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447B1 - 저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447B1
KR102132447B1 KR1020200055707A KR20200055707A KR102132447B1 KR 102132447 B1 KR102132447 B1 KR 102132447B1 KR 1020200055707 A KR1020200055707 A KR 1020200055707A KR 20200055707 A KR20200055707 A KR 20200055707A KR 102132447 B1 KR102132447 B1 KR 10213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ng
coupled
guide rail
workpie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구
Original Assignee
류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용구 filed Critical 류용구
Priority to KR102020005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2Relieving mechanisms; Arrestment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5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01G3/1414Arrangements for correcting or for compensating for unwanted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지지플레이트에 놓인 측정물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정렬시켜 정확한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은, 측정물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저울을 포함하고, 본체는, 외부에서 본체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어버튼과, 측정물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어버튼은 서로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적의 크기를 가진다.

Description

저울 관리 시스템{Electronic sca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저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물을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저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저울은 무게에 의한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로드 셀(load cell)과, 로드 셀 위에 측정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와, 로드 셀의 영점 신호와 저항 변화 신호를 전달받아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에 측정물이 안착되면, 로드 셀이 플레이트로부터 가압되는 하중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저항 변화 신호를 인디케이터로 전송하고, 인디케이터는 로드 셀로부터 전송된 저항 변화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게이지 또는 표시창 등을 통해 수치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종래의 전자저울은 플레이트 상에서 측정물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동일한 무게를 갖는 측정물이라 하더라도 로드 셀로 가해지는 하중이 미세하게 차이가 있으며, 이에 선별 및 검수의 목적으로 다수의 측정물의 무게를 연속적으로 측정해야 할 경우, 정확한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없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측정물을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켜야만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저울은 하나의 로드 셀을 구비하여, 한 번에 한 개의 무게만을 측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측정물의 무게를 연속적으로 측정해야 할 경우 로드 셀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 로드 셀에 이상이 발생될 여지가 높고, 이에 정확한 무게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드 셀에 이상이 발생하도라도 사용자는 로드 셀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어렵고, 이에 로드 셀에 이상이 있는 상태로 전자저울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플레이트에 놓인 측정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측정물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정렬시켜 정확한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저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측정물의 무게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하나의 무게측정유닛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무게측정유닛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저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은 측정물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저울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어버튼; 및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은 서로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적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온/오프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버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두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제로세팅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버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세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부품계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버튼; 및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작은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용기중량소거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4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저울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이동시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측정물 이송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의 구동을 제어한 뒤, 상기 본체가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의 일 측을 지지하며, 전후방향, 상기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정물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측정물 감지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의 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전후방향, 상기 좌우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정물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모듈; 상기 제2 이송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측정물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모듈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베이스 레일; 상기 제1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1 슬라이딩부;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2 슬라이딩부;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1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1-3 슬라이딩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1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1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1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2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2 기어부가 마련되고, 타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3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3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1-1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2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2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2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1-2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3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3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3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1-3 래크; 상기 제1-2 래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1-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3 래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1-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베이스 레일; 상기 제2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1 슬라이딩부;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2 슬라이딩부;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1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2-3 슬라이딩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1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1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1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2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2 기어부가 마련되고, 타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3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3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2-1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2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2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2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2-2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3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3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3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2-3 래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2 래크의 단부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1 블레이드;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3 래크의 단부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슬라이딩부는, 일 측은 상면에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레일에 결합되며, 타 측은 상기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측정물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1-1 이송블록; 및 상기 제1-1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1 이송블록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1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슬라이딩부는, 하단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제1-2 이송블록; 및 상기 제1-2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2 이송블록을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2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3 슬라이딩부는, 측면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1 가이드홈 및 상기 제1-1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1-3 이송블록; 및 상기 제1-3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3 이송블록을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3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슬라이딩부는, 일 측은 상면에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베이스레일에 결합되며, 타 측은 상기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측정물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2-1 이송블록; 및 상기 제2-1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1 이송블록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1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슬라이딩부는, 하단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제2-2 이송블록; 및 상기 제2-2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2 이송블록을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2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3 슬라이딩부는, 측면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1 가이드홈 및 상기 제2-1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2-3 이송블록; 및 상기 제2-3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3 이송블록을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3 볼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동일한 평면적을 가지는 제1 측정영역, 제2 측정영역, 제3 측정영역 및 제4 측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측정영역에 안착된 측정물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무게측정유닛, 상기 제2 측정영역에 안착된 측정물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무게측정유닛, 상기 제3 측정영역에 안착된 측정물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무게측정유닛 및 상기 제4 측정영역에 안착된 측정물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4 무게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상기 제1 측정영역, 상기 제2 측정영역, 상기 제3 측정영역 및 상기 제4 측정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정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정물을 이송하여 상기 측정물을 상기 제1 측정영역에 공급한 후, 상기 제2 측정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을 통해 전달된 측정물을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은,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공급회수용 레일; 상기 공급회수용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공급회수용 이송블록; 상기 공급회수용 이송블록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측정물이 상기 제1 측정영역으로 미끄러지도록 상기 측정물을 지지하는 바닥면의 기울기를 조절 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공급회수용 이송블록과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공급회수용 이송블록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급회수용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측정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후방향으로 일 측과 타 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측정물이 수용되며, 일 측 하단이 상기 공급회수용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버킷; 및 상기 공급회수용 이송블록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버킷의 타 측 하단을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회전 버킷의 타 측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 버킷을 회전시키고, 상기 측정물을 지지하는 상기 회전 버킷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신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에 놓인 측정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측정물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정렬시켜 정확히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무게측정유닛을 구비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하나의 무게측정유닛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게측정유닛의 이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확한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며, 나아가 복수의 무게측정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무게측정유닛의 이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가 측정되지 않은 측정물을 자동으로 측정위치에 공급하고, 무게의 측정이 완료된 측정물을 회수하는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을 구비하여,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의 저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2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의 저울에 수용된 측정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에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에서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이 측정물을 저울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의 저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100)(이하 '저울 관리 시스템(100)'이라 함)은 저울(110)을 포함한다.
저울(110)은 지지플레이트(111) 및 본체(112)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11)는 상면에 측정물(O)이 안착되도록 소정의 평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11)는 본체(112)에 결합되고, 본체(112)의 내부에 수용된 무게측정유닛(미도시)에 지지된다.
본체(112)는 지지플레이트(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111)와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지지플레이트(111)를 지지하여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되는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무게측정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12)는 제어보드(미도시), 복수의 제어버튼(112A) 및 표시창(1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는 무게측정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게측정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저항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창(112B)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보드는 복수의 제어버튼(11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어버튼(112A)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버튼(112A)은 외부에서 본체(112)에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어버튼(112A)은 온/오프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버튼(112A1), 제로세팅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버튼(112A2), 부품계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버튼(112A3) 및 용기중량소거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4 제어버튼(112A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버튼(112A)은 서로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적의 크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버튼(112A1)은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고, 제2 제어버튼(112A2)은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두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제3 제어버튼(112A3)은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세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고, 제4 제어버튼(112A4)은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작은 평면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어버튼(112A)은 서로 다른 돌출길이 및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제어버튼의 표면에 프린팅된 문자 혹은 숫자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어버튼의 크기, 돌출정도 및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창(112B)은 복수의 제어버튼(112A)과 함께 본체(112)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보드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측정물의 무게, 제어모드, 설정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저울(110)은 본체(112)에 설치되어 저울(110)의 수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수평계(미도시)와, 본체(112)의 저면에 배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본체(112)를 지지하는 받침대(미도시)와,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수평조절나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제1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1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제2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제2 이송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저울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20) 및 측정물 이송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본체(112) 및 측정물 이송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12) 및 측정물 이송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측정물 이송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측정물(O)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본체(112)가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본체(1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본체(112)에 마련된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보드에 제어명령을 전송함과 함께, 제어보드로부터 저울(110)의 구동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리모트컨트롤러,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측정물 이송유닛(130)은 본체(112)에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을 이동시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측정물 이송유닛(130)은 제1 이송모듈(131), 제1 측정물 감지부(132), 제2 이송모듈(133) 및 제2 측정물 감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모듈(131)은 저울(110)을 기준으로 저울(110)의 좌우방향(이하 '좌우방향'이라 함)을 따라 본체(112)의 일 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의 일 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모듈(131)은 저울(110)의 전후방향(이하 '전후방향'이라 함), 좌우방향 및 저울(110)의 상하방향(이하 '상하방향'이라 함)으로 이동하면서 측정물(O)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송모듈(131)은 제1 베이스 레일(131A), 제1-1 슬라이딩부(131B), 제1-2 슬라이딩부(131C), 제1-3 슬라이딩부(131D), 제1-1 래크(131E), 제1-2 래크(131F), 제1-3 래크(131G), 제1-1 블레이드(131H) 및 제1-2 블레이드(131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레일(131A)은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112)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이스 레일(131A)은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제1-1 슬라이딩부(131B)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1 슬라이딩부(131B)는 제1 베이스 레일(131A)에 결합되어 제1 베이스 레일(131A)의 외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슬라이딩부(131B)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2 슬라이딩부(131C)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1 가이드레일(131B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1 슬라이딩부(131B)는 제1-1 이송블록(131B1) 및 제1-1 볼 스크류(13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이송블록(131B1)은 제1 베이스 레일(131A)에 결합되어 제1 베이스 레일(13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1-1 이송블록(131B1)의 외면에는 제1 측정물 감지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이송블록(131B1)의 일 측은 상면에 제1-1 가이드레일(131B11)이 마련되어 제1-2 슬라이딩부(131C)를 지지하고, 하면에 제1 베이스레일(131A)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어 제1 베이스레일(13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이송블록(131B1)의 타 측은 제1-1 이송블록(131B1)의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상측 단부가 지지플레이트(1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 측정물 감지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이송블록(131B1)의 타 측에 배치된 제1 측정물 감지부(132)는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부공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안착된 측정물(O)을 감지할 수 있다.
제1-1 볼 스크류(131B2)는 제1-1 이송블록(131B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1 이송블록(131B1)을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볼 스크류(131B2)는 좌우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1-1 이송블록(131B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1 이송블록(131B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슬라이딩부(131C)는 제1-1 가이드레일(131B11)에 결합되어 제1-1 가이드레일(131B11)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슬라이딩부(131C)는 상하방향으로 제1-3 슬라이딩부(131D)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2 가이드레일(131C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슬라이딩부(131C)는 제1-2 이송블록(131C1) 및 제1-2 볼 스크류(131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이송블록(131C1)은 하단에 제1-1 가이드레일(131B11)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마련되어 제1-1 가이드레일(131B11)에 결합되고, 제1-1 가이드레일(131B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이송블록(131C1)의 측면에는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1-3 슬라이딩부(131D)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2 가이드레일(131C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2 볼 스크류(131C2)는 제1-2 이송블록(131C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2 이송블록(131C1)을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볼 스크류(131C2)는 전후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1-2 이송블록(131C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2 이송블록(131C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슬라이딩부(131D)는 제1-2 가이드레일(131C11)에 결합되어 제1-2 가이드레일(131C11)의 외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3 슬라이딩부(131D)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1-1 래크(131E)가 배치되는 제1-1 가이드홈(131D11)과, 좌우방향을 따라 제1-1 래크(131E)에 대향 배치되어 제1-1 래크(131E)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1-1 래크(131E)를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1 기어부(131D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3 슬라이딩부(131D)는 제1-3 이송블록(131D1) 및 제1-3 볼 스크류(131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이송블록(131D1)은 측면에 제1-2 가이드레일(131C11)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마련되어 제1-2 가이드레일(131C11)에 결합되고, 제1-2 가이드레일(131C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3 이송블록(131D1)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1-1 래크(131E)가 배치되는 제1-1 가이드홈(131D11)이 마련되고, 제1-1 가이드홈(131D11)의 일 측에는 제1-3 이송블록(131D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1 래크(131E)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1-1 래크(131E)를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1 기어부(131D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기어부(131D12)는 제1-1 래크(131E)와 치합되고,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1 래크(131E)를 가압하여 제1-1 래크(131E)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기어와,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볼 스크류(131D2)는 제1-3 이송블록(131D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3 이송블록(131D1)을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3 볼 스크류(131D2)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1-3 이송블록(131D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3 이송블록(131D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래크(131E)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1-1 기어부(131D1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래크(131E)는 제1-1 기어부(131D12)의 회전 시 제1-1 기어부(131D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1 가이드홈(131D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1 래크(131E)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1-2 래크(131F)가 배치되는 제1-2 가이드홈(131E1)과, 제1-1 래크(131E)의 일 측 내부에 수용되어 제1-2 래크(131F)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1-2 래크(131F)를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2 기어부(131E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래크(131E)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 측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1-3 래크(131G)가 배치되는 제1-3 가이드홈(131E3)과, 제1-3 래크(131E)의 타 측 내부에 수용되어 제1-3 래크(131G)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1-3 래크(131G)를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3 기어부(131E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2 래크(131F)는 제1-1 래크(131E)의 일 측에 마련된 제1-2 가이드홈(131E1)에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1-1 래크(131E)의 일 측 내부에 수용된 제1-2 기어부(131E2)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 제1-2 래크(131F)는 제1-2 기어부(131E2)의 회전 시 제1-2 기어부(131E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2 가이드홈(131E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제1-3 래크(131G)는 제1-1 래크(131E)의 타 측에 마련된 제1-3 가이드홈(131E3)에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1-1 래크(131E)의 타 측 내부에 수용된 제1-3 기어부(131E4)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 제1-3 래크(131G)는 제1-3 기어부(131E4)의 회전 시 제1-3 기어부(131E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3 가이드홈(131E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제1-1 블레이드(131H)는 제1-2 래크(131F)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한 상태에서 측정물(O)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물(O)을 설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블레이드(131H)는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용된 측정물(O)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제1-2 래크(131F)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는 제1-2 래크(131F)의 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브래킷, 제1-2 래크(131F)의 단부와 브래킷을 관통하여 제1-2 래크(131F)와 브래킷을 결합시키고,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여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구동샤프트의 상단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블레이드(131I)는 제1-3 래크(131G)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한 상태에서 측정물(O)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물(O)을 설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블레이드(131I)는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용된 측정물(O)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제1-3 래크(131G)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는 제1-3 래크(131G)의 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브래킷, 제1-3 래크(131G)의 단부와 브래킷을 관통하여 제1-3 래크(131G)와 브래킷을 결합시키고,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여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구동샤프트의 상단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물 감지부(132)는 제1 이송모듈(131)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112)의 일 측에서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물 감지부(132)는 전후방향을 따라 제1 이송모듈(131)에 복수로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의 위치 및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이송모듈(133)은 저울(110)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112)의 타 측에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의 타 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모듈(133)은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정물(O)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송모듈(133)은 제2 베이스 레일(133A), 제2-1 슬라이딩부(133B), 제2-2 슬라이딩부(133C), 제2-3 슬라이딩부(133D), 제2-1 래크(133E), 제2-2 래크(133F), 제2-3 래크(133G), 제2-1 블레이드(133H) 및 제2-2 블레이드(133I)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레일(133A)은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112)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 레일(133A)은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제2-1 슬라이딩부(133B)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1 슬라이딩부(133B)는 제2 베이스 레일(133A)에 결합되어 제2 베이스 레일(133A)의 외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슬라이딩부(133B)에는 전후방향으로 제2-2 슬라이딩부(133C)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1 가이드레일(133B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1 슬라이딩부(133B)는 제2-1 이송블록(133B1) 및 제2-1 볼 스크류(133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이송블록(133B1)은 제2 베이스 레일(133A)에 결합되어 제2 베이스 레일(133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2-1 이송블록(133B1)의 외면에는 제2 측정물 감지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이송블록(133B1)의 일 측은 상면에 제2-1 가이드레일(133B11)이 마련되어 제2-2 슬라이딩부(133C)를 지지하고, 하면에 제2 베이스레일(133A)에 대응되는 홈이 마련되어 제2 베이스레일(133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이송블록(133B1)의 타 측은 제2-1 이송블록(133B1)의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상측 단부가 지지플레이트(1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 측정물 감지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1 이송블록(133B1)의 타 측에 배치된 제2 측정물 감지부(134)는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부공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안착된 측정물(O)을 감지할 수 있다.
제2-1 볼 스크류(133B2)는 제2-1 이송블록(133B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2-1 이송블록(133B1)을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볼 스크류(133B2)는 좌우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2-1 이송블록(133B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1 이송블록(133B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슬라이딩부(133C)는 제2-1 가이드레일(133B11)에 결합되어 제2-1 가이드레일(133B11)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슬라이딩부(133C)는 상하방향으로 제2-3 슬라이딩부(133D)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2 가이드레일(133C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슬라이딩부(133C)는 제2-2 이송블록(133C1) 및 제2-2 볼 스크류(133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이송블록(133C1)은 하단에 제2-1 가이드레일(133B11)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마련되어 제2-1 가이드레일(133B11)에 결합되고, 제2-1 가이드레일(133B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이송블록(133C1)의 측면에는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제2-3 슬라이딩부(133D)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2 가이드레일(133C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2 볼 스크류(133C2)는 제2-2 이송블록(133C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2-2 이송블록(133C1)을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볼 스크류(133C2)는 전후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2-2 이송블록(133C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2 이송블록(133C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 슬라이딩부(133D)는 제2-2 가이드레일(133C11)에 결합되어 제2-2 가이드레일(133C11)의 외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3 슬라이딩부(133D)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2-1 래크(132E)가 배치되는 제2-1 가이드홈(133D11)과, 좌우방향을 따라 제2-1 래크(133E)에 대향 배치되어 제2-1 래크(133E)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2-1 래크(133E)를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1 기어부(133D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3 슬라이딩부(133D)는 제2-3 이송블록(133D1) 및 제2-3 볼 스크류(133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 이송블록(133D1)은 측면에 제2-2 가이드레일(133C11)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마련되어 제2-2 가이드레일(133C11)에 결합되고, 제2-2 가이드레일(133C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3 이송블록(133D1)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2-1 래크(133E)가 배치되는 제2-1 가이드홈(133D11)이 마련되고, 제2-1 가이드홈(133D11)의 일 측에는 제2-3 이송블록(133D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1 래크(133E)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2-1 래크(133E)를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1 기어부(133D1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기어부(133D12)는 제2-1 래크(133E)와 치합되고,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2-1 래크(133E)를 가압하여 제2-1 래크(133E)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기어와,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 볼 스크류(133D2)는 제2-3 이송블록(133D1)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2-3 이송블록(133D1)을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3 볼 스크류(133D2)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제2-3 이송블록(133D1)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3 이송블록(133D1)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래크(133E)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2-1 기어부(133D1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래크(133E)는 제2-1 기어부(133D12)의 회전 시 제2-1 기어부(133D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1 가이드홈(133D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1 래크(133E)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2-2 래크(133F)가 배치되는 제2-2 가이드홈(133E1)과, 제2-1 래크(133E)의 일 측 내부에 수용되어 제2-2 래크(133F)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2-2 래크(133F)를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2 기어부(133E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래크(133E)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 측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제2-3 래크(133G)가 배치되는 제2-3 가이드홈(133E3)과, 제2-3 래크(133E)의 타 측 내부에 수용되어 제2-3 래크(133G)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제2-3 래크(133G)를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3 기어부(133E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2 래크(133F)는 제2-1 래크(133E)의 일 측에 마련된 제2-2 가이드홈(133E1)에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2-1 래크(133E)의 일 측 내부에 수용된 제2-2 기어부(133E2)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 제2-2 래크(133F)는 제2-2 기어부(133E2)의 회전 시 제2-2 기어부(133E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2 가이드홈(133E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제2-3 래크(133G)는 제2-1 래크(133E)의 타 측에 마련된 제2-3 가이드홈(133E3)에 배치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제2-1 래크(133E)의 타 측 내부에 수용된 제2-3 기어부(133E4)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 제2-3 래크(133G)는 제2-3 기어부(133E4)의 회전 시 제2-3 기어부(133E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3 가이드홈(133E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제2-1 블레이드(133H)는 제2-2 래크(133F)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한 상태에서 측정물(O)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물(O)을 설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블레이드(133H)는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용된 측정물(O)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제2-2 래크(133F)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는 제2-2 래크(133F)의 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브래킷, 제2-2 래크(133F)의 단부와 브래킷을 관통하여 제2-2 래크(133F)와 브래킷을 결합시키고,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여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구동샤프트의 상단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블레이드(133I)는 제2-3 래크(133G)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한 상태에서 측정물(O)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물(O)을 설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블레이드(133I)는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용된 측정물(O)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어 제2-3 래크(133G)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는 제2-3 래크(133G)의 단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브래킷, 제2-3 래크(133G)의 단부와 브래킷을 관통하여 제2-3 래크(133G)와 브래킷을 결합시키고, 브래킷과 함께 회전하여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샤프트, 구동샤프트의 상단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정물 감지부(134)는 제2 이송모듈(133)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112)의 타 측에서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정물 감지부(134)는 전후방향을 따라 제2 이송모듈(133)에 복수로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측정물(O)의 위치 및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의 저울에 수용된 측정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에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0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 관리 시스템에서 측정물 공급회수유닛이 측정물을 저울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저울 관리 시스템(100)은 동시에 복수의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111)는 동일한 평면적을 가지는 복수개의 측정영역으로 구획되고, 본체(112)는 복수의 측정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무게측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111)는 동일한 평면적을 가지는 제1 측정영역(111A), 제2 측정영역(111B), 제3 측정영역(111C) 및 제4 측정영역(111D)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2)는 제1 측정영역(111A)에 안착된 측정물(O)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무게측정유닛(112C), 제2 측정영역(111B)에 안착된 측정물(O)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무게측정유닛(112D), 제3 측정영역(111C)에 안착된 측정물(O)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무게측정유닛(112E) 및 제4 측정영역(111D)에 안착된 측정물(O)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4 무게측정유닛(112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물 이송유닛(130)은 측정물(O)이 지지플레이트(111)에 안착된 순서에 따라 측정물(O)을 제1 측정영역(111A), 제2 측정영역(111B), 제3 측정영역(111C) 및 제4 측정영역(111D)에 순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저울 관리 시스템(100)은 측정물 공급회수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물 공급회수유닛(140)은 본체(112)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측정영역(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정물(O)을 이송하여 측정물(O)을 제1 측정영역(111A)에 공급한 후, 제2 측정영역(111B)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측정물 이송유닛(130)을 통해 전달된 측정물(O)을 회수할 수 있다.
측정물 공급회수유닛(140)은 공급회수용 레일(141),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 회전부(143) 및 공급회수용 구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회수용 레일(141)은 무게를 측정하기 이전의 측정물(O)들이 수용되는 제1 수용소(미도시)와 무게의 측정이 완료된 측정물(O)들이 수용되는 제2 수용소(미도시)를 서로 연결하고,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은 하면에 공급회수용 레일(141)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이 마련되어 공급회수용 레일(141)에 배치되고, 공급회수용 구동부(144)와 결합되어 공급회수용 구동부(144)가 구동되면 공급회수용 레일(14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부(143)는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143)는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 하고,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이 제1 측정영역(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내부에 수용된 측정물(O)이 제1 측정영역(111A)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도록 측정물(O)을 지지하는 바닥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43)는 내부에 측정물(O)을 수용 하여 지지하는 회전 버킷(143A)과, 회전 버킷(143A)을 회전시키는 신축 유닛(143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버킷(143A)은 측정물(O)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일 측과 타 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측정물(O)이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버킷(143A)의 일 측 하단은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버킷(143A)의 타 측 하단은 신축 유닛(143B)에 지지될 수 있다.
신축 유닛(143B)은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의 상면에 배치되어 회전 버킷(143A)의 타 측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유닛(143B)은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이 제1 측정영역(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회전 버킷(143A)의 타 측 하단을 가압하여 회전 버킷(143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신축 유닛(143B)은 측정물(O)을 지지하는 회전 버킷(143A)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공급회수용 구동부(144)는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과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을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회수용 구동부(144)는 좌우방향을 따라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는 스핀들 샤프트, 스핀들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핀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일면에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이 결합되고, 내부에 스핀들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스핀들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 시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볼이 스핀들 샤프트에 마련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공급회수용 이송블록(142)과 함께 스핀들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되는 이송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111)에 놓인 측정물(O)의 위치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측정물(O)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 및 정렬시켜 정확히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무게측정유닛을 구비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물(O)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하나의 무게측정유닛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게측정유닛의 이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확한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며, 나아가 복수의 무게측정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무게측정유닛의 이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가 측정되지 않은 측정물(O)을 자동으로 측정위치에 공급하고, 무게의 측정이 완료된 측정물(O)을 회수하는 측정물 공급회수유닛(140)을 구비하여,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저울 관리 시스템
110. 저울
111. 지지플레이트
111A. 제1 측정영역
111B. 제2 측정영역
111C. 제3 측정영역
111D. 제4 측정영역
112. 본체
112A. 제어버튼
112A1. 제1 제어버튼
112A2. 제2 제어버튼
112A3. 제3 제어버튼
112A4. 제4 제어버튼
112B. 표시창
112C. 제1 무게측정유닛
112D. 제2 무게측정유닛
112E. 제3 무게측정유닛
112F. 제4 무게측정유닛
120. 제어부
130. 측정물 이송유닛
131. 제1 이송모듈
131A. 제1 베이스 레일
131B. 제1-1 슬라이딩부
131B1. 제1-1 이송블록
131B11. 제1-1 가이드레일
131B2. 제1-1 볼 스크류
131C. 제1-2 슬라이딩부
131C1. 제1-2 이송블록
131C11. 제1-2 가이드레일
131C2. 제1-2 볼 스크류
131D. 제1-3 슬라이딩부
131D1. 제1-3 이송블록
131D11. 제1-1 가이드홈
131D12. 제1-1 기어부
131D2. 제1-3 볼 스크류
131E. 제1-1 래크
131E1. 제1-2 가이드홈
131E2. 제1-2 기어부
131E3. 제1-3 가이드홈
131E4. 제1-3 기어부
131F. 제1-2 래크
131G. 제1-3 래크
131H. 제1-1 블레이드
131I. 제1-2 블레이드
132. 제1 측정물 감지부
133. 제2 이송모듈
133A. 제2 베이스 레일
133B. 제2-1 슬라이딩부
133B1. 제2-1 이송블록
133B11. 제2-1 가이드레일
133B2. 제2-1 볼 스크류
133C. 제2-2 슬라이딩부
133C1. 제2-2 이송블록
133C11. 제2-2 가이드레일
133C2. 제2-2 볼 스크류
133D. 제2-3 슬라이딩부
133D1. 제2-3 이송블록
133D11. 제2-1 가이드홈
133D12. 제2-1 기어부
133D2. 제2-3 볼 스크류
133E. 제2-1 래크
133E1. 제2-2 가이드홈
133E2. 제2-2 기어부
133E3. 제2-3 가이드홈
133E4. 제2-3 기어부
133F. 제2-2 래크
133G. 제2-3 래크
133H. 제2-1 블레이드
133I. 제2-2 블레이드
134. 제2 측정물 감지부
140. 측정물 공급회수유닛
141. 공급회수용 레일
142. 공급회수용 이송블록
143. 회전부
143A. 회전 버킷
143B. 신축 유닛
144. 공급회수용 구동부
O. 측정물

Claims (2)

  1. 측정물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저울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어버튼; 및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은 서로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온/오프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버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두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제로세팅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버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세 번째로 큰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부품계수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제어버튼; 및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가운데 가장 작은 평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용기중량소거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제4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이동시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측정물 이송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이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의 구동을 제어한 뒤, 상기 본체가 상기 측정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물 이송유닛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의 일 측을 지지하며, 전후방향, 상기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정물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측정물 감지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의 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전후방향, 상기 좌우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정물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모듈;
    상기 제2 이송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안착된 측정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측정물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모듈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베이스 레일;
    상기 제1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1 슬라이딩부;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1-2 슬라이딩부;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1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1-3 슬라이딩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1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1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1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2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2 기어부가 마련되고, 타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3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1-3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1-1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2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2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2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1-2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1-3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1-3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3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1-3 래크;
    상기 제1-2 래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1-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3 래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1-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베이스 레일;
    상기 제2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베이스 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1 슬라이딩부;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2 슬라이딩부;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따라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1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2-3 슬라이딩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1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1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1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1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전후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2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2 기어부가 마련되고, 타 측에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3 가이드홈 및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2-3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2-1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2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2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2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2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2-2 래크;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제2-3 기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3 기어부의 회전 시 상기 제2-3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3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좌우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제2-3 래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2 래크의 단부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1 블레이드;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3 래크의 단부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V'형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측정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물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제2-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슬라이딩부는,
    일 측은 상면에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베이스레일에 결합되며, 타 측은 상기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측정물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1-1 이송블록; 및
    상기 제1-1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1 이송블록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1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슬라이딩부는,
    하단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1-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제1-2 이송블록; 및
    상기 제1-2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2 이송블록을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2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3 슬라이딩부는,
    측면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1-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1 가이드홈 및 상기 제1-1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1-3 이송블록; 및
    상기 제1-3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3 이송블록을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3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슬라이딩부는,
    일 측은 상면에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베이스레일에 결합되며, 타 측은 상기 일 측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측정물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2-1 이송블록; 및
    상기 제2-1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1 이송블록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1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슬라이딩부는,
    하단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2-1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제2-2 이송블록; 및
    상기 제2-2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2 이송블록을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2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3 슬라이딩부는,
    측면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2-2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1 가이드홈 및 상기 제2-1 기어부가 마련되는 제2-3 이송블록; 및
    상기 제2-3 이송블록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3 이송블록을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3 볼 스크류를 포함하는, 저울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55707A 2020-05-11 2020-05-11 저울 관리 시스템 KR10213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7A KR102132447B1 (ko) 2020-05-11 2020-05-11 저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7A KR102132447B1 (ko) 2020-05-11 2020-05-11 저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447B1 true KR102132447B1 (ko) 2020-07-21

Family

ID=7183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07A KR102132447B1 (ko) 2020-05-11 2020-05-11 저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7612A (zh) * 2023-11-02 2023-12-05 四川数字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监控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094Y1 (ko) 2003-07-09 2003-09-26 두홍라이프 주식회사 전자저울의 방수구조
JP4770925B2 (ja) * 2007-07-30 2011-09-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子天秤
KR200485252Y1 (ko) * 2016-01-06 2017-12-13 주식회사 셈앤텍 집게형 전자 저울
KR20200000319U (ko) * 2017-07-03 2020-02-07 화춘 잔 커피전용 전자저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094Y1 (ko) 2003-07-09 2003-09-26 두홍라이프 주식회사 전자저울의 방수구조
JP4770925B2 (ja) * 2007-07-30 2011-09-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子天秤
US8355889B2 (en) * 2007-07-30 2013-01-15 Shimadzu Corporation Electronic balance
KR200485252Y1 (ko) * 2016-01-06 2017-12-13 주식회사 셈앤텍 집게형 전자 저울
KR20200000319U (ko) * 2017-07-03 2020-02-07 화춘 잔 커피전용 전자저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7612A (zh) * 2023-11-02 2023-12-05 四川数字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监控系统
CN117167612B (zh) * 2023-11-02 2024-01-19 四川数字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3975B (zh) 软板自动测试设备及软板自动化测试方法
KR102132447B1 (ko) 저울 관리 시스템
KR100817320B1 (ko) 공작기계용 공구의 측정장치
CN104482869A (zh) 一种陶瓷辊棒自动检测机
CN106441170A (zh) 键盘平整度测试机
CN110057315A (zh) Ic托盘弯曲度自动测量方法和设备
CN109489616A (zh) 一种平整度检测装置
CN209485698U (zh) 用于汽车碰撞试验的假人定位装置
CN112051278A (zh) 一种电脑主机板加工用具有可拆卸结构的自动检测装置
CN102372163B (zh) 电子元件转位装置
JP6573702B1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取付台の傾き調整方法
CN216523732U (zh) 一种电子元器件管脚平整度检测装置
CN208091563U (zh) 压力机
KR100844174B1 (ko) 분동 질량 자동측정장치
CN115962748A (zh) 一种高速风机叶片产品外形用检测系统
CN205449145U (zh) 一种电动床测试机
CN201047841Y (zh) 一种板材质量检测装置
CN216283849U (zh) 一种电子皮带秤及皮带秤系统
CN114383588B (zh) 一种芯样垂直度测量系统
CN109060576A (zh) 一种航空刹车机轮的耐磨损检测装置
CN212693627U (zh) 一种电脑主机板加工用具有可拆卸结构的自动检测装置
CN209910682U (zh) 一种水平尺快速自动校准装置
CN210701210U (zh) 按键tpu高度测试设备
CN207763672U (zh) 高度精密检测机
CN207019761U (zh) 一种轮胎称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