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511A - 부종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부종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511A
KR20170129511A KR1020160060318A KR20160060318A KR20170129511A KR 20170129511 A KR20170129511 A KR 20170129511A KR 1020160060318 A KR1020160060318 A KR 1020160060318A KR 20160060318 A KR20160060318 A KR 20160060318A KR 20170129511 A KR20170129511 A KR 2017012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ema
volume
diagnosis
measuring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용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9511A/ko
Publication of KR2017012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A61B5/4878Evaluating oede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3Measuring volume, e.g. of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는, 팔 또는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 팔 또는 다리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분석부; 및 상기 부피측정부에서 측정한 부피측정치와, 상기 체성분분석부에서 분석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팔 및 다리의 부종을 진단하는 부종진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에 의하면, 제 1부종진단부재를 통해 부피측정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하고, 제 2 부종진단부재를 통해 체성분분석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부종진단부재를 이용하여,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제 2 부종진단부재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함으로써 최종적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팔 또는 다리의 부피와 체성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부종의 정도를 올바르게 진단을 할 수 있으며, 근육의 위축현상으로 인하여 부피변화가 나타나지 아니하는 림프부종의 진단 또한 가능하다. 더불어 이전에 측정된 부종진단값과 비교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부피와 체성분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부종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고,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에 따른 부종의 진단을 할 수 있어 부종진단의 정확성이 높다.

Description

부종 진단장치{Evaluation of lymphedema}
본 발명은 부종을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지 림프부종 환자의 팔, 다리의 부종의 진단에 있어서 정확성을 높인 부종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종은 몸이 붓는 증상으로, 몸의 어느 한 부분이나 전체에서 혈액 또는 림프액 순환의 장애로 발병한다. 부종 중에서도 림프부종은 림프관이 손상되거나 막혀, 림프액이 피하에 축적되어 팔 및 다리가 붓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림프부종은 발병부위에 세포외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림프부종은, 팔 및 다리의 둘레나, 부피를 측정하여 몸이 부은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부종을 진단한다. 정확한 부종의 진단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같은 시간에 같은 부위를 측정하여 판단 할 수 있으며, 부은쪽과 붓지 않은쪽을 비교하여 진단할 수 있다.
종래의 신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8341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신체의 부피를 측정하여부종을 진단하는 방법은 단순히 측정한 팔 다리의 부피에 따라 부종의 정도를 판단하므로, 부종이 진행되고 있으나 근육의 위축현상으로 팔 또는 다리의 부피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부정확한 부종진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부종 부위의 부피와 체성분을 측정하여 부종을 진단함으로써 정확성을 높인 부종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는, 팔 또는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 팔 또는 다리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분석부; 및 상기 부피측정부에서 측정한 부피측정치와, 상기 체성분분석부에서 분석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팔 또는 다리의 부종을 진단하는 부종진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피측정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측정홀이 형성되어, 팔 또는 다리를 상기 측정홀에 관통시켜, 광전자를 이용하여 부피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성분분석부는, 팔 또는 다리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부재와, 상기 전류인가부재에 의하여 인가된 전류의 흐름을 바탕으로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측정부재와,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재의 임피던스측정치에 따라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분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성분 분석부재는, 체내수분량을 판단하는 수분량판단장치와, 상기 체내수분량에서 세포외액량을 판단하는 세포외액량판단장치와, 상기 체내수분량과, 상기 세포외액량을 바탕으로 세포외액률을 분석하는 세포외액률분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종 진단부는, 상기 부피측정부에서 측정된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체성분분석부에서 분석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제 2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제 2 부종진단부재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하여 최종적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최종 부종진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종 진단부는,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에 의하면, 제 1부종진단부재를 통해 부피측정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하고, 제 2 부종진단부재를 통해 체성분분석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부종진단부재를 이용하여,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제 2 부종진단부재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함으로써 최종적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팔 또는 다리의 부피와 체성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부종의 정도를 올바르게 진단을 할 수 있으며, 근육의 위축현상으로 인하여 부피변화가 나타나지 아니하는 림프부종의 진단 또한 가능하다. 더불어 이전에 측정된 부종진단값과 비교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부피와 체성분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부종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고,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에 따른 부종의 진단을 할 수 있어 부종진단의 정확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종진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종진단장치의 체성분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부종진단장치의 체성분분석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부종진단장치의 부종진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10)는,팔 및 다리의 부종을 진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부피측정부(100), 체성분분석부(200), 부종진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팔 및 다리는 부종진행 부위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팔 및 다리 외에도 다른 신체부위에 적용가능 할 것이다.
상기 부피측정부(100)는 팔 또는 다리의 부피를 측정한다. 즉 상기 부피측정부(100)는 팔 또는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거나, 팔 및 다리의 부피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피측정부(100)는 팔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분절하여, 분절부위별 부피를 측정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피측정부(100)가 팔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분절하여, 분절부위별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후술(後述) 할 부종진단부(300)를 통하여 분절부위별 부종의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부피측정부(100)는 광전자공학을 사용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는 것으로, 베이스판(110), 수직바(120) 및 측정수단(130)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평평한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면에 팔 및 다리의 일측을 맞닿도록 위치시켜 상기 팔 및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측정수단(130)은 상기 수직바(1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판(110)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바(120)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한다. 상기 측정수단(130)은 내부가 관통된 측정홀(130h)이 형성된다. 상기 측정홀(130h)에 팔 및 다리를 관통시킨 후 광전자를 이용하여 관통된 팔 및 다리의 부피를 측정한다. 즉 팔 및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홀(130h)에 팔 및 다리를 관통시킨 후, 상기 측정수단(130)이 상기 수직바(120)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하며 부피를 측정한다.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팔 또는 다리의 체성분을 측정한다. 즉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팔 또는 다리 중 어느 하나의 체성분을 측정하거나, 팔 및 다리의 체성분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팔 또는 다리를 선택적으로 분절하여, 분절부위별 체성분을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체성분분석부(200)가 측정부위를 선택적으로 분절하여, 분절부위별 체성분을 측정함으로써 후술(後述) 할 부종진단부(300)를 통하여 분절부위별 부종의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상기 부피측정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피측정부(100)와 상기 체성분분석부(200)가 일체형 또는 측정부위에 따라 혼재된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팔 및 다리에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고,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신체 내 수분량을 바탕으로 체성분을 분석한다. 상기 체성분분석부(200)는 전류인가부재(210), 임피던스측정부재(220), 체성분분석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인가부재(210)는 팔 및 다리에 전류를 인가하는 수단으로, 팔 및 다리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류인가부재(210)는 상기 전류인가부재(210)에 구비된 전극을 신체의 부위에 접촉시켜 신체 내로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재(220)는 상기 전류인가부재(210)에 의하여 인가된 전류의 체내 흐름에 따라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부위별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재(220)는 다주파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파수에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되는 저항값에 따라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분석부재(230)는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재(220)의 임피던스측정치에 따라 체성분을 분석한다. 즉 상기 체성분분석부재(230)는 각 주파수에 따른 체내의 전류 흐름을 분석하여 체내의 부위별 총 수분량, 세포외액의 량, 세포내액의 량, 지방량 등을 분석한다. 상기 체성분분석부재(230)는 수분량판단장치(231)와 세포외액량판단장치(232)와 세포외액률분석장치(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량판단장치(231)는 체내 총 수분량을 판단한다. 즉 상기 수분량판단장치(231)는 수분량을 판단하기 위한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바탕으로 측정된 저항값으로 체내의 수분의 총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액량판단장치(232)는 상기 체내수분량 중에서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양을 판단한다. 즉 상기 세포외액량판단장치(232)는 상기 수분량판단장치(231)에서 측정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흐르는 전류량을 바탕으로 측정된 저항값으로 세포외액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외액률분석장치(233)는 상기 수분량판단장치(231)에서 판단된 체내수분량과, 상기 세포외액량판단장치(232)에서 판단된 세포외액량을 바탕으로 체내 세포외액률을 분석한다. 즉 상기 세포외액률분석장치(233)를 통하여 신체 내 총수분량 중에서 세포 외액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값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부종진단부(300)는, 상기 부피측정부(100)에서 측정한 부피측정치과, 상기 체성분분석부(200)에서 측정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팔 및 다리의 부종을 진단한다. 상기 부종진단부(300)는, 팔 및 다리의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종의 정도를 세분화 하여 진단할 수 있어 정확성이 높다. 상기 정상범위, 약한부종 및 부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심한부종 등의 범위를 적용시켜 더 세분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부종진단부(300)는 제 1 부종진단부재(310), 제 2 부종진단부재(320) 및 최종 부종진단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310)는 상기 부피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한다.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310)는 상기 부피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평균치 및 붓기가 없는 부위의 팔 및 다리의 부피와 비교하여 부종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피측정부(100)는 부종 부위의 팔 및 다리의 부피를 측정한 부피측정치와, 이전에 측정한 팔 및 다리의 부피측정치를 비교하여 부종을 진단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310)는 상기 부피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팔 및 다리의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팔 및 다리의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종진단부재(320)는 상기 체성분분석부(200)에서 측정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한다. 즉 상기 제 2부종진단부재(320)는 상기 세포외액률분석장치(233)에서 측정된 세포외액률에 따라 부종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부종진단부재(320)는 측정된 세포외액률이 이전에 측정된 세포외액률의 값과 비교하여 부종의 정도를 판단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종진단부재(320)는 상기 체성분분석부(200)에서 분석된 팔 및 다리의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팔 및 다리의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부종진단부재(330)는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310)와 상기 제 2 부종진단부재(320)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하여 최종적인 부종을 진단한다. 즉 상기 부피측정치(100)에서 측정된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진단한 제 1 부종진단부재(310)의 부종진단값과, 상기 체성분분석부(200)에서 분석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진단한 제 1부종진단부재(320)의 부종진단값을 취합하여 최종적인 부종의 정도를 진단한다. 또한 상기 최종 부종진단부재(330)는 팔 및 다리의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부종진단부재(330)를 통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와 체성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확한 부종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이전에 측정된 부종진단값과 비교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에 따른 부종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종 진단장치(10)에 의하면, 제 1부종진단부재(310)를 통해 부피측정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하고, 제 2 부종진단부재(320)를 통해 체성분분석치에 따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부종진단부재(330)를 이용하여, 제 1 부종진단부재(310)와 제 2 부종진단부재(320)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함으로써 최종적인 부종을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팔 및 다리의 부피와 체성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부종의 정도를 올바르게 진단을 할 수 있어, 부종진단의 정확성이 높다. 더불어 이전에 측정된 부종진단값과 비교하여,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팔 및 다리의 부피 및 체성분의 변화에 따른 부종의 진단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부종 진단장치 100 : 부피측정부
110 : 베이스판 120 : 수직바
130 : 측정수단 130h : 측정홀
200 : 체성분분석부 210 : 전류인가부재
220 : 임피던스 측정부재 230 : 체성분 분석부재
231 : 수분량 판단장치 232 : 세포외액량 판단장치
233 : 세포외액률 분석장치 300 : 부종진단부
310 : 제 1 부종진단부재 320 : 제 2 부종진단부재
330 : 최종 부종진단부재

Claims (6)

  1. 팔 또는 다리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
    팔 또는 다리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분석부; 및
    상기 부피측정부에서 측정한 부피측정치와, 상기 체성분분석부에서 분석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팔 및 다리의 부종을 진단하는 부종진단부를 포함하는 부종 진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피측정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판과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측정홀이 형성되어, 팔 또는 다리를 상기 측정홀에 관통시켜, 광전자를 이용하여 부피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부종 진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분석부는,
    팔 또는 다리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인가부재와,
    상기 전류인가부재에 의하여 인가된 전류의 흐름을 바탕으로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측정부재와,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재의 임피던스측정치에 따라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분석부재를 포함하는 부종 진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분석부재는,
    체내수분량을 판단하는 수분량판단장치와,
    상기 체내수분량에서 세포외액량을 판단하는 세포외액량판단장치와,
    상기 체내수분량과, 상기 세포외액량을 바탕으로 세포외액률을 분석하는 세포외액률분석장치를 포함하는 부종 진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종진단부는,
    상기 부피측정부에서 측정된 부피측정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체성분분석부에서 분석한 체성분분석치를 바탕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제 2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제 1 부종진단부재와 상기 제 2 부종진단부재의 부종진단 결과를 취합하여 최종적으로 부종을 진단하는 최종 부종진단부재를 포함하는 부종 진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종 진단부는,
    부종의 정도를,
    정상범위, 약한 부종 및 부종으로 분류하여 진단하는 부종 진단장치.
KR1020160060318A 2016-05-17 2016-05-17 부종 진단장치 KR20170129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18A KR20170129511A (ko) 2016-05-17 2016-05-17 부종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18A KR20170129511A (ko) 2016-05-17 2016-05-17 부종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11A true KR20170129511A (ko) 2017-11-27

Family

ID=6081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318A KR20170129511A (ko) 2016-05-17 2016-05-17 부종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95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18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210109742A (ko) 2020-02-28 2021-09-07 (주)에스원바이오 림프부종 진단을 위한 씨암형 촬영장치
KR102324611B1 (ko) 2020-08-13 2021-11-1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102327171B1 (ko) 2020-08-13 2021-1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318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부종 상태를 고려하여 림프순환을 돕는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210109742A (ko) 2020-02-28 2021-09-07 (주)에스원바이오 림프부종 진단을 위한 씨암형 촬영장치
KR102324611B1 (ko) 2020-08-13 2021-11-1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102327171B1 (ko) 2020-08-13 2021-1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1185A1 (en) Electrical impedance myography
KR20170129511A (ko) 부종 진단장치
US10070800B2 (en) Impedance measurement process
Novak Electrochemical skin conductance correlates with skin nerve fiber density
US9149235B2 (en) Oedema detection
US20170049390A1 (en) Body parameter detecting method and body parameter detecting device
US20170122794A1 (en) Combinatio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at least one further body parameter of a subject
CN103149177A (zh) 压力调制近红外光谱实现生物组织检测的装置和方法
Yang et al. Measurement of fluid status using bioimpedance methods in Korean pediatric patients on hemodialysis
Schneebeli et al. Real-time sonoelastography using an external reference material: test–retest reliability of healthy Achilles tendons
CN111812180B (zh) 一种识别试样类型或故障类型的方法及生物传感器装置
Moura Cunha et al. Quantit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chronic liver disease
CN109620270B (zh) 一种肌张力评估方法及装置
Ward Is BIS ready for prime time as the gold standard measure
Bogónez-Franco et al. Effect of electrode contact impedance mismatch on 4-electrode measurements of small body segments using commercial BIA devices
Konstantynowicz et al. Thigh circumference as a useful predictor of body fat in adolescent girls with anorexia nervosa
RU2666945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агрегационной активности тромбоцитов
Ohara et al.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between commercially availabl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ystem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body composition assessment in 10–14-year-old children
WO2020118710A1 (zh) 一种肌张力评估方法及装置
SE544094C2 (en) Medical device for analyzing epithelial barrier function using electrical impedance spectroscopy
RU2299681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тепени тяжести психовегетативных расстройств при синдроме постовариэктомии
CN104545910A (zh) 慢性病早期电生理检测方法和系统
Bailey et al. Evaluation in volunteers of the VIA V-ABG automated bedside blood gas, chemistry, and hematocrit monitor
RU164771U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печеночной энцефалопатии
Anush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and-to-hand multifrequency bioimpedance measurement scheme for Total Body Water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