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036A -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 Google Patents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036A
KR20170054036A KR1020150156716A KR20150156716A KR20170054036A KR 20170054036 A KR20170054036 A KR 20170054036A KR 1020150156716 A KR1020150156716 A KR 1020150156716A KR 20150156716 A KR20150156716 A KR 20150156716A KR 20170054036 A KR20170054036 A KR 20170054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sensing
unit
cu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병선
김재훈
김규한
송민섭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036A/ko
Publication of KR2017005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operating with electric fie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3Weight indica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입술 감지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용 동작의 전후 무게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CUP CAPABLE OF MEASURING DRINKING AMOUNT}
본 발명은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은 인간의 생명 유지와 관련하여 꼭 필요한 것으로서, 건강한 물 마시기와 관련하여 하루 물 권장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물의 섭취량은 하루 1.5~2 리터로, 200 ml 기준으로 8~10 잔에 해당되며, 음료수나 음식이 아닌 순수한 물을 1.5~2 리터 마시라고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과하게 마실 경우에는 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극단적인 사태가 발생될 가능성도 있으니, 적정량 조절하여 마시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정수기를 통해 하루 물 섭취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한 사람의 하루 물 섭취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물 음용량 관리 및 하루 물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의 음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43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컵의 수용부에 입술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하여 음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컵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마시는 물의 음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입술 감지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용 동작의 전후 무게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술의 접촉이 감지되면 음용 동작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술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음용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되는 음용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은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입술 감지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용 동작의 전후 수위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컵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의 기울기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수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위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컵의 수용부에 입술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무게 변화를 이용하여 음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컵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마시는 물의 음용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100)은 수용부(1), 입술 감지부(110), 수위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100)은 도 2에서와 같이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는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입술 감지부(110)는 수용부(1)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술 감지부(110)는 입술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이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술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입술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입술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입술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입술의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입술 감지부(110)는 수용부(1)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입술을 감지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무게 감지부(120)는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무게 감지부(120)는 무게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이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게 감지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수용부(1)의 하단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120)일 수 있다. 여기서, 무게센서(120)는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수용부(1)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술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용 동작이란, 컵(100)의 사용자가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을 마시는 동작을 의미하며, 물버림 동작이란,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을 사용자가 섭취하지 않고 버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음용 동작 전과 음용 동작 후의 무게 변화량을 이용하여 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입술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입술의 접촉이 감지되면 음용 동작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입술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음용 동작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입술이 감지된 때부터 입술의 감지가 해제될 때까지 음용 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입술이 감지되기 이전의 물의 무게와 입술의 감지가 해제된 이후의 물의 무게를 비교하여 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정의 기간 동안(예컨대, 하루) 산출된 음용량을 적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입술 감지부(110)를 통해 입술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빨대와 같은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 때의 무게 변화량을 음용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WiFi,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산출된 음용량을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정의 기간 동안 적산된 음용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상기 전송된 음용량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게 감지부 대신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100)은 수용부(1), 입술 감지부(110), 수위 감지부(122)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100)은, 도 5에서와 같이, 기울기 측정부(124)와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122)는 컵(100)의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위 감지부(120)는 수용부(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컵의 수용부(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120)는 상기 생성한 수위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위 감지부(120)는 수위 센서일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24)는 컵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기울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24)는 도 6에서와 같이,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컵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24)는 상기 생성한 기울기정보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감지부(124)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위 감지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의 전후 수위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컵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기울기 감지부(124)로부터 입력되는 기울기정보에 기초하여 컵(100)의 기울기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위 감지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10: 입술 감지부
120: 무게 감지부
122: 수위 감지부
124: 기울기 감지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200: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15)

  1.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입술 감지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무게 감지부; 및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용 동작의 전후 무게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술의 접촉이 감지되면 음용 동작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입술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음용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를 통해 전달되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되는 음용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8.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입술을 감지하여 입술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입술 감지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음용 동작을 판단하고, 음용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용 동작의 전후 수위의 변화량에 따른 음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의 기울기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수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위 감지부를 제어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술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술의 접촉이 감지되면 음용 동작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입술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음용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입술의 접촉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인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15.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되는 음용량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KR1020150156716A 2015-11-09 2015-11-09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KR20170054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16A KR20170054036A (ko) 2015-11-09 2015-11-09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16A KR20170054036A (ko) 2015-11-09 2015-11-09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36A true KR20170054036A (ko) 2017-05-17

Family

ID=5904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716A KR20170054036A (ko) 2015-11-09 2015-11-09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0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70A (ko) * 2018-07-11 2020-01-21 김영철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KR20210071953A (ko) * 2018-08-10 2021-06-16 크라프트 인더스트리스 엘엘씨 스마트 용기
KR20230053137A (ko) * 2021-10-14 2023-04-21 정영우 방역 소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70A (ko) * 2018-07-11 2020-01-21 김영철 음료 냉각 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
KR20210071953A (ko) * 2018-08-10 2021-06-16 크라프트 인더스트리스 엘엘씨 스마트 용기
KR20230053137A (ko) * 2021-10-14 2023-04-21 정영우 방역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3194A (ko)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CN103445617B (zh) 水杯
RU2533335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мом жидкости в емкости
US20150359364A1 (en) Activity and volume sensing beverage container cap system
US9766117B2 (en) Interactive scale with proximity detector
US10722059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10750842B2 (en) Bottle
US20180045547A1 (en) Smart cup, drinking amount detecting method for smart cup and system therefor
KR20170054036A (ko) 음용량 측정이 가능한 컵
JP2012179114A (ja) 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測定プログラム
US20170238744A1 (en) Activity and volume sensing beverage container cap system
US11976955B2 (en)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20170077419A (ko) 스마트 컵
GB2512050A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determination and/or monitoring of alcohol consumption
US6840100B1 (en) Liquid level indicator
CN105193197A (zh) 一种检测饮水量的智能水杯
CN107427140A (zh) 饮用监测系统及其智能水杯
US11443844B2 (en)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20120019772A (ko) 시각 장애인용 물컵
WO2016206061A1 (zh) 一种智能水杯
US108745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iquid consumption during infant feeding
KR101877495B1 (ko) 스마트 생리컵 및 스마트 생리컵을 이용한 생리혈 측정 방법
US20130128698A1 (en) Object Outline Measuring System
KR20160039891A (ko) 음용 액체 섭취량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9724664A (zh) 测量设备和测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