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622B1 -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622B1
KR102127622B1 KR1020130048722A KR20130048722A KR102127622B1 KR 102127622 B1 KR102127622 B1 KR 102127622B1 KR 1020130048722 A KR1020130048722 A KR 1020130048722A KR 20130048722 A KR20130048722 A KR 20130048722A KR 102127622 B1 KR102127622 B1 KR 10212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voice input
microphone
electronic devic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863A (ko
Inventor
서창환
박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622B1/ko
Priority to US14/243,230 priority patent/US9538277B2/en
Priority to EP14166163.7A priority patent/EP2800396A1/en
Publication of KR2014012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은,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이어폰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이어폰 장치의 연결 검출 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검출 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PUT OF SOUND}
본 개시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 검출여부에 따라 전자기기의 음성 입력 경로를 지능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발달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장치로서 이어폰 장치가 제공된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어폰 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장치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이어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사운드를 휴대 단말기에 입력시킬 수 있다.
현재 스마트 폰에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3.5 파이 이어폰을 스마트 폰에 장착할 때, 이어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은 음성 입력 장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어폰의 타입을 검출하는 로직을 사용하고 있다. 즉, 스마트 폰에 이어폰이 연결되면, 이어폰이 마이크로폰 타입(4극)인지 비마이크로폰 타입(3극)인지 구분하여 이어폰의 타입을 검출하여, 이어폰이 마이크로폰 타입으로 검출되면 음성 입력 장치를 이어폰 마이크로 결정하고, 비마이크로폰 타입으로 검출되면 음성 입력 장치를 스마트 폰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어폰 타입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3.5 파이 이어폰의 좌측 출력 단자(L), 우측 출력 단자(R), 접지 단자(G), 이어폰 마이크 단자(M)로 나눠진 부분 중 마이크 단자(M) 부분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다. 미리 일정한 범위로 마이크로폰 타입의 신호 범위를 고정(fix)해두고, 해당 전기적 신호가 고정된 신호 범위 내인 경우, 마이크로폰 타입의 이어폰이 장착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한다.
이런 경우, 이어폰 마이크가 고장이나 정상적으로 동작을 못하는 경우에도 이어폰 마이크가 음성 입력 장치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 사운드를 입력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어폰 제작사, 스마트 폰의 회로설계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 단자(M) 부분에 읽히는 전기적 신호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정확하게 이어폰의 타입을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스마트 폰 출시 시 각 모델에 맞게 마이크로폰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의 범위를 튜닝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전자기기의 음성 입력 장치를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본 개시는 마이크 이어폰이 비정상 구동하는 4극 이어폰이 연결되었더라도 전자장치의 빌트인 마이크를 음성 입력 장치로 대체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기능을 항상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은,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이어폰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이어폰 장치의 연결 검출 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검출 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는,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음성 입력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는 이어폰 장치의 타입이나, 이어폰 마이크의 비정상 구동 상태에 상관없이 적응적으로 다양한 음성 입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와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이어폰 장치가 전자장치에 삽입된 상태와 관련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장착" 또는 "연결"은 이어폰 장치가 단말기의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된 상태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장착 해제" 또는 "탈착", 또는 "연결 해제"는 이어폰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정의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장치(100)와 이어폰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개시의 이어폰 장치(200)가 전자장치(100)에 삽입된 상태와 관련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이어폰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이어폰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는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검출하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를 전자장치(100)에 구비함으로써, 이어폰 마이크(220)의 정상 구동이 불가능한 이어폰 장치(200)가 전자장치(100)에 삽입된 경우, 음성 입력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적응적으로 음성입력장치를 전자장치(100)에 빌트인(built-in)된 마이크(260)를 포함한 다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하되, 전자장치(100)에 입력되는 음성/오디오 신호는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를 포함한 다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는 경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장치(200)는 전자장치(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는 이어폰 헤드(210)와, 이어폰 헤드(210)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출력부(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장치(200)는 4극으로 구성된 경우, 이어폰 마이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어폰 마이크(220)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인쇄회로 기판 등을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200)의 입력 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헤드(210)는 이어폰 장치(200)의 설계 형태에 따라 3개 내지 4개의 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어폰 헤드(210)는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우측 단자(R), 이어폰 접지 단자(G)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4극 이어폰의 경우 이어폰 마이크 단자(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헤드(210)는 전자장치(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착탈 가능한 형태 예를 들면 일정 직경의 원통형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압에 의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어 좌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와, 이어폰 우측 단자(R)와 연결되어 우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출력부(230, 240)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각각 좌측 및 우측을 구분하여 출력하며, 모노 타입으로 구성된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는 좌우측 구분 없이 좌우측 출력부(230, 2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는 수 옴의 고유 저항 값 예를 들면 32옴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 역시 스피커 자체 구성이 가지는 고유 저항 값인 32옴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의 각 저항 값은 해당 이어폰 장치(200)의 스피커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이어폰 장치(200)가 보다 높은 사양의 또는 보다 낮은 사양의 오디오 청취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사양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소재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소재의 상이성이나 소자들의 배치, 정교성 등에 따라 각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고유 저항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이어폰 헤드(210)와 이어폰 출력부(230, 240) 사이에 배치되어 이어폰 헤드(210)의 특정 단자와 이어폰 출력부(230, 240)의 각 출력부들을 연결함과 아울러 마이크(220)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추가로 제어 모듈(250)은 이어폰 장치(2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특정 버튼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버튼 눌림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이어폰 헤드(210)가 접속된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단말기(100)의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제어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30)의 구성을 포함하며 추가로 통신부와 저장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장치(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헤드(210)가 접속되면, 이어폰 마이크(220)의 정상 구동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어폰 마이크(220)의 정상 구동 여부에 따라 음성입력 경로를 제어한다. 즉, 이어폰 마이크(220)가 정상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폰 마이크(220)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하고, 이어폰 마이크(220)가 비정상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폰 마이크(220)를 제외한 미리 설정된 빌트인 마이크(260)와 같은 다른 장치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220)가 고장나거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오물이 삽입된 상황 등의 이유로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나, 이어폰 제작사, 전자장치의 회로 설계에 따라 이어폰의 마이크 단자(M) 부분에 읽히는 전기적 신호의 편차로 인해 이어폰의 타입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과 같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수신 기능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개시의 전자장치(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구비된 인식 접촉부(175)가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접촉됨을 검출함으로써, 이어폰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저항들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우측 단자(R)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이어폰 우측 단자(R)는 3극 이어폰이나 4극 이어폰 등의 일반적인 이어폰 장치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인식 접촉부(175)에 의해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가 구동되어,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검출할 수 있다.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음성 입력 데이터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회로에 의해 4클럭 사이클 정도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음성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관한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는 이어폰 마이크(220)로부터 코덱(codec)으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발생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0)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4극 이어폰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소정 사이클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분석한 결과, 음성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4극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마이크가 정상 구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어폰 마이크를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마이크를 구비하는 4극 이어폰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소정 사이클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분석한 결과, 음성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4극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마이크가 고장이거나, 이어폰 마이크 단자(M) 부분에 읽히는 전기적 신호의 편차로 인해 이어폰의 타입을 구분하지 못하는 등의 이어폰 마이크를 비정상 구동 상태로 판단하여,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를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입력 장치로서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를 선택하더라도, 전자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는 3극 이어폰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에 의해 검출되는 음성 입력 신호가 없기 때문에 전자장치(100)는 빌트인 된 마이크(260)나 다른 장치를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좌측 출력부(230) 및 이어폰 우측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헤드(210)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삽입홀의 내측면에 3극 또는 4극 극성을 가진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개수의 단자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 4개의 극성을 각각 인식하기 위한 단자 접촉부들(171, 172, 173, 174)과 이어폰 장치(200)의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접촉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자 접촉부들(171, 172, 173, 174)은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마이크 단자(M), 이어폰 접지 단자(G), 이어폰 좌측 단자(L), 이어폰 우측 단자(R)와 각각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이다. 여기서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저항들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우측 단자(R)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헤드(210)의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연결되는 선상의 적어도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어 풀업 전압(Vf)을 분배하는 분배 저항(Rd) 및 입력된 분배 전압에 따른 결과 값을 출력하는 비교기(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교기(177)의 출력과 연결되는 검출 포트(Detect)를 포함하고, 검출 포트(Detect)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검출 포트(Detect) 확인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를 제어하여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장치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면,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하거나,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를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하여, 이를 제어부(160)로 연결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된 이어폰 장치(200)의 오디오 출력 기능 및 오디오 수집 기능을 지원하고,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 또는 리시버의 오디오 수집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220)가 결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에 의해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220),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 또는 다른 장치가 선택되면,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상기 선택된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자기기(1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오디오 수집 기능을 요청받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에 의해 결정된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부 또는 통신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전자장치(100)에 이어폰 장치가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 장치의 타입이나, 이어폰 마이크의 비정상 구동 상태에 상관없이 다양한 음성 입력 장치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기능을 항상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전자장치(1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이어폰 장치가 삽입되면 이어폰 마이크의 구동 가능 여부 확인을 위해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전자장치(100)는 설정 이벤트에 따라 획득한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결과에 대응하여 음성 입력 장치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이벤트는 이어폰 장치의 삽입 이후 일정 주기 도래, 실시간, 사용자의 요청 신호 발생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전자장치(100)가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전자장치(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제외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통신 기능 예컨대 이동통신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가 복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각각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2G, 3G, 4G 등의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나, NFC 모듈, RFI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부(160) 제어 하에 적응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사전 정의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진 타 단말기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특정 전화번호를 가진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이어폰 장치(200)가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상태 변경된 경우 자동으로 비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및 이어폰 장치(200) 착용 상태에서 미착용 상태로 변경된 경우 통화 연결 종료를 위한 신호가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통화 연결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200) 삽입 해제가 발생하면 통신부(11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자동으로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장치(200) 삽입 또는 삽입 해제에 따른 기능 선택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는 설정 조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20)는 홈 키, 사이드 키, 전원 키 등 하드웨어 물리 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가상 키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본 개시의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 기반의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를 디폴트로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신호, 디폴트로 적용되는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 또는 제조자의 설계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가 제공하는 음성 입력 기능을 위하여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 호출 입력 신호,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를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가 설정된 전자장치 기능의 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각 입력 신호 수신 시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추가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 기능을 본 개시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가 적용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신호들은 생성 후 제어부(160)에 제고되어 해당 입력 신호 기능 지원을 위하여 명령어로 변경 및 적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개시의 전자기기(100) 운용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및 오디오 신호의 수집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 구성과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전자기기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 또는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 리시버를 포함한 다른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면,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알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된 이어폰 장치(200)의 오디오 출력 기능 및 오디오 수집 기능을 지원하고,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 또는 리시버의 오디오 수집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220)가 결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220)가 결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에 의해 음성 입력 장치로서 이어폰 마이크(220),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 또는 다른 장치가 선택되면,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상기 선택된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자기기(1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오디오 수집 기능을 요청받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에 의해 결정된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부 또는 통신부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본 개시의 전자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전자장치(100) 운용에 따라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전자장치(100) 기능 운용과 관련된 화면 예컨대 음성 통화 기능 수행 화면, 영상 통화 기능 수행 화면, 폰북 화면, 오디오 파일 재생 화면, 방송 수신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등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특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를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에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팝업창으로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표시부(140)는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에 따라 운용 가능한 기능 관련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저장부(150)는 전자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운영체제, 통신부(110) 운용을 위한 통신 기능 지원 응용 프로그램, 방송 수신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각 기능 운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개시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하여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 기능 테이블(155) 및 기준 데이터(153)를 저장할 수 있다.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개시의 이어폰 장치(200) 장착 및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에 따라 특정 전자기기 기능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루틴을 포함한다.
예컨대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이어폰 장치(200) 장착 여부를 검출하는 루틴,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루틴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루틴은 인식 접촉부(175)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루틴, 인식 접촉부(175)의 검출 신호를 기준 데이터(153)와 비교하는 루틴, 비교 결과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 착용 여부를 결정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이어폰 마이크(220)의 구동 가능 여부를 검출하는 루틴은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또한, 이어폰 운용 지원 프로그램(151)은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경로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거나,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루틴을 포함한다. 이러한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루틴은 전자기기 기능의 종류를 확인하는 루틴, 기능 테이블(155)을 참조하여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 기능을 조절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기능 테이블(155)은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의 종류와, 전자기기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모드 설정 시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 여부에 따라 수행될 다양한 스케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테이블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기능 테이블(155)은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 여부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220) 또는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260)의 활성화 제어 정보, 활성화된 음성 입력 장치에 따라 음성 신호 입력 패스를 결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테이블(155)은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삽입되면, 제어부(160)로부터 호출되고, 특정 기능 수행 여부 및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 엽웨 따른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153)는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한 음성입력 검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장치(200)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이어폰 장치(200)의 이어폰 잭(203)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폰 인터페이스(170) 내부에는 이어폰 잭(203)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도록 각 단자들이 배치된다. 예컨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C 단자, OPEN_DET 단자, EARSPK_L 단자, EARSPK_R 단자, 접지 단자(GN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 이용되지 않는 단자가 더 마련될 수 있다. OPEN_DET 단자는 이어폰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자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마련된 단자들 중에 마이크 단자(M)는 이어폰 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검출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 단자(M)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와 연결된다.
제어부(110)는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기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 AP)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모드 지원을 위한 신호 제어와, 데이터의 처리, 데이터의 전달, 기능의 제어 및 기능 제어를 위한 무전원 센서(210)의 상태 확인 등을 위한 처리를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연결된 검출 포트(Detect) 확인에 따라 이어폰 장치(200)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를 제어하여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장치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면,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하거나, 전자장치(100)에 빌트인 된 마이크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를 음성 입력 장치로 결정하여, 이를 제어부(160)로 연결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5)의 검출 결과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220), 빌트인 된 마이크(260) 이외의 다른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장치(100)의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선택된 음성입력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방법은 먼저, 510 동작에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가 기능 운용 또는 기능 운용 대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전자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전자장치(100)의 일정 구성들에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예컨대, 통화 애플리케이션, 음성 검색 애플리케이션, 음성 명령 애플리케이션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520 동작에서 이어폰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3극 또는 4극 등의 타입에 상관없이 이어폰 헤드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장치가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지 여부로 이어폰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530 동작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 검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4극 이어폰과 같이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의 이어폰 마이크로부터 코덱(codec)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이어폰 마이크의 구동 가능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이어폰 마이크로부터 코덱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입력이 없는 경우, 이를 이어폰 마이크의 구동 불가능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마이크의 구동 가능 여부는 상기 520 동작에서 이어폰 장치가 연결되었음이 확인된 이후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판단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판단되거나, 설계자의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판단되거나, 전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540 동작에서 음성 입력 장치 및 음성 입력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상기 530 동작에서 검출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 검출여부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의 음성 입력 장치 및 음성 입력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이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하고, 반대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어폰 마이크를 제외한 미리 설정된 빌트인 마이크(260)와 같은 다른 장치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음성입력경로 제어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검출여부에 따라 음성입력경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음성 입력 장치 제어 방법은 610 동작에서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60)가 기능 운용 또는 기능 운용 대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하여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전자장치(100)의 일정 구성들에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20 동작에서 이어폰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구비된 인식 접촉부(175)가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접촉됨을 검출함으로써, 이어폰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좌측 단자(L)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200)의 저항들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인식 접촉부(175)는 이어폰 우측 단자(R)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이어폰 좌측 단자(L)와 이어폰 우측 단자(R)는 3극 이어폰이나 4극 이어폰 등의 일반적인 이어폰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620 동작에서 이어폰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630 동작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1)가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을 검출하여 이에 관한 결과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이어폰 장치(200)가 이어폰 인터페이스(1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음성 입력 데이터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여부를 판단하는 회로에 의해 4클럭 사이클 정도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음성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관한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620 동작에서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1)에 의해 음성이 입력된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부(160)는 640 동작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620 동작에서 마이크 음성입력 검출부(161)에 의해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부(160)는 650 동작에서 전자장치(100)의 빌트 인 마이크나 다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입력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 경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이어폰 마이크의 정상 구동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의 음성입력 기능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전자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장치(100)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이어폰 인터페이스
200 : 이어폰 장치 201, 202 : 이어폰 헤드
203 : 이어폰 잭 220 : 이어폰 마이크

Claims (12)

  1. 전자장치의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이어폰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어폰 장치의 연결 검출 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검출 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이어폰 장치의 연결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의 작동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이어폰 마이크와 연결된 코덱으로 전송되는 음성입력을 검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4클럭 사이클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상기 음성 입력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이어폰 장치가 연결된 경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거나, 설계자의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수행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미검출 시,
    상기 전자장치의 빌트인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빌트인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되, 상기 전자장치에서 재생중인 오디오/음성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음성 신호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7.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에 있어서,
    이어폰의 연결을 감지하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음성 입력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의 연결 및 상기 이어폰 마이크의 작동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마이크와 연결되는 코덱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마이크로부터 상기 코덱으로 전달되는 음성입력을 검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4클럭 사이클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상기 음성 입력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연결 감지 시, 기 설정된 일정 주기의 도래, 사용자의 요청, 설계자의 설정,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을 검출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마이크를 통한 음성 입력 미검출 시, 상기 전자장치의 빌트인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빌트인 마이크를 음성입력장치로 선택하되, 상기 전자장치에서 재생중인 오디오/음성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음성 신호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입력 경로 제어장치.
KR1020130048722A 2013-04-30 2013-04-30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12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722A KR102127622B1 (ko) 2013-04-30 2013-04-30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4/243,230 US9538277B2 (en) 2013-04-30 2014-04-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input path
EP14166163.7A EP2800396A1 (en) 2013-04-30 2014-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input p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722A KR102127622B1 (ko) 2013-04-30 2013-04-30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63A KR20140129863A (ko) 2014-11-07
KR102127622B1 true KR102127622B1 (ko) 2020-06-29

Family

ID=5084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722A KR102127622B1 (ko) 2013-04-30 2013-04-30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8277B2 (ko)
EP (1) EP2800396A1 (ko)
KR (1) KR102127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3535B2 (en) 2013-01-15 2018-08-07 Staton Techiya, Llc Method and device for spectral expansion for an audio signal
US10045135B2 (en) 2013-10-24 2018-08-07 Staton Techiya, Llc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tion and arbitration of an input connection
US10043534B2 (en) 2013-12-23 2018-08-07 Staton Techiya, Llc Method and device for spectral expansion for an audio signal
CN104936099A (zh) * 2015-06-30 2015-09-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识别扬声器的方法及装置
KR102312316B1 (ko) * 2015-08-24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5741862B (zh) * 2016-01-29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音频录入的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CN106843802B (zh) * 2017-03-13 2023-06-16 北京糖护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各种标准手机耳机接口的电路
US10241750B1 (en) * 2018-01-28 2019-03-26 Columbia Network Secur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udi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467B1 (ko) * 1996-05-22 1999-07-01 윤종용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00272252A1 (en) * 2009-04-22 2010-10-28 Timothy Johnson Microphone line based detection of headset plug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011A (ja) * 2001-01-05 2002-07-26 Nec Corp 携帯端末
KR100871260B1 (ko) * 2002-08-24 200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플러그 연결 여부 검출 장치
KR20060109770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기기의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JP4143635B2 (ja) * 2005-10-26 2008-09-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機能切り替え方法
US7899946B2 (en) * 2008-01-11 2011-03-01 Modu Ltd. Audio and USB multiplexing
US20100194561A1 (en) * 2007-07-31 2010-08-05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gain control method
KR20100034229A (ko) * 2008-09-2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568176B1 (ko) 2009-05-29 2015-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651122B1 (ko) * 2009-12-08 2016-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070014A1 (en) 2010-09-20 2012-03-22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ersity Safe earphon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2149033A (zh) * 2010-10-28 2011-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耳机的处理方法和用户设备
JP5798943B2 (ja) * 2011-05-20 2015-10-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イヤホン識別プログラムおよびイヤホン識別方法
KR20130036906A (ko) * 2011-10-05 2013-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937839B1 (ko) * 2012-08-29 2019-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운용 방법
TWI522902B (zh) * 2013-04-03 2016-02-2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耳機感測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467B1 (ko) * 1996-05-22 1999-07-01 윤종용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00272252A1 (en) * 2009-04-22 2010-10-28 Timothy Johnson Microphone line based detection of headset plug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0396A1 (en) 2014-11-05
US9538277B2 (en) 2017-01-03
KR20140129863A (ko) 2014-11-07
US20140321673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622B1 (ko)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319823B2 (e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KR101790042B1 (ko)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EP2503790B1 (en) Earphone system for mobile devices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KR102217641B1 (ko) 오디오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2410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ccessory type
JP6184684B2 (ja) イヤホン接続検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支援する端末機
KR101590043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2067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EP2166737A1 (en) Portable device including earphon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2363784A2 (en) Personal listening device having input applied to the housing to provide a desired function and method
TW201414114A (zh) 耳機連接介面、具有該介面的終端以及操作該終端的方法
CN104378485A (zh) 调节音量的方法和装置
CN103699501A (zh) 一种移动终端的音频设备管理方法及系统
WO2022033176A1 (zh) 音频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279410A (zh) 一种外接设备提示装置及其方法
JP7442551B2 (ja) 移動端末及び制御方法
CN108668204B (zh) 复用电路、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工作模式切换方法
KR20130115674A (ko)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TWI539372B (zh) 自動偵測電子裝置配件類型之方法及相關電子裝置
CN106776424A (zh) 接头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CN205283792U (zh) 自动判断麦克风孔的影音切换器
CN104079702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15348349A (zh) 应用程序控制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