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355B1 -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355B1
KR102133355B1 KR1020180117510A KR20180117510A KR102133355B1 KR 102133355 B1 KR102133355 B1 KR 102133355B1 KR 1020180117510 A KR1020180117510 A KR 1020180117510A KR 20180117510 A KR20180117510 A KR 20180117510A KR 102133355 B1 KR102133355 B1 KR 10213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rd
winder
cap pl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92A (ko
Inventor
김신남
Original Assignee
김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남 filed Critical 김신남
Priority to KR102018011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3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8Handling tyre parts or semi-finished parts, excluding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캡 플라이(Cap Ply) 코드를 와인딩하여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캡 플라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가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할 수 있도록, 캡 플라이 코드를 상기 와인더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와인더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며 상기 와인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는 각각 승·하강하는 복수의 도르래를 이용하여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라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Cap Ply}
본 발명은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는 개략적으로 내측 고무막, 내측 고무막의 외곽에 배치되며 충격을 견디고 주행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벨트, 벨트의 외곽에 배치되어 원심력으로 인한 재료의 팽창 또는 수축을 방지하는 캡 플라이(Cap Ply) 및 최외곽에 배치되는 외측 고무막으로 형성된다.
캡 플라이 코드가 벨트까지 형성된 타이어 케이스에 와인딩됨으로써, 캡 플라이가 형성된다. 종래의 캡 플라이 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캡 플라이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와인더(110)가 드럼(115)에 배치된 타이어 케이스로 공급부(130)가 공급하는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며, 캡 플라이가 공급된다. 이때, 버퍼(120)와 와인더(110) 사이의 구간(140)에 와인더(110)가 와인딩을 하기 위해 작용하는 장력이 작용하는데, 해당 구간(140)에 작용하는 장력은 대략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다.
도 2는 종래의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캡 플라이 공급장치(100)가 캡 플라이를 공급하기 위해, 와인더(110)가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기 시작하면서, 일정 시점(t1)까지 해당 구간(140)에 급격하게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큰 장력이 발생한 시점이 지난(t2) 후, 균일하지 않은 장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버퍼(120)는 캡 플라이 코드가 와인딩되더라도 최소한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한다. 그러나 버퍼 내 포함된 움직 도르래가 와인딩되거나, 공급부(130)에 의해 캡 플라이 코드가 공급되는 속도에 유연하게 승·하강하지 못하며 전술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공급되는 캡 플라이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인딩시 작용하는 장력을 공급되는 캡 플라이 코드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어하며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캡 플라이(Cap Ply) 코드를 와인딩하여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캡 플라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가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할 수 있도록, 캡 플라이 코드를 상기 와인더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와인더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며 상기 와인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는 각각 승·하강하는 복수의 도르래를 이용하여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라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버퍼는 승·하강하는 도르래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실린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도르래는 각 실린더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상에서 각각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인더를 이용하여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는 과정과 버퍼 내 포함된, 각각 승·하강하는 복수의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를 상승시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을 감소시키는 과정과 캡 플라이 코드를 공급하는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 속도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 속도에 따라, 버퍼 내 포함된 복수의 도르래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라이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인딩시 작용하는 장력을 공급되는 캡 플라이 코드의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캡 플라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캡 플라이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플라이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플라이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플라이 공급장치(300)는 와인더(310), 버퍼(320), 공급부(330), 압력제어 밸브(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와인더(310)는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한다. 와인더(310)는 타이어 케이스가 배치될 드럼(315)을 포함하여, 드럼(315) 상에 배치된 타이어 케이스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한다.
버퍼(320)는 와인더(310)와 공급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길이를 확보하며 와인더(3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버퍼(320)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를 포함하여, 캡 플라이 코드가 적어도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캡 플라이 코드의 공급부가 별도의 버퍼 없이 바로 와인더에 연결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와인더의 와인딩 속도가 공급부의 공급 속도보다 빠를 경우, 와인더가 와인딩하며 캡 플라이 코드를 잡아당기는 장력이 커지며 캡 플라이 코드가 손상될 수 있고, 심하면 캡 플라이 코드가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버퍼(320)가 와인더(310)와 공급부(330)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함으로써, 캡 플라이 코드가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하며 파손없이 유연하게 와인딩될 수 있도록 한다. 와인더의 와인딩 속도가 공급부의 공급 속도보다 빠를 경우, 버퍼(320) 내 포함된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들이 상승하며 캡 플라이 코드가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와인더의 와인딩 속도가 공급부의 공급 속도보다 느릴 경우, 버퍼(320) 내 포함된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들이 하강하며, 캡 플라이 코드가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 이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버퍼(320)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와 함께,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 각각이 승·하강할 실린더(328a 내지 328d)를 포함한다. 움직 도르래(324a)는 실린더(328a) 상에 배치되어, 다른 움직 도르래들(324b 내지 324d)와는 무관하게 단독으로 실린더(328a)에서 승·하강하며, 다른 움직 도르래도 마찬가지이다.
종래에는 각각의 움직 도르래들이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와인더가 막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려고 하는 경우, 버퍼 내 포함된 움직 도르래들이 이에 대응하는 데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움직 도르래들이 와인더가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상승함에 있어, 모든 움직 도르래들이 상승해야 했기 때문에, 와인딩되기 위해 제공되는 캡 플라이 코드에 큰 장력이 인가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320)는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 상을 개별적으로 승·하강하는 복수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를 포함하기 때문에, 와인더(310)가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버퍼(320)와 와인더 사이 영역(360, 이하에서 '제1 영역'이라 칭함)에 위치하는 캡 플라이 코드로 와인더(310)에 의한 장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경우, 와인더(310)에 가장 근접한 움직 도르래(324a)가 상승하게 된다. 하나의 움직 도르래만이 상승하면 되기 때문에, 제1 영역(360)으로 작용하는 장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하나의 움직 도르래만이 상승한 상태에서 여전히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의 공급 속도가 와인더(310)의 와인딩 속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움직 도르래(324a) 다음으로 와인더(310)에 근접한 움직 도르래(324b)가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의 공급 속도가 와인딩 속도를 만족시키지 못한 상태라 하더라도,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의 승·하강으로 캡 플라이 코드의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움직 도르래가 독립적으로 승·하강하기 때문에, 제1 영역(360)에 위치하는 캡 플라이 코드로 큰 크기의 장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급부(330)는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더(310)로 공급한다. 공급부(330)는 와인더(310)에 의해 캡 플라이로 와인딩 될 캡 플라이 코드를 공급한다. 공급부(330)는 모터로 구현되어, 캡 플라이 코드가 감겨있는 보빈(Bobbin)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급할 수 있다.
압력 제어밸브(340a, 340b)는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의 상·하부에 연결되어, 실린더 상의 움직 도르래(324a 내지 324d)의 승·하강을 유도한다. 도 3에는 압력 제어밸브(340a, 340b)가 하나의 실린더(328a)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 모두에 각각 연결된다. 압력 제어밸브(340a, 340b)는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의 상·하부에 연결되어,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의 상·하부로 유체(예를 들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한다. 움직 도르래를 기준으로 실린더의 상부의 압력이 하부보다 커지는 경우, 압력 제어밸브(340a)는 실린더 상부에 있는 유체를 유출시켜 실린더 상부의 압력을 낮추고, 반대로, 압력 제어밸브(340b)는 실린더 하부로 유체를 유입시켜 실린더 하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실린더 상의 움직 도르래는 승강한다. 압력 제어밸브(340a, 340b)가 반대로 동작할 경우, 실린더 상의 움직 도르래는 하강한다.
제어부(350)는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에 따라, 압력 제어밸브(340a, 340b)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센서(미도시)로부터 공급부(330)로 제공되는 전원이나 공급부(330)의 회전속도 등의 센싱값을 수신하여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를 파악한다. 이후, 제어부(350)는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속도는 와인더(310)의 와인딩 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는 최초로 와인더(310)가 와인딩을 개시한 상태에서, 공급부(330)가 캡 플라이 코드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반대로,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는 공급부(330)가 충분한 속도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더(310)로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50)는 각 실린더 상부 또는 하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하여 압력 제어밸브(340a, 340b)를 제어한다. 와인더(310) 및 공급부(330)가 동작하지 않는 평상시 상태에서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 상부의 압력과 하부의 압력은 기 설정된 기준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실린더 상부의 압력은 1.7Bar일 수 있고, 실린더 하부의 압력은 2.0Bar일 수 있다. 제어부(350)는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에 포함되거나, 압력 제어밸브(340a, 340b)에 포함된 압력 센서로부터 각 실린더(328a 내지 328d) 상부의 압력과 하부의 압력 값을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350)는 각 부위의 압력이 변화하는지를 판단한다. 실린더(328a) 상부의 압력이 기준치보다 커진다는 것은 실린더(328a) 상의 움직 드르래(324a)가 상승을 시작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50)는 상승한 실린더(328a) 상부의 압력이 기준치와 일치(하강)할 때까지 압력 제어밸브(340a)를 제어하고, 하강한 실린더(328a) 하부의 압력이 기준치와 일치할 때까지 제어밸브(340b)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가 유체를 유출하도록 압력 제어밸브(340a)를 제어하고, 압력 제어밸브(340b)가 유체를 유입하도록 압력 제어밸브(340b)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움직 드르래(324a)가 상승하게 된다. 움직 드르래(324a)는 와인더(310)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 뿐만 아니라, 제어부(350)의 각 압력 제어밸브(340a, 340b) 제어에 의해서 함께 상승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움직 드르래가 장력에 의해서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장력 뿐만 아니라 유압 차에 의해서도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제1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력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다만,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는 캡 플라이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는 확보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높이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한편, 움직 드르래(324a)가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였음에도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50)는 다른 움직 드르래(324b)에 대해 전술한 제어를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상승시킨다. 모든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가 상승하는 경우, 캡 플라이 코드의 길이는 와인더(310)가 와인딩하더라도 캡 플라이 코드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한다. 제어부(350)는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 및 각 움직 드르래의 높이에 따라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서도 제1 지역에 과도한 장력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 340b)를 제어한다.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더 이상 캡 플라이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움직 드르래(324a)부터 차례로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50)가 움직 드르래(324a)를 하강시키기 위해, 전술한 방법의 반대로 압력 제어밸브(340a, 340b)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와 각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의 높이를 고려하여, 각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를 즉각적이고 유연하게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영역에 작용하는 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인더(310)가 와인딩을 시작하였을 경우(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의 버퍼(320) 내 각 움직 드르래(324a 내지 324d)의 동작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50)는 움직 드르래(324a)를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50)는 차례로 움직 드르래(324b 내지 324d)를 상승시킨다.
반대로,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5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움직 드르래(324a)부터 움직 드르래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350)는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50)는 와인더(310) 측에 가까운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의 상승을 인지한다(S520). 제어부(350)는 실린더(328a) 상부 및 하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움직 드르래(324a)의 상승을 인지한다.
제어부(350)는 상부 및 하부의 압력 제어밸브(340a 및 340b)를 제어한다(S530).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가 유체를 유출하도록, 압력 제어밸브(340b)가 유체를 유입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의 상승을 유도한다(S540).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 및 340b)를 제어함으로써,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가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에 따라, 와인더(310) 측에서부터 가까운 움직 드르래 순으로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상승을 유도한다(S550).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350)는 와인더(310) 측에 가까운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의 하강을 인지한다(S560). 제어부(350)는 실린더(328a) 상부 및 하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움직 드르래(324a)의 하강을 인지한다.
제어부(350)는 상부 및 하부의 압력 제어밸브(340a 및 340b)를 제어한다(S570).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가 유체를 유입하도록, 압력 제어밸브(340b)가 유체를 유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의 하강을 유도한다(S580). 제어부(350)는 압력 제어밸브(340a 및 340b)를 제어함으로써, 최외곽 움직 드르래(324a)가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공급부(330)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속도에 따라, 와인더(310) 측에서부터 가까운 움직 드르래 순으로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하강을 유도한다(S590).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캡 플라이 공급장치
110, 310: 와인더
115, 315: 드럼
120, 320: 버퍼
324a 내지 324d: 움직 드르래
328a 내지 328d: 실린더
130, 330: 공급부
140, 360: 제1 영역
340a, 340b: 압력 제어밸브
350: 제어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캡 플라이 공급장치가 캡 플라이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인더를 이용하여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는 과정;
    버퍼 내 포함된, 각각 승·하강하는 복수의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를 상승시켜, 캡 플라이 코드를 와인딩하며 발생하는 장력을 감소시키는 과정;
    캡 플라이 코드를 공급하는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 속도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공급부의 캡 플라이 코드 공급 속도에 따라, 버퍼 내 포함된 복수의 도르래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플라이 공급방법.

KR1020180117510A 2018-10-02 2018-10-02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KR10213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0A KR102133355B1 (ko) 2018-10-02 2018-10-02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0A KR102133355B1 (ko) 2018-10-02 2018-10-02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92A KR20200037992A (ko) 2020-04-10
KR102133355B1 true KR102133355B1 (ko) 2020-07-13

Family

ID=7029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510A KR102133355B1 (ko) 2018-10-02 2018-10-02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3082A1 (de) 2021-03-26 2022-09-2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Gürtelbandage
NL2027902B1 (en) * 2021-04-01 2022-10-17 Vmi Holland Bv Buffer system and method for buffering a length of a strip between an input side and an output side,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27B1 (ko) * 2015-10-14 2016-07-15 노아이엔지 주식회사 시트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방수시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01B1 (ko) * 1989-09-25 1991-10-05 한국타이어제조 주식회사 타이어성형기의 플라이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27B1 (ko) * 2015-10-14 2016-07-15 노아이엔지 주식회사 시트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방수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92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355B1 (ko) 캡 플라이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23458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하기 위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현수장치 구조물, 데이타 기억장치, 현수장치를 슬라이더에 부착하는 방법
WO2009133604A1 (ja) エレベータの緩衝器
CN110510465A (zh) 一种强驱电梯启动控制方法和系统
CN1033050C (zh) 用于筒子染色的轴向可变形筒管
JP7234751B2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装置
KR102563480B1 (ko) 가변 돌출형 플랩을 구비한 차량의 휠
US201903088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hydraulic pump operation in a hydraulic system
JP4290731B2 (ja) 釣合い重り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2009226611A (ja) タイヤ加硫成形型及びタイヤ加硫成形方法
JP5541757B1 (ja) 荷役車両
US668374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locity of an actuator arm in a hard disk drive
JP2007190850A (ja) タイヤの加硫方法
CN109179104A (zh) 电梯控制方法
JP2019085202A (ja) 流体圧駆動機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US20230145849A1 (en) Cable Supply System
JP2019203290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1932157B1 (ko) 공기압 유지 타이어
KR20070059624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리트랙트 제어 방법 그리고 이를적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JP2581385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JP2006183811A (ja) エレベータ制御弁
JPH0848472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2861534B2 (ja) 解舒補助装置の制御方法
JP2531396B2 (ja) 解舒補助装置の制御方法
JPH0811666B2 (ja) 自動ワインダの解舒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