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65B1 -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65B1
KR102127165B1 KR1020180170836A KR20180170836A KR102127165B1 KR 102127165 B1 KR102127165 B1 KR 102127165B1 KR 1020180170836 A KR1020180170836 A KR 1020180170836A KR 20180170836 A KR20180170836 A KR 20180170836A KR 102127165 B1 KR102127165 B1 KR 10212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nd cable
pair
siz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명
임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결합되어 내부공간 및 변형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바디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밴드케이블의 길이만을 조절하여 원하는 각도에 맞게 바디부를 형성가능 하도록 하여 활용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프로텍터{PROTECTOR}
본 발명은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와이어링 외측에 배치되어 이를 보호하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 등의 많은 전장부품들이 설치된다. 이때 전장부품들은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와이어링과 연결되며, 여러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링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프로텍터가 배치된다.
다만, 종래의 프로텍터는 45도, 90 도, 120도로 꺾어져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와이어링을 프로텍터의 형상의 맞춰 성형한 후 프로텍터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작업 공수가 증가되었으며, 와이어링을 체결 프로텍터의 형상에 맞추기 위한 반복적인 성형 작업에 따라 작업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형상을 가져 주변 패키지 형상에 맞춰 다양하게 적용하기 어려워 설계에 자유도가 저하되었으며, 때에 따라서는 프로텍터를 사용하지 못하고 와이어링을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하여 구부러지는 부분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90237호(2018.06.29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0476호(2018.08.01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876859호(2018.07.02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밴드케이블이 길이 조절만으로 바디부가 원하는 각도에 맞게 변형되도록 하여 유동적인 설계가 가능한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는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결합되어 내부공간 및 변형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바디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개방면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 고정홈이 헝성된 제2 고정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케이블은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2 고정돌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이 짧아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바디부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홈은 상기 제1,2 고정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고정돌기는 상기 제1,2 고정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케이블의 서로 다른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로텍터는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결합되어 내부공간 및 변형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개방면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체결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케이블은 상기 고정홈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이 짧아질수록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바디부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고정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케이블의 서로 다른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고정부에 체결되는 밴드케이블의 길이 맞춰 바디부를 변형시키고, 길이 조절에 따라 원하는 각도에 맞게 조정하여 주변 패키지에 맞게 유동적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와이어링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그 활용도가 향상된다.
또한 밴드케이블을 당겨 길이 조절하고, 고정부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공수 및 피로도를 절감시켜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갖는다.
밴드케이블은 바디부와 별물로 형성될 수 있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1,2 고정홈에 의해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어 기존의 밴드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 향상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밴드케이블은 바디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공수 및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 향상 효과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바디와 상부바디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케이블의 제1 고정돌기와 제2 고정돌기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및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프로텍터의 체결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바디부가 변형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밴드케이블의 체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와 제2 실시예의 프로텍터는 그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하고, 그에 따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1 실시예의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부바디와 상부바디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케이블의 제1 고정돌기와 제2 고정돌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및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프로텍터의 체결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바디부가 변형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100)는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가 결합되어 내부공간(113) 및 변형부(114)를 형성하는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120) 및 상기 고정부(120)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130)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114)는 상기 밴드케이블(1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바디부(110)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110)는 하부바디(111)와 하부바디(111)에 결합되는 상부바디(112)로 형성되며,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의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113) 및 변형부(114)를 형성하여, 내부공간(113)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30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하부바디(111)는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일부가 절삭되어 한 쌍의 개방면(1141)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돌기(1111)가 형성된다. 이때 제1 경사면은 서로 대칭도록 형성되고, 일 측에서 맞닿아 형성된다.
상부바디(112)는 타 방향으로 형성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분리되어 형성되고, 각 상부바디(112)의 일 측은 각각 절삭되어 한 쌍의 개방면(1141)의 일부에 해당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돌기(111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1121)가 형성된다. 이때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결합 시 하나의 개방면(1141)을 형성한다.
체결돌기(1111)는 하부바디(111)의 외주면에서 체결 방향으로 따라 점차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걸림부(1121)는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의 결합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체결돌기(1111)가 체결 반대 방향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상부바디(112)의 일 측에서 체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체결돌기(1111)와 걸림부(1121)는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 측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는 체결돌기(1111)와 걸림부(1121)의 걸림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113)을 형성하고, 제1,2 경사면 및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바디(112)의 외측면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이는 변형부(114)가 형성된다.
다만 내부공간(113)의 형상은 바디부(110)의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바디부(110)의 형상 및 내부공간(11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113)은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의 결합에 의해 일 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네스(300)가 배치되는 동시에 양 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다른 전장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변형부(114)는 한 쌍의 개방면(1141)과 한 쌍의 개방면(1141) 각각에 연결되는 힌지부(1142)로 형성되고, 밴드케이블(130)이 길이에 따라 그 크기 가변되어 바디부(110)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다시 말해 변형부(114)는 한 쌍의 개방면(1141)과 상부바디(112)의 외측면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되며, 제1,2 경사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공간(113)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각 개방면(1141)은 하부바디(111)와 상부바디(112)의 결합에 의해 제1,2 경사면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일 단은 힌지부(1142)의 양 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 탄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힌지부(1142)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며, 힌지부(1142)는 하부바디(111)의 일 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변형부(114)는 밴드케이블(1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한 쌍의 개방면(1141)이 힌지부(1142)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그 크기가 가변되고, 그에 따라 바디부(110)의 전체 형상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프로텍터(100)는 크기가 가변되는 변형부(114)를 구비하여, 바디부(110)를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 맞게 변형함으로써 주변 패키지에 맞게 유동적 설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향상된다.
고정부(1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211,1221)와 가이드돌기(1211,1221)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공간(1212,1222)으로 형성되어, 밴드케이블(130)을 바디부(110)에 고정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돌기(1211,1221)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밴드케이블(130)이 길이 조절 시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며, 체결공간(1212,1222)은 고정부(120)의 내측면과 가이드돌기(1211,12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밴드케이블(130)의 체결부(131)가 고정부(120)와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1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공간(1212,1222)의 폭은 한 쌍의 가이드돌기(1211,1221)가 이격된 정도보다 넓게 형성되며, 밴드케이블(130)의 체결부(131)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120)는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 고정홈(1213)이 형성된 제1 고정부(121)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 고정홈(1223)이 형성된 제2 고정부(122)로 형성되며, 하부바디(111)의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2 고정홈은 요입되어 형성되되 밴드케이블(13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그 요입된 정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밴드케이블(130)의 삽입 후 제1,2 고정홈의 체결 반대 방향의 내측면에 제1,2 고정돌기가 걸림 고정되면서 밴드케이블(130)이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밴드케이블(130)은 제1,2 고정부(120)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제1,2 고정홈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방향은 제1 고정부(121)로 삽입되는 밴드케이블(130)의 체결 방향을 따라 제1 고정홈(1213)의 요입된 정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고정홈(1213)과 제2 고정홈(1223)은 밴드케이블(13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20)의 서로 다른 측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홈(1213)과 제2 고정홈(1223)은 밴드케이블(13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20)의 내주면 및 가이드돌기(1211,1221)의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의 고정부(120)에서는 내측면에 2개, 가이드돌기(1211,1221)의 일 측면에 1개가 형성되어, 3개의 제1,2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2 고정부(120)는 각각 밴드케이블(130)과 체결되되 서로 반대 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밴드케이블(130)의 삽입만으로 보다 쉽게 바디부(110)에 밴드케이블(130)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체결 방법에 대해서는 이 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밴드케이블(130)은 체결면과 요입된 가이드홈(132)으로 형성되고, 체결면의 일 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부(120)의 일 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면의 일 단에는 제1 고정홈(1213)에 체결되는 제1 고정돌기(1311)가 형성되고, 타 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되는 제2 고정돌기(1312)가 복수 개 형성되어, 일 단은 제1 고정부(121)에 고정되며, 타 단은 제2 고정부(122)로 삽입되되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되는 제2 고정돌기(1312)의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고정돌기(131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의 밴드케이블(130)은 제2 고정돌기(1312) 사이의 간격을 10mm 이상으로 유지하는 3개로 형성된다.
또한 제1,2 고정돌기(1311,1312)는 고정부(120)와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제1,2 고정홈(1213,122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밴드케이블(130)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고정돌기는 고정부(120)와의 고정력 향상을 위해 가이드홈(132)의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32) 내부에 형성된 제1,2 고정돌기는 가이드돌기(1211,1221)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2 고정홈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2 고정돌기는 밴드케이블(130)의 일 측에서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고정돌기(1311)는 제1 고정홈(1213)이 테이퍼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 고정돌기(1312)는 제2 고정홈(1223)이 테이퍼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어 삽입 방향으로는 밴드케이블(130)이 이동 가능하되 반대 반향으로 이동 시에는 제1,2 고정돌기의 각 말단이 걸림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프로텍터(1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 고정홈을 구비하여 밴드케이블(130)의 삽입만으로 밴드케이블(130)을 바디부(110) 일 측에 고정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프로텍터(100)와 와이어링 하네스(300)와의 구체적인 체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120)에 밴드케이블(130)을 삽입하여 하부바디(111)에 고정한다. 이때 밴드케이블(130) 각 말단을 제1,2 고정부(120)에 각각 삽입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2 고정부(120)가 대향하는 내측에서 와이어링 하네스(300)가 연장되는 외측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1 고정돌기(1311)는 일 말단에 형성되고, 제2 고정돌기(1312)는 작업자가 타 단을 파지하여 밴드케이블(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타 말단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제1 고정돌기(1311)에 먼저 밴드케이블(130)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바디(111)에 밴드케이블(130)이 고정되면, 먼제 내부공간(113)을 형성하는 하부바디(111)의 내측면에 와이어링 하네스(300)를 배치한 후 상부바디(112)를 가압하여 하부바디(111)에 각각 결합하여, 프로텍터(100)가 와이어링 하네스(300) 외측을 감싸도록 한다.
다시 말해 와이어링 하네스(300) 및 바디부(110)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내부공간(113)에 와이어링 하네스(300)가 배치되며, 제1 고정부(121)의 외측으로는 밴드케이블(130)의 일 말단이 노출되지 않으나, 제2 고정부(122)의 외측으로는 타 말단이 노출되어 형성된다.
이 후, 작업자는 제2 고정부(12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밴드케이블(130)의 타 단을 파지하여 밴드케이블(130)의 삽입 방향으로 당겨 와이어링 하네스(300) 및 바디부(110)가 변형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되는 제2 고정돌기(1312)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각도로 와이어링 하네스(300) 및 바디부(110)를 변형시킨다.
일 예의 프로텍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형성되는 3개의 제2 고정홈(1223)이 형성되어 3단계의 체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밴드케이블(130)의 타 말단에서 첫번째 제2 고정돌기(1312)가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된 단계로 와이어링 하네스(300)의 왕곡 정도가 90도를 초과하도록 형성되고, 도 8(b)는 밴드케이블(130)의 타 말단에서 두번째 제2 고정돌기(1312)가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된 단계로 와이어링 하네스(300)의 왕곡 정도가 90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며, 도 8(c)는 밴드케이블(130)의 타 단의 세번째 제2 고정돌기(1312)가 제2 고정홈(1223)에 체결된 단계로 와이어링 하네스(300)의 왕곡 정도가 90도 미만이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왕곡 정도는 힌지부(1142)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형성된 하부바디(111)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의미한다. 이때 3단계의 체결 형상을 가지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예에 해당하며, 필요에 따라 제2 고정돌기(1312)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계 또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텍터(100)는 작업자가 밴드케이블(130)의 일 단을 당겨 길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와이어링 하네스(300)를 왕곡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수 및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300) 특성상 작업자들의 성향에 맞춰 경로 변경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다양한 왕곡 정도를 가져 작업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며, 각도가 고정되지 않아 주변 패키지에 맞게 바디부(110) 형성이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밴드케이블의 체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200)는 하부바디(211)와 상부바디(212)가 결합되어 내부공간(213) 및 변형부(214)를 형성하는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부(220) 및 상기 바디부(21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20)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230)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214)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개방면(2141)과, 상기 한 쌍의 개방면(2141)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부(2142)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케이블(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방면(2141)이 상기 힌지부(2142)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프로텍터(200)는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100)와 동일 목적 및 효과를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220)는 하측바디(211)의 일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밴드케이블(2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일 말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가이드돌기(221)와 내측면과 가이드돌기(221) 사이에 체결공간(222)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된 밴드케이블(230)이 일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홈(223)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223)은 고정부(220)의 내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밴드케이블(230)과의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내측면 및 가이드돌기(221)의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100)의 제2 고정부(122)와 동일 목적 및 효과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한 제2 고정부(12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만 제2 실시예의 밴드케이블(230)은 하측커버(2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100)의 제1 고정부(121)와 같은 구성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밴드케이블(230)은 바디부(110)의 일 측에서 연장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부(231)과 요입된 가이드홈(232)으로 형성되며, 체결부(231)의 일 측에는 고정돌기(2311)가 형성되어 고정부(220)의 일 측으로 삽입 체결되어 길이 조절에 따라 바디부(210)의 형상을 필요에 맞춰 변형시킨다.
이때 밴드케이블230)은 하측바디(211) 및 고정부(220)와 일체로 성형되기 위하여, 고정부(220)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밴드케이블(230)의 일 측에는 하측커버(211)에 연장되는 연장부(233)가 형성되며, 반대 방향에 형성된 고정부(220)에 체결되기 위해 연장부(233)의 일 측에는 밴딩부(233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밴드케이블(200)의 일 말단은 하측바디(211)의 외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타 말단은 고정부(220)의 체결공간(222)으로 체결부(231)가 삽입되어 고정홈(223)에 고정돌기(2311)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돌기(2311)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고정홈(223)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311)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고정돌기(2311)는 제1 실시예의 프로텍터(100)의 제2 고정돌기(1312)와 그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2 고정돌기(131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프로텍터(200)는 하측바디(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밴드케이블(230)을 구비하여, 밴드케이블(230)을 바디부(210)에 고정하는 공정을 제외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절감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프로텍터(100,200)는 밴드케이블(130,230)의 길이 조정 만으로 바디부(110,210)의 형상을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피로도 및 작업의 공수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갖는다.
이때 별도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밴드케이블(130,230)을 개시하여,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키거나, 바디부(210)에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 공수 절감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바디부(110,210)를 필요에 맞춰 형상을 변형 가능하도록 하여, 주변 패키지에 맞출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200 프로텍터
110,210 바디부 111,211 하부바디 1111 체결돌기
112,212 상부바디 1121 걸림부 113,213 내부공간
114,214 변형부 1141,2141 개방면 1142,2142 힌지부
120,220 고정부 121 제1 고정부
1211,1221,221 가이드돌기 1212,1222,222 체결공간
1213 제1 고정홈 122 제2 고정부 1223 제2 고정홈
130,230 밴드케이블 131,231 체결부 1311 제1 고정돌기
1312 제2 고정돌기 132,232 가이드홈
223 고정홈
2311 고정돌기 233 연장부 2331 밴딩부

Claims (9)

  1.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결합되어 내부공간 및 변형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제1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고정부로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홈에 체결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홈에 고정되는 상기 제2 고정돌기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변형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크기가 가변됨에 따라 변형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개방면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바디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홈은
    상기 제1,2 고정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2 고정돌기는
    상기 제1,2 고정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케이블의 서로 다른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6.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결합되어 내부공간 및 변형부를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개방면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체결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케이블은
    상기 고정홈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밴드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한 쌍의 개방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고정부의 서로 다른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케이블의 서로 다른 방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KR1020180170836A 2018-12-27 2018-12-27 프로텍터 KR10212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36A KR102127165B1 (ko) 2018-12-27 2018-12-27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36A KR102127165B1 (ko) 2018-12-27 2018-12-27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65B1 true KR102127165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36A KR102127165B1 (ko) 2018-12-27 2018-12-27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227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278A (ja) * 1995-10-20 1997-05-02 Yazaki Corp 屈曲矯正具
KR20020097227A (ko) * 2000-04-24 2002-12-3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연장가능한 바디부를 가진 랩 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및이의 제조 방법
JP2004320837A (ja) * 2003-04-11 2004-11-11 Yazaki Corp プロテクタ
KR20110009893A (ko) *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14117094A (ja) * 2012-12-11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061330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プロテクタ
KR101783867B1 (ko) * 2015-10-07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278A (ja) * 1995-10-20 1997-05-02 Yazaki Corp 屈曲矯正具
KR20020097227A (ko) * 2000-04-24 2002-12-3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연장가능한 바디부를 가진 랩 어라운드 케이블 슬리브 및이의 제조 방법
JP2004320837A (ja) * 2003-04-11 2004-11-11 Yazaki Corp プロテクタ
KR20110009893A (ko) *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14117094A (ja) * 2012-12-11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061330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プロテクタ
KR101783867B1 (ko) * 2015-10-07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227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474334B1 (ko) * 2021-04-21 2022-12-06 주식회사 경신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0920B1 (en) Protector
US7723623B2 (en) Electrical duplex connector having an integrally formed connector body with a frustro-conical retaining ring and unidirectional cable retainers
KR970003180B1 (ko) 케이블 외장의 단부캡 장치
US10333285B2 (en) Wire harness equipped with protector
EP3336989B1 (en) Cable fixation device
US10056746B1 (en) Electrical slip conduit coupler
KR20070050079A (ko) 케이블 커넥터
JP6848823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支持部材、支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支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の支持構造
KR102127165B1 (ko) 프로텍터
US9018527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11114832B2 (en) Wiring member fixing body
KR101597012B1 (ko) 경로 유지 부재 구비 코르게이트 튜브 및 와이어 하네스
AU2020200757A1 (en) A modular distribution box for cables
JP6819637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経路規制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13954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133872A (ja) クリップ固定構造及びプロテクタ
KR101820158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19175611A (ja) ワイヤハーネス
KR102228667B1 (ko) 굵기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JP2020198672A (ja) プロテクタ
EP4027046B1 (en) Corrugated-tube protective member
US11424602B2 (en) Vehicle wire harness holder
KR102540551B1 (ko)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CN112928707A (zh) 外装部件以及线束
KR101850475B1 (ko) 와이어 고정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