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365A -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365A
KR20240022365A KR1020220100959A KR20220100959A KR20240022365A KR 20240022365 A KR20240022365 A KR 20240022365A KR 1020220100959 A KR1020220100959 A KR 1020220100959A KR 20220100959 A KR20220100959 A KR 20220100959A KR 20240022365 A KR20240022365 A KR 2024002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ating film
acrylic emulsion
polyurethane dispersion
emuls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은
조수영
박종윤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2010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365A/ko
Priority to PCT/KR2023/011756 priority patent/WO2024035116A1/ko
Publication of KR2024002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AT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도장면을 임시적으로 보호하고 박리가 용이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일시적 보관시에 도장면을 보호하고 박리가 용이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이 최종 수요자에게 전해지기까지 일시적으로 옥외에 보관되거나 수송 중에 예컨대 모래먼지, 철분, 염류, 알칼리류, 산류, 매연, 곤충의 사해나 체액 등의 오염물이나, 태양광선, 풍우 및 그 외의 영향에 의해 이들 도장면에 외상, 얼룩, 변색, 오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물리력에 의해 재질에 외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표면을 오염물이나 태양광선, 풍우, 외상 등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제품의 출하 단계부터 미리 표면에 도포하고, 일정 시간의 보관이 종료된 후에 쉽게 박리할 수 있는 많은 박리가능성 피복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피복조성물의 경우 제거시에 석유계 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가 있다. 또한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도 사용되고 있으나, 제거시에 알칼리 세제를 사용하므로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박리가 용이하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8717호(2005.06.22.)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박리가 용이하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박리가 용이하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아크릴 에멀젼 수지,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30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 ℃이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내지 6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20℃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제조되는 도막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은 건조속도가 빠르고, 초기 접착력과 우수한 접착 유지력을 가지며, 코팅막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탈착 후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상에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체 도막과의 반응이 없고 박리가 용이하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르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폴리우레탄 디스퍼젼,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 포함하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30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 ℃이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내지 6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20℃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 도막의 건조 속도 및 가교 밀도를 조절하여 도막의 외관 특성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용제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조절하여 차체 도막과 반응 없이 적절한 부착성을 가져 도막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은 중화제, 용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UV 안정제, 안료, 증점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성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저장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 보호 필름의 강도 및 부착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 아크릴레이트(E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MA), 하이드로 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메타크릴산(MA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모노머로서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 아크릴레이트(EA),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MA), 하이드로 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메타크릴산(MAA)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2가 아크릴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 아크릴 모노머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1,4-부탄디올 디메타트릴레이트(1,4-Butanediol dimethacrylate), 1,5-펜타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1,5-Pentanediol dimethacrylate),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methacrylate),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1,9-Nonanediol dimethacrylate), 1,10-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1,10-Decanediol dimeth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100 cps, 또는 50 내지 80 cps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pH가 5 내지 9, 또는 6 내지 8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pH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고 저장안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pH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산가(Av)가 3 내지 6 mgKOH/g, 또는 3.5 내지 5.5 mgKOH/g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반응성을 조절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산가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지 안정성이 저하되어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저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수지 응집성 증대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 및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00 내지 300,000 g/mol, 또는 220,000 내지 280,000 g/mol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도막의 내구성, 부착성, 경도 및 내후성 등의 장기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내수성, 내후성,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해지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 증가에 따른 흐름성이 저하되어 이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작업성이 불량해지고 표면평활성이 좋지 않아 우수한 외관을 갖는 도막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80℃, 또는 60 내지 70℃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차제 도막과의 반응 없이 적절한 부착력을 가지고, 도막의 경도 및 내용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의 건조 속도 및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도막의 경도 및 내용제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 및 내치핑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탈이온수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이며, 평균 직경이 150 내지 300nm, 또는 180 내지 260nm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가 탈이온수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일 경우, 도료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함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평균 직경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외관 및 입자안정성이 양호하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50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부착성, 내구성,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건조성이 저하되어 도막의 부착력, 광택, 경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건조가 빨리 진행되어 조성물의 도장 작업성 및 칠흐름성이 부족하여 도막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고 도막 탈착 후 잔류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
본 발명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조성물의 부착성 개선 및 유연성,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올,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산이 반응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1,6-헥산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 프로판, 부탄디올, 1,4-헥산디올 및 3-메틸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디이소사이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디메틸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2-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1,6,6-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은 아디픽산,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프탈릭산, 이소프탈릭산, 테레프탈릭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산, 헥사하이드로프탈릭산, 아디픽산, 퓨마릭산, 말레익산, 트리멜리틱산, 말릭산, 술폰산 및 아코니틱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우레탄 수지가 용매에 분산된 형태이며, 예를 들어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탈이온수에 분산된 분산액 일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수지를 분산시키는 수계 매체는 물용제이거나, 물과 친수성 유기 용제의 혼합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용제는 상수, 이온 교환수, 증류수, 초순수 등일 수 있다. 특히, 입수의 용이함이나 염의 영향으로 입자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온 교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유기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N-메틸모르폴린,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비양성자성 친수성 유기 용제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고형분 함량(NV)이 분산액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수지의 저장 안정성 및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고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이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반응 중 안정성이 떨어지며, 분산 안정성이 나빠져 시간이 지나면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300 cps, 또는 20 내지 250 cps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pH가 6 내지 8, 또는 6.3 내지 7.7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pH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pH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40,000 내지 60,000 g/mol, 또는 45,000 내지 55,000 g/mol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평활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운(soft) 도막을 형성하여 차체 도막과의 접착력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 증가에 따른 흐름성이 저하되어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평활성이 감소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유리전이온도(Tg)가 -70 내지 -20℃, 또는 -60 내지 -30℃ 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막의 유연성 및 경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건조속도가 지연되어 제조된 도막의 내용제성 및 내치핑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도막의 외관 특성 및 경도가 부족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 또는 22 내지 28 중량%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인장강도, 유연성, 신율, 접착력,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도막 평활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조성물 내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인장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작업성 및 건조성이 저하되어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차체 도막과의 적절한 부착성 및 차체 도막과의 반응 없이 코팅막이 깨끗하게 제거 가능한 우수한 탈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의 물성 강화-복합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수지는, 예컨대 할로겐화되는 또는 중합체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도록 변성되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스티렌 또는 이의 임의의 둘 이상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또한 말레익 수지와 같은 수지로 변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변성) 폴리올레핀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말레익 수지와 같은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Toyobo Co, Ltd 에서 상표명 Hardlen®NZ-1004, Hardlen®NZ-1015, Hardlen®EH-801J 및 Hardlen®CY-9124/9122, 및 KRATON Performance Polymers Inc 에서 상표명 Kraton®G1643E 및 Kraton®G1640ES 로 시판된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형분 함량(NV)이 분산액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수지의 저장 안정성 및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고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이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반응 중 안정성이 떨어지며, 분산 안정성이 나빠져 시간이 지나면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250 cps, 또는 20 내지 200 cps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pH가 6 내지 8, 또는 6.3 내지 7.7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pH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작업성이 상향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pH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제조된 도막의 미형성으로 칠흐름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이 부족하여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내지 90,000 g/mol, 또는 75,000 내지 85,000 g/mol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평활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운(soft) 도막을 형성하여 차체 도막과의 적절한 부착성을 가져 내스크래치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분자량이 작아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분자량 증가에 따른 흐름성이 저하되어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평활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고 도막 탈착 후 잔류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40 중량%, 또는 28 내지 36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내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변색을 방지하여 외관성을 매우 우수하고 적절한 박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저하되고, 도막 탈착 후 잔류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 및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는 1 : 0.7 내지 1 중량비, 예를 들어 1 : 0.75 내지 0.95 중량비로 혼용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비가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적절한 건조성을 유지하여 차체 도막과의 적절한 부착성을 가지며, 탈착 후 잔류물 없이 코팅막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용제>
용제는 물을 기본 용제로 하여, 유기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 용제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및 초순수 등일 수 있다. 또한, 유기용제는 저장 안정성을 높이고, 속건성 및 유착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부틸셀로솔브, 부틸카르비톨,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 등 일 수 있다.
용제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점도 조절이 용이할 수 있고,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사용한 도막 보호 필름의 평활성 및 도장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첨가제>
첨가제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에 소정 함량 범위로 첨가되어 도장시 습윤성 및 레벨링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제는 중화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UV 안정제, 안료, 증점제, 및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 또는 1.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상에서 자동차 또는 중장비 등의 코팅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박리가 용이하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막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피도체 위에 스프레이, 브러쉬, 또는 롤러 등의 방법으로 10 ~ 100 ㎛ 두께로 도포한 후 상온 건조, 오븐 경화 또는 IR 램프 등으로 경화하여 도막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지부터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용제 및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하기 표 4 내지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지부터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용제 및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 2 3 4 5 6 7
아크릴 에멀젼 수지-1 38 32 46 26 55 42 35
아크릴 에멀젼 수지-2              
아크릴 에멀젼 수지-3              
아크릴 에멀젼 수지-4              
아크릴 에멀젼 수지-5              
아크릴 에멀젼 수지-6              
아크릴 에멀젼 수지-7              
아크릴 에멀젼 수지-8              
아크릴 에멀젼 수지-9              
폴리우레탄 분산액-1 25 25 25 25 25 21 28
폴리우레탄 분산액-2              
폴리우레탄 분산액-3              
폴리우레탄 분산액-4              
폴리우레탄 분산액-5              
폴리우레탄 분산액-6              
폴리우레탄 분산액-7              
폴리우레탄 분산액-8              
폴리우레탄 분산액-9              
폴리올레핀 수지 33 39 25 45 16 33 33
분산제 1 1 1 1 1 1 1
소포제 0.6 0.6 0.6 0.6 0.6 0.6 0.6
안료 0.2 0.2 0.2 0.2 0.2 0.2 0.2
UV 안정제 0.2 0.2 0.2 0.2 0.2 0.2 0.2
용제 2 2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 (중량%) 실시예
8 9 10 11 12 13 14
아크릴 에멀젼 수지-1 46 31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2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3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4              
아크릴 에멀젼 수지-5              
아크릴 에멀젼 수지-6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7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8              
아크릴 에멀젼 수지-9              
폴리우레탄 분산액-1 17 32 25 25 25 25  
폴리우레탄 분산액-2             25
폴리우레탄 분산액-3              
폴리우레탄 분산액-4              
폴리우레탄 분산액-5              
폴리우레탄 분산액-6              
폴리우레탄 분산액-7              
폴리우레탄 분산액-8              
폴리우레탄 분산액-9              
폴리올레핀 수지 33 33 33 33 33 33 33
분산제 1 1 1 1 1 1 1
소포제 0.6 0.6 0.6 0.6 0.6 0.6 0.6
안료 0.2 0.2 0.2 0.2 0.2 0.2 0.2
UV 안정제 0.2 0.2 0.2 0.2 0.2 0.2 0.2
용제 2 2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 (중량%) 실시예
15 16 17 18 19 20 21
아크릴 에멀젼 수지-1 38 38 38 38 38 38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2              
아크릴 에멀젼 수지-3              
아크릴 에멀젼 수지-4              
아크릴 에멀젼 수지-5              
아크릴 에멀젼 수지-6              
아크릴 에멀젼 수지-7              
아크릴 에멀젼 수지-8              
아크릴 에멀젼 수지-9              
폴리우레탄 분산액-1       30 20 42 13
폴리우레탄 분산액-2              
폴리우레탄 분산액-3 25            
폴리우레탄 분산액-4              
폴리우레탄 분산액-5              
폴리우레탄 분산액-6   25          
폴리우레탄 분산액-7     25        
폴리우레탄 분산액-8              
폴리우레탄 분산액-9              
폴리올레핀 수지 33 33 33 27 38 16 45
분산제 1 1 1 1 1 1 1
소포제 0.6 0.6 0.6 0.6 0.6 0.6 0.6
안료 0.2 0.2 0.2 0.2 0.2 0.2 0.2
UV 안정제 0.2 0.2 0.2 0.2 0.2 0.2 0.2
용제 2 2 2 3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 (중량%) 비교예
1 2 3 4 5 6
아크릴 에멀젼 수지-1   50 60      
아크릴 에멀젼 수지-2            
아크릴 에멀젼 수지-3            
아크릴 에멀젼 수지-4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5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6            
아크릴 에멀젼 수지-7            
아크릴 에멀젼 수지-8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9            
폴리우레탄 분산액-1 40   36 25 25 25
폴리우레탄 분산액-2            
폴리우레탄 분산액-3            
폴리우레탄 분산액-4            
폴리우레탄 분산액-5            
폴리우레탄 분산액-6            
폴리우레탄 분산액-7            
폴리우레탄 분산액-8            
폴리우레탄 분산액-9            
폴리올레핀 수지 56 46   33 33 33
분산제 1 1 1 1 1 1
소포제 0.6 0.6 0.6 0.6 0.6 0.6
안료 0.2 0.2 0.2 0.2 0.2 0.2
UV 안정제 0.2 0.2 0.2 0.2 0.2 0.2
용제 2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 (중량%) 비교예
7 8 9 10 11
아크릴 에멀젼 수지-1   38 38 38 38
아크릴 에멀젼 수지-2          
아크릴 에멀젼 수지-3          
아크릴 에멀젼 수지-4          
아크릴 에멀젼 수지-5          
아크릴 에멀젼 수지-6          
아크릴 에멀젼 수지-7          
아크릴 에멀젼 수지-8          
아크릴 에멀젼 수지-9 38        
폴리우레탄 분산액-1 25        
폴리우레탄 분산액-2          
폴리우레탄 분산액-3          
폴리우레탄 분산액-4   25      
폴리우레탄 분산액-5     25    
폴리우레탄 분산액-6          
폴리우레탄 분산액-7          
폴리우레탄 분산액-8       25  
폴리우레탄 분산액-9         25
폴리올레핀 수지 33 33 33 33 33
분산제 1 1 1 1 1
소포제 0.6 0.6 0.6 0.6 0.6
안료 0.2 0.2 0.2 0.2 0.2
UV 안정제 0.2 0.2 0.2 0.2 0.2
용제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표 1 내지 표 5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구체적인 성분을 아래 표 6에 나타낸다.
 구분 물성, 또는 제조사 및 제품명
아크릴 에멀젼 수지-1 Tg 68℃, Mw 24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5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2 Tg 68℃, Mw 212,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2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3 Tg 68℃, Mw 28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78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4 Tg 68℃, Mw 18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45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5 Tg 68℃, Mw 320,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83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6 Tg 55℃, Mw 24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5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7 Tg 74℃, Mw 24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5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8 Tg 47℃, Mw 24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5cps
아크릴 에멀젼 수지-9 Tg 85℃, Mw 245,000g/mol, Av 4.7mgKOH/g, NV 24중량%, 점도(25℃) 65cps
폴리우레탄 분산액-1 Tg -55℃, Mw 49,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30cps
폴리우레탄 분산액-2 Tg -55℃, Mw 41,300g/mol, NV 42중량%, 점도(25℃) 117cps
폴리우레탄 분산액-3 Tg -55℃, Mw 57,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53cps
폴리우레탄 분산액-4 Tg -55℃, Mw 37,500g/mol, NV 42중량%, 점도(25℃) 112cps
폴리우레탄 분산액-5 Tg -55℃, Mw 61,700g/mol, NV 42중량%, 점도(25℃) 169cps
폴리우레탄 분산액-6 Tg -63℃, Mw 49,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30cps
폴리우레탄 분산액-7 Tg -25℃, Mw 49,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30cps
폴리우레탄 분산액-8 Tg -75℃, Mw 49,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30cps
폴리우레탄 분산액-9 Tg -13℃, Mw 49,200g/mol, NV 42중량%, 점도(25℃) 130cps
폴리올레핀 수지 Mw 80,500g/mol, NV 40중량%, 점도(25℃) 115cps
분산제 SURFYNOL 107L Surfactant
소포제 HYDROPALAT® FL 3635
안료 Titanium Dioxide
UV 안정제 TINUVIN 292
용제 DI-Water
실험예
표 1 내지 표 5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도막 보호 필름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 내지 표 8에 나타낸다.
도장 방법
자동차 클리어 코트가 도장된 피도체 위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스프레이 방법으로 30 ㎛의 도막 두께로 도포한 후 80℃로 3분간 경화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물성 평가
1) 건조성 : 도장된 시편을 대상으로 검지로 짧게 터치 시 도료가 안 묻어나올 경우의 지촉건조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지촉건조 시간이 2분 이상 7분 이하이면 도막 보호 필름용 기계적 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2) 접착력, 잔류량: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24시간 상온에서 건조 후 70℃에서 일주일간 방치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한시간 동안 방치한 후 Instron 기계를 사용하여 접착력 시험 및 잔류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접착력이 0.4 kg/inch 이상 1.5 kg/inch 이하이면 도막 보호 필름용 접착력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3) 내용제성: 코팅층 표면에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탄올, 메틸에틸케톤을 각각 0.1 ml 도포하고 5분간 방치한 후 내용제성을 확인한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코팅층 표면이 변하지 않은 경우 우수(◎)로 평가, 코팅층 표면이 부풀거나, 크랙, 찢어지거나, 색이 변하는 경우 양호(○), 보통(△),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4) 내수성: 40℃ 항온조에 완성된 도막을 10일간 침적 후 부착시험 및 외관평가를 진행하였다. 블리스터가 없으며 박리가 전혀 없는 경우 우수(◎), 블리스터가 없으며 눈금선에 일부 박리가 되는 경우 양호(○), 블리스터가 없으며 한 면의 1/4 이하로 박리되는 경우 보통(△), 블리스터가 발생하거나 한 면의 1/4 이상 박리인 경우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건조성(분) 접착력(kg/inch) 잔류량(g/m2) 내용제성 내수성
실시예 1 3분 0.8 0.05
실시예 2 4분 0.7 0.07
실시예 3 3분 0.9 0.08
실시예 4 5분 0.8 0.07
실시예 5 2분 1.3 0.12
실시예 6 4분 0.9 0.06
실시예 7 5분 0.8 0.06
실시예 8 4분 1.2 0.06
실시예 9 7분 1.3 0.06
실시예 10 3분 0.8 0.05
실시예 11 5분 1.5 0.05
실시예 12 5분 0.9 0.2
실시예 13 4분 1.3 0.7
실시예 14 4분 0.9 0.08
실시예 15 5분 1.1 0.11
실시예 16 5분 0.8 0.11
실시예 17 4분 1.1 0.09
실시예 18 4분 1.2 0.07
실시예 19 5분 0.5 0.04
실시예 20 4분 1.1 0.07
실시예 21 7분 0.4 0.03
구분 건조성(분) 접착력(kg/inch) 잔류량(g/m2) 내용제성 내수성
비교예 1 15분 1.9 1.1 X
비교예 2 12분 2.9 1.3 X
비교예 3 9분 3.1 1.9 X X
비교예 4 5분 0.8 0.51 X X
비교예 5 7분 2.3 1.3
비교예 6 8분 1.2 0.3 X X
비교예 7 6분 1.9 0.82 X
비교예 8 7분 1.3 0.13 X X
비교예 9 9분 1.9 0.21 X
비교예 10 10분 1.5 0.23 X X
비교예 11 8분 1.8 0.15 X
실시예의 조성물로 제조된 도막 보호 필름은 물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비교예 1 ~ 4, 6 ~ 10은 내용제성이 불량이었고, 비교예 3 ~ 4, 6, 8, 10, 11은 내수성이 불량이었다. 비교예 5는 잔류량이 초과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아크릴 에멀젼 수지,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30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 ℃이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내지 6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20℃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2)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산가가 3 내지 6 mgKOH/g이고, 25℃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100 cps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3)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90,000 g/mol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250 cps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4)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 에멀젼 수지 30 내지 50 중량%, 폴리우레탄 분산액 20 내지 30 중량%, 및 폴리올레핀 수지 2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5) 항목 (1)부터 항목 (4)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르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제조되는 도막 보호 필름.

Claims (5)

  1. 아크릴 에멀젼 수지,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30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80 ℃이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내지 6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20℃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산가가 3 내지 6 mgKOH/g이고, 25℃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100 cps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90,000 g/mol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250 cps인,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 에멀젼 수지 30 내지 50 중량%, 폴리우레탄 분산액 20 내지 30 중량%, 및 폴리올레핀 수지 2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5. 청구항 1부터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르는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제조되는 도막 보호 필름.
KR1020220100959A 2022-08-11 2022-08-11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KR20240022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59A KR20240022365A (ko) 2022-08-11 2022-08-11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PCT/KR2023/011756 WO2024035116A1 (ko) 2022-08-11 2023-08-09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959A KR20240022365A (ko) 2022-08-11 2022-08-11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365A true KR20240022365A (ko) 2024-02-20

Family

ID=8985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959A KR20240022365A (ko) 2022-08-11 2022-08-11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2365A (ko)
WO (1) WO20240351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17B1 (ko) 1997-10-20 2005-10-26 가부시키가이샤 린레이 박리가능성코팅제수분산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97A (ko) * 2000-04-11 2001-11-14 이계안 도막보호용 도포형 아크릴 필름조성물
JP2017125144A (ja) * 2016-01-15 2017-07-20 日立化成株式会社 自動車塗膜保護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7421B1 (ko) * 2016-10-17 2018-04-10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도료 조성물
JP7095440B2 (ja) * 2017-07-05 2022-07-05 Ube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組成物
KR102259013B1 (ko) * 2019-06-04 2021-06-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프라이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17B1 (ko) 1997-10-20 2005-10-26 가부시키가이샤 린레이 박리가능성코팅제수분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5116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326B1 (ko) 차량 부품용 프라이머리스 베이스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 방법
EP1454971B1 (de) Polyester
KR20170130210A (ko) 투명 도료 조성물
KR102468328B1 (ko)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KR102259013B1 (ko) 수성 프라이머 조성물
KR102383359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20240022365A (ko) 도막 보호 필름용 조성물
KR101847421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KR20150005843A (ko) 베이스 코트용 수성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KR20150071907A (ko) 이액형 비철금속 코팅제
KR102126849B1 (ko) 프라이머 조성물
KR102217675B1 (ko) 수용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20200068294A (ko)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102583106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20210043375A (ko) 베이스 도료 조성물
KR102259014B1 (ko)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KR102634806B1 (ko) 다층 코팅
KR20240027454A (ko) 다층 코팅
KR102461873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2567354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2656627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1163463B1 (ko) 진공증착용 수용성 클리어 도료
KR102263132B1 (ko) 수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102322389B1 (ko) 도막부착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유성 도료 조성물
KR102217676B1 (ko) 중도용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