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674A -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674A
KR20130115674A KR1020120038201A KR20120038201A KR20130115674A KR 20130115674 A KR20130115674 A KR 20130115674A KR 1020120038201 A KR1020120038201 A KR 1020120038201A KR 20120038201 A KR20120038201 A KR 20120038201A KR 20130115674 A KR20130115674 A KR 20130115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ey input
accessory device
input signal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674A/ko
Priority to US13/857,791 priority patent/US20130275633A1/en
Publication of KR2013011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동시 접속되며,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Operation Method For Accessory connected with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연결되어 운용될 수 있는 액세서리의 키 개수를 확장하여 보다 다양한 액세서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입력기기나 출력기기를 간소화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으로서 대체해가고 있다. 그러나 전자 기기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일정 크기를 가지는 입력기기나 출력기기는 사용자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일정 크기의 입력기기나 출력기기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스피커 등의 외부 액세서리를 마련하여 휴대 단말기에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피커 기능이 제한적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보강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키보드 등의 외부 액세서리를 마련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한적인 입력부의 구성을 보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액세서리를 운용하기 위해서 액세서리와 휴대 단말기 간의 USB 연결을 지원한다.
그런데, 현재 지원되는 액세서리 USB 연결은 액세서리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신호 범위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개수 이상의 신호 구분이 어려운 실정이다. 액세서리에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키 입력 신호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이러한 제한적인 키 입력 환경은 액세서리 개발이나 운용에 있어서 큰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와 액세서리 간에 송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의 구분을 보다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동시 접속되며,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의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액세서리 장치의 USB 접속부 및 이어잭 접속부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 장치에서 수신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달되는 전달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액세서리 장치의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구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액세서리 장치가 동시 접속되는 경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 각각에서 발생하는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액세서리 장치의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액세서리 간에 송수신될 수 있는 키 입력 신호의 구분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액세서리의 운용 및 키 입력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액세서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액세서리 장치(200)가 연결되데 복수 개의 포트로 연결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련된 다양한 키들의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가 보다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 운용에 있어서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키 입력신호를 보다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 및 액세서리 장치(200)가 지원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 등에 대한 제어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단말기(100)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통화 기능, 서버 접속 기능, 카메라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 각 기능 지원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액세서리 장치(200)들과의 연결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uUSB(Micro USB) 포트(이하 USB 포트)를 포함하며 또한 이어잭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이용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100) 구성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액세서리 장치(200)는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세서리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 동시 접속이 가능한 크래들 형태의 스피커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 동시 접속되어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지원을 수행하는 장치 예를 들면 파일 편집 기능 등을 지원하는 장치, 단말기(100)의 파일 검색이나 재생 등의 제어를 위한 키 입력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 동시 접속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른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특정 저항 값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액세서리 장치(200) 구성과 관련하여 도 5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액세서리 장치(200)를 각각 USB 포트(170)와 이어잭 포트(180)로 연결하고, 각 포트에서의 저항 값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는 키 입력 신호를 다양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액세서리 장치(200)에 보다 다양한 키 입력부가 마련되더라도 해당 키 입력부들로부터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들을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USB 포트(170), 이어잭 포트(18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와 연결되면,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발생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저항 값 변화를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해당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USB 포트(170)에서의 저항 값 변화의 개수 및 이어잭 포트(180)에서의 저항 값 변화 개수의 곱에 해당하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입력 신호들을 구분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일정 포트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 액세서리에 대하여 하드웨어 소자 특성 상 저항 변화 값들을 구분할 수 있는 범위가 일정 개수로 한정된다. 즉 USB 포트(170) 또는 이어잭 포트(180) 각각이 인식할 수 있는 키 입력 신호는 일정 개수로 한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두 개의 포트를 통하여 저항 변화 값들을 전달받기 때문에 보다 많은 개수의 외부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170)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저항 변화 값이 15개이고,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저항 변화 값이 7개인 경우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두 개의 포트를 통하여 전체 105개의 외부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보다 다양한 외부 키 입력 신호의 구분과 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외부 특정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방식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2G, 3G, 4G, 5G 등의 각 세대별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 TDMA, CDMA, WCDMA, FDMA, OFDMA 등의 통신 방식 지원을 통신 모듈,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 모듈 등 특정 통신 기술이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통신 기반 서비스 관련 정보의 수신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가 수신한 메시지나, 이미지 등은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액세서리 장치(200) 연결에 따라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가 수신한 특정 서버 제공 페이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다양한 컨텐츠 등은 USB 포트(170)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버튼키나, 사이드키, 홈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풀터치스크린 지원을 위해 터치 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맵은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 연결 후 액세서리 장치(200)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장치(200)가 스피커 장치인 경우 입력부(12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스피커 볼륨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장치(200)가 동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이북 컨텐츠 재생을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 입력부(120)는 액세서리 장치(200)에 출력된 화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동영상 일시 정지, 재생, 빠르게 감기나 되감기, 다른 이미지나 컨텐츠 검색, 이북 컨텐츠의 책 넘기기 등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와 관련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와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특성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 형태의 액세서리 장치(200)와 단말기(100)가 연결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출력 기능이 차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마이크(MIC) 기능만 활성화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가 마이크 기능 까지도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가 지원하는 마이크 기능도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출력 장치 형태의 액세서리 장치(200)가 단말기(100)와 연결된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SPK)가 활성화되어 이미지 출력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해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나 OLED 등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액세서리 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액세서리 장치(200) 연결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액세서리 장치(200)가 연결되면 연결된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기타 제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서리 장치(200)가 스피커 장치인 경우 표시부(140)는 액세서리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와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액세서리 장치(200)에 포함된 키 입력부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여 전달되면, 전달된 키 입력 신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또는 특정 단말기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50)는 단말기(100)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화상 통화 지원 시 화상 통화 지원을 위한 화상 통화 기능 지원 프로그램, 외부 서버 접속을 위한 서버 접속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200) 연결에 따른 기능 지원을 위하여 기능 테이블(153) 및 인식 테이블(151)을 저장한다.
인식 테이블(151)은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전달된 저항 변화 값이 액세서리 장치(200)에서의 어떠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지를 정의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는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저항 변화 값을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지원을 위하여 인식 테이블(151)은 해당 저항 변화 값이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컨텐츠 검색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임을 정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 테이블(151)은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련된 다양한 키 입력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여 저항 변화 값을 테이블 형태로 정의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테이블(151)은 액세서리 장치(200) 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기능 테이블(153)은 인식 테이블(151)에서 정의한 액세서리 장치(200)에서의 키 입력 신호에 대하여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지를 정의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즉 기능 테이블(153)은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단말기(100)가 처리해야 할 명령어들을 저장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테이블(153)은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다른 컨텐츠 검색을 위한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단말기(100)가 다른 컨텐츠 검색 지원을 위하여 처리해야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테이블(153)은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정의될 수 있는 키 입력 신호들 전체에 대하여 각각 단말기(100)가 처리하게 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능 테이블(153)은 액세서리 장치(200) 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기능 테이블(153)과 인식 테이블(151)을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테이블은 하나의 테이블로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인식 테이블(151) 및 기능 테이블(153)은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로부터 전달되는 각 저항 변화 값들에 대하여 단말기(100)가 수행해야 할 명령어들이 매핑된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USB 포트(17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USB 접속부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포트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USB 포트(170)는 일반 USB 포트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USB 포트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액세서리 장치(20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지원될 수 있다. 특히 USB 포트(170)의 ID 핀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200) 키 입력 신호 구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어잭 포트(18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이어잭 접속부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포트이다. 이러한 이어잭 포트(180)는 단말기(100)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어잭 포트(180)는 원통형의 일정 직경을 가지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어잭 포트(180)는 다수개의 핀이 장착된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음각된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이어잭 포트(180)는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련된 이어잭 접속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어잭 포트(180)는 좌측 단자, 우측 단자, 접지 단자 및 마이크 단자 접속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어폰이나 헤드셋 등 마이크 단자를 이용하는 장치 이외의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마이크 단자는 해당 장치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 발생에 따른 저항 변화 값이 검출되는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좌측 단자, 우측 단자 등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 구분을 위한 저항 변화 값 검출 단자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과 분배 및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신호 전달과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에서의 키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 확인부(161), 기능 확인부(163), 기능 적용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 접속되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구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USB 포트(170)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 확인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송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이어잭 포트(180)에 연결되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본 저항 값 변화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기본 저항 값들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어잭 포트(180)에서 연결되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본 저항 값 변화를 통해 해당 장치의 종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가 확인되면 외부 장치 확인부(161)는 해당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능 확인부(163) 및 기능 적용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기능 확인부(163)는 외부 장치 확인부(161)로부터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으면,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에 따른 인식 테이블(151)을 호출한다. 그리고 기능 확인부(163)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발생하는 저항 변화 값을 확인하고, 해당 저항 변화 값에 매칭되는 정보를 인식 테이블(151)에서 검출한다. 검출된 매칭 정보는 기능 적용부(165)에 전달될 수 있다. 즉 기능 확인부(163)는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특정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변화 값을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전달받고, 해당 저항 변화 값이 해당 액세서리 장치(200)의 어떠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기능 확인부(163)의 액세서리 장치(200) 키 입력 신호 구분은 예를 들면, USB 포트(170)의 ID 핀과 이어잭 포트(180)의 마이크 단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단말기(100)는 액세서리 장치(200)가 연결된 이후 키 입력이 발생하면 이어잭 포트(180)에서 마이크 단자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기능 확인부(163)는 마이크 단자의 전압 변화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1차 키 구분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능 확인부(163)는 USB 포트(170)의 ID 핀 전압 변화를 확인하고, 해당 ID 핀 전압 변화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2차 키 구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은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능 확인부(163)는 이어잭 포트(180)의 마이크 단자에서 검출되는 저항 변화를 먼저 확인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1차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기능 확인부(163)는 USB 포트(170)의 ID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 변화를 확인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2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발생한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기능 확인부(163)는 USB 포트(170)의 ID 핀을 선행적으로 확인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이어잭 포트(180)의 마이크 단자를 후행적으로 확인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2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 및 표에서는 USB 포트(170)의 ID 핀에 발생하는 저항 변화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키 구분을 위한 신호 변화 검출은 전압이나 전류 등의 구분을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기능 적용부(165)는 외부 장치 확인부(161)로부터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 정보를 전달 받으면, 해당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테이블(153)을 호출한다. 그리고 기능 적용부(165)는 기능 확인부(163)로부터 전달받은 매칭 정보 즉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100) 기능 수행 명령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능 적용부(165)는 단말기(100) 기능 수행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특정 단말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적용부(165)는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송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크게 또는 작게 하거나, 일시 무음 처리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적용부(165)는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송하는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고, 변경된 컨텐츠의 재생 이미지를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적용부(165)의 단말기(100) 기능 수행은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키 입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처리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기능은 액세서리 장치(200)로 전달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단말기(100) 자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200)는 액세서리 입력부(210), 액세서리 출력부(220), 제1 신호 생성부(230), 제2 신호 생성부(240), USB 접속부(270) 및 이어잭 접속부(280) 및 액세서리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입력부(210)는 다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키 버튼은 매트릭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서리 장치(200)의 측면이나 후면 또는 전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 입력부(21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입력부(210)에 포함된 키 버튼들 중에 단말기(100) 기능 제어를 위한 키 버튼에서 생성된 신호는 액세서리 제어부(260)에 전달되어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의 신호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액세서리 출력부(220)는 액세서리 장치(200) 특성에 따른 기능 출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출력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출력부(220)는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에 따라 스피커가 되거나 모니터,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액세서리 출력부(220)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기(100)에 마련된 오디오 처리부(130)의 스피커보다 고품질의 음향 재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장치(200)가 모니터 장치가 되는 경우 액세서리 출력부(220)는 표시부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신호 생성부(230)는 액세서리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전달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USB 포트(170)에서 제1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생성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다수개의 저항 소자들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신호 생성부(230)는 다수개의 저항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교차점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생성부(230)는 가변 저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신호 생성부(230)는 입력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이 USB 접속부(270)를 통하여 USB 포트(170)에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각 저항들, 특정 저항 패턴들, 가변 저항의 특정 저항 값들은 액세서리 입력부(210)의 각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제2 신호 생성부(240)는 액세서리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전달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이어잭 포트(180)에서 제2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제2 신호 생성부(240)는 제1 신호 생성부(230)에서와 같이 스위치 및 다수개의 저항 소자들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 다수개의 저항 소자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교차점에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배치된 형태,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이 가능한 가변 저항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신호 생성부(240)는 입력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이 이어잭 접속부(280)를 통하여 이어잭 포트(180)에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각 저항들, 특정 저항 패턴들, 가변 저항의 특정 저항 값들은 액세서리 입력부(210)의 각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는 결과적으로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하나의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이 단말기(100)의 각 포트에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되는 각 저항은 액세서리 입력부(210)의 각 키 입력 신호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전 정의된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USB 접속부(270)는 단말기(100)의 USB 포트(170)와 제1 신호 생성부(23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USB 접속부(270)는 USB 포트(170)에 삽입되기 위한 커넥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잭 접속부(280)는 단말기(100)의 이어잭 포트(180)와 제2 신호 생성부(24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어잭 접속부(280)는 이어잭 포트(180)에 삽입되기 위하여 이어잭 포트(180)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면 핀이 장착된 바타입, 원기둥 형태의 돌출된 타입 등 특정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능 지원을 수행하며,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가 단말기(100)와 연결되면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된 장치에 따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액세서리 장치(200)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특정 키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해당 키 버튼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가 단말기(100)에 전달되도록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를 제어한다. 즉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액세서리 입력부에서 눌려지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들이 단말기(100)의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와 연결되도록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이어잭 포트(180) 및 USB 포트(170)에서의 저항 변화 및 그에 따른 전압 변화를 확인하고 사전 정의된 인식 테이블(151) 및 기능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해당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가 액세서리 입력부(210)와 별도로 구분된 영역에 배치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가 구현 과정에서 액세서리 입력부(2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특정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눌려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가 특정 저항을 USB 접속부(270) 및 이어잭 접속부(28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키 버튼 하부에는 스위치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는 각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가 연결하는 저항들이 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키 입력 신호 전달과 관련하여 별도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련된 액세서리 입력부(210)는 눌려지는 키 버튼에 대응하여 이어잭 접속부(280) 및 USB 접속부(270)를 통해 전달되는 저항 값 변화 또는 전압 값 변화가 발생하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 입력부(210)는 키 버튼 이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 입력부(210)에서 눌려지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액세서리 제어부(260)는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의 저항 값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키 입력 신호의 전달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세서리 장치(200)의 액세서리 입력부(210)의 형태나 하드웨어적인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징은 액세서리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입력 신호를 전달함에 있어서 USB 포트(170)와 이어잭 포트(180)를 동시에 이용하는 구성에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은 먼저, 601 단계에서 단말기(100)에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장치(200) 키 입력 신호 구분을 위하여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 접속 확인 및 해당 포트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저항 변화 값 검출을 위한 처리, 검출된 저항 변화 값에 대응하는 단말기(100)의 기능 수행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603 단계에서 액세서리 장치(200)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액세서리 장치(200) 접속이 없는 경우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 기능 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지원 가능한 통화 기능, 서버 접속 기능, 파일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 특정 기능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03 단계에서 액세서리 장치(200) 접속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서의 저항 변화 값을 검출한다. 또는 제어부(160)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에서의 전압이나 전류 변화 값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이어잭 포트(180)의 마이크 단자에서의 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USB 포트(170)의 ID 핀에서의 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구분을 2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USB 포트(170)의 ID 핀 저항 변화를 우선적으로 검사하고 이어잭 포트(180)의 마이크 단자의 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발생한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부(160)는 이어잭 포트(180)의 다른 단자들 예를 들면 좌측 이어폰 단자, 우측 이어폰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액세서리 장치(200) 키 구분을 위한 저항, 전압 변화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USB 포트(170)에서의 데이터 핀을 이용하여 액세서리 장치(200) 키 구분을 위한 저항, 전압 변화 등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다수개의 액세서리 장치(200) 접속 및 그에 따른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 제어부(160)는 607 단계 수행 과정에서 액세서리 장치(200)가 접속되면 이어잭 포트(180) 및 USB 포트(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액세서리 장치(200) 종류에 대응하는 인식 테이블(151)을 호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액세서리 장치(200)별로 각각의 인식 테이블(151)을 사전 저장할 수 있다.
인식 테이블(151) 호출 및 저항 변화 또는 전압 변화에 따른 키 입력 신호 확인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609 단계에서 검출된 키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확인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기능 테이블(153)을 호출할 수 있다. 기능 테이블(153)은 액세서리 장치(200)에서 전달된 키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가 수행해야 할 기능을 정의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이 기능 테이블(153) 또는 인식 테이블(151)과 같이 각 액세서리 장치(200)별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액세서리 장치(200)의 종류가 확인되면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능 지원을 위하여 해당 액세서리 장치(200)에 대응하는 기능 테이블(153)을 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11 단계에서 해당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하여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들에 따라 특정 전화번호를 가지는 또는 특정 폰북 정보에 대응하는 타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영상을 수집하여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도록 지원하며, 이 중 오디오 데이터를 액세서리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이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100)에 마련된 마이크 기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오프될 수 있으며, 수집된 오디오 신호는 단말기(100)를 통하여 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의 방송 수신 기능을 제어하고,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의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 입력부(210)는 상술한 화상 통화 제어, 방송 수신 기능 제어 등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해당 입력 신호 생성을 위한 사전 정의된 키패드나, 키버튼들, 터치스크린 등이 액세서리 장치(200)에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파일 편집 기능을 위한 컨텐츠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때 액세서리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컨텐츠 이미지 편집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USB 포트(170) 및 이어잭 포트(180)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파일 편집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이미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액세서리 장치(200)는 파일 편집 기능 지원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홈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액세서리 장치(200)는 각각의 홈 네트워크 장치들 예를 들면, 냉장고, 세탁기, 냉방기, 난방기, 가스레인지, 오븐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키맵을 가지는 키패드나, 키버튼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액세서리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각 홈 네트워크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및 운용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후 613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기능 종료 또는 액세서리 장치(200)의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나 장치 제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6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160)가 607 단계 및 609 단계를 각각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식 테이블(151)과 기능 테이블(153)이 통합된 형태의 테이블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607 단계 및 609 단계를 하나의 단계로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어부(160)는 저항 값 변화 검출과 함께 해당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수행해야 할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를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해 인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액세서리 장치(200)의 키 설치와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 제1 액세서리 장치(200) 및 제2 액세서리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가 제1 액세서리 장치(200)와 연결되고, 제1 액세서리 장치(200)는 무선으로 제2 액세서리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액세서리 장치(200)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제2 액세서리 장치(200)를 제어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제1 액세서리 장치(200)에 전달하면, 제1 액세서리 장치(200)는 전달받은 특정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변화 값을 단말기(100)에 전달하도록 제1 신호 생성부(230) 및 제2 신호 생성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은 액세서리 장치(200)에서의 보다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입력 신호를 폭넓게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었던 또는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 모듈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인식 테이블 153 기능 테이블
160 : 제어부 161 : 외부 장치 확인부
163 : 기능 확인부 165 : 기능 적용부
170 : USB 포트 180 : 이어잭 포트
200, 300 : 액세서리 장치 210 : 액세서리 입력부
220 : 액세서리 출력부 230 : 제1 신호 생성부
240 : 제2 신호 생성부 260 : 액세서리 제어부
270 : USB 접속부 280 : 이어잭 접속부

Claims (20)

  1.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동시 접속되며,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USB 포트의 ID 핀의 저항 변화 및 상기 이어잭 포트의 마이크 단자의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제어부;
    상기 저항 변화에 따른 키 입력 신호를 정의한 인식 테이블 및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정의한 기능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이어잭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액세서리 장치 종류에 해당하는 인식 테이블 및 기능 테이블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이어잭 포트에 접속되는 USB 접속부 및 이어잭 접속부;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액세서리 입력부;
    상기 USB 접속부 및 이어잭 접속부에 연결되며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변화를 세팅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 제2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생성부 및 제2 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접속 가능하도록 병렬 배치되며 상기 키 입력 신호들에 대응하는 저항 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소자들;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패턴을 생성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 및 다수의 저항 소자들;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값으로 세팅되는 가변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유선으로 결합되는 제1 액세서리 장치;
    상기 제1 액세서리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서리 장치는 리모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8. 단말기의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액세서리 장치의 USB 접속부 및 이어잭 접속부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 장치에서 수신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달되는 전달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액세서리 장치의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구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액세서리 제어부가 상기 액세서리 입력부에서 생성된 키 입력 신호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액세서리 장치에 배치되어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이어잭 포트에 연결되는 제2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변화를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생성부 및 제2 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접속 가능하도록 병렬 배치되며 상기 키 입력 신호들에 대응하는 저항 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소자들;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패턴을 생성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 및 다수의 저항 소자들;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저항 값으로 세팅되는 가변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접속부 및 상기 이어잭 접속부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치에 무선으로 키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액세서리 장치에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단계는
    상기 USB 포트의 ID 핀의 저항 변화 및 상기 이어잭 포트의 마이크 단자의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장치별 상기 저항 변화에 따른 키 입력 신호를 정의한 인식 테이블 및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정의한 기능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단계는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액세서리 장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인식 테이블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인식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기능을 상기 기능 테이블을 기반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
  17.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
    상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에 액세서리 장치가 동시 접속되는 경우, USB 포트 및 이어잭 포트 각각에서 발생하는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액세서리 장치의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의 ID핀의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이어잭 포트의 마이크 단자의 저항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키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에 따른 키 입력 신호를 정의한 인식 테이블 및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정의한 기능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이어잭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 장치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액세서리 장치 종류에 해당하는 인식 테이블 및 기능 테이블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120038201A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115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01A KR20130115674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3/857,791 US20130275633A1 (en) 2012-04-13 2013-04-05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ccessory in termina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01A KR20130115674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74A true KR20130115674A (ko) 2013-10-22

Family

ID=4932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01A KR20130115674A (ko) 2012-04-13 2012-04-13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75633A1 (ko)
KR (1) KR20130115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9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5604A (zh) * 2015-12-30 2016-04-20 上海哲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卡及通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3853B1 (en) * 2000-09-29 2004-06-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ow power dissipation touch plane interface circuit
US7293122B1 (en) * 2004-04-27 2007-11-06 Apple Inc. Connector interface system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edia player and accessories
US20110099507A1 (en) * 2009-10-28 2011-04-28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9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5633A1 (en)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8206B (zh)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KR101790042B1 (ko)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KR102127622B1 (ko)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3002148A (zh) 基于移动终端在灭屏模式下的音乐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20130035350A (ko) 제스처 기반의 통신 채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시스템
CN105468152A (zh) 基于可穿戴设备的终端操作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02033800A (zh) 指示便携式电子设备的音频接收器的音量的方法
US201100444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440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CN103699501A (zh) 一种移动终端的音频设备管理方法及系统
EP2533505B1 (en) Method for setting characteristic of accessory and accessory operation system supporting the same
CN105068958A (zh) 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10308834B (zh) 应用图标显示方式的设置方法及终端
CN104866226A (zh) 一种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00052287A (ko) 외부 장치별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외부 장치 운용 시스템
CN103312864A (zh) 一种智能终端和通过智能终端控制蓝牙设备的方法
CN108038034A (zh) 电子设备调试方法、转接器、装置及存储介质
CN111651387B (zh) 接口电路与电子设备
CN111313114B (zh) 一种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6412303A (zh) 基于耳机按键的智能终端控制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204498198U (zh) 声控自拍杆
KR2011002747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5674A (ko) 단말기의 액세서리 운용 방법과 운용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220335818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13922522A (zh) 无线充电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