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973B1 -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973B1
KR102134973B1 KR1020180138847A KR20180138847A KR102134973B1 KR 102134973 B1 KR102134973 B1 KR 102134973B1 KR 1020180138847 A KR1020180138847 A KR 1020180138847A KR 20180138847 A KR20180138847 A KR 20180138847A KR 102134973 B1 KR102134973 B1 KR 102134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ema
massage
unit
us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318A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8013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A61B5/4878Evaluating oede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측정하고,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부종 상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마사지 패턴 결정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MASSAGE FOR CIRCULATION OF LYMPH CONSIDERING DEGREE OF EDEMA}
본 개시는 부종 상태에 따라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측정하고,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사지(massage)란 피술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또는 움직이게 하는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분에 다양한 형태의 역학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피술자의 신체의 변조를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돕고 그리고 피술자의 피로를 풀리게 하는 의료 보조요법이다.
마사지 수요의 증가는 경제적 사정 및 시간적 이유로 인하여 인공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또는 마사지 기기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즉, 마사지를 통하여 뭉쳐진 근육을 풀면서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시간 및 비용 효율적인 방식의 다양한 마사지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기계적인 장치를 통하여 별도의 마사지사 없이 마사지를 수행하는 임의의 형태의 기구, 디바이스 또는 장치를 마사지 장치라 지칭한다.
나아가, 마사지를 함으로써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41919 호는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사지를 제공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측정하고,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는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부종 상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마사지 패턴 결정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마사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사지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현재 시점의 부종 상태뿐만 아니라 이전 부종 상태로부터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개인별 차이에 따라 마사지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함으로써, 다리에 모여있던 림프와 수분을 하반신에서 상반신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부종 완화에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종 상태에 따라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하반신을 들어올리는 상대적인 높이,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시간 및 에어셀에 의한 마사지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부종 상태가 심할수록 림프 순환을 더 촉진시키는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가 체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모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종모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부종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림프 마사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프 마사지 레벨에 따른 마사지 장치의 구동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액츄에이터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모터, 리니어 모터, 전자 모터, DC모터, AC모터,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동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 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나선봉은 나선 형태의 홈을 갖는 직선 형태의 부재를 의미하며,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봉은 표면에 나선 형태의 홈을 갖는 원기둥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선봉은 금속 리드 스크류(lead 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체성분은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체성분은 세포내 수분, 세포외수분,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근육량,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률, BMI, 부위별 근육량, 부위별 체수분, 전신부종, 부위별 부종, 체세포량, 뼈무기질함량, 복부지방률, 내장지방단면적, 기초대사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사지 장치(1000)가 체성분 측정 모듈을 통해 인체에 약한 교류 전류를 흘리는 경우, 전류는 전도성이 높은 체수분을 따라 흐르고, 수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전기가 흐르는 통로의 넓고 좁음이 결정된다. 이는 임피던스라는 측정치로 나타나게 되고, 마사지 장치는 측정된 임피던스를 활용하여 체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사지 장치(1000)는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는 2전극 4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을 계산할 수 있고, 네 개의 전극을 이용하는 4전극 8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바이노럴 비트는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오디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사지 장치는 바디 마사지부와 다리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 마사지부(100)와 다리 마사지부(300)는 분리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바디 마사지 장치와 다리 마사지 장치)로 존재할 수 있고, 마사지 장치는 바디 마사지 장치 또는 다리 마사지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형성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몸체를 마사지하는 바디 마사지부(100), 그리고 사용자의 다리를 마사지하는 다리 마사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모듈(1700), 사용자에게 임의의 형태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모듈(1600), 바디 마사지부(100)의 골조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100) 및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디 마사지부(100)가 포함하는 구성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바디 마사지부(100)는 전술한 구성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서 도시되는 마사지 장치(1000)의 형상 및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의 마사지 장치(1000)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는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형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디 마사지부(100)는 사용자의 전신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착좌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에서 지면과 접하는 부분은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임의의 재질 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예를 들어, 미끄럼방지 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사지 장치(1000)의 이동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마사지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마사지부(100)가 마사지를 시작하는 경우, 바디 마사지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마사지부(100)는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바디 마사지부(100)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사지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셀은 사용자의 어깨 부분, 골반 부분, 팔 마사지부, 다리 마사지부(300) 등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사지 장치(1000)의 다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사지 장치(1000)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 공급부는 에어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에어셀을 부풀릴 수 있다. 에어 공급부는 바디 마사지부(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리 마사지부(30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는 마사지 장치(10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리 마사지부(300)는 사용자에게 다리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마사지부(300)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마사지 하는 종아리 마사지부 및/또는 사용자의 발을 마사지하는 발마사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마사지부(30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용자가 마사지 장치(1000)를 사용하는 경우, 종아리의 길이가 길어 다리 마사지부(300)의 길이가 길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키가 작은 사용자가 마사지 장치(1000)를 사용하는 경우, 종아리의 길이가 짧아 다리 마사지부(300)가 짧아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다리 마사지부(300)는 사용자의 키에 맞춤화된 다리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마사지 모듈(1700)은 바디 마사지부(100)에 수용된 사용자에게 임의의 형태의 역학적 자극을 제공하도록 바디 마사지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사지 모듈(1700)은 바디 마사지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1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마사지부(100)의 메인 프레임(1100)에는 렉기어(Rack gear)가 구비될 수 있고, 마사지 모듈(1700)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역학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마사지 모듈(1700)은 볼 마사지 유닛 또는 롤러 마사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프레임(1100)은 바디 마사지부(100) 내부 구성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100)은 철, 합금, 강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사지 장치(1000)는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사용자와 접촉하는 시트부 상단에 배치된 상단 오디오 출력 유닛, 시트부 좌우측 팔 마사지부 전단에 부착된 전방 오디오 출력 유닛, 및/또는 팔 마사지부 후단에 부착된 후방 오디오 출력 유닛 등과 같이 복수의 출력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5.1채널과 같은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사지 장치 제어 디바이스(2000)를 이용하여 마사지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사지 장치 제어 디바이스(2000)는 마사지 장치(1000)와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마사지 장치 제어 디바이스(2000)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휴대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사지 장치(10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100)은 마사지 모듈(1700)이 구비되는 어퍼 프레임(1150) 및 어퍼 프레임(115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150)의 적어도 일부에는 렉 기어(1151)가 구비될 수 있다. 렉 기어(1151)는 바디 마사지 모듈(170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재로서, 복수개의 골부와 복수개의 마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렉 기어(1151)는 어퍼 프레임(1150)의 양 측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바디 마사지 모듈(1700)은 렉 기어(11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마사지 모듈(1700)은 렉 기어(1151)와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 마사지 모듈(170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바디 마사지 모듈(1700)은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렉 기어(1151)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렉 기어(1151)는 철, 강철, 합금, 강화 플라스틱,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퍼 프레임(115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프레임(1150)은 형태에 따라 S프레임, L프레임, S&L프레임, 더블S&L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프레임은 어퍼 프레임(1150) 중 적어도 일부가 "S"처럼 굴곡진 형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L프레임은 어퍼 프레임(1150)중 적어도 일부가 "L"처럼 굽어진 형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S&L프레임은 "S"처럼 굴곡진 형태와 "L"처럼 굽어진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더블S&L프레임은 L"처럼 굽어진 형태와 두 개의 부분의 "S"처럼 굴곡진 형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베이스 프레임(1110)은 메인 프레임(1100) 중 어퍼 프레임(1150)을 지지하고 지면과 접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베이스 프레임(1110)은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 및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은 어퍼 프레임(1150)을 지지할 수 있고,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은 지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은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은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은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을 따라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프레임(1150)은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과 연결되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의 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어퍼 프레임(1150)도 전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어퍼 프레임(1150)도 후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 마사지부(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의 하부에는 이동 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의 상부에는 이동 휠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에 구비된 이동 휠은 베이스 하부 프레임(1112)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베이스 상부 프레임(1111)의 전방이동 또는 후방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사지 장치(1000)는 슬라이딩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베이스 프레임(1110)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200)는 생체정보 획득부(1210), 부종 상태 결정부(1220),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 및 마사지 제공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부(1210)는 마사지 장치(1000)에 착석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정보 획득부(1210)는 도 4에 도시된 제1 체성분 측정모듈(310)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체성분 측정모듈(19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0)는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 및/또는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0)는 사용자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에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접촉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 및/또는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생체정보 획득부(1210)는 사용자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에 접촉된 경우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을 활용하여 2전극 4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에 접촉된 경우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을 활용하여 2전극 4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에 접촉된 경우 4전극 8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생체정보 획득부(1210)는 센서부(1300)를 통해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마사지부(300)에 인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팔이 팔 마사지부(1900)의 적어도 일부에 인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인입에 대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 및/또는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획득부(1210)는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마사지부(300)에 인입된 경우 제 1 체성분 측정 모듈(310)을 활용하여 2전극 4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팔 마사지부(1900)에 인입된 경우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을 활용하여 2전극 4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마사지부(300)에 인입되고 사용자의 팔이 팔 마사지부에 인입된 경우, 4전극 8터치 전극법으로 체성분 측정을 수행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은 팔 안마부(19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은 하나의 팔 안마부(1900)에 구비될 수 있고, 양쪽 팔 안마부(19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팔 안마부(1900)의 내부에는 팔 안마부(1900)의 뼈대를 구성하는 팔안마부 프레임(1920)이 구비될 수 있고, 팔안마부 프레임(1920)에는 손 지압부(19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 지압부(1950)에는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이 구비될 수 있다.
팔안마부 프레임(1920)은 팔 안마부(1900) 내부 구성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안마부 프레임(1920)은 철, 합금, 강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손 지압부(1950)는 마사지 장치(1000)의 팔 안마부(1900)에 설치되어 상측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손바닥의 여러 부분을 눌러줄 수 있다. 손 지압부(1950)는 구형상체나 타원 형상체, 돔(dome) 형상체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배열하여 손가락과 손바닥의 임의의 부분을 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돔 형상체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의 혈액 순환을 도와줄 수 있다.
손 지압부(195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지압부(1950)는 철, 합금, 강철,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은 제 2 전극부(19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체성분 측정 모듈(1940)은 제 2 전극부(1942)를 손 지압부(1950)에 결합시키는 제 2 체성분 측정 지지부(1944)를 포함할 수 있다.
손 지압부(1950)에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고, 제 2 전극부(1942)의 적어도 일부는 손 지압부(1950)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제 2 체성분 측정 지지부(194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체성분 측정을 위해 마사지 장치의 자세가 조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부종 상태 결정부(1220)는 생체정보 획득부(121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종 상태 결정부(1220)는 생체전기 저항분석을 이용하여 부종지수 중 하나인 ECW ratio(Extracellular water ratio, 세포외수분 비율)을 개인별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전기 저항분석(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BIA)은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체성분 분석 항목은 체수분(Total body water, TBW), ICW(Intracellular water, 세포내수분) 및 ECW(Extracellular water, 세포외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ICW은 세포막안에 존재하는 수분, ECW는 간질액과 혈장에 있는 수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체수분은 체중의 약 50~70%를 차지하고, 남성은 약 55~60%를 차지하며, 여성은 50~55%를 차지하고, ICW:ECW의 비율은 2:1이 일반적이다.
부종 상태 결정부(1220)는 부종 지수 산출부(1222) 및 부종상태 분류부(1224)로 구성될 수 있다.
부종 지수 산출부(1222)는 생체정보 획득부(1210)로부터 획득한 체성분 정보에 기초하여 부종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부종 지수 산출부(1222)는 전체 체수분 중 세포 바깥쪽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부종지수(혹은 세포외수분비, ECW/TBW)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세포외액(ECW: Extracellular water) 및 체내 총 수분량(TBW: Total body water)을 이용할 수 있다.
부종 지수는 일반적으로 0.360~0.390을 정상범위로 보고, 일반적인 여성은 보통 0.380~0.390 사이로 나오고, 일반적인 남성은 보통 0.375~0.385 사이로 수치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근육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ECW 비율이 높아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부종 지수가 높은 편이다.
본 개시에서는 부종 지수로서 세포외수분비(ECW/TBW)를 채용하였으나, 부종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기설정된 부종 모델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부종 상태 중 사용자의 부종 지수가 해당하는 하나의 부종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부종 상태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고, 본 개시에서는 1레벨부터 4레벨까지 분류된 일 예를 개시하나, 레벨의 개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는 부종 상태 결정부(1220)에서 결정된 부종 상태 즉, 부종의 레벨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모델을 도시하고,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종 모델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모델은 복수의 부종 상태를 소정의 기준치에 기초하여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표준 부종 지수를 이용할 수 있고, 표준 부종 지수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 의한 소견이나 표준 의료 정보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표준 부종 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종 지수를 제1 임계지수 미만인 경우,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정도 및 제2 임계지수 초과인 정도의 3 단계 정도로 나눈 일 예를 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부종 지수가 제1 임계지수 미만인 경우는 부종 상태를 2레벨,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경우는 3레벨, 제2 임계지수 초과인 경우는 4레벨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의 단계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지수는 0.36이고, 제2 임계지수는 0.39일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근육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부종 지수가 높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기 위해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사용자가 여성인지 남성인지에 따라 전술한 부종 상태를 분류하는 임계지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도 9에 도시된 표준 부종 지수를 나타내는 제1 임계지수 및 제2 임계지수의 수치를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여성인지 남성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 인증을 통해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표준 부종 지수를 이용하는 데에 반해, 도 10을 참조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표준 부종 지수에 추가적으로 해당 사용자의 이전 부종 지수들의 평균치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이전 부종 지수 평균치를 고려하면, 사용자의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자의 부종 변화를 반영하게 됨으로써, 마사지를 개인별로 정밀하게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사용자별로 부종 지수를 산출할 때마다 이전에 산출된 부종 지수들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현재 산출된 부종 지수와 상기 평균치 간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X축은 부종 지수를 나타내고, Y축은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와 현재 부종 지수 간의 차이값을 나타낸다.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도 10의 부종 모델에서 사용자의 현재 부종 지수가 제1 임계지수 미만인지,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지, 제2 임계지수 초과인지에 따라서 그리고, 개인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 -)를 초과하는지, 현재 부종지수가 개인 평균치 대비 기준 비교치(+, -) 내외에 해당하는지에 따라서 부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비교치는 +0.01, -0.01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도 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 -) 이내이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3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 -) 이내이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2 임계지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3.5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 -) 이내이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2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3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2 임계지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3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2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이상 제2 임계지수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3.5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2 임계지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4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 대비 현재 부종지수의 차이값이 기준 비교치(+)를 초과하고, 현재 부종지수가 제1 임계지수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2.5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2.5 레벨은 2 레벨과 3 레벨의 중간 레벨을 의미하고, 3.5 레벨은 3 레벨과 4 레벨의 중간 레벨을 의미한다. 차후, 사용자의 부종 레벨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할 때에는 2.5 레벨의 경우, 2 레벨일 때의 마사지 패턴과 3 레벨일 때의 마사지 패턴을 구성하는 조건들의 중간값을 이용하기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사지 장치(1000)를 처음 이용하거나,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마사지 장치(1000)를 통해 부종 지수를 처음 측정하는 경우에,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도 9에 도시된 표준 부종 지수를 이용하는 부종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마사지 장치(1000)를 통해 부종 지수를 측정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표준 부종 지수 및 개인 부종지수 평균치를 이용하는 부종 모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전술한 부종 모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하지 림프 부종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일상생활을 마쳐가는 저녁에 더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오랫동안 서있거나 앉아있으면 중력에 의해 다리에 피가 쏠리면서 부종이 생기기 쉬워지는 탓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시점이 하루 중 어느 시간대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전술한 부종 상태를 분류하는 소정의 기준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부종 상태 분류부(1224)는 도 9에 도시된 표준 부종 지수를 나타내는 제1 임계지수 및 제2 임계지수의 수치를 기 설정된 아침 시간 및 저녁 시간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시간에는 제1 임계지수를 0.36에서 0.35로, 저녁 시간에는 0.37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임계지수를 아침 시간에는 0.39에서 0.38로, 저녁시간에는 0.4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아침 시간 및 저녁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제1 임계지수를 0.36으로 제2 임계지수를 0.39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시점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분류하게 되면, 동일한 부종 지수가 산출되었더라도, 부종 측정 시점이 하루 중 어느 시간대이냐에 따라서 부종 모델에서 분류되는 부종의 레벨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침시간에 사용자의 부종지수가 0.39인 경우에는 부종 상태가 4레벨에 해당하지만, 저녁시간에는 사용자의 부종지수가 0.39로 동일하더라도, 부종 상태가 3 레벨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부종 지수가 동일하지만 아침 시간에는 상대적으로 부종의 경우가 심한 상황임을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대에 따라 다른 부종의 심각성의 정도를 고려하여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는 사용자의 부종 레벨을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종 상태뿐만 아니라 부종이 발생한 시간대 조건을 반영하기 때문에 시간대에 따라 상이한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사용자의 성별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림프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프 마사지 패턴을 구성하는 마사지 조건의 일 예를 도시하는 표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부종 상태에 따라 하지직거상을 구현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마사지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림프 마사지를 제공하기 위해 바디 마사지부(100) 및 다리 마사지부(300) 간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는 부종 상태 결정부(122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부종 레벨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마사지 패턴은 하지직거상을 구현하는 바디 마사지부(100)의 기울기, 다리 마사지부(300)의 기울기,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제공하는 마사지 제공 시간 및 마사지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에어셀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종 상태가 심할수록 부종 레벨이 높게 결정되고, 부종 레벨이 높을수록 마사지 강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부종 상태가 심할수록 부종을 완화시키기 위해 마사지 강도를 높여 림프 순환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강도가 높을수록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시간이 길고, 에어셀의 압력이 세며, 바디 마사지부(100)보다 다리 마사지부(300)의 위치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1 레벨인 경우, 에어셀의 압력은 기본 설정값(A)으로 하고, 2 레벨인 경우, 에어셀의 압력을 A보다 10% 증가시키고, 3 레벨인 경우 에어셀의 압력을 A보다 15% 증가시키며, 4 레벨인 경우 에어셀의 압력을 A보다 20%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셀의 압력은 에어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에어셀은 마사지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에어셀들을 통칭할 수도 있고, 다리 마사지부(300)에 구비된 에어셀에 국한시킬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가 1 레벨인 경우 (a)와 같이 바디 마사지부(100)와 다리 마사지부(300)가 거의 평행한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부종 상태 2 레벨 이상에서부터는 바디 마사지부(100)보다 다리 마사지부(300)의 위치를 높여 하지직거상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패턴 결정부(1230)는 부종 상태가 2레벨인 경우 바디 마사지부(100)를 평행선으로부터 30도 정도 내리는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3 레벨인 경우 바디 마사지부(100)를 평행선으로부터 30도 정도 내리는 방향으로 기울이고, 다리 마사지부(300)를 평행선으로부터 30도 정도 올리는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4 레벨인 경우 바디 마사지부(100)를 평행선으로부터 30도 정도 내리는 방향으로 기울이고, 다리 마사지부(300)를 평행선으로부터 45도 정도 올리는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똑바로 선 자세나 앉은 자세에서 다리쪽으로 흐르는 혈액은 심장으로 돌아올 때 중력을 거스르면서 위로 올라가는데, 심장의 펌프 능력의 한계나 근력의 약화 등으로 인해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오기가 어려운 일이다. 혈액뿐만이 아니라 우리 몸 속을 순환하는 림프와 수분 또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하체에 쌓이기 쉽고, 특히 림프는 심장과 같은 펌프없이 림프관 주위의 근육이 이완과 수축을 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근력약화에 따라 순환이 원활하지 않기가 쉽다. 이렇게 쌓인 림프와 수분이 부종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본 개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여 마사지 장치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함으로써, 다리에 모여있던 림프와 수분을 하반신에서 상반신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부종 완화에 효과를 갖는다.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는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평소 혈액이 돌아오기 힘든 부위에서도 혈액이 흐르기 쉬워지고, 혈류량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혈액순환이 촉진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는 부종 상태에 따라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하반신을 들어올리는 높이, 하지직거상의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시간 및 에어셀에 의한 마사지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부종 상태가 심할수록 마사지 강도를 높여 림프 순환을 더욱 촉진하는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 마사지 장치는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사지 장치가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한 바 있다.
단계 S120에서 마사지 장치는 상기 획득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사지 장치가 사용자의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한 바 있다.
단계 S130에서 마사지 장치는 사용자의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마사지 장치가 사용자의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부종 상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마사지 패턴 결정부;
    사용자의 상반신을 수용하는 바디 마사지부;
    사용자의 하반신을 수용하는 다리 마사지부;
    를 포함하고는,
    상기 부종 상태 결정부는,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체성분 정보에 기초하여 체지방률, 세포외 체액 비율(ECF/TBF) 및 세포내 체액 비율(ECW/TBW)를 산출하고, 상기 체지방률, 세포외 체액 비율(ECF/TBF) 및 세포내 체액 비율(ECW/TBW)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산출하는 부종 지수 산출부; 및
    기설정된 부종모델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부종상태 중 상기 부종 지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부종 지수가 해당하는 하나의 부종 상태를 선택하는 부종 상태 분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 패턴 결정부는 상기 부종 상태 분류부에서 선택된 부종상태에 기초하여 하지직거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 마사지부의 기울기, 상기 다리 마사지부의 기울기 및 하지직거상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마사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종모델은,
    상기 복수의 부종상태를 소정의 기준치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표준 부종 지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마사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해당 사용자의 이전 부종 지수들의 평균치를 더 고려하여 설정되는,
    마사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종 상태 분류부는,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시점이 하루 중 어느 시간대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상기 소정의 기준치를 가변 조정하는,
    마사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부종 상태에 따라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종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생체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체성분 정보에 기초하여 체지방률, 세포외 체액 비율(ECF/TBF) 및 세포내 체액 비율(ECW/TBW)를 산출하고;
    상기 체지방률, 세포외 체액 비율(ECF/TBF) 및 세포내 체액 비율(ECW/TBW)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산출하며;
    기설정된 부종모델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부종상태 중 산출된 부종 지수에 해당하는 하나의 부종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마사지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부종 상태 분류부에서 선택된 부종상태에 기초하여 하지직거상을 구현하기 위한 바디 마사지부의 기울기, 다리 마사지부의 기울기 및 하지직거상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마사지 방법.
KR1020180138847A 2018-11-13 2018-11-13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10213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47A KR102134973B1 (ko) 2018-11-13 2018-11-13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47A KR102134973B1 (ko) 2018-11-13 2018-11-13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511A Division KR20200084842A (ko) 2020-07-02 2020-07-02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18A KR20200055318A (ko) 2020-05-21
KR102134973B1 true KR102134973B1 (ko) 2020-07-16

Family

ID=7091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47A KR102134973B1 (ko) 2018-11-13 2018-11-13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50B1 (ko)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102295187B1 (ko) 2021-02-03 2021-09-01 (주) 보종 림프부종테라피와 전신온열 교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49018A (ko) 2022-04-19 2023-10-26 (주)에스원바이오 림프부종 진단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치료 가이드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3757A (zh) * 2020-03-12 2022-10-25 泰尔茂株式会社 医疗器械
CN114224696B (zh) * 2021-12-31 2024-01-19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按摩器控制方法及其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644A (ja) 1999-06-09 2000-12-12 Ya Man Ltd マッサージチェア
JP4501677B2 (ja) * 2004-12-22 2010-07-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エア式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40U (ko) * 2006-12-29 2008-07-03 임명수 안마 지압 기능을 갖는 다리 받침대
KR20170129511A (ko) * 2016-05-17 2017-11-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종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644A (ja) 1999-06-09 2000-12-12 Ya Man Ltd マッサージチェア
JP4501677B2 (ja) * 2004-12-22 2010-07-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エア式マッサージ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50B1 (ko)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102295187B1 (ko) 2021-02-03 2021-09-01 (주) 보종 림프부종테라피와 전신온열 교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49018A (ko) 2022-04-19 2023-10-26 (주)에스원바이오 림프부종 진단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치료 가이드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18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973B1 (ko)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102134998B1 (ko) 체성분 측정을 위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3943955B2 (ja) 深部静脈血栓症判定装置
CN213911263U (zh) 按摩椅
CN112367957A (zh) 提供松弛疗法按摩的方法和装置
KR20220153528A (ko) 혈압, 심전도 및 체성분을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CN111050724A (zh) 解酒或助消化的按摩装置及控制方法
KR20230144978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KR20200084842A (ko)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Levin et al. Use of segmental multifrequency bioimpedance spectroscopy in hemodialysis
US20230277406A1 (en) Massage device to control the massage module
KR102187803B1 (ko) 스트레스 지수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KR20230105616A (ko) 체성분 측정 결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맞춤형 모드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KR102406737B1 (ko) 심전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572496B1 (ko) 체성분 및 심전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42309B1 (ko) 생체 정보와 연동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102556537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CN113995584A (zh) 一种预防孕妇久坐及适度按摩的座椅
Lai et al.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of a Cost-effective Pressure Ulcer-Preventing Mattress
KR20230081548A (ko) 복수의 팔 마사지부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마사지 장치
CN108186311A (zh) 一种足底按摩器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