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167B1 -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 Google Patents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167B1
KR102132167B1 KR1020130079250A KR20130079250A KR102132167B1 KR 102132167 B1 KR102132167 B1 KR 102132167B1 KR 1020130079250 A KR1020130079250 A KR 1020130079250A KR 20130079250 A KR20130079250 A KR 20130079250A KR 102132167 B1 KR102132167 B1 KR 102132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base
weight
coating
base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842A (ko
Inventor
이정환
전용
김억
최현진
임명혁
박순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 B05D3/141Plasma treatment
    • B05D3/142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3Base coat plus clear coat type
    • B05D7/532Base coat plus clear coat type the two layers being cured or baked together, i.e. wet on w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은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25~40 중량%, 폴리에스터 수지 10~25 중량%, 아크릴계 수지 10~25 중량%, 탄화수소계 용제 15~30 중량% 및 안료 3~1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은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PAINT COMPOSITION OF BASE COATING, PAINTING METHOD FOR VEHICLE PARTS AND VEHICLE PAR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라이머로서 기능할 수 있는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 성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이고 경제적 효과 및 신뢰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범퍼를 포함한 대부분의 차량 부품용 소재로는 가격, 성능, 재활용 등의 시장 요구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금속 성형체 대신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재질의 기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소재는 비극성 및 낮은 표면장력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으로 도장이나 접착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들의 성형체에 도료를 도장하는 경우에 도막과 기재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선 프라이머층을 기재 상에 형성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도 2는 기존에 사용되는 도장 방법으로 도장된 차량부품(범퍼)(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부품용 폴리올리핀계 기재(10)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층(12)을 형성한 다음,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12)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는 베이스 코팅층(22)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코팅층(22)을 보호하고 광택 및 선영성 등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클리어 코팅층(30)을 형성하고 건조(베이킹)하여 이루어지는 이른바 3-코팅 1-베이킹(3C-1B) 시스템으로 도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폴리올레핀 기재에 적용되는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게 되는데, 도막이 형성된 기재에 염소 등 유기성분이 잔류하게 되어 차량내부에서 냄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가 발생하여 사용자 및 작업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량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실제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대기중 오존 농도 개선 등을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을 규제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121462호는 특정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및 특정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 수지와 함께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염소로 인한 문제점은 여전히 지니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3-코팅 시스템의 도장시 스프레이 부스, 로봇 도장기, 순환 시스템(Circulation System), 탱크, 샌딩 작업장, 오븐(Oven) 등의 설비가 요구됨에 따라 도장공장 설립에 필요한 설비투자비가 증가하고, 특히 프라이머 코팅층의 형성 및 보정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도장 및 경화에 사용되는 공조와 오븐이 요구되는 등 공정비용 및 설비운영적인 측면에서 높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유해성과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영향성을 해결할 수 있는 비할로겐화 도료사용 및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장공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연구를 거듭하여 기존 3-코팅 시스템에서 프라이머 공정을 삭제하고, 프라이머로서 기능할 수 있는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 성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 효과가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부품용 기재인 폴리올레핀계 소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후속 도장되는 클리어 코팅용 도료와의 부착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의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성, 내구성, 내습성, 내마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친화적이며 공정단축 및 원가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가 우수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 부품 도장방법으로 도장된 차량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은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25~40 중량%, 폴리에스터 수지 10~25 중량%, 아크릴계 수지 10~25 중량%, 탄화수소계 용제 15~30 중량% 및 안료 3~1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은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레벨링제 0.1~3 중량% 및 자외선 안정제 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 부품 도장방법은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표면에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을 베이킹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을 플리즈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킹은 70~10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차량 부품 도장방법에 의해 도장된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 부품은 차량부품용 기재;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두께는 15~30㎛이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의 두께는 25~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는 범퍼, 사이드 실 몰딩, 사이드 가니쉬 및 사이드 프로텍터 중에서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적용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코팅층은 기존 프라이머 코팅층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후속 도장되는 클리어 코팅용 도료와의 부착성 또한 우수하며, 편의성, 신뢰성이 우수하며, 외관성, 내구성, 내습성,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하고,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을 적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프라이머 코팅 공정단축 및 원가절감 등 경제적 효과가 우수하여 특히 차량 범퍼 용도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라 도장된 차량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존에 사용되는 도장 방법으로 도장된 차량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도막 시편에 대한 부착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은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수지, 아크릴계 수지, 탄화수소계 용제 및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과 폴리올레핀 기재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우수한 부착성을 제공하고, 기존 프라이머에 사용되는 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을 대체하며, 안료의 변색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할로겐이 포함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레올레핀 수지로는 변성된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은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에 대한 밀착성, 내수성 및 내약품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물성 강화-복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0,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 외관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25~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상용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변색을 방지하여 외관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를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부착성이 저하되며,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 및 베이스 코팅층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Polyester resin)는 후술할 안료와 친화성이 우수하여 안정적인 색상을 발현하고, 견고한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50~90%의 수지 고형분을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60%의 수지 고형분을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3,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2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후술할 안료와 용이하게 혼합되어 외관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부착성이 저하되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작업성 및 베이스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상기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성분과 상용성이 우수하며,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 조절과 작업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30~60%의 수지 고형분을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15,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50%의 수지 고형분을 가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 단량체 단독 또는 아크릴 단량체 및 상기 아크릴 단량체와 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로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함유 아크릴공중합체, 수산기 및 탄소수 1-10의 알킬기 함유 아크릴공중합체, 탄소수 6-20의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공중합체, 카르복시산기 함유 아크릴공중합체, 탄소수 5-20의 지환족기 함유 아크릴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2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작업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부착성이 저하되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작업성 및 베이스 코팅층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용제
상기 탄화수소(Hydrocarbon)계 용제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용해하여 점도를 조절하고, 코팅층의 평활성 향상 및 도장 작업성 향상의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및 크실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종류의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시 증발속도가 느리고 상기 안료의 퍼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5~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베이스 코팅층의 평활성 및 도장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되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고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을 침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안료
상기 안료는 본 발명에서 전술한 폴리에스터 수지와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을 발현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레드 계열, 황색/오렌지 계열, 블루 계열, 블랙 계열, 백색 계열, 펄 및 메탈릭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안료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3~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관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3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색상 표현이 미미하여 외관 특성이 저하되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레벨링제 0.1~3 중량% 및 자외선 안정제 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벨링제
상기 레벨링제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코팅층을 평활성을 향상시켜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레벨링제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탄소수 2~10의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레벨링제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0.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평활성이 우수하며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평활성이 저하되며, 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베이스 코팅층에 기포 발생의 표면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베이스 코팅층의 표면결함 및 광택 손실을 방지하고 내후성을 증가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는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4-비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도데실숙신산이미드, 1-(3,5-디 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3,5-디 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디(트리데실)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택손실 및 표면결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효과가 미미하며, 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 부품 도장방법은 전술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차량 부품용 소재 표면에 도포하여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표면에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을 베이킹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부품 도장 방법에서는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량 부품용 소재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 없이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기존 프라이머 도포가 갖는 부착성과 상기 베이스 코트의 색상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소재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도포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장 로봇의 도장 건(gun)에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공급하고 상기 차량 부품이 통과할 때마다 도장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의 두께 비율은 1:0.8~2.5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2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2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율에서 상기 차량 부품용 소재 표면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 및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15~30㎛의 두께로 상기 차량 부품용 소재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차량 부품용 소재 표면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 및 물성이 우수하며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사용하여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결합시켜 제조된 우레탄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킹 단계에서 용이한 경화를 위해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은 25~40㎛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4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내후성, 내수성, 내약품성, 내환경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킹은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을 열풍을 이용하여 70~100℃에서 20~6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용이한 건조가 이루어져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부착성 향상과 도장 후 외관 향상을 위해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의 도포 전에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은 통상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등에 의한 휘핑(whipping)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을 플리즈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리즈마 처리는 상기 기재 표면의 이물질 제거와, 상기 기재 표면의 표면장력과 접촉각(contact angle)의 향상과, 도장 후의 외관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플라즈마 버너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버너의 충진 가스는 불활성 기체 및 반응성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아르곤(Ar), 크세논(Kr) 및 제논(X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성 가스로는 O2, N2, NH3, 메탄, 에탄 및 프로판 등을 1종 이상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리즈마 처리시 상기 플라즈마 처리시 상기 반응성 가스의 분자들도 함께 이온화되고, 이온화되지 않은 중성 원자(혹은 분자)들도 전자에 의한 충돌로 인하여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져 활성화 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 표면이 활성화되어 표면장력과 contact angle이 증가하고, 표면에 먼지나 남아있는 이형제 등의 이물질이 버너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flame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며, 접착강도 향상으로 인하여 부착력이 향상되고, 선명한 색상의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면서 형상이 복잡한 구간을 용이하게 도장할 수 있어 미도장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 자체의 물성은 저해하지 않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차량부품용 기재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와 플라즈마 버너 사이의 이격거리, 처리속도 및 상기 불활성가스와 반응성가스 등의 혼합비율 등은 적용되는 차량부품용 기재의 종류 및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차량 부품 도장 방법에 의한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부품은 차량부품용 기재;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 표면에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구체예에 따라 도장된 차량부품(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10) 표면에 베이스 코팅층(20) 및 클리어 코팅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10)는 폴리올레핀계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코팅층(20)은 전술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20)은 15~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10)표면과 부착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 및 물성이 우수하며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30)은 전술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팅층(3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결합시켜 제조된 우레탄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킹 과정에서 경화를 위해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클리어 코팅층(30)은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20)의 표면에 25~4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4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20)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내후성, 내수성, 내약품성, 내환경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로는 예를 들면, 범퍼(bumper), 사이드 실 몰딩(side sill moulding),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사이드 프로텍터(side protector) 및 기타 폴리올리핀계 소재를 포함하는 바디(body) 색상 도장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로서,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함량비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a) 비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75,000g/mol인 무수 말레산 변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일본제지사의 AUROREN S-6375를 사용하였다.
(b) 폴리에스터 수지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2,500g/mol이고 수산기가 58 mgKOH/g 인 KCC사의 #3-11을 사용하였다.
(c) 아크릴계 수지로는 KCC사의 RA5554를 사용하였다.
(d) 탄화수소계 용제로는 GS 칼텍스주식회사의 TOLUENE을 사용하였다.
(e) 안료로는 (e1) 이시하라 사의 백색안료(CR 80), (e2) 미쓰비시사의 카본블랙(MA 100) 및 (e3) MERCK 사의 펄(IRIODIN 9504 RED WR)을 사용하였다.
(f) 레벨링제로는 에스카사의 EFKA-3030을 사용하였다.
(g) 자외선 안정제로는 UV HALS (Tinuvin 123DW, CIBA사) 및 UV Absorb (Tinuvin 477DW, CIBA사)를 사용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30 40 37 20 57
폴리에스터 수지 20 10 20 25 -
아크릴계 수지 17 17 10 22 10
탄화수소계 용제 25 25 25 25 25
안료 백색안료 3 3 3 3 3
카본블랙 0.5 0.5 0.5 0.5 0.5
1.5 1.5 1.5 1.5 1.5
레벨링제 1 1 1 1 1
자외선 안정제 2 2 2 2 2
총함량 100 100 100 100 100
열가소성 플라스틱 올레핀(TPO, thermoplastic olefin) 종류인 HR580 소재의 차량 범퍼용 기재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세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적용되는 클리어 코팅용 조성물로는 아크릴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결합시켜 제조된 우레탄 도료 및 경화제(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상기 범퍼용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20㎛ 두께의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10분 경과 후 상기 클리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30㎛ 두께의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5분 경과후 80℃에서 30분 동안 베이킹을 실시하여 차량 범퍼의 도장을 완료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도장된 차량 범퍼 시편의 부착성 등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부착성: JIS D0202에 준하며 2 mm 간격으로 평행선을 그어 셀로판테이프를 접착한 뒤 떼어내어 도막의 상태를 등급 판정하였다. M-6은 전부 벗겨진 것이며, M-2.5 이하시 규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 내충격성: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범퍼시편의 도막면을 위로 하여 ISO 6272 또는 JIS K 5600-5-3의 추낙하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4.9N(0.5kgf)의 무게의 추(격심직경 12.7mm)로 도막면에 충격을 가하고 도막의 상태를 조사한다. 또한, 시험편의 두께는 3.0±0.2 mm로 하여 20cm의 높이에서 추를 낙하시켜 도막에 박리, 갈라짐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한다. 도막에 미세한 갈라짐은 허용하고 박리가 없으면 규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 내산성: 도장이 완료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범퍼시편 표면에 0.1N 규정의 염산을 도막의 표면에 0.2㎖ 적하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수세하고 도막이 표면 상태를 검사한다. 도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피착재의 노출 등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그 수준에 따라 Gray scale(G/S) 등급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견고한 도막의 형성으로 인해 내산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G/S 3급 이상이면 규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4) 내알칼리성: 도장이 완료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범퍼시편 표면에 0.1N 규정의 수산화나트륨을 상기 형성된 도막의 표면에 0.2㎖ 적하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수세하고 도막이 표면 상태를 검사한다. 도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피착재의 노출 등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그 수준에 따라 G/S 등급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견고한 도막의 형성으로 인해 내산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Gray scale(G/S) 3급 이상이면 규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5) 내약품성: 그리스, 가솔린, 엔질 오일 등을 시편 도막에 처리하고, 80℃ 오븐에서 2시간 경과한 후 도막의 상태 변화를 평가한다. 그 수준에 따라 G/S 등급으로 평가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견고한 도막의 형성으로 인해 내약품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Gray scale(G/S) 3급 이상이면 규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6) 내습성: 50℃, 98% 상대 습도 하에 168시간 동안 시편을 방치 후 관찰하고 Gray scale,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2.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7) 내수성: 40℃ 물에 시편을 넣고 10일 경과한 후 Gray scale,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2.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8) 내염수 분무성: ISO 7253 또는 JIS K 5600-7에 의거하여 시편을 240시간 분무 후 수분제거 및 1시간 상온 방치 후 G/S,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2.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9) 내열성: 90℃, 300시간 동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시편을 방치 후 G/S,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2.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10) 내열싸이클성: 80±2℃×3h → 실온 1h→ -40℃×3h → 실온 1h→ 50±2℃, 95%RH × 7 내지 15h → 실온 1h의 싸이클을 3회 실시하고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즉시 부착성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도막의 표면상태를 1 싸이클 마다 조사하여 G/S,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3.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11) 촉진내후성: 촉진내후성시험기에 시편을 장착하고 G/S, 색차값 변화 정도(△E*) 및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부착성이 M-2.5 이하, 색차값 변화(△E*) 2.0 이하, G/S 3급 이상이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12) 내마모성: 300mm/초 속도로 500회 왕복하여 시편의 도막 표면이 마모되는지 관찰하였다. 그 수준에 따라 0~5 점으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13) 고압세차성: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시편 도막에 상업용 고압세차기(건 팁각도 15° 또는 25°를 가진 노즐건에서 5초 동안 최소 8500kPa 유지)로 분사후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시편 도막의 박리, 부풀음, 갈라짐 정도를 확인하여 그 수준에 따라 0~5 점으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도막의 박리, 부풀음 및 갈라짐 정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14) 저온굴곡성: 90℃, 300시간 동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시편을 방치 후 굴곡성을 평가하여 그 수준에 따라 0~5 점으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 수록 저온굴곡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15) 저온충격성: 90℃, 300시간 동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시편을 방치 후 충격성을 평가하여 그 수준에 따라 0~5 점으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 수록 저온충격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16) 도장 작업성: 도료의 도장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피도물에 도장시 분사된 도료의 퍼짐성 및 도막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외관의 수준에 따라 0-5점으로 평가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도장 작업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부착성 M-1 M-1 M-1 M-4 M-5
내충격성 OK OK OK 박리 박리
내산성 5 5 5 4 4
내알카리성 5 5 5 4 4
내약품성 5 5 5 5 4
내습성 G/S 5 4 5 3 2
△E* 0.55 0.45 0.15 1.15 1.79
부착성 M-1 M-1 M-1 M-4 M-4
내수성 G/S 5 4 5 3 2
△E* 0.51 0.37 0.18 1.14 1.34
부착성 M-1 M-1 M-1 M-4 M-5
내염수 분무성 G/S 5 5 5 3 3
△E* 0.25 0.40 0.16 1.67 1.54
부착성 M-1 M-1 M-1 M-4 M-4
내열성 G/S 5 5 5 3 3
△E* 0.18 0.56 0.66 1.37 1.51
부착성 M-1 M-1 M-1 M-4 M-4
내열싸이클성 G/S 5 5 5 3 2
△E* 0.38 0.44 0.51 1.91 1.55
부착성 M-1 M-1 M-1 M-5 M-4
촉진내후성 5 5 5 3 2
내마모성 5 5 5 4 3
고압세차성 5 5 5 3 2
저온굴곡성 5 5 5 2 2
저온충격성 5 5 5 2 3
도장 작업성 5 4 5 3 3
도 3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도막 시편에 대하여 상기 실시된 부착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의 도막 시편은 도막의 벗겨짐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신뢰성이 우수하며, 도장작업성, 부착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수성, 촉진내후성 등 모든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차량부품용 기재 12: 프라이머 코팅층
20: 베이스 코팅층 22: 베이스 코팅층
30: 클리어 코팅층 100: 차량부품
200: 범퍼

Claims (9)

  1.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30~40 중량%, 폴리에스터 수지 10~20 중량%, 아크릴계 수지 10~20 중량%, 탄화수소계 용제 15~30 중량%, 안료 3~15 중량%, 레벨링제 0.1~3 중량% 및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 1~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은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탄소수 2~10의 폴리메틸알킬실록산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의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베이스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표면에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클리어 코팅층을 베이킹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을 플리즈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장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은 70~10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장방법.
  7. 차량부품용 기재;
    상기 차량부품용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베이스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클리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코팅층은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의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두께는 15~30㎛이고, 상기 클리어 코팅층의 두께는 2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품용 기재는 범퍼, 사이드 실 몰딩, 사이드 가니쉬 또는 사이드 프로텍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KR1020130079250A 2013-07-05 2013-07-05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KR102132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50A KR102132167B1 (ko) 2013-07-05 2013-07-05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50A KR102132167B1 (ko) 2013-07-05 2013-07-05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42A KR20150005842A (ko) 2015-01-15
KR102132167B1 true KR102132167B1 (ko) 2020-07-10

Family

ID=5247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250A KR102132167B1 (ko) 2013-07-05 2013-07-05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944A (ko) 2019-09-09 202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코팅용 다층 도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808A (ja) * 2002-07-22 2004-02-19 Kansai Paint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用プライマ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653A (ko) * 1997-12-30 1999-07-15 정몽규 부착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계 범퍼 커버용 도료 조성물
KR20120091498A (ko) * 2010-12-24 2012-08-20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할로겐 프리 수성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808A (ja) * 2002-07-22 2004-02-19 Kansai Paint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用プライマ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42A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326B1 (ko) 차량 부품용 프라이머리스 베이스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 방법
KR101463179B1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1회 도장용 2액형 은폐 도료 조성물
US20050271882A1 (en)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substrates
KR20070102592A (ko) 프라이머 서페이서 무함유 다층 코팅의 제조 방법
KR101739072B1 (ko)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2200688B1 (ko) 베이스 코트용 수성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KR102132167B1 (ko) 베이스 코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KR10062976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EP1522352B1 (en) Primerless coating of heat-sensitive substrates and coating line
JP2006519689A (ja) 非極性基体を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およびプライマー組成物
EP1907493B1 (en) Paint compositions and painted objects
EP0703285A2 (en) Primer for polyolefin, coating method
KR101434474B1 (ko) 차량 부품 도장 방법
KR101365199B1 (ko) 플라스틱 부품용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101365198B1 (ko) 플라스틱 부품용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KR101714132B1 (ko) 방오 투명도료 조성물
KR20240022365A (ko)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KR100250826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성형품을도색하는데사용되는도료조성물
KR101567236B1 (ko) 방오 도료 조성물
KR102322389B1 (ko) 도막부착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유성 도료 조성물
CA3072264C (en) Exterior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94665B1 (ko) 모노코트 상도 도료에 대한 중도/클리어코트 삭제형 도장공법
WO2016182457A1 (es) Promotor de adhesión para plástico
KR20110053005A (ko)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WO2017038488A1 (ja) 低温硬化性被覆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