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31B1 -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31B1
KR102320831B1 KR1020210078048A KR20210078048A KR102320831B1 KR 102320831 B1 KR102320831 B1 KR 102320831B1 KR 1020210078048 A KR1020210078048 A KR 1020210078048A KR 20210078048 A KR20210078048 A KR 20210078048A KR 102320831 B1 KR102320831 B1 KR 10232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ntainer
picker
loading device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길
Original Assignee
전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길 filed Critical 전광길
Priority to KR102021007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알(Vial) 또는 앰풀(Ampoule)과 같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생산(포장)라인 등에서 직립된 용기들을 눕혀서 로딩하는 공정, 예를 들어 PTP 트레이(Press Through Package Tray)에 용기를 끼워서 수납하는 공정에서, 용기를 고속으로 정확하게 로딩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픽업드럼의 안치부를 이용해 용기를 눕힌 상태에서 픽커로 흡착하여 로딩할 수 있게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직립된 다수개의 용기가 이송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구비되어 용기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배출되게 하는 게이트부를 구비한 이송유닛; 상기 게이트부의 전방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부에서 배출되는 용기가 수용되는 안치부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픽업드럼; 및 상부를 향해 배열된 상기 안치부의 용기를 흡착하여 로딩하는 픽커를 구비한 로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DRUM TYPE LOADING APPARATUS FOR VIAL OR AMPOULE}
본 발명은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알(Vial) 또는 앰풀(Ampoule)과 같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생산(포장)라인 등에서 직립된 용기들을 눕혀서 로딩하는 공정, 예를 들어 PTP 트레이(Press Through Package Tray)에 용기를 끼워서 수납하는 공정에서, 용기를 고속으로 정확하게 로딩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픽업드럼의 안치부를 이용해 용기를 눕힌 상태에서 픽커로 흡착하여 로딩할 수 있게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알(Vial) 또는 앰풀(Ampoule)과 같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는 각종 주사제 등의 의약품이나 화학약품 등을 밀봉하여 포장하는 용기이다.
이러한 용기는 용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작은 충격만으로 쉽게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작은 박스에 용기가 수납되어 개별 포장되거나, PTP 트레이(Press Through Package Tray)에 복수개의 용기가 끼워져 포장된다.
이때 용기는 그 구조 상 직립된 상태로 생산 라인을 따라 연속 이송되는데, PTP 트레이와 같이 용기를 눕혀서 끼워 포장할 경우, 직립된 용기를 로딩 전 눕혀야 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공개특허 제10-2021-0007751호, 등록특허 제10-0553238호 등에서는 앰풀 용기를 소정 경사도의 바닥판으로 굴려서 정렬시킨 후 용기를 개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앰풀 또는 바이알 등의 용기는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앰풀 공급장치를 이용해 용기를 로딩하여 공급할 경우 파손 위험성으로 작업 속도가 느림은 물론, 로딩 중 용기가 쉽게 파손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PTP 트레이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가 수납, 포장되는 생산 라인에 있어서, 종래의 앰풀 공급장치를 사용할 경우 낱개의 용기를 개별적으로 로딩해야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더욱 느려지고, 자동화 설비의 구조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이알(Vial) 또는 앰풀(Ampoule)과 같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생산(포장)라인 등에서 직립된 용기들을 눕혀서 로딩하는 공정, 예를 들어 PTP 트레이(Press Through Package Tray)에 용기를 끼워서 수납하는 공정에서, 용기를 고속으로 정확하게 로딩할 수 있게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직립된 다수개의 용기가 이송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구비되어 용기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배출되게 하는 게이트부를 구비한 이송유닛;
상기 게이트부의 전방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부에서 배출되는 용기가 수용되는 안치부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픽업드럼; 및
상부를 향해 배열된 상기 안치부의 용기를 흡착하여 로딩하는 픽커를 구비한 로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공급부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진동하는 진동배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게이트부의 입구측에서 좌우 이동하게 설치되어 용기들을 좌우로 밀어주는 젓개판을 구비한 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상기 이송유닛과 픽업드럼 및 로딩유닛이 설치되고, 이동바퀴와 높이 조절부재를 갖는 대차부를 구비한 이동형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에 오목 형성된 안치부를 이용해, 앰풀(Ampoule)이나 바이알(Vial)과 같은 직립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용기를 파손없이 자연스럽게 눕혀서 픽커로 흡착 후 로딩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앰풀 공급장치와 다른 메커니즘의 드럼형 로딩 장치로써 픽업 및 로딩의 정확도와 속도가 빨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이트부로 용기가 진입할 때, 젓개판을 구비한 정렬수단으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의 정렬, 이송속도가 빠르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배출판으로 용기의 이송 중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픽업드럼으로의 이송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고,
대차부를 구비한 이동형 본체를 통해 드럼형 로딩 장치의 자체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기 생산 라인에 본 발명을 정밀 셋팅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의 사시도.
도 2,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4 내지 도 x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부(10)와 게이트부(20)와 정렬수단(30)으로 구성된 이송유닛(T), 픽업드럼(40), 로딩유닛(50), 이동형 본체(6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V, 도 7 참고.)란 각종 주사제 등의 의약품이나 화학약품을 밀봉 포장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드의 용기로써, 대표적으로 바이알(Vial)과 앰풀(Ampoule)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용기(V)를 PTP 트레이(Press Through Package Tray)(1, 도 9 참고)가 이송되는 생산 라인(L)으로 공급해, 용기(V)를 트레이(1)에 눕혀서 수납하는 공정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사용되는 실제 공정은 용기 생산 라인(L)의 각 공정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라벨링 공정을 위해 용기를 눕혀서 투입하는 공정에 본 발명의 로딩 장치가 세팅될 수도 있음.).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직립된 다수개의 용기(V)가 이송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에 구비되어 용기(V)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배출되게 하는 게이트부(20)를 구비한 이송유닛(T);
상기 게이트부(20)의 전방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부(20)에서 배출되는 용기(V)가 수용되는 안치부(41)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픽업드럼(40); 및
상부를 향해 배열된 상기 안치부(41)의 용기(V)를 흡착하여 로딩하는 픽커(51)를 구비한 로딩유닛(50);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는,
상기 이송유닛(T)과 픽업드럼(40) 및 로딩유닛(50)이 설치되고, 이동바퀴(64)와 높이 조절부재(65)를 갖는 대차부(66)를 구비한 이동형 본체(6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T)의 공급부(10)는 전후 롤러(12)에 권취된 벨트(13)로 구성된 컨베이어벨트(11)로 형성되어, 벨트(13) 위에 직립된 다수개의 용기(V)들이 벨트(13)의 순환 회전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벨트(13)의 상면부는 저면이 지지판(14)으로 지지되어 벨트(13)의 처짐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벨트(11) 상부에는 상기 공급부(10) 상의 용기(V)들을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으로 모아지게 안내하는 안내블록(15)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부(10)는 별도의 이송 라인에 연결되어 용기(V)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용기(V)를 수동 공급할 경우, 공급부(10) 상의 용기(V)들을 전방으로 밀어서 용기(V)들이 밀착되게 하는 푸시블록(도면부호 미표기)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T)의 게이트부(20)는 게이트블록(21)들이 하면이 개구된 형태의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것으로, 게이트블록(21)들 사이에 전후로 소정 길이의 정렬로(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렬로(22)의 좌우 폭 너비는 낱개의 용기(V) 폭 너비에 상응하여, 2개 이상의 용기(V)가 정렬로(22) 상으로 동시에 진입 및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작동으로 용기(V)들이 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에서 모아진 용기(V)들이 상기 정렬로(22)로 순차적으로 진입하여 게이트부(20)를 통과하면서, 용기(V)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배출된다.
아울러 이러한 게이트부(20)의 정렬블록(21)들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전단부 상부에 좌우로 형성된 가이드바(23)에서 좌우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정렬블록(21)들의 교체 및 위치 변경을 통해, 정렬로(22)의 너비나 위치를 조정하여 세팅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11)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진동하는 진동배출판(16)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배출판(16)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전방 롤러(12)에 씌어지는 'ㄱ'자 형태로써, 상면부의 끝단부가 전방 롤러(12)에 권취된 벨트(13)의 끝단부 상면에 접촉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벨트(13) 또는 진동배출판(16)에 돌기가 형성되어 접촉 시 진동배출판(16)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상기 벨트(13)를 모직벨트로 사용하여 모직벨트 제작 시 형성되는 격자형 돌출부에 상기 진동배출판(16)의 끝단이 접촉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렬로(22)의 좁은 입구로 인해 게이트부(20)로 진입하는 용기(V)들의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송유닛(T)은,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에서 좌우 이동하게 설치되어 용기(V)들을 좌우로 밀어주는 젓개판(31)을 구비한 정렬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정렬수단(30)은 상기 공급부(10)의 상부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32)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바(33), 상기 이동바(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며 상기 젓개판(31)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바(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33) 및 연결바(34)는 각각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34) 및 젓개판(31)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정렬수단(30)은 일측단이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이동바(33)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된 링크바(35)를 포함하여,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을 이동바(33)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젓개판(31)이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정렬수단(30)은 상기 젓개판(31)이 상기 이동바(33)에서 양면이 좌우로 배열되게 입설되어 구비되며, 따라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용기(V)들은 상기 게이트부(20)의 정렬로(22)로 진입하기 전 정체된 상태에서, 상기 젓개판(31)이 저속으로 좌우 왕복 이동함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밀리면서 정렬로(22)의 입구측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이 해소되어, 용기(V)들이 각 정렬로(22)에 순차적으로 진입 후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젓개판(31)은 "|"자형 평판 또는 "ㄴ"자형 절곡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용기(V)들이 좌우로 정렬되면서 젓개판(31)을 통과하는 용기(V)를 적정량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픽업드럼(40)은 상기 안치부(41)가 외주면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안치부(41)의 하단부에 받침부(41a)가 구비된다.
이러한 픽업드럼(40)은 총 4개의 안치부(41)가 90°각도로 유사"+"자형으로 배열되어, 픽업드럼(40)이 90°회전할 때 마다 각 안치부(41)가 상하전후로 서로 직교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부(20)를 통과하여 상기 진동배출판(16)에서 이탈하여 배출되는 용기(V)는, 전방에 위치한 안치부(41)로 투입되면서 받침부(41a)에 의해 세워져 수용되고,
상기 픽업드럼(40)이 1회 작동(90°회전 후 정지)하면 안치부(41)의 용기(V)는 픽업드럼(40)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전후로 눕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픽업드럼(40)은 상기 진동배출판(16)의 전단 끝단부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용기(V)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받침부(41a)는 용기(V)의 바닥 면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용기(V)가 받침부(41a)에 안전하게 안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픽업드럼(40)은 서로 대칭하게 형성된 한 쌍의 분체(40A)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1)의 포켓부와 안치부(41)를 1:1로 맞춘 픽업드럼(40)의 설계가 가능해지고, 용기(V)를 정확하게 픽업 후 로딩 위치로 이송되게 하면서, 용기(V)의 규격에 맞춰 픽업드럼(40)을 개별 제작 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치부(41)는 하부의 받침부(41a)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픽업드럼(40)이 회전 후 정지할 때, 관성에 의해 안치부(41)의 용기(V)가 이탈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픽업드럼(40)은 제1 서보모터(42)로 회전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제1 서보모터(42)는,
상기 픽업드럼(40)이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회전 속도가 가속된 후,
픽업드럼(40)이 정지할 때(즉 안치부(41)가 용기(V)가 배출되는 픽업 위치로 진입할 때와 안치부(41)의 용기(V)가 픽업드럼(40) 상단부의 로딩 위치에서 정지할 때) 픽업드럼(4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게 하여,
용기(V)가 안치부(41)로 안전하게 투입됨과 동시에, 로딩 위치에서 안치부(41)의 용기(V)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픽업드럼(40)은 센서(44)로 회전 각도(위치)가 감지되어, 픽업드럼(40)의 초기 위치 및 회전 정지 위치를 정확히 세팅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보모터(42)를 통한 연동제어는 물론, 픽업드럼(40)의 강제 회전을 통한 수동제어까지 가능하다.
도면부호 45는 로딩 실패 시 상기 안치부(41)의 용기(V)가 낙하하여 자동 배출되게 하는 배출판으로, 상기 배출판(45) 하부에는 별도의 수거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컨베이어벨트(11)의 프레임 하부에 제1 서보모터(42)가 구비되어, 제1 서보모터(42)의 회전축이 픽업드럼(40)의 회전축(43)과 타이밍벨트(13)로 연결된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로딩유닛(50)은 상기 픽커(51)가 전후좌우 직선 이동 및 상하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컴프레서 등의 진공 발생수단(미도시)이 상기 픽커(51)에 연결되어, 픽커(51)의 흡착패드가 용기(V)의 외면을 진공 흡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유닛(50)은, 전후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가이드프레임(52), 상기 수평 가이드프레임(52)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수직 가이드프레임(53),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 가이드봉(56),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을 따라 좌우 수평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픽커(51)가 결합된 픽커용 회전축(57)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은 상기 수평 가이드프레임(52)에 구비된 제2 서보모터(55)에 의해 전후 이동이 제어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은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에 구비된 제3 서보모터(55)에 의해 승강이 제어되며,
상기 픽커용 회전축(57)은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에 슬라이딩 결합된 회전축블록에 구비된 공압 회전 실린더(58)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며,
도면에서는 상기 픽커용 회전축(57)과 상기 공압 회전 실린더(58)가 타이밍벨트(58a)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3 서보모터(54)(55)는 상기 제1 서보모터(42)와 함께 전기 브레이크를 포함한 전기 제어가 이루어져 작동하며, 상기 공압 회전 실린더(58)는 공압제어로 작동한다.
이러한 로딩유닛(50)은, 상기 픽커(51)가 상기 픽업드럼(40)의 상부로 후진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용기(V)를 흡착하고, 흡착 후 상기 픽커(51)가 상승하여 전진한 다음, 생산 라인(L)의 트레이(1) 위치에서 하강하면서 진공을 해제하여 용기(V)를 트레이(1)의 포켓부로 끼워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로딩유닛(50)은, 상기 픽커(51)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트레이(1)에 형성된 포켓부의 방향에 맞춰 용기(V)를 회전시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과 달리 2개의 로딩유닛(50)에 1개의 픽업드럼(40)이 세팅될 경우, 각 픽커(51)의 수평 이동 시 높이를 다르게 하면, 1개의 픽업드럼(40)이 360°회전하는 동안 2개의 로딩유닛(50)이 서로 교차 작동하여 용기(V)를 로딩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9는 상기 픽커(51)의 좌우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핸들로써, 별도의 서보모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딩유닛(50)은 도어 오픈형 케이싱(C)으로 씌어져 보호된다.
이어서 상기 이동형 본체(60)는 함체 형상으로 상면부에 상기 이송유닛(T)과 픽업드럼(40) 및 로딩유닛(50) 등이 설치되는 베이스판(61)을 구비하며, 저면부에 상기 대차부(6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대차부(66)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6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이동바(33)퀴(64)를 통해 로딩 장치 전체를 개별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이동 후 생산 라인(L)에 셋팅될 때 상기 높이 조절부재(65)를 하강시켜 고정된다.
이러한 이동형 본체(60)는 상기 베이스판(61)이 상면부의 LM 가이드(6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이동형 본체(60)의 위치 변경 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61), 즉 이송유닛(T)과 픽업드럼(40) 및 로딩유닛(50)의 좌우 위치를 생산 라인(L)에 맞춰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동 핸들(62)을 이용한 베이스판(61)의 좌우 이동 구조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 이동 조정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픽커(51)의 로딩 작동(즉, 하강 후 진공 해제 작동)은 상기 생산 라인(L)의 트레이(1) 이송 간격(속도)에 맞춰 트레이(1)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연속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바, 본 발명은 생산 라인(L)에 맞춰 상기 로딩유닛(50)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엔코더(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엔코더(E)는, 생산 라인(L) 상에서 트레이(1)의 이송량(이송 후 정지)을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로딩 장치의 제어부(특히 로딩유닛(50)의 제어부)로 제어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로딩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연동을 위한 추가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엔코더(E)는 센싱부가 트레이(1)의 측벽부에 직접 접촉하여 감지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트레이(1)의 폭에 따라 엔코더(E)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별도의 완충링이 엔코더(E)에 부착되어 트레이(1) 이송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해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 생산 라인 T : 이송유닛
C : 케이싱 E : 엔코더
10 : 공급부 11 : 컨베이어벨트
12 : 롤러 13 : 벨트
14 : 지지판 15 : 안내블록
16 : 진동배출판 20 : 게이트부
21 : 게이트블록 22 : 정렬로
23 : 가이드바 30 : 정렬수단
31 : 젓개판 32 : 구동모터
33 : 이동바 34 : 연결바
35 : 링크바 40 : 픽업드럼
41 : 안치부 41a : 받침부
42 : 제1 서보모터 43 : 회전축
44 : 센서 45 : 배출판
50 : 로딩유닛 51 : 픽커
52 : 수평 가이드프레임 53 : 수직 가이드프레임
54 : 제2 서보모터 55 : 제2 서보모터
56 : 수평 가이드봉 57 : 픽커용 회전축
58 : 공압 회전 실린더 58a : 타이밍벨트
59 : 핸들 60 : 이동형 본체
61 : 베이스판 62 : 수동 핸들
63 : LM 가이드 64 : 이동바퀴
65 : 높이 조절부재 66 : 대차부

Claims (4)

  1. 직립된 다수개의 용기(V)가 이송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에 구비되어 용기(V)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배출되게 하는 게이트부(20)를 구비한 이송유닛(T);
    상기 게이트부(20)의 전방에서 회전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부(20)에서 배출되는 용기(V)가 수용되는 안치부(41)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픽업드럼(40); 및
    상부를 향해 배열된 상기 안치부(41)의 용기(V)를 흡착하여 로딩하는 픽커(51)를 구비한 로딩유닛(50);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T)은, 상기 공급부(10)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벨트(1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진동하는 진동배출판(16)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배출판(16)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전방 롤러(12)에 씌어지는 'ㄱ'자 형태로써, 상면부의 끝단부가 전방 롤러(12)에 권취된 벨트(13)의 끝단부 상면에 접촉하게 결합되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13)는 모직벨트로써, 제작 시 형성되는 격자형 돌출부에 상기 진동배출판(16)의 끝단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T)은,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에서 좌우 이동하게 설치되어 용기(V)들을 좌우로 밀어주는 젓개판(31)을 구비한 정렬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정렬수단(30)은 상기 공급부(10)의 상부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32)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바(33), 상기 이동바(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며 상기 젓개판(31)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바(34), 일측단이 상기 구동모터(32)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이동바(33)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된 링크바(35)를 포함하여, 구동모터(32)의 회전력을 이동바(33)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젓개판(31)이 상기 게이트부(20)의 입구측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닛(50)은, 전후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가이드프레임(52), 상기 수평 가이드프레임(52)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수직 가이드프레임(53),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 가이드봉(56),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을 따라 좌우 수평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픽커(51)가 결합된 픽커용 회전축(57)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은 상기 수평 가이드프레임(52)에 구비된 제2 서보모터(55)에 의해 전후 이동이 제어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은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53)에 구비된 제3 서보모터(55)에 의해 승강이 제어되며,
    상기 픽커용 회전축(57)은 상기 수평 가이드봉(56)에 슬라이딩 결합된 회전축블록에 구비된 공압 회전 실린더(58)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며,
    상기 픽커용 회전축(57)과 상기 공압 회전 실린더(58)가 타이밍벨트(58a)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KR1020210078048A 2021-06-16 2021-06-16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KR10232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48A KR102320831B1 (ko) 2021-06-16 2021-06-16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48A KR102320831B1 (ko) 2021-06-16 2021-06-16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31B1 true KR102320831B1 (ko) 2021-11-03

Family

ID=7850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48A KR102320831B1 (ko) 2021-06-16 2021-06-16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912A (ja) * 1986-11-19 1988-06-10 株式会社マキ製作所 果実の自動パック詰め方法と装置
CN103569403A (zh) * 2013-10-24 2014-02-12 刘丙炎 一种吸盘式安瓿瓶自动入托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912A (ja) * 1986-11-19 1988-06-10 株式会社マキ製作所 果実の自動パック詰め方法と装置
CN103569403A (zh) * 2013-10-24 2014-02-12 刘丙炎 一种吸盘式安瓿瓶自动入托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777B2 (en) Machine for packing vials
JP2687253B2 (ja) 卵移送用供給装置
US5010929A (en) Fast acting double loading system for automatic packaging machine
EP2502834B1 (en) Modular labeling station
CN110065777B (zh) 一种样瓶自动封装装置
KR102320831B1 (ko) 용기용 드럼형 로딩 장치
KR200407151Y1 (ko) 화장품 용기 이송장치
US3443355A (en) Case packing apparatus
JP5597927B2 (ja) ワーク移載装置
CN113264224A (zh) 一种自动化条烟包装机和多品牌条烟包装机
JPH05172300A (ja) 高圧ガス充填方法
CN111942643A (zh) 一种用于医疗药瓶的装箱设备及其装箱方法
KR101657132B1 (ko) 포대 벌림 장치
CN113306792A (zh) 一种聚乙烯蜡粉灌装设备
CN109159988B (zh) 一种微动开关包装设备
JPH03124523A (ja) 箱詰装置
JPH0791598A (ja) ガス充填装置
CN112071786A (zh) 一种半导体封装设备中的上料饼机构
JP2021104885A (ja) 搬送装置
CN110510199B (zh) 一种建筑材料多工位、多角度包装方法
JP3086782B2 (ja) ガス容器搬入装置
KR101981741B1 (ko) 스파우트 파우치 공급 장치
CN215323537U (zh) 一种自动化条烟包装机和多品牌条烟包装机
CN214029556U (zh) 基于高精度定位系统的pp包装容器模内贴标机
CN110641765B (zh) 一种建材包装用旋转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