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83B1 - 포터블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83B1
KR101961283B1 KR1020170022159A KR20170022159A KR101961283B1 KR 101961283 B1 KR101961283 B1 KR 101961283B1 KR 1020170022159 A KR1020170022159 A KR 1020170022159A KR 20170022159 A KR20170022159 A KR 20170022159A KR 101961283 B1 KR101961283 B1 KR 10196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se
contents
amou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032A (ko
Inventor
박상균
Original Assignee
박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균 filed Critical 박상균
Priority to KR102017002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83B1/ko
Priority to PCT/KR2017/009163 priority patent/WO2018151385A1/ko
Publication of KR2018009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fluid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2Means for correcting for obliquity of m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유닛 및 상기 베이스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계측유닛에서 계측된 액체의 양이 표시되는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기울기센서가 구비된 액체 계량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포터블 계량장치{PORTABL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을 계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된 내용물의 양을 계측하되,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용기의 기울기에 따라 내용물을 계측하고, 계측된 무게를 통해 산출된 내용물의 양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한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량의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재료의 양을 계량하는 수단으로서 무게 또는 부피를 계측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무게 또는 부피를 계측하는 계량장치들은 가정 또는 외식업체에서 조리를 할 때 식재료의 정확한 혼합을 위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양의 재료들을 적절한 시간동안 가공하고 적절하게 혼합하여 조리가 수행되고, 이렇게 조리를 수행 시에 적절한 양, 적절한 시간 등을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조리자의 눈대중이나 감에 의지하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따라서, 동일한 조리법으로 동일한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조리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은 차이가 생기게 마련이었고, 반복하여 동일한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언제나 동일한 결과물을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
또한 근래에는 외식업의 발달 및 방송미디어 또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유명 조리자의 레시피(Recipe)가 공개되어 가정에서도 레시피를 따라 요리를 하는 현상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조리를 위한 재료의 정확한 계량 및 계측을 위한 도구들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계량, 계측도구들은 한정된 부피에 담긴 재료를 눈금 등의 표시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계량, 계측도구의 조리자의 감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정확할 수 있으나, 조리에 사용되는 액체의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해선 다양한 기구에 여러 번 옮겨 담아야 하는 등의 불편이 따랐다.
그리고 액체의 경우에는 도구가 수평을 유지해야 정확하게 계측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액체를 도구에 담아서 수평한 장소에 안착시켜야지만 정밀하게 계측이 가능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종래용기는 바닥면에 안착이 되어야만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계측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바닥이 수평이 아닌 곳에서는 계측을 할 수 없고, 조리 중에라도 수평 위치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수평한 바닥의 유무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고, 복잡한 조리과정이나 환경 속에서도 빠르게 원하는 액체의 부피를 계량할 수 있는 계량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내용물의 양을 계측함에 있어 베이스의 내부에 로드셀이 구비되고, 로드셀의 계측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울기센서가 더 포함되어 사용자가 베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정확한 내용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계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량장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내부에 상기 용기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용기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계측유닛에서 계측된 상기 내용물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정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양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용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내용물의 양을 상기 표시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무게센서를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양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용기 하부에 구비되고, 하부를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계측유닛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바닥면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기울기 범위를 표시하고, 상기 기울기 범위에서 내용물의 양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둘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계측유닛을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표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수용하는 받침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는 수평한 바닥면에 내려놓아야 하는 등의 특정한 제약이 없이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바로 정확한 액체의 부피를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는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기울기가 감지되고, 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에서 수용된 내용물의 정확한 양이 계측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는 표시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계측값을 확인 할 수 있고, 내용물의 양을 다양한 단위로 변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용기가 바닥면에 안착될 경우 무게를 계측하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이 베이스를 관통하여 무게센서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가 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에서 양이 계측되어 표시유닛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가 기울어졌을 때 내용물(W)의 양이 계측되어 표시유닛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에서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10)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에서 지지프레임(120)이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무게센서(42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200), 용기(200)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100)에 구비되고,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유닛(400), 베이스(100)의 일측 상부와 결합되어 계측유닛(400)에서 계측된 내용물(W)의 양이 표시되는 표시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는 베이스(100)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파우더, 반고형 등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W)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피 및 물리량을 계측하여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OZ, ml, g 등 다양한 단위로 변환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베이스(100)는 내부에 삽입공간(110)이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공간(110)에는 선택적으로 삽입공간(110)에 삽입가능하고, 베이스(100)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게 구비된 용기(200)가 삽입된다.
용기(200)는 내용물(W)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200)가 원통으로 형성된다고 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 용기(200)의 형상은 내용물(W)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사방이 폐쇄되어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용기(200)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용기(200)가 삽입되는 베이스(100) 또한 원통형상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되고 용기(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공간(110)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일 실시 예 일뿐, 삽입공간(110)이 용기(200)의 형성에 대응되고 외측 둘레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베이스(100)는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100)의 내측 바닥면과 용기(200)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100)와 착탈 형태로 끼움 결합되며, 베이스(100)의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용기(200)를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20)의 바닥면의 일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돌출부(122)는 관통홀(140)의 크기에 대응된 둘레로 형성되며, 베이스(100)의 관통홀(140)에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은(120)은 상부는 용기(200)가 결합되며, 하부는 베이스(100)의 내측 바닥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돌출된 돌출부(122)는 관통홀(140)을 관통하여 계측유닛(400)에 결합되어 용기(200) 내부의 수용된 내용물(W)을 계측한다.
여기서 계측유닛(400)은 베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베이스(1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한다.
따라서, 관통홀(140)을 관통한 돌출부(122)가 계측유닛(400)과 결합되어 베이스(1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계측유닛(400)은,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양을 측정하는 무게센서(420) 및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440)로 형성된다.
여기서 무게센서(4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드셀(Load-Cell)을 사용한다.
따라서 돌출부(122)는 상기 로드셀의 형상에 따라 상기 로드셀이 베이스(100)에 수용된 내용물(W)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계측유닛(40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계측유닛(400)은 베이스(100)의 하부와 결합된 받침커버(500)에 수용된다.
받침커버(500)는 내부에 계측유닛(400)이 구비되고, 베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100)가 지면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이란, 절대수평과 이와 평행한 동일선상을 말한다.
이를 기준으로 절대수평의 기울기 값이 '0'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 -' 범위를 보정하여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커버(500)는 내부에 기울기센서(440)가 구비되어 내용물(W)의 베이스(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내용물(W)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계측유닛(400)에서 계측된 정보를 표시는 표시유닛(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Li-Ion) 베터리 일 수도 있고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종류로 변경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공간(110)이 형성되어 삽입공간(110)으로 용기(200)가 수용된다.
용기(200)는 삽입공간(110)의 내측둘레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어 내용물(W)가 수용된다.
여기서 용기(200)는 수용된 내용물(W)가 베이스(100)와 용기(200) 사이의 삽입공간(110)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용기(200)의 상측 단부의 둘레가 하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공간(110)에 삽입되었을 때에 내용물(W)가 삽입공간(110)으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삽입공간(11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20)은 용기(200)와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용기(200)와 지지프레임(120)은 용기(200)가 지지프레임(120)에 접촉된 후 회전하여 끼움결합이 된다.
그리고 용기(200)는 베이스(100)의 상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100)의 상측 둘레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200)의 상측 둘레는 베이스(100)의 상측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어 있지만 결합되어 있지는 않고, 용기(200)의 바닥면이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용기(200)가 베이스(200)내부로 삽입되면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W)이 베이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어 있으면서도 용기(200)의 상부와 베이스(200)의 상부가 결합되면서 용기(200) 내부의 정확한 무게 측정에 간섭이 발생되기 때문에 용기(200)의 상부와 베이스(200)의 상부가 결합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용기(200)의 바닥은 지지프레임(120)과 회전하면서 끼움결합되고 상측 둘레는 베이스(100)의 상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면서도 결속력이 강화되는 특징이 있다.
계속해서 베이스(100)의 외측둘레를 따라 일부에 표시유닛(30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유닛(300)은,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절곡되어 말려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계측유닛(400)에서 계측된 내용물(W)의 양 및 베이스(100)가 기울어진 정도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유닛(300)은 베이스(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컨트롤러(Controller)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용기(200)의 무게를 제외한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하기 위해 용기(200)가 결합된 후 영점(Zero point)을 잡을 수 있고, 내용물(W)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단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변환이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베이스(100)는 둘레의 일부에 'ㄱ' 형태의 파지부(160)가 결합되어 있다. 파지부(160)는 사용자가 베이스(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형상을 'ㄱ' 형상으로 한정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도 4를 살펴보면 용기(200)의 하부와 결합된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122)가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계측유닛(400)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2)는 상기 계측유닛(400)와 결합관계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무게센서(420)가 상기 로드셀이 아닌 다른 형태의 양을 계측할 수 있는 센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계측유닛(400)에 결합가능하게 돌출부(122)의 형상이 변경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200)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20)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22)가 돌출되어 무게센서(420)와 결합되기 때문에, 수평한 장소에 계량장치(1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W)의 양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작동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가 기울어졌을 때 내용물(W)의 양이 계측되어 표시유닛(300)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가 수평되었을 때 내용물(W)의 양이 계측되어 표시유닛(300)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계량장치(10)를 파지하고 있고 계량장치(10)는 상기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범위는 소정의 기울기 값을 보정하여 내용물(W)의 양을 계측이 가능한 허용범위를 말한다.
계량장치(10)가 상기 기울기 범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지지프레임(120)은 정확하게 내용물(W)의 양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내용물(W)이 용기(100)의 내측 측면으로 무게가 분산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울어졌을 때는 무게센서(420)에서 정확하게 내용물(W)의 양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계측유닛(400)은 기울기센서(440)와 무게센서(420)를 연동하여내용물(W)을 계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측유닛(400)은 기울기센서(440)에서 계량장치(10)가 상기 기울기 범위를 가진 경우, 무게센서(420)를 이용하여 계측하도록 연동하여 동작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량장치(10)를 파지하고 있으며, 계량장치(10)는 바닥면(B)에서 상당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계량장치(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용물(W)을 담게 되면 정확한 무게가 표시유닛(300)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만 계량장치(10)는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계량장치(10)가 기울어지게 되면, 사용자는 수평이 되지 않았음을 표시유닛(3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계량장치(10)를 움직여서 수평으로 맞추도록 한다.
이렇게 계량장치(10)는 수평이 되지 않았을 경우, 표시유닛(300)에서 'X'가 점등된다.
이때, 사용자는 계량장치(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으며, 수평이 유지되면 표시유닛(300)에 'O'에 점등이 되고 무게센서(420)가 내용물(W)를 계측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측유닛(400)은, 계량장치(10)가 수평이 유지되면 무게를 계측할 수 있도록 계량장치(10)의 수평 및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계량장치(10)는 베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계측유닛(400)이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20)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20) 바닥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용기(200)가 지지프레임(120)에 안착되면서 용기(200) 내부에 담긴 내용물(W)을 계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확한 계측을 위해 기울기센서(440)가 구비되어 계량장치(10)가 상기 기울기 범위의 기울기를 유지할 때 기울기를 보정하여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하여 표시유닛(300)에 계측된 값을 송신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유닛(300)은 O, X로 표시된다고 하였지만, 계측된 기울기 각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식별 가능한 기호 또는 색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표시유닛(300)은 사용자가 정확한 수평을 맞추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일정부분 상기 기울기 범위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확한 수평이 아니더라도 상기 기울기 범위 설정되어 계량장치(10)가 소정의 각도 기울어져도 기울어진 기울기를 보정하여 내용물(W)의 양이 측정된다.
다른 실시예로 용기(200)의 베이스(1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0)는 바닥면과 둘레 사이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200)의 하부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다면, 내용물(W)가 용기(200)의 바닥면과 경사면에 위치하더라고 기울기센서(440)는 경사면의 각도만큼 기울기를 보정하여 표시유닛(300)에 내용물(W)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계량장치(10)를 움직여서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오차범위 내에 수평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이어서 정확한 내용물(W)의 양이 표시유닛(300)에 표시된다.
여기서 기울기센서(440)는 계량장치(10)가 수평을 유지할 때 계측이 가능하고, 수평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신호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수평이 되지 않았음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량장치(10)는 내부에 스피커(미도시) 또는 진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기울기센서(440)와 연동되어 수평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진동모터는 베이스(100)의 외측 둘레에 별로로 장착되거나 바닥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식별가능하게 'O, X' 표시되도록 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0)가 수평을 유지될 경우를 가정해보면, 상기 진동모터가 1회 진동하고 표시유닛(300)에 'O'에 불이 들어오게 되어 사용자가 수평이 맞춰줬다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각, 시각, 청각을 통해 수평을 유지되었음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가정일 뿐, 진동모터, 스피커 등의 구성은 필수구성은 아니며 사용자가 수평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구비되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그리고 표시유닛(300)에서 O or X가 표시되는 것은 내부에 LED 또는 발광하는 어느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구성으로 발광하여 사용자가 O, X를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발광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량장치(10)는 기울기센서(440)에 의해 수평이 유지될 경우 정확하게 내용물(W)의 질량을 계측할 수 있으므로, 계량장치(10)의 상기 기울기 범위의 기울기가 선행이 된다면 무게센서(420)가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하게 된다.
도 6에서는 계량장치(10)가 상기 기울기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계량장치(10)가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내용물(W)의 양은 베이스(100)의 바닥면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200)에 담긴 내용물(W)의 양은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된 무게센서(420)를 통해 계측이 가능하여 온전한 내용물(W)의 양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게센서(420)는 용기(200)의 양을 제거한 순수 내용물(W)의 양만 계측을 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표시유닛(300)에는 내용물(W)의 양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센서(440)에서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통해 상기 내용물(W)의 양을 보정 및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표시유닛(300)에서 내용물(W)의 양이 표시되는 것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부피로 표시되는 것은 일 실시예 일 뿐, 비중, 질량, 부피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용기가 일정시간 동안 변화된 내용물(W)의 양의 평균 값을 도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증이 있는 사용자는 계량장치(10)를 파지하게 되면 떨림으로 인해 기울기 값이 계속해서 변화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 시간동안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여 내용물(W)의 평균값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표시유닛(300)에 구비되는 버튼(미도시)에 의해 설정을 할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버튼을 누른 후 3초간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내용물(W)의 평균값이 표시유닛(300)에 표시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 값이 표시유닛(300)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단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200)가 베이스(100)에 삽입된 후 영점을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종합해봤을 때, 본 발명의 계량장치(10)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계측이 가능하고 기울기센서(440)는 계량장치(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수평 여부를 식별가능하게 표시유닛(300)에 표시가 되고, 표시유닛(300)에서 수평이 되었다고 표시가 되면 무게센서(420)에 의해 내용물(W)의 양이 표시유닛(300)에 표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계량장치(10)는 내용물(W)이 용기(200)에 담기는 양을 계측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W)이 배출되는 양도 계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200)에 담긴 내용물(W)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 계측유닛(400)에 의해 기울기센서(440) 및 무게센서(420)를 연동하여 내용물(W)이 배출되는 양을 백분율로 표시유닛(300)에 표시 할 수 있다.
이는 계측유닛(400)이 계량장치(10)의 기울기와 내용물(W)의 무게를 통해 내용물(W)이 배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기울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에서도 기울기와 내용물(W)의 줄어드는 무게를 연동하여 대략적인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내용물(W)이 배출되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장치(10)에서 용기(20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용기(200)로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용기(200)는 베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는 내용물(W)의 양이 많게 될 때, 용기(200)를 변경하여 수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용기(200)의 용량은 길이의 변경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이는 베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용물(W)을 측정해야하기 때문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0)는 베이스(100)의 높이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계량되는 양이 많게 되면 높이가 길게 형성된 용기A(200A)로 교체된다.
용기A(200A)는 용기(200)보다 길기 형성되지만 베이스(200)에 삽입이 가능한 둘레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A(200A)는 용기(200)과 마찬가지로 상측 둘레가 절곡되어 있어서 내부의 내용물(W)이 베이스(20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0)는 다양한 높이로 내용물(W)이 수용되는 양을 변경할 수 있으며, 용기(200)는 베이스(100)에 착탈이 가능하다면 용기(200)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9: 종래용기
10: 계량장치
100: 베이스
110: 삽입공간
120: 지지프레임
122: 돌출부
160: 파지부
140: 관통홀
200: 용기
200A: 용기A
210: 수용공간
300: 표시유닛
400: 계측유닛
420: 무게센서
440: 기울기센서
500: 받침커버

Claims (10)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부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고 하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도록 바닥면의 일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하부에서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 내부의 상기 내용물을 계측하는 계측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계측유닛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
    을 포함하는 계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용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를 포함하는 계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용기가 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에 위치한 경우 상기 내용물의 양을 보정하여 상기 표시유닛에 제공하는 계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유닛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무게센서를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양을 계측하는 계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가 환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량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수평구간을 표시하고, 상기 수평구간에서 내용물의 양을 표시되는 계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둘레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계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계측유닛을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표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수용하는 받침커버;
    를 포함하는 계량장치.
KR1020170022159A 2017-02-20 2017-02-20 포터블 계량장치 KR10196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59A KR101961283B1 (ko) 2017-02-20 2017-02-20 포터블 계량장치
PCT/KR2017/009163 WO2018151385A1 (ko) 2017-02-20 2017-08-22 포터블 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59A KR101961283B1 (ko) 2017-02-20 2017-02-20 포터블 계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32A KR20180096032A (ko) 2018-08-29
KR101961283B1 true KR101961283B1 (ko) 2019-07-17

Family

ID=6316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159A KR101961283B1 (ko) 2017-02-20 2017-02-20 포터블 계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1283B1 (ko)
WO (1) WO201815138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23851U (zh) 2013-07-14 2013-12-04 林辉玉 一种计数称重两用勺子
US20160166096A1 (en) 2013-08-01 2016-06-16 Drexel University Device to Measure and Monitor Drinking and Eating
CN205625713U (zh) 2016-03-24 2016-10-12 东华理工大学 带角度补偿厨房电子计量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1918B2 (ja) * 1990-09-19 1999-08-30 テルモ株式会社 秤量装置
KR100755463B1 (ko) * 2006-08-25 2007-09-04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로드셀이 장착된 전기압력밥솥
KR101204455B1 (ko) * 2010-11-02 2012-11-26 주식회사 티엠티엔지니어링 컨테이너용 로드셀 유니트
KR101462880B1 (ko) * 2014-03-25 2014-11-24 (주)녹십자헬스케어 액체 음용량 측정 기능을 갖는 컵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음용량 측정방법,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23851U (zh) 2013-07-14 2013-12-04 林辉玉 一种计数称重两用勺子
US20160166096A1 (en) 2013-08-01 2016-06-16 Drexel University Device to Measure and Monitor Drinking and Eating
CN205625713U (zh) 2016-03-24 2016-10-12 东华理工大学 带角度补偿厨房电子计量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32A (ko) 2018-08-29
WO2018151385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1909A (zh) 用于烹饪食物的设备
CA2508570C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EP2396635B1 (en) A one foot scale
CN108344491B (zh) 烹饪设备的重量显示方法、称重装置、烹饪设备及其内锅
JP6931698B2 (ja) 食物プロセッサーのための計量装置
US20100139361A1 (en) Calibration arrangement for an apparatus that prepares a beverage from water and an instant product
US20070066363A1 (en) Mobile cellular telephone with a display that is controlled partly by an incline sensor
KR101961283B1 (ko) 포터블 계량장치
CN108474687A (zh) 用于监测水合包中的液体体积的系统、装置和方法
CN106618155A (zh) 送料控制方法、送料控制系统及烹饪装置
US20120123721A1 (en) Electronic scale having function of compensating for air pressure changes in glove box
CN109724664A (zh) 测量设备和测量系统
KR20170054036A (ko)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KR101961282B1 (ko)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KR101335696B1 (ko)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CN108344485B (zh) 烹饪设备的重量显示方法、称重装置、烹饪设备及其内锅
EP4386335A1 (en) Scale system
EP4386336A1 (en) Scale system
CN215064848U (zh) 一种称重的食物处理机
KR200345832Y1 (ko) 계량용기
CN219474499U (zh) 一种测瓶高和酒瓶瓶脖不同深处内径的联动检测仪器
WO2023272348A1 (en) An appliance
KR20240000019U (ko) 계량용기
WO2024059907A1 (en) An appliance
JP3946301B2 (ja) ディジタル表示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