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696B1 -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696B1
KR101335696B1 KR1020120136315A KR20120136315A KR101335696B1 KR 101335696 B1 KR101335696 B1 KR 101335696B1 KR 1020120136315 A KR1020120136315 A KR 1020120136315A KR 20120136315 A KR20120136315 A KR 20120136315A KR 101335696 B1 KR101335696 B1 KR 10133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pedestal
control unit
storage box
limi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수경
Original Assignee
김수경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경, 김동진 filed Critical 김수경
Priority to KR102012013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에 저장된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의 양을 용이하게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은 내부에 구비된 받침대(20)에 무게측정수단(30)이 구비되어,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0)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을 모두 사용한 빈 소화기(2)를 올려놓을 경우,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을 보충하거나 소화기(2)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container of fire extinguisher for tunnel}
본 발명은 소화기에 저장된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의 양을 용이하게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을 하는 차량용 터널의 내부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0005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소화기 보관함이 구비되어, 비상시에 소화기 보관함에 구비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소화기 보관함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면에 소화기가 올려지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소화기가 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며 소화기 보관함의 외측면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판이 구비된다.
따라서, 받침판의 상면에 소화기가 올려지면 상기 표시판이 점등되어 소화기 보관함의 내부에 소화기가 보관되어 있음을 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소화기는 소화기 보관함에 소화기가 있는지의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소화기 내부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제압한 후 소화기를 다시 소화기 보관함에 보관하면, 소화기 내부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전혀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소화기 보관함의 표시판에 소화기가 보관되어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소화기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화기 내부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전혀 없는 것을 알지 못하여 소화기를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화재가 재차 발생되어 소화기를 이용하고자 할 때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화기 내부에 남아있는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기(2)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화기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보관함은 외측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면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소화기 보관함을 관리하는 관리실에 구비된 단말기(6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점등수단(8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감지하여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점등수단(8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둘레면을 지지하여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40)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하는 밀착감지수단(50)과, 상기 제어유닛(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밀착감지수단(50)과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지만 상기 밀착감지수단(50)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은 내부에 구비된 받침대(20)에 무게측정수단(30)이 구비되어,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0)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을 모두 사용한 빈 소화기(2)를 올려놓을 경우,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을 보충하거나 소화기(2)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을 도시한 것으로, 터널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기(2)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화기 보관함은 외측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면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둘레면을 지지하여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40)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하는 밀착감지수단(5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밀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60)과, 상기 제어유닛(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과, 상기 받침대(2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점등수단(8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터널 내부의 벽면(1)에 매입설치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가압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은 일반적인 저울에 사용되는 무게측정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2)와 받침대(20)의 사이에 구비되어 받침대(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은 상기 받침대(20)의 중앙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대(20)와 무게측정수단(30)의 구조, 구성 및 작용은 일반적인 전자식 저울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위치제한부재(4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에 받침대(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고정된 것으로, 전면에는 상기 소화기(2)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오목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20)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때 소화기(2)의 둘레면이 상기 오목홈(41)에 밀착되도록 하면, 소화기(2)가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올려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소화기(2)는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오목홈(41) 역시 소화기(2)의 둘레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제한부재(40)는 상기 오목홈(41)에 밀착된 소화기(2)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이 구비된 위치의 상부, 즉, 상기 받침대(2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감지수단(50)은 상기 오목홈(41)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화기(2)의 둘레면이 상기 오목홈(41)에 밀착되면 버튼이 가압되어 on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소화기 보관함을 관리하는 관리실에 구비된 단말기(61)와 유선으로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가 측정되면, 측정된 소화기(2)의 무게값을 상기 단말기(6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61)는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소화기(2)의 무게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소화기(2)의 무게변화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감시하여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점등수단(80)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밀착감지수단(50)과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지만 상기 밀착감지수단(50)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밀착감지수단(50)의 신호를 감시하여,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지만 소화기(2)가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지 않은 것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상기 소화기(2)가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서 정해진 위치가 아닌 잘못된 위치에 올려진 것을 의미하므로, 이때,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소화기(2)를 정확한 위치,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기(2)가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는 위치에 올려놓도록 경고 또는 안내를 하도록 한다.
상기 경보수단(70)은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6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미리 녹음된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60)은 소화기(2)가 정확한 위치에 올려지지 않을 경우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키므로, 경보수단(70)에서 출력되는 안내멘트는 소화기(2)를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도록 안내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등수단(80)은 일반적인 LED램프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점등수단(80)은 상기 소화기(2)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2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은 내부에 구비된 받침대(20)에 무게측정수단(30)이 구비되어,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0)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을 모두 사용한 빈 소화기(2)를 올려놓을 경우, 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소화기(2)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60)은 소화기 보관함을 관리하는 관리실에 구비된 단말기(61)와 유선으로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수화기의 무게값을 관리실의 단말기(61)로 전송한다.
따라서, 소화기(2)를 사용하여 소화기(2)에 저장된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의 무게값을 관리실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소화기(2)의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을 충전하거나 소화기(2)를 교체하는 등과 같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점등수단(8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감지하여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점등수단(80)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점등수단(80)이 점등되거나, 받침대(20)에 소화기(2)를 올려놓았는데 점등수단(80)이 점등되지 않을 경우, 상기 무게측정수단(30) 또는 제어유닛(60)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무게측정수단(30)과 제어유닛(60)의 에러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는 상기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하는 밀착감지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밀착감지수단(50)과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지만 상기 밀착감지수단(50)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20)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때, 소화기(2)를 받침대(20)의 일정한 위치에 올려놓도록 유도하여 소화기(2)의 무게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받침대(20)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때, 소화기(2)를 올려놓는 위치가 달라질 경우,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되는 소화기(2)의 무게는 조금씩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소화기(2) 내부에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없는 데도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반대로 소화기(2) 내부에 충분한 양의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이 남아있음에도 소화기(2)가 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제한부재(40)를 이용하여 소화기(2)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올려놓도록 유도함으로써, 소화기(2)의 무게를 항상 정확히 측정하고, 소화기(2)에 남아있는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의 양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60)은 유선을 통해 상기 단말기(61)와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어유닛(60)은 무선을 통해 상기 단말기(61)와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소화기(2)의 무게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케이스 20. 받침대
30. 무게측정수단 40. 위치제한부재
50. 밀착감지수단 60. 제어유닛
70. 경보수단 80. 점등수단

Claims (4)

  1. 터널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소화기(2)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소화기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보관함은 외측면에 도어(11)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지지대(1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소화기(2)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지지대(12)와 받침대(2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받침대(20)의 중앙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6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둘레면을 지지하여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소화기(2)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재(40)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하는 밀착감지수단(50)과,
    상기 제어유닛(60)에 연결된 경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소화기 보관함을 관리하는 관리실에 구비된 단말기(6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경보수단(70)은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6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미리 녹음된 안내멘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밀착감지수단(50)과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상면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지만 상기 소화기(2)가 상기 위치제한부재(40)에 밀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70)을 작동시켜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제한부재(4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 상기 소화기(2)의 둘레면에 지지하는 오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후측면인 받침대(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되, 상기 오목홈(41)에 밀착된 소화기(2)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상부에 구비된 받침대(2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오목홈(41)은, 상기 소화기(2)의 둘레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밀착감지수단(50)은 상기 오목홈(41)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여, 소화기(2)의 둘레면이 상기 오목홈(41)에 밀착되면 리미트스위치의 버튼이 가압되어 온되고,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점등수단(80)이 상기 소화기(2)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2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감지하여 받침대(20)에 소화기(2)가 올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점등수단(8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36315A 2012-11-28 2012-11-28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KR10133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15A KR101335696B1 (ko) 2012-11-28 2012-11-28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15A KR101335696B1 (ko) 2012-11-28 2012-11-28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696B1 true KR101335696B1 (ko) 2013-12-04

Family

ID=4998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315A KR101335696B1 (ko) 2012-11-28 2012-11-28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12B1 (ko) * 2015-01-22 2016-02-0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2669244B1 (ko) 2023-12-27 2024-05-24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철도 차량용 소화기 보관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029A (ja) * 1993-12-27 1995-07-25 Aisin Seiki Co Ltd 車両消火システム
JPH08299489A (ja) * 1995-04-28 1996-11-19 Hochiki Corp 消火器収納ボックス
KR20120006308U (ko) * 2011-03-03 2012-09-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029A (ja) * 1993-12-27 1995-07-25 Aisin Seiki Co Ltd 車両消火システム
JPH08299489A (ja) * 1995-04-28 1996-11-19 Hochiki Corp 消火器収納ボックス
KR20120006308U (ko) * 2011-03-03 2012-09-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612B1 (ko) * 2015-01-22 2016-02-0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2669244B1 (ko) 2023-12-27 2024-05-24 주식회사 한국선진철도시스템 철도 차량용 소화기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8570C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KR101721822B1 (ko) 교체 자동알림 기능을 이용한 소화기의 관리 통제 시스템
KR101589678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용 가스 실린더 정보 제공 시스템
US20090301739A1 (en) Pressure sens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KR101536304B1 (ko)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KR101025295B1 (ko) 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101768542B1 (ko) 소화기 받침대
RU2013123688A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KR101335696B1 (ko)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EP3887774B1 (en) Suppression tank scale and level determination
JP3224777U (ja) 液化石油ガスボンベのガス残量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
KR20170091918A (ko) 사일로 자동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1008324B1 (ko) 지피에스 좌표를 기반으로 한 지형지물의 측지 및 측량확인시스템
KR101659558B1 (ko) 가스연료통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13519B1 (ko) 중량 표시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거치대
KR102096922B1 (ko)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CN210625820U (zh) 灭火器重量监测装置和灭火器重量监测系统
KR2018006506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CN209154976U (zh) 一种高压二氧化碳灭火气瓶失重无线报警监测系统
CN206683754U (zh) 漏电保护器测试仪
CN219251496U (zh) 一种灭火器存放装置
KR101663483B1 (ko) 부정행위 방지용 계량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4673B1 (ko) 수평측정장치
KR101373046B1 (ko)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KR102262444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소화기 및 상기 소화기를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