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065A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065A
KR20180065065A KR1020160165151A KR20160165151A KR20180065065A KR 20180065065 A KR20180065065 A KR 20180065065A KR 1020160165151 A KR1020160165151 A KR 1020160165151A KR 20160165151 A KR20160165151 A KR 20160165151A KR 20180065065 A KR20180065065 A KR 2018006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amoun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현우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와이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와이더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와이더기술
Priority to KR102016016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065A/ko
Publication of KR2018006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지통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휴지통의 쓰레기량을 확인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관리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해당 휴지통의 위치 정보와 쓰레기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쓰레기가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지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통해 상기 본체의 쓰레기량을 측정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위치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광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앱이 설치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로 상기 휴지통의 위치와 쓰레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TRASH CAN FOR REMOTE CHECKING AMOUNT OF TRASH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지통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휴지통의 쓰레기량을 확인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관리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해당 휴지통의 위치 정보와 쓰레기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종류의 휴지통이 있고, 각 대형 건물 또는 학교, 회사에서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관리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형 건물에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자면 매일 또는 매주 특정업체를 불러 건물 내 비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휴지통(쓰레기통)을 처리하도록 외주를 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회사나 건물주의 입장에서 보면 관리비만으로도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중앙에서 건물내에 비치되어있는 휴지통을 모니터링 하면서 적절한 때에 처리함으로써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례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62289호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건물 내 휴지통 관리방안개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건물 내 휴지통 관리방안개선은 덮개의 움직임 여부로 쓰레기량을 확인하고, 중앙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휴지통의 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쓰레기량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고, 해당 정보를 관리실과 같은 중앙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622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지통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휴지통의 쓰레기량을 확인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관리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해당 휴지통의 위치 정보와 쓰레기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쓰레기가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지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통해 상기 본체의 쓰레기량을 측정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위치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광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앱이 설치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로 상기 휴지통의 위치와 쓰레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지그비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전원 소비를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스마트폰이 근접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상기 광센서를 통해 쓰레기량을 측정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뚜껑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과;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제공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뚜껑은 상기 광센서, 무선 통신 모듈 및 전원 모듈의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내측에 원기둥 형태의 수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납턱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광센서의 투시창이 설치된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에 따르면, 휴지통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휴지통의 쓰레기량을 확인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관리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해당 휴지통의 위치 정보와 쓰레기량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어 청소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1)은, 본체(10)와, 뚜껑(20)으로 구성된다.
먼저, 뚜껑(20)에는 광센서(21)와, 무선 통신 모듈(22) 및 전원 모듈(23)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뚜껑(20)의 내측에는 광센서(21)와 무선 통신 모듈(22) 및 전원 모듈(23)의 배터리(23b)가 수납되도록 원형 관(管)형상의 수납턱(24)이 돌출 형성되고, 이 수납턱(24)에는 중앙에 광센서(21)를 위한 투시창(25a)을 갖는 커버(25)가 결합된다.
그리고, 광센서(21)는 뚜껑(20)의 수납턱(24) 내에 고정 설치되고, 커버(25)의 투시창(25a)을 통해 본체(10)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통해 본체(10)의 쓰레기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광센서(21)는 커버(25)의 투시창(25a)을 통해 본체(10)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된 적외선을 통해 본체(10)의 쓰레기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22)은 광센서(21)에서 센싱된 신호와, 기저장된 위치 정보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 모듈(22)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지그비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전원 소비를 최소화시키도록 스마트폰(30)이 근접하여 스마트폰(3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광센서(21)를 통해 쓰레기량을 측정한다.
아울러 전원 모듈(23)은 광센서(21) 및 무선 통신 모듈(22)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뚜껑(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23a)과, 뚜껑(20)의 결합턱(24) 내에 고정 설치되며 태양 전지판(23a)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제공하는 배터리(23b)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터리(23b)를 교체하여 배터리(23b)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폰(30)은 무선 통신 모듈(22)과 통신 수행하는 데, 앱이 설치되고, 앱을 통해 무선 통신 모듈(22)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로 휴지통(1)의 위치(예를 들어, 해당 층, 사무실 이름, 번호 등)와 쓰레기량을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자가 스마트폰(30)에 앱을 설치하고, 스마트폰(30)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휴지통(1)에 근접하게 되면, 뚜껑(20)에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22)이 동작되면서 광센서(21)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광센서(21)에서 커버(25)의 투시창(25a)을 통해 본체(10)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센싱하여 무선 통신 모듈(22)로 전송한다.
이를 전송받은 무선 통신 모듈(22)은 기저장된 위치 정보 신호와, 광센서(21)에서 센싱된 신호를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폰(30)의 무선 통신 모듈에서 해당 신호를 수신하면, 앱에서 광센서(21)에서 센싱된 신호를 통해 쓰레기량을 확인한다. 즉, 스마트폰(30)의 앱에는 휴지통(1)의 정보가 기저장되어 해당 광의 신호에 따른 쓰레기량을 확인할 수 있다.
쓰레기량의 확인이 완료되면, 앱은 스마트폰(30)에 휴지통(1)의 위치와 쓰레기량을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휴지통(1)의 쓰레기량을 확인하여 쓰레기가 가득 찬 경우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쓰레기를 비우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휴지통 10 : 본체
20 : 뚜껑 21 : 광센서
22 : 무선 통신 모듈 23 : 전원 모듈
24 : 수납턱 25 : 커버
30 : 스마트폰

Claims (5)

  1. 쓰레기가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지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을 통해 상기 본체의 쓰레기량을 측정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센싱된 신호와, 위치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광센서 및 무선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및
    앱이 설치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신호로 상기 휴지통의 위치와 쓰레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지그비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전원 소비를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스마트폰이 근접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상기 광센서를 통해 쓰레기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뚜껑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과;
    상기 뚜껑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여 제공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광센서, 무선 통신 모듈 및 전원 모듈의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내측에 원기둥 형태의 수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납턱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광센서의 투시창이 설치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KR1020160165151A 2016-12-06 2016-12-06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KR20180065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51A KR20180065065A (ko) 2016-12-06 2016-12-06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51A KR20180065065A (ko) 2016-12-06 2016-12-06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65A true KR20180065065A (ko) 2018-06-18

Family

ID=6276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51A KR20180065065A (ko) 2016-12-06 2016-12-06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0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869B1 (ko) * 2019-06-26 2019-12-24 박동운 쓰레기통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 시스템
KR102066986B1 (ko) 2018-07-16 2020-03-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잠금이 가능한 스마트 쓰레기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289A (ko) 2007-12-12 2009-06-17 안광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건물 내 휴지통 관리방안개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289A (ko) 2007-12-12 2009-06-17 안광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건물 내 휴지통 관리방안개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986B1 (ko) 2018-07-16 2020-03-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잠금이 가능한 스마트 쓰레기통
KR102058869B1 (ko) * 2019-06-26 2019-12-24 박동운 쓰레기통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915B2 (en) Customer tool for remote management of waste services
US9355550B2 (en) Operating state warning device
US9347821B1 (en) Refuse container with weight indicator and danger alerting
EP3465559B1 (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managing refuse collection performed according to pre-established schedule, a process for managing refuse collection and a system for managing refuse collection
CN103443595A (zh) 网路启用的施配器
US20150327735A1 (en) Dispenser
KR2018006506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쓰레기량의 확인이 가능한 휴지통
US20200001320A1 (en) Dispensing control system
KR20120077949A (ko) 전자 선반 라벨 및 배터리 잔량 관리 방법
KR101466886B1 (ko)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DE102018002977A1 (de) Messgerät
KR20170091918A (ko) 사일로 자동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제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180071981A (ko) 충전 보관함 및 충전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1843647B1 (ko) 스마트 화장품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품 관리 시스템
KR20210023998A (ko) 분배 제어 시스템, 분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54339A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내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JP2019199358A (ja) 取付具、及び収容容器管理システム
KR102084371B1 (ko) 위험물 보관함
CN203838753U (zh) 小区包裹收货机
JP201219977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335696B1 (ko) 터널용 소화기 보관함
KR101892178B1 (ko) 살균 및 경보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포함된 자외선 지수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992591A1 (en) Detection device for container filling
KR20160033990A (ko) 단말기 충전 과금 시스템
WO2018171276A1 (zh) 一种微镜扫平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