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49B1 -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49B1
KR102126849B1 KR1020180032918A KR20180032918A KR102126849B1 KR 102126849 B1 KR102126849 B1 KR 102126849B1 KR 1020180032918 A KR1020180032918 A KR 1020180032918A KR 20180032918 A KR20180032918 A KR 20180032918A KR 102126849 B1 KR102126849 B1 KR 10212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weight
based resin
halogen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897A (ko
Inventor
김형진
조현민
이기쁨
정세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03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분산액, 아크릴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라이머 조성물{PRIMER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범퍼를 포함한 대부분의 차량 부품용 소재로는 가격, 성능, 재활용 등의 시장 요구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종래에는 금속 성형체 대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 재질의 기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소재는 비극성 및 낮은 표면장력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으로 도장이나 접착이 곤란하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이용한 성형체에 도료를 도장하는 경우에 도막과 기재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라이머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한다.
도장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차량 부품용 폴리올리핀계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프라이머 층의 표면에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는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 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을 보호하고 광택 및 선형성 등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건조한다.
이와 같은 프라이머층을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기재의 표면적을 넓히는 플라즈마 방식이 있긴 하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프라이머층을 적용한 범퍼에 비하여 내충격성이나 내수성, 접착성 등이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올레핀 범퍼와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다. 하지만,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도막이 형성된 기재에 염소 등 유기성분이 잔류하게 되어 차량내부에서 냄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발생하여 사용자 및 작업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할로겐으로 변성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비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에 아크릴 수지 또는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양한 차량 종류별로 범퍼 소재에 따른 부착성의 편차가 존재하는 단점이 존재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119614호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분산액, 아크릴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종래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비해 다양한 범퍼 소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게 이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성 평가 방법의 기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분산액, 아크릴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성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우레탄 분산액>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인접 패킹 효과 및 용이한 융합 등의 특성을 지니며, 단단한 것으로부터 유연한 영역의 고분자로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부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해지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고형분 함량이 30 내지 50 %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견고한 도막을 구현하고, 내수성과 같은 물성을 높이는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우레탄 수지가 수계 매체 중에 분산된 형태인 것으로,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 자이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분산시키는 수계 매체는 물용제 이거나, 물과 친수성 유기 용제의 혼합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용제는 상수, 이온 교환수, 증류수, 초순수 등일 수 있다. 특히, 입수의 용이함이나 염의 영향으로 입자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온 교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유기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N-메틸모르폴린,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비양성자성 친수성 유기 용제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1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부착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작업성 및 프라이머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층간 부착력 확보 및 프라이머 조성물의 저장성 및 내수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고형분 함량이 15 내지 40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 내지 1,600 g/mol, 점도는 50,000 내지 80,000 cP일 수 있으며, 수산기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60 mgKOH/g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강도 및 내화학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1종 이상의 단량체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단량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도에틸에틸렌우레아, N-(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틸렌우레아 등과 같은 (메트)아크릴계 우레아 등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안료의 안정성 저하로 층 분리가 발생되거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폴리올레핀 기재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우수한 부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28 내지 32 %이고, 점도가 10 내지 100 mPa.s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80,000 g/mol일 수 있고, 비중은 0.8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부착성, 외관성 및 신뢰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의 물성 강화-복합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산으로 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으로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말레산으로 변성 시키는 경우, 전체 프라이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우레탄 분산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6 내지 1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변색을 방지하여 외관성을 매우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66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저하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율을 낮출 수 없으며, 120 중량부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 및 베이스 코팅층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병용하여 사용되어, 폴리올레핀 기재의 표면장력을 더욱 증가시켜 다양한 차량의 범퍼 소재에 우수한 부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극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할로겐이 중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할로겐이 염소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25 내지 40 %이고, 염소기의 함량은 10 내지 18%일 수 있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80,000 내지 90,000 g/mol일 수 있고, 비중은 0.8 내지 1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부착성, 외관성 및 신뢰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말레산으로 변성될 수 있다. 할로겐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말레산으로 변성하는 경우 전체 프라이머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폴리올레핀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탈로센-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의 물성 강화-복합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 우레탄 분산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6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0 내지 60 중량부의 함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부착성이 감소하고, 66 중량부로 초과되는 경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없으며, 부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1 내지 1:3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1.5 내지 1:2.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다양한 범퍼 소재에 따른 부착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조색제부, 용제부 및 첨가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색제>
상기 조색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원하는 색상으로 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 부품에서 색상 특히 유색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색제부는 안료로 카본블랙, TiO2, 산화철, 산화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색제는 프라이머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조색제는 과량 사용시 차량 부품에 도장되었을 때, 코팅층의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3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색상 표현이 미미하여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8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의 부착성 등과 같은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물을 기본 용제로 하여, 유기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용제는 상수, 이온 교환수, 증류수 및 초순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는 저장 안정성을 높이고, 속건성 및 유착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부틸셀로솔브, 부틸카르비톨,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 등 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프라이머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34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점도 조절이 용이할 수 있고,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프라이머 층에서의 평활성 및 도장 작업성이 우수할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첨가제는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에 소정 함량 범위로 첨가되어 도장시 습윤성 및 레벨링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제는 중화제, 라이올로지 조절제, 습윤제, 소포제, 광안정제, 부착 증진제, 표면 조정제, 얼룩 방지제, 유연제, 증점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프라이머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지부터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조색제, 용제 및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3
하기 표 1 및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수지부터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조색제, 용제 및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수지 폴리 우레탄 분산액 18.00 18.00 28.00 18.00 18.00 18.00
아크릴 에멀젼 5.00 5.00 0.00 12.00 5.00 5.00
폴리올레핀 18.00 14.00 18.00 18.00 28.00 0.00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10.00 7.78 10.00 10.00 0.00 28.00
조색제 TiO2, 카본블랙 5.84 5.84 5.84 5.84 5.84 5.84
용제 프로판올 6.00 6.00 6.00 6.00 6.00 6.00
부틸 카르비톨/2-프로폭시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1.00
부틸 셀로솔브/2-부톡시에탄올 1.30 1.30 1.30 1.30 1.30 1.30
2-에틸헥산올 0.70 0.70 0.70 0.70 0.70 0.70
탈염수 28.93 35.15 23.93 23.93 28.93 28.93
첨가제 중화제 0.13 0.13 0.13 0.13 0.13 0.13
안정제 1.20 1.20 1.20 1.20 1.20 1.20
습윤제 2.9 2.9 2.9 2.9 2.9 2.9
리이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1.00 1.00 1.00 1.00 1.00 1.0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단위: 중량%)
구분 비교예
5 6 7 8
수지 폴리 우레탄 분산액 18.00 18.00 5.00 12.00
아크릴 에멀젼 5.00 5.00 5.00 5.00
폴리올레핀 7.20 27.00 27.00 35.00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4.00 15.00 15.00 0.00
조색제 TiO2, 카본블랙 5.84 5.84 5.84 5.84
용제 프로판올 6.00 6.00 6.00 6.00
부틸 카르비톨/2-프로폭시에탄올 1.00 1.00 1.00 1.00
부틸 셀로솔브/2-부톡시에탄올 1.30 1.30 1.30 1.30
2-에틸헥산올 0.70 0.70 0.70 0.70
탈염수 45.73 14.93 27.93 27.93
첨가제 중화제 0.13 0.13 0.13 0.13
안정제 1.20 1.20 1.20 1.20
습윤제 2.9 2.9 2.9 2.9
리이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1.00 1.00 1.00 1.00
합계 100 100 100 100
(단위: 중량%)
구분 비교예
9 10 11 12 13
수지 폴리 우레탄 분산액 12.00 5.00 5.00 18.00 18.00
아크릴 에멀젼 5.00 5.00 5.00 5.00 5.00
폴리올레핀 0.00 42.00 0.00 20.00 18.00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35.00 0.00 42.00 6.00 4.00
조색제 TiO2, 카본블랙 5.84 5.84 5.84 5.84 5.84
용제 프로판올 6.00 6.00 6.00 6.00 6.00
부틸 카르비톨/2-프로폭시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부틸 셀로솔브/2-부톡시에탄올 1.30 1.30 1.30 1.30 1.30
2-에틸헥산올 0.70 0.70 0.70 0.70 0.70
탈염수 27.93 27.93 27.93 30.93 34.93
첨가제 중화제 0.13 0.13 0.13 0.13 0.13
안정제 1.20 1.20 1.20 1.20 1.20
습윤제 2.9 2.9 2.9 2.9 2.9
리이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1.00 1.00 1.00 1.00 1.00
합계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구체적인 성분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우레탄 분산액
고형분: 40%, 중량평균분자량: 46,750 g/mol, 비중: 1
2) 아크릴 에멀젼
고형분: 24%, 중량평균분자량: 1,460 g/mol, 점도: 50,000 내지 80,000 cP, 산가: 3.5 내지 5.2 mg KOH/g, 수산기 당량: 40mg KOH/g
3) 폴리올레핀
고형분: 30%, 점도: 10 내지 100mPa.s, 비중: 0.95, pH: 9.0, 중량평균분자량: 40,000 내지 80,000 g/mol
4)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
할로겐 함량: 14.5%, 고형분: 31%, 비중: 0.93, pH: 7.75, 중량평균분자량: 82,370 g/mol
5) 중화제: DMEA(Dimethylethanolamine)
6) 안정제: Solsperse 27000
7) 습윤제: 습윤제: TEGO WET 510 0.80 중량%, Surfynol 104 BC 1.60 중량% 및 Hydropalat WE3323 0.50 중량%
8) 리이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AQUATIX 8421
실험예
상기 표 1 내지 3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도장 방법
범퍼로 성형 가공한 폴리프로필렌(PP 시편)과 A사, B사 및 C사에서 제조된 자동차의 범퍼에 상기 제조된 조성물을 도포한 후, 5분 내지 10분 자연 건조하였다. 자연 건조가 완료된 후, 그 위에 착색 베이스코트 도료를 건조도막 두께로 약 15 ㎛ 내지 20 ㎛가 되도록 정전 도장하고, 5분 내지 10분간 상온 세팅 후, 클리어 도료를 건조도막 두께로 약 30 ㎛가 되도록 정전도장 하고 최종적으로 80 ℃에서 30분간 고온 건조하여 시험 도장물을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 및 조건
1) 부착성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 도장물위에 수평 11선, 수직 11선의 선을 긋고, 규정된 투명 테이프를 상기 선 위에 충분히 밀착시킨 뒤, 테이프를 방향을 바꿔가면서 탈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부착 및 탈착을 5회 반복하여 도 1과 같이 1B 내지 5B인 ASTM 기준으로 부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2) 내수성
앞서 도장한 범퍼의 일부를 절취하여, 40 ℃의 온수에 10일간 침적시킨 뒤, 꺼내어 건조된 범퍼에 대하여 ASTM D714에 의거한 내수성 평가를 수행하고, 육안으로 도장면을 확인하였다. 단, 상기 내수성은 도막에 현저한 변색, 퇴색, 부풀음, 갈라짐 및 부착 저하와 내굴곡성의 변화 여부를 평가한다.
3) 저장성
저장성 평가를 위해,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조성물을 50 ℃에서 10일 동안 방치한 뒤, 점도의 변화, 층분리 또는 겔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물성 실시예
1 2
부착성 PP 시편 5B 5B
A사 5B 4B
B사 5B 5B
C사 5B 5B
점도 변화 5 % 5 %
내수성 None None
물성 비교예
1 2 3 4 5 6 7 8
부착성 PP 시편 5B 5B 5B 5B 5B 5B 5B 5B
A사 5B 5B 1B 5B 2B 5B 5B 5B
B사 5B 5B 5B 5B 5B 5B 5B 5B
C사 5B 5B 5B 2B 2B 5B 5B 4B
점도 변화 1 %
(층분리)
23.5 % 3 % 6 % 5 % 35 % 8 % 16 %
내수성 None Size No. 4, Few None None None Size No. 4, Dense Size No. 4, Dense Size No. 4, Medium
물성 비교예
9 10 11 12 13
부착성 PP 시편 5B 5B 5B 5B 5B
A사 4B 5B 5B 3B 2B
B사 5B 5B 5B 5B 5B
C사 5B 4B 4B 5B 5B
점도 변화 15 % Gel
(측정불가)
Gel
(측정불가)
7% 5%
내수성 Size No. 4, Medium Size No. 4, Dense Size No. 4, Dense None None
상기 표 4 내지 표 6에서 확인한 결과, 비교예 3, 4 및 5의 경우 A사 및 C사의 범퍼에 부착성이 각각 1B 및 2B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1종만 포함되거나,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율을 달리하여 포함된 경우 부착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점도 변화가 1 % 에 해당하였지만 층 분리가 발생하여 저장성이 취약하였으며, 아크릴 에멀젼을 과량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점도 변화가 23.5 %로 높아져 겔화 되고, 내수성이 불안정해 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라이머 조성물 내에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기준으로 과량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포함되는 비교예 7의 경우 저장성이 취약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율이 1:3을 벗어나는 경우 부착성이 저조해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폴리올레핀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다양한 차량별 범퍼의 부착성을 부여할 수 있고,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는 경우 저장성 및 내수성의 물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도막의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폴리우레탄 분산액,
    아크릴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1.5 내지 1:3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아크릴 에멀젼의 고형분은 15 내지 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 내지 1,600g/mol이며,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고형분은 25 내지 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80,000 내지 90,000g/mol이며, 염소기 함량이 10 내지 18%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분산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12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66 내지 1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할로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20 내지 66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프라이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32918A 2018-03-21 2018-03-21 프라이머 조성물 KR1021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18A KR102126849B1 (ko) 2018-03-21 2018-03-21 프라이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18A KR102126849B1 (ko) 2018-03-21 2018-03-21 프라이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97A KR20190110897A (ko) 2019-10-01
KR102126849B1 true KR102126849B1 (ko) 2020-06-25

Family

ID=6820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18A KR102126849B1 (ko) 2018-03-21 2018-03-21 프라이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06B1 (ko) * 2022-04-28 2024-02-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729A (ja) * 2004-04-14 2005-10-27 Basf Coatings Japan Ltd 導電性プライマー用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0484B1 (en) * 2003-03-04 2007-10-24 Kansai Paint Co., Ltd. White conductive prim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multilayered coating film
US7968654B2 (en) 2004-12-31 2011-06-28 Hae Dong Chemical Co., Ltd. Modified chlorinated polypropylene, its preparation method and its blend for polyolefin
KR101811512B1 (ko) * 2016-01-15 2017-12-22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729A (ja) * 2004-04-14 2005-10-27 Basf Coatings Japan Ltd 導電性プライマー用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97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04B1 (ko)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JP5162468B2 (ja) 水性被覆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0893134B1 (ko)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JP6642737B2 (ja) 水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703036A (zh) 单层膜及包括该单层膜的亲水性材料
KR101757326B1 (ko) 차량 부품용 프라이머리스 베이스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 방법
CN108291991B (zh) 电磁能吸收性光学产品及其制造方法
CN108291990B (zh) 电磁能吸收性光学产品及其制造方法
KR102126849B1 (ko) 프라이머 조성물
CN104419316A (zh) 紫外线固化型硬膜涂料组合物
JPWO2015170560A1 (ja) 積層体及び光学フィルム
KR19980020031A (ko) 대전방지성 광경화용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KR20060110398A (ko) 폴리올레핀용 수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9317A (zh) 紫外线固化型硬膜涂料组合物
KR102200688B1 (ko) 베이스 코트용 수성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도장방법 및 차량 부품
KR101853557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KR20070087852A (ko)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투명패널
JP3801347B2 (ja) 塗装仕上げ方法及び塗装物品
KR101847421B1 (ko) 수성 도료 조성물
CA2672112A1 (en) Method for making chlorinated polyolefin solutions and coatings
US939359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coat colour and/or effect paint system
JP2013234276A (ja) 制電性水性ウレタン樹脂乳化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電性塗料、制電性被覆物、制電性接着剤並びに制電性結合剤
KR102634806B1 (ko) 다층 코팅
JP2003026987A (ja) 塗装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