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82B1 -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82B1
KR101961282B1 KR1020160091109A KR20160091109A KR101961282B1 KR 101961282 B1 KR101961282 B1 KR 101961282B1 KR 1020160091109 A KR1020160091109 A KR 1020160091109A KR 20160091109 A KR20160091109 A KR 20160091109A KR 101961282 B1 KR101961282 B1 KR 10196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liquid
volu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457A (ko
Inventor
박상균
Original Assignee
박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균 filed Critical 박상균
Priority to KR102016009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와 측정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용기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를 통해 산출된 액체의 양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물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표면이 된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MEASURING APPARATUS USING SENSOR}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액체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간단하게 장착되어 액체의 부피 계측과 표시를 수행하는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는 여러가지 재료들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조리대상에 맞춰 다양한 조리방법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리방법들은 각각의 노하우로서 공유되고 변형되어가며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양의 재료들을 적절한 시간동안 가공하고 적절하게 혼합하여 조리가 수행되고, 이렇게 조리를 수행 시에 적절한 양, 적절한 시간등을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조리자의 눈대중이나 감에 의지하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따라서, 동일한 조리법으로 동일한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조리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은 차이가 생기게 마련이었고, 반복하여 동일한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언제나 동일한 결과물을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
조리를 위한 재료의 정확한 계량을 위해 계량도구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그 대부분의 계량도구들은 일정한 부피 또는 크기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양을 계측할 수 있도록 눈금등이 표시되어 일정한 양을 덜어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계량도구의 사용은 보다 정확한 조리 재료의 양을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있으나, 조리에 사용되는 물의 정확한 양을 계측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따로이 마련된 계량도구에 물을 담아 계량하고 이를 조리를 위해 다시 옮겨 담아야 하는 등의 불편이 따랐다.
그리고, 빠른시간에 적절한 양의 재료를 투여하여 조리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나, 조리 재료 특히 물의 계량을 하기 위해 계량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번거로워 부정확하더라도 감에 의지하여 재료를 투여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조리를 수행 시에 용기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을 측정함에 있어서 간단하게 용기에 장착 가능하고, 빠르게 정확하게 액체의 양을 계측하여 조리자가 직관적으로 계측된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계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와 측정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용기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를 통해 산출된 액체의 양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물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표면이 된다.
그리고, 본체는 일측에 클립형태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본체 및 거치부의 사이에 용기의 측벽이 수용되어 결합된다.
또는, 센싱부는 세로방향의 거리를 측정하는 높이센서 및 가로방향의 거리를 측정하는 너비센서를 포함하고, 높이센서 및 너비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용기의 부피가 연산부에서 산출되고, 산출된 용기의 부피는 저장부에 기준데이터로 저장된다.
그리고, 본체는 일측에 버튼형태로 구비되어 저장부, 연산부 및 표시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는, 저장부는 용기의 부피정보가 복수 개의 타입으로 나뉘어 저장되고,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복수 개의 타입으로 나뉘어 저장된 부피정보 중 하나가 기준데이터로 선택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액체의 양을 계측하는 장치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용용기, 전용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덮개에 구비되어 덮개와 측정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전용용기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해 전용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를 통해 산출된 액체의 양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측정대상물은 전용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표면이 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다양한 크기를 지닌 용기에 범용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용기의 상부에 클립형태로 간단하게 결합되어 짧은 시간에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양을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므로, 단순한 조작에도 신속하고 정확한 계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계측된 액체의 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리를 수월하게 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되어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되어 용기의 부피정보를 계측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착장되어 액체의 양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전용용기 및 덮개의 형태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전용용기 및 덮개로 구현되어 액체의 양을 계측하고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본체(100), 본체(100)에 구비되어 본체(100)와 측정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200), 용기(c)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00), 센싱부(200)를 통해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저장부(300)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해 용기(c)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l)의 양을 산출하는 연산부(400) 및 연산부(400)를 통해 산출된 액체(l)의 양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600)를 포함하고, 본체(100)는 용기(c)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물은 용기(c) 내부에 수용된 액체(l)의 표면이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c)의 개방된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용기(c) 내부에 수용된 액체(l)의 양을 계측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되어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에 장착되어 용기의 부피정보를 계측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체(100)는 센싱부(200), 저장부(300), 연산부(400) 및 표시부(600)가 구비되는 함체로서, 액체(l)의 부피를 계측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방수, 방열 기능이 부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200)는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고, 본체(100)가 용기(c)의 상단부에 결합 시에 센싱부(200)는 용기(c) 내측에 배치되어 그 방향이 용기(c)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용기(c) 내측에 배치되어 용기(c)의 바닥면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함으로 센싱부(200)로부터 측정대상물간(액체의 표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거리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초음파를 통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초음파 센서등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거리측정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용기(c) 내측에 배치되어 용기(c)의 바닥면과 센싱부(200)와의 거리 즉,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210) 및 수평한 방향의 용기(c)의 내측 직경을 측정하는 너비센서(2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센서(210) 및 너비센서(220)는 후술될 저장부(300)에 저장될 기준데이터를 결정함에 있어, 본체(100)를 특정 용기(c)에 장착시킨 후, 용기(c)의 내측이 빈 상태에서 높이센서(210) 및 너비센서(220)를 통해 용기(c)의 바닥면으로부터 센싱부(200)까지의 높이(h)와 센싱부(200)가 위치한 높이에서의 용기(c)의 직경(w)을 계측하여 용기(c)의 체적을 산출하고 이를 기준데이터로서 저장부(300)에 저장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200)가 높이센서(210) 및 너비센서(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기준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고, 또는 각기 다른 체적을 지닌 용기(c)의 타입별로 저장부(300)에 다양한 용기(c)의 부피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용기(c)의 부피정보는 센싱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선택적으로 적합한 용기(c)의 부피정보가 선택되어 기준데이터로 설정되어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후술될 조작부(50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 인해 적합한 용기(c)의 부피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준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산부(400)는 저장부(300)와 함께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연산처리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B)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연산부(4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저장부(30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정한 값을 도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센싱부(200)를 통해 계측된 용기(c)의 높이(h)와 너비(w)값을 통해 용기(c)의 체적을 산출하여 저장부에 기준데이터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400)는 센싱부(200)를 통해 계측된 센싱부(200)와 용기(c) 내부의 액체(l) 표면과의 거리(d1)를 통해 용기(c) 내부의 액체(l)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용기(c)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와 센싱부(200)를 통해서 계측된 용기(c) 내부의 액체(l)의 높이(d2-d1)를 대비하여 용기(c) 내부의 액체(l)의 높이에 따른 액체(l)부피를 산출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원형의 바닥면을 지닌 용기(c)의 경우 기준데이터로 저장된 용기(c)의 체적은 3.14×h×(w/2)2으로 구해질 수 있고, 센싱부(200)를 통하여 계측된 용기(c) 내부의 액체(l)의 높이(d2-d1)값을 h값을 대신하여 대입함으로 액체(l)의 부피를 산출하게 된다.
조작부(500)는 본체(100)의 일측에 버튼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을 누름으로 저장부(300)에 저장된 정보를 초기화 하거나,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용기(c)의 부피정보 중 하나의 부피정보를 기준데이터로 설정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연산부(400)를 통한 액체(l)의 부피 산출을 요청하는 작동 또는 연산부(400)를 통해 연산된 액체(l)의 부피정보를 초기화 하는 작동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될 표시부(60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초기화 하거나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장착되는 용기(c)에 A부피를 지닌 액체가 수용되고, 이후 B부피, C부피를 지닌 액체가 더 추가될 경우, 센싱부(20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A부피가 계측되어 표시부(600)에 표시되고, B부피를 지닌 액체가 더 추가된 후 센싱부(20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구해진 용기(c)내부에 수용된 액체(l)의 부피에서 A부피를 연산부(400)를 통해 감(-)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B부피를 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용기(c) 내부에 추가되는 용액들의 부피를 각기 그 추가된 양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조작부(500)를 통해 A부피, B부피등 추가된 용액의 부피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A부피, B부피등의 계측된 부피값은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600)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조작부(500)는 버튼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 또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용기(c)에 착장되어 액체(l)의 양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600)는 본체(100)에 구비되되, 가시성이 높도록 배치된다.
표시부(600)는 연산부(400)를 통해 산출된 액체(l)의 부피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저장부(300), 연산부(400)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부(600)의 조작은 조작부(5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6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타이머, 시간등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표시정보의 변환은 상술하였던 조작부(500)를 통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거치부(7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클립형태로 본체(100)와 거치부(700)의 사이에 용기(c)의 측벽을 수용하여 본체(100)가 용기(c)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거치부(700)는 탄성부재를 통해 용기(c)의 측벽을 가압하여 고정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전용용기(c) 및 덮개의 형태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가 전용용기 및 덮개로 구현되어 액체(l)의 양을 계측하고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특정된 전용용기(20)와 전용용기(20)의 상부에 덮히는 덮개(10)가 구비되고, 덮개(10)에 센싱부(200), 저장부(300), 연산부(400) 및 표시부(600)가 구비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전용용기(20)의 부피정보 및 액체(l)의 높이에 따른 부피정보등이 저장부(300)에 저장되고, 센싱부(200)를 통해 계측된 전용용기(20) 내부의 액체(l)의 높이를 통해 연산부(400)에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액체(l)의 양을 산출하여 표시부(600)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 용기
10: 덮개
20: 전용용기
100: 본체
200: 센싱부 210: 높이센서
220: 너비센서
300: 저장부
400: 연산부
500: 조작부
600: 표시부
700: 거치부

Claims (6)

  1. 액체의 양을 계측하는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측정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부;
    용기의 부피정보인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거리데이터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를 통해 산출된 액체의 양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의 측벽을 가압하여 고정력이 발생되는 클립형태의 거치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거치부의 사이에 상기 용기의 측벽이 수용되어 결합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대상물은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표면인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세로방향의 거리를 측정하는 높이센서; 및
    가로방향의 거리를 측정하는 너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센서 및 상기 너비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용기의 부피가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되고, 산출된 상기 용기의 부피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기준데이터로 저장되는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버튼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상기 연산부 및 상기 표시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용기의 부피정보가 복수 개의 타입으로 나뉘어 저장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타입으로 나뉘어 저장된 부피정보 중 하나가 상기 기준데이터로 선택되어 저장되는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6. 삭제
KR1020160091109A 2016-07-19 2016-07-19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KR10196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09A KR101961282B1 (ko) 2016-07-19 2016-07-19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09A KR101961282B1 (ko) 2016-07-19 2016-07-19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57A KR20180009457A (ko) 2018-01-29
KR101961282B1 true KR101961282B1 (ko) 2019-03-22

Family

ID=6102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09A KR101961282B1 (ko) 2016-07-19 2016-07-19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349B1 (ko) * 2021-02-15 2023-05-11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음경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809A (ja) * 1997-08-06 2001-02-27 スラップ アンダストリー 回収タンクに貯蔵された牛乳の容積を測定す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02B1 (ko) * 2011-11-15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의 부피 또는 질량을 근사치로 계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25380A (ko) * 2013-08-29 2015-03-10 김종복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809A (ja) * 1997-08-06 2001-02-27 スラップ アンダストリー 回収タンクに貯蔵された牛乳の容積を測定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57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198B2 (en) Measuring cup sensor and system
US8127605B2 (en) Food product measuring vessel with integrated scale
WO2017036232A1 (zh) 冰箱及用于冰箱的食物营养和/或热量的检测方法
CN108471909A (zh) 用于烹饪食物的设备
TW200639401A (en) Device having a trend-indicating display
WO201603761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des volumens eines getränkebehälters anhand des füllstands
WO2004081498A3 (en) Thermal liquid level indicator
KR101961282B1 (ko)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KR101833630B1 (ko) 빛의 굴절 실험장치
CN107960833B (zh) 储物装置和烹饪器具
JP2015021952A5 (ko)
JP5822315B2 (ja)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05331A5 (ko)
JP2020508470A5 (ko)
US11597564B2 (en) Adjustable recording herb and spice shaker
JP6289337B2 (ja) X線物質量測定装置
JP3225919U (ja) 濃度兼放射線量測定器
KR200345832Y1 (ko) 계량용기
JP2004198108A (ja) 電子計量カップ
KR101961283B1 (ko) 포터블 계량장치
CN210221756U (zh) 一种固体原料密度测定装置
CN202604409U (zh) 一种测量勺
JP2016020846A (ja) 手持ち式重量測定具
JP2021124417A (ja) 濃度兼放射線量測定器
CN107218910A (zh) 一种精密测量设备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