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517B1 - 난시 검사시표 - Google Patents

난시 검사시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517B1
KR102135517B1 KR1020180170697A KR20180170697A KR102135517B1 KR 102135517 B1 KR102135517 B1 KR 102135517B1 KR 1020180170697 A KR1020180170697 A KR 1020180170697A KR 20180170697 A KR20180170697 A KR 20180170697A KR 102135517 B1 KR102135517 B1 KR 10213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indicator member
inspect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24A (ko
Inventor
차정원
정세훈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5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가 자각적으로 난시축을 선택할 때 선택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측정된 난시축의 오차범위를 줄여 보다 정확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도출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시 검사시표{Indicator for eye-sight test}
본 발명은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자각에 의한 난시검사시 정확하고 객관적인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도출할 수 있는 수 있는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이다.
눈의 망막보다 앞쪽에 초점이 맺으면 이를 근시, 눈의 망막보다 뒤쪽에 초점이 맺으면 이를 원시라고 하며, 안구의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면 이를 난시라고 한다. 난시는 각막의 중심부에 가상의 수평선을 긋고 이를 0°라 하였을 때 각막으로 들어간 빛이 각막 굴절력의 차이로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해 초점이 틀어져 흐리게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난시의 검안을 위해서는 통상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방사선시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피검자가 방사선시표에서 진하게 보이는 것을 구분, 선택하여 본인의 난시축을 결정짓는다.
예컨대, 피검자가 방사선시표에서 1시 방향의 농도가 진하게 보인다면, 피검자의 난시축은 대략 T.A.B.O.각 30° 방향의 각도로 측정되고 실린더 굴절력의 검사시에 있어서는 난시축이 결정된 후 전체적인 방사선시표의 농도가 같도록 난시 교정렌즈를 착용 내지 추가해가면서 난시 교정용 실린더 굴절력을 도출하게 된다.
그런데, 피검자의 최초 난시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방사선시표의 농도가 1시 방향에서부터 2시 방향까지 진하게 보인다면, 기본적으로 ±15°의 오차를 가지게 되며 이는 허용오차인 5°를 훨씬 상회하게 되어 측정된 난시축의 값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난시 교정용 실린더 굴절력을 도출하기 위해 교정렌즈를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난시축의 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실린더 굴절력의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린더 굴절력의 과교정 혹은 미교정이 발생되어 정확한 시력을 검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사선시표를 이용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결정방법은 선들의 상대적 진하기를 구분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검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며 검사 과정에서 혼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렇게,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정확하게 도출해내지 못한 상태로 처방된 안경을 착용할 경우 편두통, 눈 통증, 눈 불편함 등을 호소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공개특허 10-2009-011172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검자가 자각적으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선택할 때 선택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수단과 미세하게 떨어진 선들의 분리를 인식하는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오차범위를 줄여 보다 정확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도출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싱,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메인검사선이 구비되며 기준각도만큼 서로 다르게 회전된 상태에서 케이싱의 제1 면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 상기 기준각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보조검사선이 구비되며 케이싱의 제2 면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를 일괄적으로 정, 역방향 회전시키도록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와 연동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 중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의 보조검사선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도록 조절부를 조작하면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가 동시에 회전하여 보조검사선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는 수평축과 평행한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1 메인지표부재, 상기 제1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2 메인지표부재, 상기 제2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3 메인지표부재 및 상기 제3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4 메인지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각각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보조검사선이 도시된 검사필름;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검사필름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구비되는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의 회전축을 따라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 및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각각의 스테이지와 상기 회전풀리에 감기는 타미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싱의 제3 면에 복수 개로 나열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최종검사선이 구비되는 최종지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검자의 난시축 검사가 단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피검자로 하여금 보다 객관적인 난시축의 선택이 가능하고 난시축 선택에 혼돈을 줄일 수 있으며 보조지표부재의 보조검사선이 이루는 각도가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이 이루는 각도보다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난시축 도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난시축의 측정 외에도 실린더 굴절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난시축이 결정되고 난 후 메인지표부재를 환자가 주시하도록 하고 4가지 메인 검사선이 모두 선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선명하게 보일 때 까지 실린더 굴절력을 부가하여 실린더 굴절력을 찾을 수 있다. 그 다음 보조지표부재의 보조검사선들이 구분되어 보여질 만큼 선명하게 보이도록 실린더굴절력을 조절하여 실린더 굴절력 값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제1 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제2 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단면을 형성한 도면.
도 4는 메인지표부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면을 한 평면에 도시한 도면.
도 6은 보조지표부재와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메인검사선의 선 간격이 다르게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서로 다른 메인검사선의 선 두께가 다르게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종래 방사선시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싱(10),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메인검사선(ML)이 구비되며 기준각도만큼 서로 다르게 회전된 상태에서 케이싱(10)의 제1 면(11)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 상기 기준각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보조검사선(SL)이 구비되며 케이싱(10)의 제1 면(11)을 제외한 제2 면(12)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를 일괄적으로 정, 역방향 회전시키도록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와 연동되는 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먼저, 케이싱(10)은 난시 검사시표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싱(10)을 예시한다. 케이싱(10) 각각의 면에는 피검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메인지표부재(20)와 보조지표부재(30)가 노출되며 검사자는 이러한 케이싱(10)의 방향을 돌려가며 메인지표부재(20)와 보조지표부재(30)를 선택적으로 피검자에게 노출시킴으로써 난시축의 검사를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난시축을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피검자가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중 메인검사선(ML)이 진하게 보이는 메인지표부재(20)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피검자에게 보조지표부재(30)를 노출시키는데 피검자가 보조지표부재(30)를 육안으로 확인할 차례에 앞서 조절부(40)를 통해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중 어느 하나의 보조검사선(SL)이 이루는 각도를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지표부재(20)의 메인검사선(ML)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시킨 뒤 피검자가 보조지표부재(30) 중 보조검사선(SL)이 진한 어느 하나의 보조지표부재(30)를 선택하도록 한다.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싱(10)은 위의 예시와 같은 사각형의 다면체 형상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평면상에 메인지표부재(20)와 보조지표부재(30)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도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는 난시축을 측정하기 위해 피검자에게 최초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피검자는 이러한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를 육안으로 살펴보고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대략적인 난시축을 결정지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지표부재(20)와 보조지표부재(30)는 복수개로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4개 또는 6개인데, 이하의 설명은 4개를 기준으로 한다.
4개의 메인지표부재(20)로 구성된 경우에는, 수평축(HX)과 평행한 메인검사선(ML)을 가지는 제1 메인지표부재(20-1), 상기 제1 메인지표부재(20-1)의 메인검사선(ML)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ML)을 가지는 제2 메인지표부재(20-2), 상기 제2 메인지표부재(20-2)의 메인검사선(ML)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ML)을 가지는 제3 메인지표부재(20-3) 및 상기 제3 메인지표부재(20-3)의 메인검사선(ML)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ML)을 가지는 제4 메인지표부재(2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준각도는 45°로 설정되며 메인검사선(ML)의 각도가 수평축(HX)과 평행한 0°인 제1 메인지표부재(20-1)를 시작으로 상기 기준각도가 더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지표부재(20-1)의 메인검사선(ML)은 0°, 제2 메인지표부재(20-2)의 메인검사선(ML)은 45°, 제3 메인지표부재(20-3)의 메인검사선(ML)은 90°, 제4 메인지표부재(20-4)의 메인검사선(ML)은 135°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준각도는 임의로 설정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는 위에 설명한 제1, 2, 3, 4 메인지표부재(20-1, 20-2, 20-3, 20-4)의 구성 외에 더 세분화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검사선 각도는 모두 수평축(HX)과 이루는 각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시, 피검자는 제1, 2, 3, 4 메인지표부재(20-1, 20-2, 20-3, 20-4) 중 메인검사선(ML)이 가장 진하게 보이는 메인지표부재(20)를 선택하여 난시축을 결정짓게 되는데, 인접한 메인지표부재(20)의 메인검사선(ML)이 둘 다 진하게 보이는 경우 난시축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검사자는 케이싱(10)을 돌려 보조지표부재(30)를 피검자에게 노출시킨다.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는 전술한 메인지표부재(20)의 구성과 유사하나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를 회전시켜 보조검사선(SL)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는 제1 보조지표부재(30-1), 제2 보조지표부재(30-2), 제3 보조지표부재(30-3) 및 제4 보조지표부재(30-4)로 구성되며, 각각의 보조지표부재(30)의 보조검사선(SL)은 서로 각도 편차(H)를 가진 상태에서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기준각도를 D라고 가정하고 보조지표부재(30)의 개수를 E라 가정하면 각도 편차(H)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8131056616-pat00001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각도가 45°이고 보조지표부재(30)가 4개이기 때문에 상기 각도 편차(H)가 대략 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의 경우 기준각도에 따라 45° 간격으로 회전 배치되어 있으나,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는 기준각도의 3분의 1 수준인 15°의 각도 편차(H)를 가지고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보다 정밀한 난시축의 도출이 가능하다.
검사자는 이렇게 구성된 보조지표부재(30)를 이용해 난시축의 측정을 다시 한번 실시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 중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지표부재(20)의 메인검사선(ML)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의 보조검사선(SL)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도록 조절부(40)를 조작하여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를 동시에 회전시켜 보조검사선(SL)을 정렬시킨다.
예컨대, 피검자가 제1 메인지표부재(20-1)와 제2 메인지표부재(20-2)의 메인검사선(ML)이 동시에 진하게 보여 이 둘을 선택하였다면, 검사자는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중 어느 하나, 특히, 제1 보조지표부재(30-1)의 보조검사선(SL)이 이루는 각도를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메인지표부재(20-1)의 메인검사선(ML)의 각도와 일치되도록 조절부(40)를 조절하여 일치시키면 이에 따라 제2, 3, 4 보조지표부재(30-2, 30-3, 30-4)가 같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정렬된다.
이때,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는 서로 대략 15°의 각도 편차를 가지고 배열되기 때문에 제2 보조지표부재(30-2)의 보조검사선(SL)은 대략 15°, 제3 보조지표부재(30-3)의 보조검사선(SL)은 대략 30°, 제4 보조지표부재(30-4)의 보조검사선(SL)은 45°를 가지도록 정렬되어 피검자가 보다 세분화된 검사선을 참고하여 자신의 난시축을 결정지을 수 있게 된다.
만일, 피검자가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중 인접한 두 개의 보조지표부재(30)의 보조검사선(SL)이 진하게 보여 이를 선택하였다면, 검사자는 다음으로 최종지표부재(50)를 피검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최종지표부재(50)는 케이싱(10)의 제3 면(13)에 복수 개로 나열되며 전술한 보조지표부재(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조절부(40)와 연동 설치된다.
복수 개의 최종지표부재(50)의 최종검사선(FL) 각각은 보조검사선(SL)의 각도 편차인 15°의 각도 범위 내에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지표부재(30)보다 더 세분화된 검사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최종지표부재(50)의 구성과 원리는 전술한 보조지표부재(30)와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피검자가 난시축 검사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메인지표부재(20), 보조지표부재(30), 최종지표부재(50)만 나열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이들을 더 세분화하여 난시축 검사에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조절부(40)는 보조지표부재(30)를 회전 정렬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검사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조절부(40)와의 연동을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각각은 상기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보조검사선(SL)이 도시된 검사필름(31) 및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검사필름(31)을 지지하는 스테이지(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검사필름(31)은 스테이지(32)의 일면에 부착되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구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스테이지(32)의 타측은 타이밍풀리와 같은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후술 될 조절부(40)의 회전풀리(41)가 감기게 된다.
다시, 조절부(40)는 케이싱(10)의 내부로 구비되는 회전풀리(41), 회전풀리(41)의 회전축을 따라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42) 및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각각의 스테이지(32)와 상기 회전풀리(41)에 감기는 타이밍벨트(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검사자가 외부로 노출된 레버부재(4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연동된 회전풀리(41)가 회전하고, 회전풀리(41)가 타이밍벨트(43)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면 타이밍벨트(43)에 감겨진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 각각의 스테이지(32)가 회전하게 된다.
정리하면, 검사자가 레버부재(4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동일한 회전 방향, 회전량으로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를 나란히 회전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검사선(ML) 또는 보조검사선(SL)의 선 간격을 다르게 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검사선(ML) 또는 보조검사선(SL)의 선 두께를 다르게 설정하여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 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도출해내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검사자는 소정간격 이격된 거리에서 피검자에게 케이싱(10)의 제1 면(11)을 노출시킨다. 케이싱(10)의 제1 면(11)에는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피검자는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 중 메인검사선(ML)이 진하게 보이는 어느 하나의 메인지표부재(20)를 선택한다.
이때,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20) 중 여럿의 메인검사선(ML)이 진하게 보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에 어려운 경우 메인검사선(ML)이 진하게 보이는 인접한 메인지표부재(20)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사자는 케이싱(10)의 제2 면(12)을 피검자에게 향하게 하여 보조지표부재(30)를 피검자에게 노출시킨다. 그리고, 조절부(40)의 레버부재(42)를 회전시켜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30)의 보조검사선(SL)을 정렬시킨다.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가 제1 메인지표부재(20-1)와 제2 메인지표부재(20-2)를 선택하였다면 제1 보조지표부재(30-1)의 보조검사선(SL)이 제1 메인지표부재(20-1)의 메인검사선(ML)의 각도와 일치되도록 레버부재(42)를 회전시킨다.
제1 보조지표부재(30-1)의 보조검사선(SL)의 각도가 제1 메인지표부재(20-1)의 메인검사선(ML) 각도와 일치되도록 회전되면 조절부(40)와 연동된 나머지 제2, 3, 4 보조지표부재(30-2, 30-3, 30-4)들이 회전하면서 정렬된다. 이때, 제2, 3, 4 보조지표부재(30-2, 30-3, 30-4) 각각의 보조검사선(SL)은 15°, 30°, 45°를 가지도록 자동으로 정렬되어 피검자가 보다 세분화된 검사선을 참고하여 자신의 난시축을 결정지을 수 있게 된다.
피검자가 최종적으로 제2 보조지표부재(30-2)를 선택하였다면 피검자의 난시축은 15°로 결정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가 제2 메인지표부재(20-2)와 제3 메인지표부재(20-3)를 선택하였다면, 제1 보조지표부재(30-1)의 보조검사선(SL)이 제2 메인지표부재(20-2)의 메인검사선(ML)의 각도와 일치되도록 레버부재(42)를 회전시킨다.
제1 보조지표부재(30-1)의 보조검사선(SL)의 각도가 제2 메인지표부재(20-2)의 메인검사선(ML) 각도와 일치되도록 회전되면 조절부(40)와 연동된 나머지 제2, 3, 4 보조지표부재(30-2, 30-3, 30-4)들의 보조검사선(SL)은 각각 60°, 75°, 90°의 각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피검자의 난시축을 검사가 단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피검자로 하여금 보다 객관적인 난시축 선택이 가능하며 난시축 선택에 혼돈을 줄일 수 있으며 보조지표부재(30)의 보조검사선(SL)이 이루는 각도가 메인지표부재(20)의 메인검사선(ML)이 이루는 각도보다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난시축 도출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는 난시축의 측정 외에도 실린더굴절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난시축이 결정되고 난 후 재차 메인지표부재(20)를 피검자에게 노출시킨 후 모든 메인지표부재(20-1, 20-2, 20-3, 20-4)의 메인검사선(ML)이 선명하게 보여 모든 선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검자에게 실린더굴절력 렌즈를 부가 착용시키면서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낼 수 있다. 그 다음 보조지표부재(30-1, 30-2, 30-3, 30-4)의 보조검사선(SL)들이 구분되어 보여질 만큼 선명하게 보이도록 실린더굴절력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피검자의 정확한 실린더굴절력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는 위의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측정 외에도 대략적인 구면굴절력(근시. 원시)을 측정할 수 있다. 예로, 피검자에서부터 난시 검사시표의 거리를 점점 멀리 하거나 가깝게 하면서 검사선의 진하기 내지 선명도를 판단하게끔 하여 구면굴절력을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케이싱 20: 메인지표부재
30: 보조지표부재 40: 조절부

Claims (5)

  1. 케이싱;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메인검사선이 구비되며 기준각도만큼 서로 다르게 회전된 상태에서 케이싱의 제1 면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
    상기 기준각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보조검사선이 구비되며 케이싱의 제2 면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를 일괄적으로 정, 역방향 회전시키도록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와 연동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 중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의 보조검사선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도록 조절부를 조작하면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가 동시에 회전하여 보조검사선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검사시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메인지표부재는 수평축과 평행한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1 메인지표부재, 상기 제1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2 메인지표부재, 상기 제2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3 메인지표부재 및 상기 제3 메인지표부재의 메인검사선에서 상기 기준각도만큼 기울어진 메인검사선을 가지는 제4 메인지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검사시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각각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보조검사선이 도시된 검사필름;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검사필름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검사시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구비되는 회전풀리;
    상기 회전풀리의 회전축을 따라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 및
    복수 개의 보조지표부재 각각의 스테이지와 상기 회전풀리에 감기는 타미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검사시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3 면에 복수 개로 나열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최종검사선이 구비되는 최종지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 검사시표.
KR1020180170697A 2018-12-27 2018-12-27 난시 검사시표 KR10213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97A KR102135517B1 (ko) 2018-12-27 2018-12-27 난시 검사시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97A KR102135517B1 (ko) 2018-12-27 2018-12-27 난시 검사시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24A KR20200080824A (ko) 2020-07-07
KR102135517B1 true KR102135517B1 (ko) 2020-07-17

Family

ID=7160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97A KR102135517B1 (ko) 2018-12-27 2018-12-27 난시 검사시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5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170A (ja) 2002-05-17 2003-11-25 Masao Sekiguchi 検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8150B2 (ja) * 1996-11-07 1998-10-30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KR101014647B1 (ko) 2008-04-22 2011-02-16 (주)행성디지털 시력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력검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170A (ja) 2002-05-17 2003-11-25 Masao Sekiguchi 検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24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7287C2 (ru) Электронные маркировка/совмещение глаза
CN104146679B (zh) 用于确定眼睛支点位置的方法和设备
CN103648450B (zh) 用于激光辅助的眼部外科治疗系统的装置及方法
US3841760A (en) Zonal focus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astigmatic correction for an optical system
US10383513B2 (en) Objective phoropter
JP2006521157A (ja) モアレ収差測定器
US10898268B2 (en) Overlay imaging for registration of a patient eye for laser surgery
JP5887410B2 (ja) 人工レンズの配向を検知するための光学的な配置および方法
KR940005295B1 (ko) 시야결손 감지장치
WO2020137533A1 (ja) 屈折特性測定装置、測定治具、及び屈折特性測定方法
KR101591133B1 (ko) 안과 분석 기구 및 방법
KR102135517B1 (ko) 난시 검사시표
US4758080A (en) Pointspread retinoscope
TW202103628A (zh) 視覺焦距檢測輔助裝置,及使用該檢測輔助裝置之自覺式瞳孔間距量測裝置
Douthwaite et al. Corneal topography by keratometry
JP6708955B2 (ja) 眼鏡処方補助装置,および,眼鏡処方補助プログラム
JP6693240B2 (ja) 眼鏡処方補助装置
US20230133703A1 (en) Methods and System to Identify Position, Rotation, and Tilt of a Contact Lens on an Eye
US20230404392A1 (en) Cataract detection with an auto-refractometer
US20210015356A1 (en) Optometer for Home Use
JP4915689B2 (ja) 視力障害疾患検出機
KR101538129B1 (ko) 검안용 굴절력계용 표준렌즈
US2305322A (en) Corneal measurement
CN117883035A (zh) 眼视光仪器以及光学测量系统
JPH04103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