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52Y1 - 집게형 전자 저울 - Google Patents

집게형 전자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52Y1
KR200485252Y1 KR2020160000088U KR20160000088U KR200485252Y1 KR 200485252 Y1 KR200485252 Y1 KR 200485252Y1 KR 2020160000088 U KR2020160000088 U KR 2020160000088U KR 20160000088 U KR20160000088 U KR 20160000088U KR 200485252 Y1 KR200485252 Y1 KR 200485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lever
measurement object
movabl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59U (ko
Inventor
석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to KR2020160000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5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2Measuring spoons or sco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4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 G01G23/16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operated
    • G01G23/163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operated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형 전자 저울에 관한 것으로, 측정 대상물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집게 레버를 장착하여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측정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중량 측정 과정에서 운반이나 이동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 레버를 접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 레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집게형 전자 저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집게형 전자 저울{Clip Type Electric Scale}
본 고안은 집게형 전자 저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대상물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집게 레버를 장착하여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측정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중량 측정 과정에서 운반이나 이동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 레버를 접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 레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집게형 전자 저울에 관한 것이다.
저울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과거부터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근래에는 산업의 발달로 인해 저울의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데, 귀금속 등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실험실 등에서 약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요리 과정에서 식재료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저울의 사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저울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 저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저울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소금, 설탕과 같은 분말이나 간장과 같은 액체 등의 식재료 등을 소량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전자 저울이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푼형 전자 저울은 센서가 내장된 전자 저울 본체로부터 외부에 측정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스푼이 마련되고, 이러한 스푼에 측정 대상물을 투입하여 투입된 양의 무게를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푼형 전자 저울은 숟가락 형태의 스푼에 측정 대상물을 소량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스푼의 수용 용량보다 부피가 큰 측정 대상물의 경우 스푼에 투입할 수가 없어 측정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측정 대상물은 별도의 전자 저울을 이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푼형 전자 저울의 경우, 측정 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측정 대상물이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전자 저울을 이동하는 경우, 측정 대상물이 스푼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매우 조심스럽고 주의깊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스푼형 전자 저울은 그 측정 대상물에 대한 적용 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 불편함이 많아 널리 사용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22093호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정 대상물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집게 레버를 장착하여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측정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중량 측정 과정에서 운반이나 이동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집게형 전자 저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집게 레버를 메인 케이스에 접철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 레버 없이 작동 레버의 측정 거치부를 통해서만 측정 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집게 레버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집게형 전자 저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 거치부에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부피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중량 측정 이외에도 부피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전자 저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메인 케이스; 일측단부가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삽입 수용되며, 지렛대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간 부분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측단부에는 측정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측정 거치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지렛대 방식 이동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작동 레버에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메인 로드셀; 상기 측정 거치부와 함께 상기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 거치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는 집게 레버; 및 상기 메인 로드셀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상기 측정 대상물의 중량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중량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영점 조작 버튼이 장착되고, 상기 영점 조작 버튼의 조작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점 조작 버튼의 조작 시점에서 측정된 기준 중량값을 "0"으로 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이후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 측정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중량값을 연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준 중량값을 반영하여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 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본체부; 및 상기 가동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의 측정 거치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본체부는 상기 고정 집게부가 상기 측정 거치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집게부에는 상기 측정 대상물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대상물을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집게 돌기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동 본체부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상기 집게 레버가 상기 측정 거치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에 접철 고정될 수 있도록 집게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동 본체부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 고정 수단은, 상기 가동 본체부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조작 손잡이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 및 상기 조작 손잡이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부와 맞물림되어 상기 조작 손잡이부를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 걸림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거치부는 상면이 개방된 오목한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 형태로 형성된 상기 측정 거치부의 내측면에는 내부 공간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부피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측정 대상물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집게 레버를 장착하여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측정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중량 측정 과정에서 운반이나 이동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게 레버를 메인 케이스에 접철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 레버 없이 작동 레버의 측정 거치부를 통해서만 측정 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집게 레버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 거치부에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부피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중량 측정 이외에도 부피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기능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게형 전자 저울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기능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을 집게 구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저울 구조로서, 메인 케이스(100), 작동 레버(200), 메인 로드셀(300), 집게 레버(4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케이스(10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측정 대상물(P)의 중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형성되고, 또한, 사용자가 전자 저울을 사용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버튼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버튼부(120)는 영점 조작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파워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 저울의 각종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600) 및 배터리(700) 등이 내부에 수용 장착된다. 제어부(600)는 PCB 기판 및 PCB 기판에 실장되는 제어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700)는 충전식 또는 일회용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작동 레버(200)의 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130)이 형성된다.
작동 레버(200)는 일측단부가 메인 케이스(100) 외부에 위치하고 타측단부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메인 케이스(100)에 삽입 수용되는데, 중간 부분이 메인 케이스(100)의 회전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단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지렛대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메인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 레버(200)의 외측단부에는 측정 대상물(P)을 거치할 수 있도록 측정 거치부(210)가 형성된다.
측정 거치부(210)는 단순 평판형 등 측정 대상물(P)을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말이나 액체와 같은 측정 대상물(P) 또한 편리하게 측정 거치부(210)에 수용할 수 있도록 측정 거치부(210)의 형상을 상면이 개방된 오목한 용기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오목한 용기 형태의 측정 거치부(210)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부피 눈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피 눈금(211)을 통해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측정 대상물(P)에 대한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자 저울을 통한 중량 측정 기능 이외에 별도의 부가적인 부피 측정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로드셀(300)은 가압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작동 레버(200)의 지렛대 방식 이동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작동 레버(200)에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한다. 즉, 작동 레버(20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측정 거치부(210)에 측정 대상물(P)이 거치되면, 작동 레버(200)는 측정 대상물(P)의 중량에 의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지렛대 방식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지렛대 방식의 이동력에 의해 작동 레버(200)의 내측단부가 메인 로드셀(300)을 가압하게 된다. 메인 로드셀(300)은 이러한 가압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부(600)로 인가하면, 제어부(600)는 인가받은 측정값을 통해 측정 대상물(P)의 중량을 연산한다.
집게 레버(400)는 측정 거치부(210)에 거치된 측정 대상물(P)을 측정 거치부(210)와 함께 탄성 가압하며 파지할 수 있도록 측정 거치부(210)를 향해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집게 레버(40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동 본체부(410)와 고정 집게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 본체부(410)는 작동 레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단부가 회전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고정 집게부(4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집게부(420)는 가동 본체부(410)의 회전에 따라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가동 본체부(4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가동 본체부(410)는 고정 집게부(420)가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43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4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본체부(410)를 작동 레버(200) 측으로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 레버(200)와 가동 본체부(410) 사이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다양한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축(130) 상에 결합되어 집게 레버(400)의 가동 본체부(410)를 작동 레버(200) 측으로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집게 레버(400)는 측정 대상물(P)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측정 대상물(P)을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 집게부(420)에 다수개의 집게 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집게 돌기(421)는 고정 집게부(42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고정 집게부(420)의 바닥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분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집게부(420)에 집게 돌기(421)가 형성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에 측정 대상물(P)이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 레버(400)의 고정 집게부(420)가 측정 대상물(P)을 탄성 가압할 때, 집게 돌기(421)에 의해 측정 대상물(P)을 집중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측정 대상물(P)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집게 레버(400)는 전술한 탄성 부재(430)에 의해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 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측정 대상물(P)을 파지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 대상물(P)을 집게 레버(400)와 작동 레버(200) 사이에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집게 레버(400)를 작동 레버(20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집게 레버(400)의 이동을 위해, 집게 레버(400)의 가동 본체부(410)에는 가동 본체부(410)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은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에 측정 대상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집게 레버(400)를 통해 측정 대상물을 단단히 파지할 수 있어 다양한 측정 대상물에 대해 더욱 안정적으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집게 레버(400)가 장착됨에 따라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 측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측정 결과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케이스(100)에 장착된 영점 조작 버튼(121)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점 조작 버튼(121) 조작시 제어부(600)는 영점 조작 버튼(121)의 조작 시점에서 측정된 기준 중량값을 "0"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고, 이후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 측정시 측정 대상물의 중량값을 연산하는 과정에서 기준 중량값을 반영하여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집게 레버(400)에 의한 탄성력 및 집게 레버(400)의 중량 등에 의해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에 측정 대상물을 올려놓지 않은 상태에서도 메인 로드셀(300)에 의해 측정된 중량값이 일정값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중량 측정 작업을 시작하기 전, 사용자가 먼저 영점 조작 버튼(121)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 측정된 기준 중량값을 "0"으로 설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측정 대상물을 측정 거치부(210)에 올려놓고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값으로부터 기준 중량값(영점 조작 버튼을 누른 시점에서 측정된 중량값)을 마이너스하여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값을 연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측정 대상물의 중량에 의한 하중 F1에 더하여 집게 레버(400)에 의한 하중 F2가 합산되어 메인 로드셀(300)에 F3 하중으로 전달되므로, 영점 조작 버튼(121) 작동시에 측정된 F2 하중을 F3으로부터 마이너스하는 방식으로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실제 측정 대상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게형 전자 저울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 저울은, 집게 레버(400)가 측정 거치부(210)로부터 이격되어 메인 케이스(100)에 접철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집게 고정 수단(800)이 메인 케이스(100)에 형성될 수 있다.
집게 고정 수단(800)은 메인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수용홈(810)과, 걸림 로드(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810)은 가동 본체부(410)가 탄성 부재(430)의 탄성력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가동 본체부(410)에 형성된 조작 손잡이부(411)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메인 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걸림 로드(820)는 조작 손잡이부(411)가 수용홈(810)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부(411)와 맞물림되어 조작 손잡이부(411)를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810)을 가로지르는 횡단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용홈(810)을 횡단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부(411)와 맞물림되고, 반대 방향(수용홈(810)으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부(411)와 맞물림 해제된다.
즉, 집게 레버(400)는 조작 손잡이부(411)를 당겨 수용홈(810)에 삽입 수용시킨 상태에서 걸림 로드(820)를 메인 케이스(10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조작 손잡이부(411)가 걸림 로드(820)에 맞물림 고정되고, 이에 따라 집게 레버(400)가 작동 레버(200)의 측정 거치부(210)로부터 이격되게 회전하여 메인 케이스(100)에 접철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집게 고정 수단(800)을 통해 집게 레버(400)의 배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집게 레버(400)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작동 레버(20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집게 레버(400)를 메인 케이스(100)에 접철 고정시켜 집게 레버(400)에 의한 불편함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인 케이스 110: 디스플레이부
120: 조작 버튼 130: 회전축
200: 작동 레버 210: 측정 거치부
300: 메인 로드셀 400: 집게 레버
410: 가동 본체부 420: 고정 집게부
430: 탄성 부재 600: 제어부
700: 배터리 800: 집게 고정 수단
810: 수용홈 820: 걸림 로드

Claims (9)

  1.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메인 케이스;
    일측단부가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삽입 수용되며, 지렛대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간 부분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측단부에는 측정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측정 거치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지렛대 방식 이동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작동 레버에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메인 로드셀;
    상기 측정 거치부와 함께 상기 측정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 거치부를 향해 탄성 가압되는 집게 레버; 및
    상기 메인 로드셀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상기 측정 대상물의 중량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중량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 레버는
    일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본체부; 및
    상기 가동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의 측정 거치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집게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본체부는 상기 고정 집게부가 상기 측정 거치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별도의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가동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동 본체부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상기 집게 레버가 상기 측정 거치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에 접철 고정될 수 있도록 집게 고정 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집게 고정 수단은
    상기 가동 본체부가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조작 손잡이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 및
    상기 조작 손잡이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부와 맞물림되어 상기 조작 손잡이부를 고정시키도록 작동하는 걸림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영점 조작 버튼이 장착되고,
    상기 영점 조작 버튼의 조작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점 조작 버튼의 조작 시점에서 측정된 기준 중량값을 "0"으로 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이후 측정 대상물에 대한 중량 측정시 상기 측정 대상물의 중량값을 연산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준 중량값을 반영하여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집게부에는 상기 측정 대상물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대상물을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집게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거치부는 상면이 개방된 오목한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
  9. 제 8 항에 있어서,
    용기 형태로 형성된 상기 측정 거치부의 내측면에는 내부 공간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부피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 저울.

KR2020160000088U 2016-01-06 2016-01-06 집게형 전자 저울 KR200485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88U KR200485252Y1 (ko) 2016-01-06 2016-01-06 집게형 전자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88U KR200485252Y1 (ko) 2016-01-06 2016-01-06 집게형 전자 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59U KR20170002559U (ko) 2017-07-14
KR200485252Y1 true KR200485252Y1 (ko) 2017-12-13

Family

ID=5931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88U KR200485252Y1 (ko) 2016-01-06 2016-01-06 집게형 전자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447B1 (ko) * 2020-05-11 2020-07-21 류용구 저울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896A (ja) * 2013-10-17 2015-04-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ロリー計量スプ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9495B2 (en) * 2004-03-01 2006-01-24 A Mei Yang Portable scale having actuatable grip device
KR101823638B1 (ko) 2014-04-22 2018-01-30 최용우 저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896A (ja) * 2013-10-17 2015-04-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ロリー計量スプ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447B1 (ko) * 2020-05-11 2020-07-21 류용구 저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59U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32984U1 (ru) Кутиметр
US6526315B1 (en)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JP7353423B2 (ja) 力測定デバイス
US6696650B2 (en) Digital fish weighing device
EP3473165B1 (en) Skinfold caliper
KR200485252Y1 (ko) 집게형 전자 저울
KR20190136017A (ko) 전자 저울
JP7300137B2 (ja) とろみ判別器
CN215687816U (zh) 生物阻抗的测量手柄及生物阻抗的测量系统
CN113616183A (zh) 生物阻抗的测量手柄及生物阻抗的测量系统
JP2020003245A (ja) 把持部を備える押込み試験装置
CN203693178U (zh) 一种用于精确添加液体的量勺
JP4069500B2 (ja) 体脂肪測定装置
KR101961282B1 (ko)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JPS5918337Y2 (ja) 高周波加熱装置
CN205761242U (zh) 一种用于定量取用流体的勺子
CN202604409U (zh) 一种测量勺
CN217275911U (zh) 一种计量检定用的数字心电图机一体式测试装置
JP3900410B2 (ja) 静電容量型水分計
JP3158649U (ja) 乾麺類の計量補助器具
CN211131105U (zh) 一种尿流计检测底座
CN214856717U (zh) 一种手臂扭动角度测量仪器
CN206540611U (zh) 一种手持便携式电子秤及计量器
CN220525102U (zh) 一种勺子秤
JP7328823B2 (ja) 秤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