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321B1 -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321B1
KR102135321B1 KR1020200039490A KR20200039490A KR102135321B1 KR 102135321 B1 KR102135321 B1 KR 102135321B1 KR 1020200039490 A KR1020200039490 A KR 1020200039490A KR 20200039490 A KR20200039490 A KR 20200039490A KR 102135321 B1 KR102135321 B1 KR 10213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overlapping
conveyor belt
fram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근
이도원
Original Assignee
이용근
이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근, 이도원 filed Critical 이용근
Priority to KR102020003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가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와, 복수 개의 벨트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와,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되는 복수의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의 겹쳐진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식품이 개별적으로 포장 봉투로 낙하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Food overlapping preventing apparatus for food packing device and food packing device comprising the food overlapping preventing apparatus for food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 포장기는 식품을 포장 봉투에 개별적으로 포장하여 위생적인 유통을 하도록 하기 위한 장비로, 이러한 식품 포장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이러한 식품 포장기에서는, 빈 상태의 포장 봉투가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상기 식품의 이송부를 거치면서 상기 식품이 상기 포장 봉투에 담기고, 상기와 같이 상기 식품이 담긴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밀봉부로 이동되어 상기 포장 봉투의 입구가 상기 밀봉부에 의해 끈 등으로 결속됨으로써, 상기 식품이 담긴 상태의 상기 포장 봉투에 대한 포장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장 봉투에 담겨지게 되는 포장 대상인 상기 식품은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품 포장기에서는, 복수의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될 때, 복수의 상기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이 개별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로 인입되지 못하는 포장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993186호, 등록일자: 2019.06.20., 발명의 명칭: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되는 복수의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의 겹쳐진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는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 봉투에 포장시키기 위한 식품 포장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벨트 풀리; 상기 각 벨트 풀리에 의해 회동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을 연속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걸쳐지는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식품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아니하고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되면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정 부분을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진 부분에 얹힌 것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아니한 부분에 얹힌 것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포장기는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 봉투에 포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벨트 풀리와, 상기 각 벨트 풀리에 의해 회동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을 연속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걸쳐지는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식품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아니하고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되면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정 부분을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진 부분에 얹힌 것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아니한 부분에 얹힌 것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에 의하면,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가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와, 복수 개의 벨트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와,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되는 복수의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의 겹쳐진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식품이 개별적으로 포장 봉투로 낙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의 구성 요소들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가 식품 겹침 방지 상태로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자세 보정 유닛이 포장 봉투의 자세 보정 전인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자세 보정 유닛이 포장 봉투의 자세 보정을 위해 회동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세 보정 유닛을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의 구성 요소들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가 식품 겹침 방지 상태로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자세 보정 유닛이 포장 봉투의 자세 보정 전인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자세 보정 유닛이 포장 봉투의 자세 보정을 위해 회동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자세 보정 유닛을 구성하는 구동 실린더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를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10)는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 봉투에 포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기(10)는 상기 포장 봉투가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를 보정하여 정렬시키는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를 더 포함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기(10)는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를 경유하면서 자세가 정렬된 상기 포장 봉투를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 유닛(300)은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와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의 각 하부 공간을 따라 배치된 일정 길이의 긴 봉 형태의 이송 피스톤(315)과,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공압 실린더인 이송 실린더(310)와, 상기 이송 실린더(3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장 봉투를 집을 수 있는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에 상기 포장 봉투의 중앙부 이하의 부분이 집힌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의 하부 공간에 도달되면,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잠시 멈추게 되고,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잠시 멈춘 상태에서,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에 의해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다시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의 하부 공간에 도달되면,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를 따라 이송되면서 겹침 방지가 된 상태의 상기 식품이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에 의해 집힌 상태의 상기 포장 봉투의 내부로 낙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포장 봉투에 상기 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다시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밀봉부(미도시)로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의 입구가 상기 밀봉부에 의해 밀봉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는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와, 복수 개의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와, 컨베이어 벨트(220)와,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201은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겹침 방지 제어부이다.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는 상기 식품 포장기의 일정 부분에 고정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 중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각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에 의해 회동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을 연속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도면 번호 23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등의 벨트 구동 수단이고, 도면 번호 240은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하나이면서 상기 벨트 구동 수단(2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동 풀리이고, 도면 번호 244는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다른 하나이면서 상기 원동 풀리(240)에 걸려 회동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방향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는 외향 전환 풀리이다.
도면 번호 243은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또 다른 하나이면서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의 상부에 연결된 것인 프레임측 상측 풀리이고, 도면 번호 242는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또 다른 하나이면서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의 하부에 연결된 것인 프레임측 하측 풀리이다.
도면 번호 241은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또 다른 하나이면서 상기 식품의 이송을 완료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외부로 향하도록 방향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풀리이다.
상기 벨트 구동 수단(230)이 작동되면, 상기 원동 풀리(24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동 풀리(240)에 걸린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회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걸린 상태인 상기 외향 전환 풀리(244)가 회전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외부로 향하여, 외부에서 작업자 등에 의해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상에 얹혀지게 된다.
외부에서 상기 식품이 얹힌 상태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 후술되는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 및 후술되는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이송되어, 상기 식품이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낙하되고, 그러한 상기 식품의 낙하가 완료된 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상기 방향 전환 풀리(241)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다시 외부 쪽으로 향하게 되어, 다시 상기 원동 풀리(240)를 경유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걸쳐지는 것이다.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식품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에 의해 걸리지 아니하고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되면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일정 부분을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에 의해 밀어올려진 부분에 얹힌 것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아니한 부분에 얹힌 것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는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연결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공압 실린더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고정되는 겹침 방지 실린더 몸체(271)와, 상기 겹침 방지 실린더 몸체(271)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겹침 방지 실린더 몸체(271)의 내부로 수축되는 겹침 방지 피스톤(272)을 포함한다.
상기 겹침 방지 피스톤(272)의 말단부에 후술되는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일 측단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겹침 방지 피스톤(272)이 상기 겹침 방지 실린더 몸체(271)로부터 돌출되도록 작동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일 측단의 하부가 밀려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하강된 상태로 되고, 상기 겹침 방지 피스톤(272)이 상기 겹침 방지 실린더 몸체(271)의 내부로 수축되도록 작동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일 측단의 하부가 당겨져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된 상태로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는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와, 겹침 방지 회전축(262)과,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를 포함한다.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겹침 방지 회전축(262)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중앙부가 상기 겹침 방지 회전축(262)에 의해 상기 겸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는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또 다른 하나인 것으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상부에 연결된 것인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다.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는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또 다른 하나인 것으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 중 하부에 연결된 것인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와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다.
상기 겹침 방지 회전축(262)을 기준으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일 측단의 하부에 상기 겹침 방지 피스톤(272)이 연결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타 측단의 상부에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가 연결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의 타 측단의 하부에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가 연결된다.
도면 번호 265는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가 연결된 타 측단을 따라 형성된 막음체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26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막음체(265)가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실려 상기 막음체(265) 쪽으로 향해오는 상기 식품이 상기 막음체(265)에 의해 막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 및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의 순서로 접하면서 회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는 나란히 배열되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는 나란히 배열되되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의 각 하측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에 의해 외부에 대해 가려진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를 경유하는 부분을 건너뛰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곧바로 이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는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 쪽으로의 이송이 차단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따라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는 식품 인입 감지 부재(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품 인입 감지 부재(250)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에 고정되되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의 상공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경유하는 부분에 상기 식품이 얹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품 인입 감지 부재(25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경유하는 부분에 상기 식품이 얹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겹침 방지 제어부(201)에 의해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가 작동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됨으로써, 상기 식품의 겹침이 자동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는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와, 유닛 연결 부재(130)와, 자세 보정 유닛(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는 자세 감지 부재(105)와, 승강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자세 정렬 제어부이다.
상기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식품 포장기의 일정 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 봉(111)과, 상측 프레임 패널(112)과, 하측 프레임 패널(11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봉(111)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인 봉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식품 포장기의 일정 부분에 그 상단 및 그 하단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프레임 패널(112)은 상기 지지 봉(111)의 상부에 상기 지지 봉(111)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기 지지 봉(111)의 앞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인 패널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하측 프레임 패널(113)은 상기 지지 봉(111)의 하부에 상기 지지 봉(111)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기 지지 봉(111)의 앞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인 패널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상측 프레임 패널(112)과 상기 하측 프레임 패널(113)은 서로 다른 높이차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는 상기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소정 면적으로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 봉(111)의 전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로 함몰된 회동 홀(131)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 홀(131)의 내부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하측 공간에서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이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하부 중 상기 회동 홀(131)의 주변 부분에는, 상기 지지 봉(111)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피스톤 고정체(136)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고정체(136)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하부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게 됨으로써, 후술되는 구동 피스톤(152)의 각 말단이 상기 각 피스톤 고정체(136)에 고정된다.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는 상기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를 구성하는 상기 상측 프레임 패널(11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승강 부재(120)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 패널(112)에 간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부재(120)는 상기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에 대해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를 승강시켜줌으로써,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연결된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을 승강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승강 부재(120)는 상기 상측 프레임 패널(112)에 고정되는 공압 실린더인 승강 수단(121)과, 상기 승강 수단(12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승강 수단(121)으로 수축되는 승강 피스톤(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피스톤(122)은 상기 지지 봉(111)과 평행이 되도록 승강되고, 상기 승강 피스톤(122)의 하부에 승강 연결체(135)가 연결된다.
상기 승강 연결체(135)는 상기 승강 피스톤(122)의 하부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승강 피스톤(122)이 상기 승강 수단(121)으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승강 연결체(135) 및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함께 하강되고, 상기 승강 피스톤(122)이 상기 승강 수단(121)으로 수축되면, 상기 승강 연결체(135) 및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의 높이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연결되어,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가 아닌 오자세(잘못된 자세)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보정시켜주는 것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는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이 되는 자세이고, 상기 포장 봉투의 오자세는 기울어진 자세를 말한다.
상세히,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은 상기 구동 피스톤(152)과, 구동 실린더(151)와, 호형 안내체(160)와, 롤러 연결체(155)와, 상부 롤러(156)와, 하부 롤러(157)와, 한 쌍의 연장체(165)와,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과, 봉투 클램핑 수단(167)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피스톤(152)은 상기 포장 봉투가 인입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고정되되, 일정 길이로 긴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 피스톤(152)의 각 말단이 상기 각 피스톤 고정체(136)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구동 피스톤(152)은 상기 식품 포장기의 설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동 실린더(151)는 상기 구동 피스톤(15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공압 실린더가 그 예로 제시되 수 있다.
상기 구동 실린더(151)는 공압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 피스톤(15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호형 안내체(160)는 상기 구동 실린더(151)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실린더(151)의 중심부와 같은 높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상단 및 하단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 연결체(155)는 상기 호형 안내체(160)와 상기 구동 실린더(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151)로부터 연장된 실린더 연결체 연결축(153)에 의해 상기 구동 실린더(151)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롤러 연결체(155)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연결체 연결축(153)은 상기 롤러 연결체(155)에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 롤러(156)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상단 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롤러(157)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하단 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롤러(156)와 상기 하부 롤러(157)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상부 롤러(156)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상부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 하부 롤러(157)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하부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각 상부 롤러(156)와 상기 각 하부 롤러(157)의 쌍은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상단 곡면 및 하단 곡면에 함께 맞물린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 실린더(15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롤러 연결체(155)도 함께 이동되고, 상기 상부 롤러(156)와 상기 하부 롤러(157)가 상기 호형 안내체(160)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자세 및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집힌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가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연장체(165)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포장 봉투가 그 사이에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벌어진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연장체(165)는 상기 롤러 연결체(155)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하측 공간에서 상기 각 연장체(165) 사이로 상기 포장 봉투의 상부가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은 상기 각 연장체(165)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공압 실린더가 그 예로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연장체(165)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은 상기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각 연장체(165)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상기 포장 봉투를 집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이 공압 실린더인 경우, 상기 각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의 각 피스톤이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이 된다.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하측 공간에서 상기 각 연장체(165)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포장 봉투의 상부가 인입되면, 상기 각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이 작동되어, 상기 각 봉투 클램핑 수단(167)이 서로 근접되도록 각각 전진되어,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히게 된다.
상기 자세 감지 부재(105)는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으로 인입되는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자세 감지 부재(105)는 상기 하측 프레임 패널(113)에 고정되고, 적외선 등의 감지광을 조사 및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세 감지 부재(105)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프레임 패널(113)의 양 측부에 서로 동일한 높이로 하나씩 고정된다.
상기 포장 봉투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포장 봉투의 상부는 불투명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조사된 감지광이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조사되면 반사되어 상기 자세 감지 부재(105)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된 경우,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이 모두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각각 조사되어 모두 반사됨으로써,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가 각 감지광을 각각 수신하게 되어,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반면,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가 아닌 오자세인 기울어진 자세로 인입된 경우,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조사되어 반사되지만,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포장 봉투의 기울어진 자세로 인해 상기 포장 봉투의 상측의 허공에 조사되어 반사되지 아니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반사되지 아니한 쪽이 낮은 형태로 상기 포장 봉투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포장 봉투의 기울어진 자세가 보정되도록 상기 구동 실린더(151)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는 정자세 감지 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170)는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장착되고,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정자세(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본체부(180)와, 감지부(190)와, 접촉 감지 센서부(196)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본체부(180)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17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측 케이스(181)와, 함몰부(182)와, 경사형 연장체(18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함몰부(1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194)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함몰부(1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19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됨으로 인해 점선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1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서로 대면되며 형성된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18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이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는 상기 함몰부(1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지부(190)는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몸체(191)와, 상기 감지부측 축(194)과, 무게추(19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몸체(191)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서 상기 감지 몸체(191)는 두 개가 이격되어 이루어지고,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감지 몸체(191)는 상기 함몰부(1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감지 몸체(19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 중 일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1 날개(19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 중 타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2 날개(19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측 축(194)은 상기 감지 몸체(191)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182)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182)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함몰부(182)에 상기 감지부측 축(194)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191)는 상기 감지부측 축(19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195)는 상기 감지 몸체(19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19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191)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무게추(19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감지 본체부(18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감지 몸체(191)는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96)는 상기 감지 본체부(18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19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96)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접촉 센서(197)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1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접촉 센서(19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191)에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또는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180)도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1 날개(192)와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가 접촉되고,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180)도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2 날개(193)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작동 시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기울어진 방향도 함께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170)에 의해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정자세를 벗어난 것이 감지되면, 알람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직접 알려주거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그 결과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작업자에게 감지 결과를 알려 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1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181)이 전면 및 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장형 삽입홈(183)과, 상기 장형 삽입 홈(183)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183)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194)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184)를 포함한다.
상기 축 걸림 돌기(184)는 상기 함몰부(182)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84)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194)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19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될 경우, 상기 감지부측 축(1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194)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191) 역시 하강되어,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에 동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에 동시에 접촉되어 감지된 충격 정보 역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185)에서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 곡면체(171)가 돌출되는데, 상기 각 돌출 곡면체(171)는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도록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돌출 곡면체(171)에서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는 내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영구 자석(17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의 각 말단부에는 각각 홀 센서(hall sensor)(17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정자세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각 홀 센서(1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172) 중 각 중앙부의 것을 각각 감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가 정자세를 벗어나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각 홀 센서(1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172) 중 각 중앙부의 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각각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196)와 상기 감지 몸체(191)의 접촉 전의 미세한 기울어짐도 상기 각 홀 센서(1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홀 센서(173)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의 각 말단부의 각 저면에서는, 누름 돌기(174)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각 누름 돌기(174) 중 하나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 중 하나와 접촉되면서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185)에서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의 각 하부 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로 함몰된 연장체 함몰 홀(17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175)의 각 저면에는 저면 접촉 감지 센서(176)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1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1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날개(192) 및 상기 제 2 날개(193)의 상기 각 누름 돌기(174)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를 누르게 되어,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는 탄성 변형되면서 각각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175)의 각 저면을 향해 하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접촉 센서(1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198)가 상기 각 저면 접촉 감지 센서(176)에 접촉되어,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에 충격이 가해졌음이 더욱 신뢰성있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실린더(151) 및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각 중심이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 상부 롤러(156) 및 상기 각 하부 롤러(157)가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따라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하측 공간에서 상기 각 연장체(165) 사이로 상기 포장 봉투가 인입되면, 상기 각 봉투 클램핑 구동 수단(166)이 작동되어, 상기 각 봉투 클램핑 수단(167)이 서로 근접되도록 각각 전진되어,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히게 된다.
이 때,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된 경우,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이 모두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각각 조사되어 모두 반사됨으로써,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가 각 감지광을 각각 수신하게 되어,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되었다고 판단하게 되고, 상기 구동 피스톤(152)은 작동되지 아니하고,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은 도 6에 도시된 자세인 초기 자세(상기 구동 실린더(151) 및 상기 롤러 연결체(155)의 각 중심이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 상부 롤러(156) 및 상기 각 하부 롤러(157)가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따라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봉투 클램핑 수단(167)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가 아닌 오자세인 기울어진 자세로 인입된 경우,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조사되어 반사되지만,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포장 봉투의 기울어진 자세로 인해 상기 포장 봉투의 상측의 허공에 조사되어 반사되지 아니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반사되지 아니한 쪽으로 상기 포장 봉투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포장 봉투의 기울어진 자세가 보정되도록 상기 구동 실린더(151)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반사된 쪽 방향으로 상기 구동 실린더(151)가 상기 구동 피스톤(152)을 따라 이동되도록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상부 롤러(156)와 상기 하부 롤러(157)가 상기 호형 안내체(160)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롤러 연결체(155)도 상기 구동 실린더(151)와 함께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호형 안내체(160)의 호형인 형태에 의해, 상기 포장 봉투 중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 중 반사되지 아니한 쪽 부분이 상승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연결체(155)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자동적으로 보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자세 감지 부재(105)에서 각각 조사된 감지광이 모두 상기 포장 봉투의 불투명한 상부에 각각 조사되어 모두 반사되면, 상기 자세 정렬 제어부(101)는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보정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 실린더(15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가 상기 자세 정렬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유닛 연결 부재(130)와, 상기 자세 보정 유닛(150)을 포함함에 따라, 포장 대상인 상기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상기 포장 봉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인입되지 못한 경우,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요구 자세로 자동적으로 보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에 상기 포장 봉투의 중앙부 이하의 부분이 집힌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의 하부 공간에 도달되면,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잠시 멈추게 되고,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잠시 멈춘 상태에서, 상기 식품 포장기용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 장치(100)에 의해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포장 봉투의 자세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다시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의 하부 공간에 도달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벨트 구동 수단(230)이 작동되면, 상기 원동 풀리(24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동 풀리(240)에 걸린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회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걸린 상태인 상기 외향 전환 풀리(244)가 회전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외부로 향하여, 외부에서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상에 얹혀지게 된다.
외부에서 상기 식품이 얹힌 상태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 및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이송되어, 상기 식품이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낙하되고, 그러한 상기 식품의 낙하가 완료된 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상기 방향 전환 풀리(241)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다시 외부 쪽으로 향하게 되어, 다시 상기 원동 풀리(240)를 경유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식품의 이송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는 나란히 배열되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는 나란히 배열되되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상측 풀리의 각 하측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와 상기 겹침 상측 풀리에 의해 외부에 대해 가려진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를 경유하는 부분을 건너뛰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곧바로 이송된다.
그러다가, 상기 식품 인입 감지 부재(25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를 경유하는 부분에 상기 식품이 얹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겹침 방지 제어부(201)에 의해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270)가 작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263)는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2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243)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264) 쪽으로의 이송이 차단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따라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포장 봉투에 상기 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310)가 다시 상기 이송 피스톤(315)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식품 포장기를 구성하는 상기 밀봉부로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가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봉투 클램핑 이송 부재(320)에 의해 집힌 상기 포장 봉투의 입구가 상기 밀봉부에 의해 밀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200)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210)와,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240, 241, 242, 243, 244, 263, 264)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26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실려 이동되는 복수의 상기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의 겹쳐진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식품이 개별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에 실려 이동되는 복수의 식품 중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식품의 겹쳐진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200 :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210 :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
220 : 컨베이어 벨트
240, 241, 242, 243, 244, 263, 264 : 복수 개의 벨트 풀리
260 : 겹침 방지 회동 부재

Claims (4)

  1.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 봉투에 포장시키기 위한 식품 포장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벨트 풀리;
    상기 각 벨트 풀리에 의해 회동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을 연속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걸쳐지는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식품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아니하고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되면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정 부분을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진 부분에 얹힌 것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아니한 부분에 얹힌 것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겹침 방지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는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겹침 방지 회동 몸체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겹침 방지 회전축과,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 중 상부에 연결된 것인 프레임측 상측 풀리와 나란히 배열되는 겹침 방지 상측 풀리와,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벨트 풀리 중 하부에 연결된 것인 프레임측 하측 풀리와 나란히 배열되는 겹침 방지 하측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 및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의 순서로 접하면서 회동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와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는 나란히 배열되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는 나란히 배열되되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와 상기 겹침 상측 풀리의 각 하측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와 상기 겹침 상측 풀리에 의해 외부에 대해 가려진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와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을 건너뛰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곧바로 이송되고,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는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겹침 방지 하측 풀리는 상기 프레임측 하측 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프레임측 상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에 얹힌 상기 식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 쪽으로의 이송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는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의 상공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에 상기 식품이 얹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식품 인입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 인입 감지 부재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상측 풀리를 경유하는 부분에 상기 식품이 얹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겹침 방지 구동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4. 포장 대상인 식품을 포장 봉투에 포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벨트 풀리와,
    상기 각 벨트 풀리에 의해 회동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을 연속적으로 상기 포장 봉투 쪽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겹침 방지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걸쳐지는 겹침 방지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식품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걸리지 아니하고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식품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소정 지점에 도달되면,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승되면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정 부분을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진 부분에 얹힌 것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 중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겹침 방지 회동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아니한 부분에 얹힌 것이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상기 식품의 겹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KR1020200039490A 2020-03-31 2020-03-31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KR10213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90A KR102135321B1 (ko) 2020-03-31 2020-03-31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490A KR102135321B1 (ko) 2020-03-31 2020-03-31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321B1 true KR102135321B1 (ko) 2020-07-17

Family

ID=7183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490A KR102135321B1 (ko) 2020-03-31 2020-03-31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174A (ja) * 1996-04-05 1997-10-28 Hagiwara Kogyo Kk 長尺材供給装置
KR200377533Y1 (ko) * 2004-12-16 2005-03-11 권영모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20150028989A (ko) * 2012-06-08 2015-03-17 하스 푸드 이큅먼트 게엠바하 전달 요소의 조정 가능한 편향 커브를 갖는 전달 장치
JP6002488B2 (ja) * 2012-07-20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KR101993186B1 (ko) 2018-12-04 2019-06-27 이용근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174A (ja) * 1996-04-05 1997-10-28 Hagiwara Kogyo Kk 長尺材供給装置
KR200377533Y1 (ko) * 2004-12-16 2005-03-11 권영모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KR20150028989A (ko) * 2012-06-08 2015-03-17 하스 푸드 이큅먼트 게엠바하 전달 요소의 조정 가능한 편향 커브를 갖는 전달 장치
JP6002488B2 (ja) * 2012-07-20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KR101993186B1 (ko) 2018-12-04 2019-06-27 이용근 셔트 타입 연속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286B2 (en) Medicament dispensing machine
JP4454968B2 (ja) 平坦な筒状小包を使用した製品梱包方法および機械
EP0614834A1 (en) Package transporting and loading system
US5010929A (en) Fast acting double loading system for automatic packaging machine
US20200009725A1 (en) Holding device for food
KR101770353B1 (ko) 라벨 부착 장치
JP5931605B2 (ja) 容器供給装置
US6430895B1 (en) Packing system article distributive directing mechanism
JP2017128446A (ja) 物品保管装置、及び物品移動装置
KR102135321B1 (ko)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 및 상기 식품 포장기용 식품 겹침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기
CN115231030B (zh) 一种瓶状物料输送装置及包含该装置的自动化设备
KR101100746B1 (ko)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JP7058442B2 (ja) 封函装置
JP2000318831A (ja) 箱姿勢変更機構
CN111891442A (zh) 入托机
JPH09249201A (ja) カートンの蓋閉装置
EP1199265B1 (en) Product diverting mechanism in a packaging system
JP2019147580A (ja) 計量機、包装機、製品検査器あるいは箱詰め機である製品製造ラインの装置
JP7244739B2 (ja) 物品搬送装置
JP6763649B2 (ja) 袋状容器供給装置
KR102320831B1 (ko)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JP2020169039A (ja) 充填封入装置および充填封入方法
US20060266009A1 (en) Method for detecting a hopper insertion state for a bag-filling packaging machine
KR102589920B1 (ko) 용기캡용 라이너 자동 삽입 장치
KR200407554Y1 (ko) 자동 캡핑기의 미정렬 포장 캡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