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005A -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 Google Patents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005A
KR20110053005A KR1020090109784A KR20090109784A KR20110053005A KR 20110053005 A KR20110053005 A KR 20110053005A KR 1020090109784 A KR1020090109784 A KR 1020090109784A KR 20090109784 A KR20090109784 A KR 20090109784A KR 20110053005 A KR20110053005 A KR 2011005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ear paint
vacuum deposition
wat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463B1 (ko
Inventor
전호탁
정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4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내열성, 내마모성 및 평활성 등의 도막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적게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므로 자동차 내장재 등의 코팅 소재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레벨링제, 클리어 도료, 휘발성 유기화합물

Description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Water soluble Clear paint for Vacuum Ion Plating}
본 발명은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에 사용되는 금속감 구현 방식은 크게 습식크롬도금법과 메탈릭 도료를 사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습식크롬도금법은 크롬산 등과 같은 법적 규제물을 배출하여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어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며 메탈릭 도료를 사용하는 방식은 실제 금속박막을 입히는 것보다 입자감이 크고 뚜렷하여 메탈라이징 효과가 저감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습식크롬도금법을 대체하는 금속박막 코팅방법으로 진공중에서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하여 용융상태로부터 증발된 입자들을 기판 표면에 증착시켜 금속박막을 제조하는 진공증착 방법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방법은 증착물질이 액상에서 고상으로 응고되는 것이 아니라 기상에서 고상으로 응축된다는 점에서 습식 도금과 차이가 있다. 또한, 금속박막 위에 클리어 도료를 도장하므로써 크롬도금 보다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성이란 운전자 등 탑승자가 차량 내부에서 내장부품을 지속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원래의 색상이나 질감을 잃어버리는 현상으로, 인사이드 도어핸들, 각종 스위치류, 기어노브, 기타 장식품들은 특히 접촉빈도가 높은 내장부품으로서 자동차 고급화를 위해 금속감을 구현한다면 반드시 내마모성이 우수한 클리어 도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기존의 습식도금은 클리어 도료를 사용하지 않아 내마모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진공증착 방식의 경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클리어 도료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기존의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도장 후 피도장물 외관의 평활성(leveling)이 좋지 않아, 고광택의 외관을 요구하는 자동차 내장 부품용 클리어 도료로는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진공증착용 클리어 도료로서 유성 클리어 도료, 또는 UV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7159호 에서는 유성 클리어 도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부품의 메탈라이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성 클리어 도료와 UV 경화형 도료는 내열성이 낮아 크레쉬 패드(C/PAD) 상단부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 실내의 공기질 개선을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함량을 규제하는 추세에 따라 유기용제의 함량이 적은 도료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진공증착용 유성 클리어 도료, UV 경화형 도료를 대체하여 유기용제의 함량이 적으며 내열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 부품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한 수용성 클리어 도료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내후성, 내열성 및 수분산 안정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와 내마모성, 내습성등의 물성이 우수한 알키드 수지의 장점을 모두 갖춘 비히클(Vehicle)로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를 사용하면 내열성 및 내마모성 등의 도막 물성 확보하면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을 전체 도료 중량 기준 10 중량% 이하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레벨링제를 이용하여 평활성을 확보하면 고광택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열성, 내마모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며 유기용제 함량이 적은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내열성, 내마모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며 자동차 내장 부품 제조시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휘발성 유기화 합물 사용량이 전체 도료 중량 기준 10 중량% 이하로 감소된 친환경 도료이므로 기존의 진공증착용 유성 클리어 도료, UV 경화형 도료를 대체하여 환경규제 문제에 대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은 아크릴 수지의 내후성, 수분산 안정성 등의 장점과 알키드 수지가 지니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도막 물성 물성, 육지감 등의 장점이 양립하는 비히클(Vehicle)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균 분자량이 15,000 ~ 30,0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15,000 미만일 때는, 도막의 표면경도가 낮아져 내마모성, 스크래치성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분자량이 30,000을 초과하면 표면경도가 높아져 도막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함량은 전체 조성의 30 ~ 6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40 ~ 5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도막의 경질 부분이 적어져 내충격성은 좋으나, 내마모성 등이 나빠질 수 있으며, 함량이 너무 많으면 도막이 경질되어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은 좋아지나 내충격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아마인유지방산(Linseed oil fatty acid, AKZO chemie.) 1 ~ 3 몰, 트리메티올 프로판(trimethylol propane, BASF TMPhydro®) 2 ~ 5 몰,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Fluka, 분자량 140 ~ 150) 1 ~ 3 몰을 200 ~ 250℃의 온도에서 크실렌 용제로 환류시키서면 산가 5 ~ 20, 유장(oil length) 50 %의 알키드 수지를 합성하고, 수지 고형분 중량비 100에 대하여 트리멜리틱산(TMA, trimellitic anhydride, Fluka) 2 ~ 25 중량%를 80℃의 온도에서 1시간 추가 반응을 시켜 음이온성의 알키드 수지를 합성한다. 합성한 음이온성 알키드 수지를 혼합용제(xylene: ethylene glycolemonobutyl ether = 1 : 25)를 사용하여 희석시킨 후 3관능성 아크릴단량체를 중합하기 위하여 트리메티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Aldrich)를 고형분 무게비율로 4 ~ 10 중량% 첨가하여 180℃에서 1시간 반응동안 그라프트 중합시키고 중화제로 DMEA(N,N dimethylethanol amine, Sigma-Aldrich)를 첨가한 다음 증류수로 희석하여 수용성의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한다. 알키드 수지의 산가는 트리멜리틱산을 이용하여 조절하였고, 수용화에는 아민계의 DMEA(Demethylethanolamine)를 사용하였다. 이때, 트리멜리틱산의 첨가량이 3 ~ 10 중량%가 적당하나, 산가는 40 ~ 60의 범위가 알키드 수지의 내습성과 수용화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변성 알키드수지의 경우 TMPTA의 함량이 증가하면 분자량, 수용액의 점성도, 겔분율은 증가하나 유리전이온도가 감소하므로 4 ~ 10 중량%가 좋다. 중화도가 높을수록 점성도가 낮아지므로 고형분의 함량을 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시 TMPTA의 함량이 4 ~ 10 중량%에서 그라프트율이 높아 이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범위에서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내습성, 내마모성에서 유리하나 외관품질이 저하될수 있으므로 6 ~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내충격성, 표면경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며,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 20,0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일 경우 도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20,000을 초과하면 도막의 내구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함량은 1 ~ 15 중량%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함량이 너무 적으면 표면경도가 상승하여 표면질감이 너무 단단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표면질감은 좋아지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과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있는 수산기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도료의 도막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화제는 일반적인 우레탄 반응을 위해 사용되는 상용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용성 도료에 사용되는 3관능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Hexamethylene Diisocyanate) 경화제, 3관능 이소프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Isoprene Diisocyanate) 경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량은 1 ~ 20 중량%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경화 반응이 충분이 일어나지 않아 외관 불량 및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가사시간이 짧 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가교 후 남아있는 미반응 경화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물에서 수지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분산 효과를 위해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TEA (Triethylamine), 암모니아, DMEA(Demethylethanolamine), AMP(1-Amino-2-methyl propanol)등 아민계 중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시 증발 속도를 고려하여 TEA(Triethylamine)과 DMEA(Demethylethanolamine)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은 0.2 ~ 10 중량%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 8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화제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경화 반응이 충분이 일어나지 않아 외관 불량 및 도막 물성이 저하되며, 과량으로 사용시 가교 후 남아있는 미반응 물질에 의해 도막 물성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소포제는 도료내에 포함된 기포를 파괴하기 위해 사용한다.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에멀전, 폴리글리콜 또는 실록시레이트화 폴리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과 폴리글리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량은 0.1 ~ 1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가 좋다.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기포가 발생하여 도장 건조 후 외관에 크레터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변색 또는 도막 부착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의 평활성 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벨링제를 사용한다. 레벨링제로는 비이온계아크릴 공중합체, 이온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사용량은 0.1 ~ 1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가 좋다. 레벨링제가 너무 적으면 평활성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를 초과하면 증량에 따른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물질 외에도 첨가물로서 유기용제, 증점제, 내열성 첨가제 및 광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도료 내의 수지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유기용제로는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Butyl Cellosolve), 3-메톡시-3-메틸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점과 분자량이 유사한 2-부톡시에탄올과 3-메톡시-3-메틸 부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함량은 1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과량으로 사용하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사용제한 관련법규 대응시 불리하다.
상기 증점제는 도료의 점도를 높여 도장 작업시 칠흐름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며, 우레탄계 증점제, 아크릴계 증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첨가제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2-(2’-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테트라부틸-5’-메 틸페닐)-5-클로로벤졸트리아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로는 힌더드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가 바람직하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Tinuvin 770), 비스-(N-메틸-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 및 테트라키스(2,2,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수지를 사용한 수용성 도료로서 기존의 진공증착용 유성 도료, UV 경화형 도료보다 내열성이 우수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적어 환경규제 문제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의 문제점인 평활성 문제를 레벨링제를 사용하여 개선함으로 해서 자동차 내장 부품 제조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레벨링제, 유기용제, 증점제, 내열성첨가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 용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구성물질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아크릴 폴리올, 경화제, 소포제, 레벨링제, 유기용제, 광안정제, 경화촉진제 및 합성왁스를 포함한 유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구성물질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수지, 모노머,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레벨링제, 유기용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구성물질의 조성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중량%) 비교예(중량%)
1 2 3 4 5 1 2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30 30 40 40 50 - -
폴리에스터 폴리올 5 10 5 10 5 - -
아크릴 폴리올 - - - - - 60 -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 - - - - - 50
아크릴 수지 - - - - - - 10
모노머 - - - - - - 20
자외선 흡수제 - - - - - - 0.4
경화제 5 5 5 5 5 17.4 -
중화제 0.2 0.2 0.2 0.2 0.2 - -
소포제 0.3 0.3 0.3 0.3 0.3 0.1 0.1
레벨링제 0.3 0.3 0.3 0.3 0.3 0.5 0.5
유기용제(1) 5 5 5 5 5 - -
유기용제(2) - - - - - 18.8 -
유기용제(3) - - - - - - 18
증점제 0.2 0.4 0.2 0.4 0.2 - -
내열성 첨가제 0.2 0.2 0.2 0.2 0.2 - -
광안정제 0.2 0.2 0.2 0.2 0.2 0.1 -
초순수(DIW) 53.6 48.4 43.6 38.4 33.6 - -
경화촉진제 - - - - - 0.1 -
합성왁스 - - - - - 3 -
광개시제 - - - - - - 1
폴리에스터 폴리올: [Zeon]
아크릴 폴리올: [Nippollan,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
아크릴 수지: [SANCRYL, ㈜디에프씨]
모노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자외선 흡수제: [TINUVIN]
경화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화제: 트리에틸아민
소포제: [BYK-1730, BYK사]
레벨링제: [BYK-380, BYK 사]
유기용제(1): 2-부톡시에탄올 및 3-메톡시-3-메틸 부탄올 혼합물
유기용제(2): 톨루엔 및 자일렌 혼합물
유기용제(3): 부틸아세테이트 및 톨루엔 혼합물
증점제: [NOPALL 700N, 한국산노프코㈜]
내열성첨가제: 2-(2’-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광안정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Tinuvin 770]
경화촉진제: 디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합성왁스: [라이온포리텍]
광개시제: 벤질 디메틸 케탈
제조예 1: 프라이머의 제조
진공 증착용 프라이머는 성형층과 건식도금층 사이에서 소재부착성과 건식도금층의 부착성을 우수하게 하며, 내습성, 내열성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의 유용성 프라이머는 폴리에스터 폴리올 40 중량%, 아크릴 폴리올 25중량%, 유기용제(톨루엔 및 자일렌 혼합물) 32 중량%, 부착증진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 첨가제 3 중량% 을 기본으로 하는 KCC 社의 진공증착용 하도도료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진공증착 도장막의 제조
플라스틱 사출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프라이머를 10 ~ 15 ㎛ 도포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건조 후 진공증착을 실시하여 알루미늄을 프라이머 위에 0.1 ~ 1 ㎛ 두께로 증착 하였다. 증착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를 이용하여 25 ~ 35 ㎛ 의 두께로 도장한 후 80℃에서 50 분간 건조 하였다.
시험예 : 물성측정시험
1) 외관평가
외관평가는 육안평가와 WAVE SCAN 장비의 CF(Combination Factor)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2) 상온부착성
ASTM D 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도장시편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2 mm 간격으로 11 컷씩 크로스컷(Cross-cut)을 행한 후, 표면을 부드러운 솔로 깨끗이 하고 적당한 폭과 길이의 규정된 테이프로 단단히 부착시킨 후, 테이프를 한쪽 90°각도로 강하게 당겨서, 박리된 부분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3)내습성
50 ± 2 ℃, 95 ± 2 % RH 조건 챔버에서 168시간 방치 후, 꺼내어 부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내열성
도장시편을 90℃에서 3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변색 정도(△E)를 평가하였다.
5)내충격성
ISO 6272 또는 JIS K 5600-5-3 의 듀폰식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격심직경이 12.7 mm이고 무게가 500 g인 추를 20 cm에서 낙하하여 표면의 깨짐, 갈라짐 및 박리를 관찰하였다.
6) 내광성
XENON ARC 하에서 블랙판넬 온도 89±3℃, 조내 습도 50±5 % RH, 조사 조도 0.55±0.02 W/m2 (340 nm에서)의 조건으로 총 누적광량이 700 KJ/m2이 될 때까지 조사한 후 꺼내어 도장시편을 중성세제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공기로 건조시켜 외관평가 및 부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7)내마모성
왕복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하중 1 kgf, 시험 속도 30회 왕복/분, 마찰 스트로크 100 mm 의 조건으로 양면범포 마찰재를 이용하여 10,000회 왕복했을 때 소지의 노출여부 및 도막 손상여부를 비교하였다. 이 때, 내마모성 평가는 건식과 습식 마모 시험을 수행하며, 습식 마모시험은 500회 마다 인공 땀액을 표면에 뿌려주었다.
8)총 휘발성 유기화함물 ( TVOC ) 배출량 측정
클리어 도료의 정확한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 측정을 위하여 측정용 시편은 2 cm X 2 cm 크기의 유리판에 25 ~ 35 ㎛ 의 두께로 도장 후 건조시킨다. 도장된지 72시간 경과 후에 규정된 샘플링 백에 도장된 시편을 넣고 밀봉한 다음, 80℃에서 2시간 방치하고 상온에서 30분 경과 후에 간이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외관평가
상온부착성
내습성
내열성
내충격성
내광성
내마모성
TVOC(ppm) 2.2 3.1 3.0 4.7 7.1 30.8 18.8
평가
◎ : 우수, ○ : 양호, △ : 보통, X : 불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의 경우 기존 수용성 도료에서 문제되었던 평활성 문제를 해결하여 우수한 외관이 구현됨을 알 수 있으며, 기존의 유성 클리어 도료 및 UV 경화형 클리어 도료와 비교할 때 내열성이 우수하며, 특히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이 월등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기계적 물성도 동등 내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기존의 수용성 도료의 평활성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성 클리어 도료 및 UV 경화형 도료를 대체 가능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아크릴변성 알키드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경화제, 중화제, 소포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도료 중에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 30 ~ 60 중량%;
    폴리에스터 폴리올 1 ~ 15 중량%
    경화제 1 ~ 20 중량%;
    중화제 0.2 ~ 10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 및
    레벨링제 0.1 ~ 1 중량%;
    를 포함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는 유기용제, 증점제, 내열성 첨가제 및 광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변성 알키드 폴리올은 수평균 분자량이 15,000 ~ 3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비이온계아크릴 공중합체, 이온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KR1020090109784A 2009-11-13 2009-11-13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KR10116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84A KR101163463B1 (ko) 2009-11-13 2009-11-13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84A KR101163463B1 (ko) 2009-11-13 2009-11-13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05A true KR20110053005A (ko) 2011-05-19
KR101163463B1 KR101163463B1 (ko) 2012-07-18

Family

ID=4436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84A KR101163463B1 (ko) 2009-11-13 2009-11-13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79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케이씨씨 Smc 소재용 도료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10B1 (ko) 1995-12-30 2005-04-19 고려화학 주식회사 자동차보수용수분산수지조성물및이를함유한수용성도료의조성물
JPH10234893A (ja) 1997-02-27 1998-09-08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用ヘッド
US6225402B1 (en) * 1998-09-25 2001-05-01 Mcwhorter Technologies, Inc. Aqueous based dispersions for polyolefinic substr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79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케이씨씨 Smc 소재용 도료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463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105B1 (ko) 열경화성 조성물, 도장마무리방법 및 도장물품
US20110082254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highly abrasion-resistant vehicle paint, vehicle paint, and the use thereof
KR101592735B1 (ko)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엠보 무늬 형성방법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JPWO2019065890A1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2258521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107298932A (zh) 涂料组合物和涂膜形成方法
KR102229058B1 (ko) 상도 도료 조성물
KR101739072B1 (ko)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881216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JP2005042001A (ja) 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KR101163463B1 (ko)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KR101540078B1 (ko)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JP3801347B2 (ja) 塗装仕上げ方法及び塗装物品
KR101230890B1 (ko) 나노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내스크래치성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1050506B1 (ko) 유변성 에폭시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0237104B1 (ko) 도장마무리방법 및 도장물품
KR101928148B1 (ko) 도료 조성물
KR102475824B1 (ko) 이중 경화형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경화 일액형 클리어코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멀티코트 코팅 방법 및 멀티코트 코팅층
JPH11148049A (ja) 塗料組成物、塗装物及び無機酸化物ゾルの製造方法
KR20200028662A (ko) 투명 도료 조성물
JPWO2019107570A1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の形成方法
KR101776304B1 (ko) 금 나노입자를 함유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20110133367A (ko) 금속용 스크래치 자기치유 도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