케이블안내부(5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안내부(516)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멈춤턱부(517)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부(300)를 멈춤턱부(517)에 걸리는 위치까지 당기고 그 당기는 외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부(300)를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에 끼우는 조립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안내부(516)의 너비를 초과하여 당김으로써 지지부(511)의 측면부에 케이블부(300)가 걸리는 등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 모듈(10)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의 조립 과정, 사용 과정 등에서 케이블부(300)에 걸린 장력이 약해지는 등의 경우, 케이블부(300)가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는 권취드럼부(200)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케이블부(3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는 케이블부(300)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홈부를 구비하여,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는 케이블부(300)의 연장 경로상에서 케이블부(300)와 접함으로써, 케이블부(300)가 그 연장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블부(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는 제1케이블(310), 제2케이블(320), 제3케이블(330) 각각과 접하는 3개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케이블유동방지부(510B) 중 일측은 제1케이블(310)의 하향 연장 경로상에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제2케이블(320)의 상향 연장 경로상에 설치되며, 또 다른 일측은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함께 제3케이블(330)의 연장 경로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권취드럼부(200)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부(300)가 진동되거나, 글라스(11)를 승강시키기 위해 케이블부(3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흔들리는 유동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다.
장력조절부(500)는 케이블부(300)를 도어패널부(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케이블클립부(5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케이블클립부(510)와, 케이블클립부(510)의 높이를 조정하는 텐션조절부(52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클립부(510)는 패널본체부(110)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비교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에서 케이블클립부(510)는 패널본체부(110)와 별도로 제조된 후, 텐션조절부(520)에 의해 패널본체부(110)와 결합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텐션조절부(520)를 포함한다. 텐션조절부(520)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를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부(520)는 패널결합부(521)와 조절부(524)를 포함한다. 패널결합부(521)는 패널본체부(110)상의 정위치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패널결합부(521)는 관통부(522)와 공구접속부(523)를 포함한다. 관통부(522)는 패널본체부(11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구접속부(523)는 공구(20)를 접속시킬 수 있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홈부를 구비하여, 관통부(522)의 단부에 형성된다. 관통부(522)는 패널본체부(110)의 후방측에서 케이블부(300) 및 테이블간섭방지부(510)가 있는 전방을 향해 관통되게 설치되며, 공구접속부(523)는 패널본체부(110)의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다. 조절부(524)는 패널결합부(521)의 전방측 단부에서 케이블클립부(51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면부상에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525)가 형성된다. 나사부(525)는 수나사부의 형상을 가지고,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상에는 나사부(525)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텐션조절부(5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간섭방지부(510A)가 점차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세지고, 텐션조절부(5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간섭방지부(510A)가 점차 패널본체부(110)측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약해진다. 상기와 같은 회전 조작에 의해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를 이동시키면서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에 걸린 케이블부(300)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렌치, 드라이버 등의 공구(20)를 공구접속부(523)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와 같은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와 비교해, 케이블간섭방지부(510A) 뿐만 아니라 케이블유동방지부(510B)에도 텐션조절부(520)를 결합시킨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와 중복된 부분을 그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유동방지부(510B)상에는 나사부(525)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텐션조절부(5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유동방지부(510B)가 점차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세지고, 텐션조절부(5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유동방지부(510B)가 점차 패널본체부(110)측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이 점차 약해진다. 상기와 같은 회전 조작에 의해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를 이동시키면서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에 걸린 케이블부(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부(300)와 케이블간섭방지부(510A), 케이블유동방지부(510B)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케이블(310)과 제2케이블(320)은 3개의 케이블유동방지부(510B) 중 일측 또는 타측과 각각 접하고, 제3케이블(330)은 3개의 케이블유동방지부(510B) 중 나머지 하나와 케이블간섭방지부(510A)와 접한다. 이에 따라, 제1케이블(310) 또는 제2케이블(320) 각각과 접하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를 텐션조절부(520)로 이동시키면서 제1케이블(310) 또는 제2케이블(32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케이블(330)과 접하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 또는 케이블유동방지부(510B)를 텐션조절부(520)로 이동시키면서 제3케이블(33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케이블(320)을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제3케이블(330)과 접하는 케이블간섭방지부(510A)를 함께 패널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킴으로써, 제2케이블(320)과 제3케이블(330)이 교차부(C)에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와 비교해, 텐션조절부(520)가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526)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와 중복된 부분을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공구접속부(523)를 형성하는 대신 액추에이터(526)를 연결함으로써, 전기 또는 유압을 이용해 자동으로 케이블클립부(510)를 이동시키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500)는 케이블클립부(5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작용을 구현하나,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면 케이블클립부(51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력조절부(500)에 의하면, 케이블부(300)가 늘어나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이 느슨해지는 경우, 케이블부(300)를 교체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상기와 같이 텐션조절부(520)를 회전조작하거나 액추에이터(526)를 구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케이블클립부(510)의 높이를 조정하면서 케이블부(300)에 걸리는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부(300)를 교체하지 않고도, 케이블부(300)가 늘어나 사용자가 글라스(11)를 승강시키고자 조작한 시점과 실제 글라스(11) 이동 시점간에 시간차가 발생되거나, 권취드럼부(200)의 회전 시 케이블부(300)가 제1걸림부(910), 제2걸림부(920), 제3걸림부(930), 제4걸림부(940) 등에 걸린 상태로 순간적으로 무리하게 당겨지게 되어 그 손상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부(300)를 교체하지 않고도, 케이블부(300)가 늘어나 차량 가동 시 발생되는 진동에 연동하여 떨리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부(300)가 상기와 같이 제1걸림부(910), 제2걸림부(920), 제3걸림부(930), 제4걸림부(940) 등에 걸려 무리하게 당겨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차체프레임에 임시로 거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거치부(600)는 도어패널부(100)와 차체프레임(12)을 조립 시 도어패널부(100)를 차체프레임(12)에 임시로 걸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차체프레임(12)은 차량용 도어의 가장자리부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어패널부(10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프레임조립부(140)에 대응되는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차체프레임(12)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19)에 의해 프레임조립부(140)와 결합된다. 차체프레임(12)은 도어패널부(100)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조립되는 상부프레임부(12a), 도어패널부(100)의 측부 가장자리부와 조립되는 측부프레임부(12b), 도어패널부(100)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조립되는 하부프레임부(12c)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프레임부(12c)는 측부프레임부(12b)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거치부(600)가 안착되는 안착부(12d)가 형성된다. 안착부(12d)는 가거치부(600)가 걸쳐져 안착될 수 있는 접촉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하부프레임부(12c) 중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부에 해당되며, 하부프레임부(12c)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형성된다. 가거치부(600)는 도어패널부(100)상에 차체프레임(1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안착부(12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600)는 패널연결부(610), 받침부(620), 걸림부(630), 보강부(640)를 포함한다.
패널연결부(610)는 패널본체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610)는 패널본체부(110)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가거치부(600)를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추가할 필요 없이, 사출 등에 의해 패널본체부(110) 제작 시 가거치부(600)를 일체로 함께 제작할 수 있다.
받침부(620)는 차체프레임(12)의 하부프레임부(12c)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받침부(620)는 패널연결부(610)에서 차체프레임(1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요 시 받침부(620)를 하부프레임부(12c)에 마련된 안착부(12d)에 걸쳐 올려둘 수 있다. 도어패널부(100)를 차체프레임(12)에 임시로 거치한 상태에서, 받침부(620)의 돌출 정도에 따라 도어패널부(100)와 차체프레임(12)간의 이격 가능 거리가 결정된다. 받침부(620)의 돌출 정도를 확장시킬수록 도어패널부(100)와 차체프레임(12) 사이의 공간을 이용해 오디오부품(15) 등의 배선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받침부(620)의 돌출 정도를 축소시킬수록 도어패널부(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가거치부(600)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걸림부(630)는 안착부(12d)에 안착된 받침부(620)가 안착부(12d)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이다. 걸림부(630)는 받침부(620)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620)를 안착부(12d)에 걸친 상태에서 다른 차량 부품과의 연결, 배선 등을 위해 도어패널부(100)를 임의로 기울이거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거치부(600)가 안착부(12d)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12d)와 접하는 걸림부(630)의 후면부상에는 걸림안내부(632)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안내부(632)는 안착부(12d)를 받침부(620)측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받침부(620)에서 전방측으로, 즉 안착부(12d)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걸림안내부(632)는 걸림부(630) 중 패널본체부(110)와 마주하는 일측부상에 하부측으로 갈수록 패널본체부(110)에서 이격되게 경사형성된다. 걸림안내부(632)에 의해 패널본체부(110)와 걸림부(630)의 사이에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이격공간부의 전후측 너비가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된다. 이에 따라, 패널본체부(110)와 걸림부(63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가 받침부(620)의 전후측 너비 뿐만 아니라 걸림안내부(632)의 전후측 너비를 추가한 만큼의 너비를 가지게 된다. 즉, 받침부(620)의 전후측 너비에 비해 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이격공간부상에 안착부(12d)를 계합시키면 되므로, 받침부(620)의 전후측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이격공간부상에 안착부(12d)를 계합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즉, 걸림안내부(63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보다 용이하게 가거치부(600)를 안착부(12d)상에 거치할 수 있다. 받침부(620) 또는 걸림부(630)를 안착부(12d)에 걸친 후 패널본체부(110)를 들어온린 견인력을 해제함으로써 가거치부(600)를 안착부(12d)상에 임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걸림안내부(632)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패널본체부(110)를 차체프레임(12)에 걸친 상태에서 패널본체부(110)의 기울기를 전후측으로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보강부(640)는 패널연결부(610)에서 걸림부(630)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거치부(600)를 보강하기 위한 부분이다. 보강부(640)의 일측부는 패널본체부(110)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부는 패널연결부(610)와 받침부(620), 걸림부(63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보강부(640)는 패널연결부(610)와 받침부(620)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리브부와, 걸림부(630)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전방리브구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강부(640)에 의해 도어패널부(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패널연결부(610), 받침부(620), 걸림부(630)의 휨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거치부(600)는 패널본체부(110)와 일체로 제작되나, 가거치부(600)를 패널본체부(110)와 별도로 제작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19)에 의해 패널본체부(110)상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거치부(600)는 안착부(12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패널부(100)가 차체프레임(12)과 실제로 조립되는 위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에서 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패널부(100)를 차체프레임(12)에 임시로 거치한 상태에서 오디오부품(15) 등의 배선 작업이 완료되면 도어패널부(100)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체결부재(19) 등을 이용해 차체프레임(12)상에 그대로 밀착, 결합시킬 수 있어, 도어패널부(100)를 차체프레임에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거치부(600)는 패널본체부(110) 또는 차체프레임(12)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횡방향 너비 또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거치부(600)를 이용하면, 기존에 도어패널부(100)를 기울여 차체프레임(12)에 임의로 걸쳐둔 상태로 배선 작업을 하거나, 한 명의 작업자는 도어패널부(100)를 공중에 견인하거나 정위치에 붙들고 있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는 배선 작업을 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필요 시 안착부(12d)가 형성된 차체프레임(12)상의 정위치에 도어패널부(100)를 거치시키는 과정을 거쳐 도어패널부(100)와 차체프레임(12)간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를 이용해 도어래치를 도어패널부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와 도어래치, 도어패널부를 상호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연결부 및 소음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리테이너부(700)는 도어래치(13)와 도어패널부(10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리테이너부(700)를 매개로 하여 도어래치(13)와 도어패널부(100)를 연결하면 도어래치(13)와 도어패널부(100)를 차량용 도어의 다른 부품들과 개별적으로 조립,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도어패널부(100)를 기설정된 정위치에 조립하는 것만으로 도어래치(13)를 함께 기설정된 조립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700)는 패널연결부(710), 래치연결부(720), 소음방지부(730)를 포함한다.
패널연결부(710)는 도어패널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도어패널부(100)에 형성된 리테이너결합부(130)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패널연결부(710)는 본체부(711)와 분리안내부(714)를 포함한다. 본체부(711)는 리테이너결합부(13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부분이다. 본체부(711)는 상하로 배치되는 끼움부(131) 사이에 측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조립된다. 본체부(711)는 패널고정부(712)와 이탈방지홀부(713)를 포함한다. 패널고정부(712)는 리테이너결합부(13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으로, 패널본체부(110)의 전면부에 대응되는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패널고정부(712)를 상하로 배치되는 끼움부(131)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패널고정부(712)의 상면부는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31a)와 하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밀착구속부(131b)와 접하며, 패널고정부(712)의 저면부는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31a)와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밀착구속부(131b)와 접한다. 이탈방지홀부(713)는 상하로 배치되는 끼움부(131)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리테이너걸림부(132)가 끼워져 걸리도록 리테이너걸림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리테이너부(700)가 끼움부(131)에 좌측으로부터 끼워져 우측으로 진행되다가 이탈방지홀부(713)의 내부에 리테이너걸림부(132)가 삽입되면, 리테이너부(700)의 진행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부(700)가 도어패널부(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부(711)는 끼움부(131)에 의해 전후방 및 상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리테이너걸림부(132)에 의해 좌우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도어패널부(100)의 전면부에 밀착된다. 분리안내부(714)는 상기와 같이 도어패널부(100)에 밀착되게 조립된 상태의 리테이너부(700)를 도어패널부(100)로부터 분리시키기 용이하도록, 도어패널부(100)와 본체부(711)의 사이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20)가 삽입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분리안내부(714)는 본체부(711)의 가장자리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차량의 수리 시 등 리테이너부(700)를 도어패널부(100)와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공구(20)의 단부를 분리안내부(714)에 끼운 후 젖히는 동작을 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패널고정부(712)의 단부가 젖혀 들어올려지면서 이탈방지홀부(713)가 리테이너걸림부(132)로부터 들뜨게 되고, 이때, 리테이너부(700) 전체를 리테이너결합부(130)의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손쉽게 리테이너부(700)를 도어패널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래치연결부(720)는 도어래치(13)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패널연결부(7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래치연결부(720) 중 도어래치(13)와의 연결부에는 동결파손방지부(721)가 형성된다. 동결파손방지부(721)는 도어래치(13)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으로, 저온에서 리테이너부(700)를 도어래치(13)에 착탈시키는 조립 시 도어래치(13)와의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결파손방지부(721)는 제1탄성체결부(722)와 제2탄성체결부(724)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결부(722)는 조립홀부(13a)를 통과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부에 조립홀부(13a)로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부(723)가 형성된다. 제2탄성체결부(724)는 제1탄성체결부(722)와 이격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탄성체결부(722)와의 이격 간격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며 제1탄성체결부(722)와 함께 조립홀부(13a)에 끼워진다. 제1탄성체결부(722)의 단부에는 조립홀부(13a)에 걸리는 걸림턱부(725)가 형성되고, 걸림턱부(725)상에는 안내경사부(723)와 마찬가지로 조립홀부(13a)로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된다. 리테이너부(700)와 도어래치(13)를 연결하는 조립 시, 제1탄성체결부(722)와 제2탄성체결부(723)는 함께 조립홀부(13a)에 끼워지고 점차 그 이격 간격이 축소되다가 걸림턱부(725)가 조립홀부(13a)를 통과함과 동시에 그 이격 간격이 확장되며 조립홀부(13a)에 탄성적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단순한 막대 형상의 래치연결부(720)를 조립홀부(13a)에 억지끼움하여 끼우는 조립 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래치연결부(720)가 저온에서 깨지는 동파(凍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소음방지부(730)는 도어래치(13)와 연결된 전선 등의 와이어부재(13b)가 차량의 가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 등으로 인해 떨려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부(730)는 리테이너부(700)의 전면부상에 형성되는 제1소음방지부(730A)와, 래치연결부(720)의 상면부 또는 저면부측에 형성되는 제2소음방지부(730B)를 포함한다.
제1소음방지부(730A)는 와이어부재(13b)가 리테이너부(700)의 평탄한 전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리테이너부(700)의 전면부상에 와이어부재(13b)가 끼워질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소음방지부(730A)는 와이어구속부(731)와 이탈방지부(733)를 포함한다. 와이어구속부(731)는 패널연결부(710) 또는 래치연결부(720)의 평탄면상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부재(13b)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732)를 형성한다. 이탈방지부(733)는 와이어구속부(731)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공간부(732)로 유입된 와이어부재(13b)의 이탈을 방지한다. 와이어부재(13b)를 와이어구속부(731)에 끼움으로써 와어어부재(13b)를 리테이너부(700)의 평탄한 전면부상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13b) 또는 와이어부재(13b)와 접하는 다른 차량 부품의 떨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소음방지부(730B)는 래치연결부(720)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소음방지부(730)는 래치연결부(720)의 상면부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되, 전방측으로 구부러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과 후방측으로 구부러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재(13b)를 복수개의 제2소음방지부(730)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복수개의 제2소음방지부(730) 사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2소음방지부(730)의 후면부에 와이어부재(13b)의 끼우고, 전방측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2소음방지부(730)의 전면부에 와이어부재(13b)를 끼우는 것을 교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부재(13b)를 복수개의 제2소음방지부(730) 사이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재(13b)는 래치연결부(720)의 상면부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도어래치(13)와 연결된 와이어부재(13b)를 제1소음방지부(730A)측으로 연장하는 경로상에 제2소음방지부(730)를 형성하면, 제1소음방지부(730A)와 제2소음방지부(730)를 이용해 와이어부재(13b)를 복수개의 개소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리테이너부(700)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소음방지부(730A)에 끼워지는 와이어부재(13b)의 일측부의 연장 방향과, 제2소음방지부(730B)에 끼워지는 와이어부재(13b)의 타측부의 연장 방향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예를 들어, 제1소음방지부(730A)의 배열 방향 또는 제2소음방지부(730B)의 배열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와이어부재(13b)가 리테이너부(7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연결부에서 체결력유지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연결부에서 체결력유지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체결력유지부(800)는 체결부재(19)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810)를 구비하여 차량부품결합부(160)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결합부(160)는 도어트림연결부(160A)와 오디오연결부(160B)를 포함한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유지부(800)는 체결부(810), 헤드부(820), 삽입부(830), 체결홈부(840)를 포함한다.
체결부(810)는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19)가 끼워질 수 있는 암결합부의 형상을 가진다. 체결부(810)는 헤드부(820)와 삽입부(830)를 연속하여 관통형성된다.
헤드부(820)는 차량부품결합부(160)에 형성된 체결턱부(162)에 걸려 결합홀부(161)측으로의 진입이 저지되는 부분으로, 체결력유지부(800)를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에 형성된 결합홀부(161)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결합홀부(161)의 외부에 위치된다.
삽입부(830)는 헤드부(820)와 일체로 연결되며, 중앙부에 중공되게 형성된 체결부(810)에 의해 너비가 신축 변형되면서 차량부품결합부(160)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삽입부(83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가 결합홀부(161)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삽입부(830) 중 차량부품결합부(160)와의 접촉부상에는 삽입안내부(832)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삽입부(830)의 단부는 삽입안내부(832)에 의해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체결홈부(840)는 헤드부(820)와 삽입부(830)간의 경계부 둘레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결합홀부(161)의 단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턱부(162)가 끼워져 체결된다. 체결력유지부(800)를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 연결하는 조립 시, 복수개의 삽입부(830)는 함께 결합홀부(161)에 끼워지고 점차 그 이격 간격이 축소되다가 체결턱부(162)에 체결홈부(840)가 걸림과 동시에 그 이격 간격이 확장되며 결합홀부(161)에 탄성적으로 체결된다. 체결턱부(162)를 원형이 아닌 다각형 형상의 내면부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헤드부(820)와 삽입부(830)간의 경계부를 이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와 같이 체결력유지부(800)를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에 체결한 상태에서 그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19)를 체결부(810)에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체결력유지부(8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19)를 이용해 도어트림(14) 또는 오디오부품(15)을 차량부품결합부(160)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홀부(161)가 삽입부(8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됨에 따라,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의 일측으로부터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홀부(161)의 타측으로부터 손가락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2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삽입부(830)를 결합홀부(161)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체결력유지부(800)를 결합홀부(16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헤드부(820)와 삽입부(830)의 경계부에 체결홈부(840)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830)에서 헤드부(820)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삽입부(830)를 결합홀부(161)의 외부로 밀어내는 외력이 작용 시, 삽입부(830)간의 이격 간격이 탄성적으로 점차 축소된다. 헤드부(820)와 삽입부(830)의 경계부를 삽입부(830)에서 헤드부(820)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체결홈부(840)를 반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상기와 같은 삽입부(830)의 작용에 의해 삽입부(830)를 결합홀부(161)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밀어내면서, 체결력유지부(800)를 차량부품결합부(16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력유지부(800) 및 차량부품결합부(160)에 의하면, 체결부재(19)를 체결하기 위한 조작력이 무리하게 가해지거나, 체결부재(19)가 반복적으로 착탈됨으로 인해 체결력유지부(800)가 마모되어 체결력이 저하되는 경우, 체결력유지부(800)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상에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19)를 직접 체결함으로써, 도어트림연결부(160A) 또는 오디오연결부(160B)의 일부가 마모 시, 도어패널부(100) 전체를 교체함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의 소모와 경제적 손실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량용 도어 모듈 11 : 글라스
12 : 차체프레임 12a : 상부프레임부
12b : 측부프레임부 12c : 하부프레임부
12d : 안착부 13 : 도어래치
13a : 조립홀부 13b : 와이어부재
14 : 도어트림 15 : 오디오부품
16 : 모터 19 : 체결부재
20 : 공구 100 : 도어패널부
110 : 패널본체부 120 : 레일부
130 : 리테이너결합부 131 : 끼움부
131a : 가이드부 131b : 밀착구속부
132 : 리테이너걸림부 140 : 프레임조립부
160 : 차량부품결합부 160A : 도어트림연결부
160B : 오디오연결부 161 : 결합홀부
162 : 체결턱부 170 : 안전파단부
171 : 제1파단유도부 172 : 횡연장부
173 : 종연장부 174 : 제2파단유도부
180 : 드럼커버부 190 : 엉킴방지부
191 : 오조립방지부 192 : 보강연결부
193 : 보강리브부 194 : 제1보강리브부
195 : 제2보강리브부 200 : 권취드럼부
210 : 회전드럼부 220 : 제1고정부
221 : 제1홀딩부 222 : 제1안내부
230 : 제2고정부 231 : 제2홀딩부
232 : 제2안내부 300 : 케이블부
310 : 제1케이블 320 : 제2케이블
330 : 제3케이블 340 : 결합구
400 : 캐리어 410 : 오조립방지캐리어
411 : 글라스홀더부 412 : 글라스고정부
413 : 글라스접촉부 414 : 커브구속리브부
415 : 마운팅부 416 : 홀더결합부
416a : 홀더안착부 416b : 상부안착부
416c : 하부안착부 416d : 접속지지부
416e : 장착안내부 416f : 경사부
416g : 배수홀부 417 : 조립부
418 : 제1패널연결부 420 : 안착캐리어
421 : 클램핑부 422 : 글라스가압부
423 : 마찰접촉부 424 : 제2패널연결부
500 : 장력조절부 510 : 케이블클립부
510A : 케이블간섭방지부 510B : 케이블유동방지부
511 : 지지부 512 : 케이블걸림부
513 : 케이블안착부 514 : 공간형성부
515 : 걸림고리부 516 : 케이블안내부
517 : 멈춤턱부 520 : 텐션조절부
521 : 패널결합부 522 : 관통부
523 : 공구접속부 524 : 조절부
525 : 나사부 526 : 액추에이터
600 : 가거치부 610 : 패널연결부
620 : 받침부 630 : 걸림부
632 : 걸림안내부 640 : 보강부
700 : 리테이너부 710 : 패널연결부
711 : 본체부 712 : 패널고정부
713 : 이탈방지홀부 714 : 분리안내부
720 : 래치연결부 721 : 동결파손방지부
722 : 제1탄성체결부 723 : 안내경사부
724 : 제2탄성체결부 725 : 걸림턱부
730 : 소음방지부 730A : 제1소음방지부
730B : 제2소음방지부 731 : 와이어구속부
732 : 공간부 733 : 이탈방지부
800 : 체결력유지부 810 : 체결부
820 : 헤드부 830 : 삽입부
832 : 삽입안내부 840 : 체결홈부
910 : 제1걸림부 920 : 제2걸림부
930 : 제3걸림부 940 : 제4걸림부
C : 교차부

Claims (7)

  1. 도어트림과 조립되는 도어패널부; 및
    상기 도어패널부상에 상기 도어패널부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패널부의 외측으로부터 충격력이 작용 시 상기 도어패널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도어트림의 하부가 파단되게 유도하는 안전파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패널부는,
    패널본체부; 및
    상기 패널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패널본체부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차체프레임과 조립되는 프레임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상기 패널본체부와 상기 프레임조립부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파단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단유도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단유도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및
    상기 도어패널부의 하부에 상기 횡연장부와 연속되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종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부는,
    상기 패널본체부상에서 상기 도어트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도어트림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패널본체부와 상기 도어트림연결부간의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파단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파단부는, 상기 도어패널부상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모듈.
KR1020140082610A 2014-07-02 2014-07-02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10A KR101578409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도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10A KR101578409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도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409B1 true KR101578409B1 (ko) 2015-12-17

Family

ID=550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610A KR101578409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도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613B1 (ko) 2019-07-17 2020-07-20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476A1 (en) * 2000-02-29 2001-08-30 Ikuo Nishikawa Vehicle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476A1 (en) * 2000-02-29 2001-08-30 Ikuo Nishikawa Vehicle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613B1 (ko) 2019-07-17 2020-07-20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압입식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371860A2 (en) Tonneau cover tie-down assembly
EP2662268B1 (en) Lid-fastening structure
US20130152353A1 (en) Structure of the Driving Axis of a Puller
KR101567705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67706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9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67707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2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JP4137531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具
KR101567704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11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10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AU2012264917B2 (en) Battery fixing system for fixing at least one vehicle battery
US10023135B2 (en)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elongated vehicle components
US9555748B2 (en) Vehicle-use resin cover
JP2008207626A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5475576B2 (ja) ベルトカバー及びこのベルトカバーを用いたベルト取付方法
WO2015004822A1 (ja) ワイヤ張力増強手段を備えた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EP3081404A1 (en) Tire anti-slip device
KR20100012171A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JP3983375B2 (ja) 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の抜き取り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抜き取り用工具
KR100767528B1 (ko) 볼트 홀더의 체결 구조
JP7462928B2 (ja) 貨物自動車用の親綱架設支柱
JP4992795B2 (ja) 車両用ガラス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