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392B1 -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392B1
KR102126392B1 KR1020180069138A KR20180069138A KR102126392B1 KR 102126392 B1 KR102126392 B1 KR 102126392B1 KR 1020180069138 A KR1020180069138 A KR 1020180069138A KR 20180069138 A KR20180069138 A KR 20180069138A KR 102126392 B1 KR102126392 B1 KR 10212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pace
main material
pattern
ric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076A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18006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23P30/25Co-extrusion of different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는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재가 투입되는 주재 투입공간 및 상기 속재가 투입되는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방향으로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이동시키는 이송공급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 내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 및 상기 문양형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공급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Apparatus for making rice cak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래떡은 가늘고 길게 만드는 떡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래떡을 만들기 위해서는 호퍼에 반죽물을 투입하여 이송스크류를 통해 반죽이송이 이루어진 다음 배출방향의 선단부 성형노즐에 의해 가래떡 모양으로 연속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래떡 성형기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래떡은 외형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단조로운 형태이고, 이송스크류를 통과한 단일 반죽물에 의해 성형되므로 일반 떡에 비해 다양한 맛과 영양이 우수한 가래떡을 제공할 수 없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가래떡 성형기에 사용되는 성형노즐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가래떡의 외형을 여러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외형만을 변형시킨 형태이므로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형이 모서리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 쉽게 으깨어져서 형태변형을 가져오게 되므로 가래떡을 다루기도 힘이 들고 상품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죽물의 재료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여러 가지 색상이나 맛이 다르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가래떡을 썬 절단면에 일반 떡과 같이 다양한 색이나 맛이 확연히 구분되도록 할 수 없어서 단조로운 가래떡만을 제공하므로 상품가치를 크게 향상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489(2010. 03. 18. 공고)호는 문양성형부재(A)를 이용하여 가래떡 내부에 연속적으로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가래떡 내부에 문양을 변경하려고 할 때, 문양성형부재(A)를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문양성형부재(A)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드라이버 등을 통해 조립해야 하는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조립공정이 대폭 감소된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는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재가 투입되는 주재 투입공간 및 상기 속재가 투입되는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방향으로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이동시키는 이송공급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 내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 및 상기 문양형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공급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에 의하면,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되, 조립공정이 대폭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로 제조된 가래떡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떡 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주재 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속재 형성부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문양 형성부의 개략 분해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는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재가 투입되는 주재 투입공간 및 상기 속재가 투입되는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방향으로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이동시키는 이송공급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 내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 및 상기 문양형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공급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송공급부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는 호퍼부, 상기 주재 투입공간 상의 상기 주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스크류부 및 상기 속재 투입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 상의 상기 속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크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부는 상기 문양형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문양형성부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가래떡을 형성하는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떡 형성부, 상기 형성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주재와 상기 속재를 분리시키며, 상기 속재가 상기 문양을 가지도록 문양 유로를 형성하는 속재 형성부 및 상기 형성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형성공간 상에서 상기 주재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주재 형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속재 형성부 및 상기 주재 형성부는 상기 떡 형성부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떡 형성부는 상기 주재 형성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속재 형성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형성공간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는 제1 형성공간, 상기 주재 형성부를 지나 상기 제1 형성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는 제2 형성공간 및 상기 제2 형성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고 상기 속재 형성부로부터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와 상기 속재가 합류되는 제3 형성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떡 형성부는 상기 제1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면, 상기 제2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면 및 상기 제3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3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면은 상기 제2 내면 및 상기 제3 내면보다 내경이 크고, 상기 제2 내면은 상기 제3 내면보다 내경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법은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로 제조된 가래떡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떡 형성부를 상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떡 형성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주재 형성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속재 형성부를 상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속재 형성부를 하측에서 바라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문양 형성부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의 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일례로, 도 2에서, 제1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10)는 가래떡(R)을 형성하는 주재(A)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B)가 형성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래떡(R)은 단면이 문양이 없는 일반 가래떡(R)이 아니라, 단면 내부에 소정의 문양이 존재하는 떡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재(A)는 흰색의 쌀로 만들어진 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속재(B)는 흰색과 다른 색을 가지는 재료와 쌀을 포함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재료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는 구별되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속재(B)는 상기 주재(A) 내에서 소정의 문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문양은 글자일 수도 있고 그림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는 상기 주재(A)가 투입되는 주재 투입공간(S1) 및 상기 속재(B)가 투입되는 속재 투입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주재(A) 및 상기 속재(B)를 이동시키는 이송공급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S1)으로 상기 주재(A)를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속재 투입공간(S2)으로 상기 속재(B)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이송공급부(100)에 투입된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이송공급부(100)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송공급부(100)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S1)을 형성하는 호퍼부(110), 상기 주재 투입공간(S1) 상의 상기 주재(A)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S2)을 형성하는 제1 스크류부(120) 및 상기 속재 투입공간(S2)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S2) 상의 상기 속재(B)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크류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호퍼부(110)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S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류부(120)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S1)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속재 투입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크류부(120)에 의해 상기 주재 투입공간(S1)과 상기 속재 투입공간(S2)은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크류부(12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주재 투입공간(S1) 상에 위치하는 상기 주재(A)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부(130)는 상기 속재 투입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속재 투입공간(S2) 상에 위치하는 상기 속재(B)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는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주재(A) 및 상기 속재(B)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A) 내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송공급부(100)의 상기 제1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는 상기 문양형성부(200) 상에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문양형성부(200)의 소정의 위치에서 합류되어 상기 가래떡(R)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는 상기 문양형성부(200) 상에서 상기 제1 스크류부(120) 및 상기 제2 스크류부(1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공급부(1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문양형성부(2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300)와 상기 문양형성부(200) 간의 연결의 의미는 안착, 부착 또는 기계적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문양형성부(200)도 연동되어 이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동부(300)와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동부(30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300)의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부(300)와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300)의 이동과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Z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가 안착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Z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공간(Z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문양형성부(200)가 상기 수용공간(Z1) 상에 안착된 경우 이를 상기 문양형성부(200)와 상기 이동부(300)는 상호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문양형성부(200)가 상기 수용공간(Z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이를 상기 문양형성부(200)와 상기 이동부(300)는 상호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Z1)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Z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는 레버(L)에 의해 상기 레버(L)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상기 이송공급부(10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Z1)에 원하는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는 상기 문양형성부(200)를 각각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L)를 조작하여 상기 이동부(300)를 위치 이동시킴으로서 원하는 문양을 형성하는 상기 문양형성부(200)를 상기 이송공급부(100)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는 상기 수용공간(Z1) 상에 배치된 상기 문양형성부(200)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이동부(300)와 상기 문양형성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문양형성부(200)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송공급부(100)와 더욱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400)는 탄성을 가지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탄성부(400)가 상기 수용공간(Z1)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탄성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배치공간(Z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수용공간(Z1)을 규정하는 하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배치공간(Z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배치공간(Z2)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300) 상에서 요동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주재(A) 및 상기 속재(B)를 전달받아 상기 가래떡(R)을 형성하는 형성공간(H)을 형성하는 떡 형성부(210), 상기 형성공간(H) 상에 배치되어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를 분리시키며, 상기 속재(B)가 상기 문양을 가지도록 문양 유로(M1)를 형성하는 속재 형성부(220) 및 상기 형성공간(H) 상에 배치되며 상기 형성공간(H) 상에서 상기 주재(A)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주재 형성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떡 형성부(210)는 상기 수용공간(Z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떡 형성부(210)는 상기 수용공간(Z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주재 형성부(230) 및 상기 속재 형성부(220)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형성공간(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공간(H) 상에서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가 이동되어 상기 가래떡(R)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떡 형성부(210)는 상기 주재 형성부(230)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213) 및 상기 속재 형성부(220)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제1 안착부(213)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상기 제2 안착부(211)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가래떡(R)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점에서, 상기 떡 형성부(210)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각각 안착된 상기 주재 형성부(230) 및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오로지 상기 가래떡(R)의 가압에 의해 상기 떡 형성부(21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재 형성부(230) 및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볼트,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주재(A) 및 상기 속재(B)의 가압에 의해 상기 떡 형성부(2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이탈되지 않고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형성공간(H)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유입된 상기 주재(A)의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형성공간(H) 상에 배치되어 상기 형성공간(H) 상에서 이동되는 상기 주재(A)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재(A)의 이동 범위는 상기 주재(A)의 이동 량, 이동 속도 및/또는 이동 가능 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주재(A)가 상기 형성공간(H)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관통홀(K2)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관통홀(K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통홀(K2)의 크기, 형상, 개수, 위치에 따라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주재(A)의 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주재 형성부(230)는 상기 속재 형성부(2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K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상기 형성공간(H) 상에서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속재(B)를 전달받아 상기 문양 유로(M1)를 통해 상기 속재(B)를 상기 문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상기 제1 스크류부(120)와 접촉되는 속재 접촉부(2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속재 접촉부(221)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양 유로(M1)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속재 형성부(220)는 상기 제2 안착부(211)에 안착되는 속재 안착부(2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속재 안착부(222)는 상기 호퍼부(110)와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속재 접촉부(221)와 상기 속재 안착부(222) 사이에는 상기 주재(A)가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형성공간(H)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통공간(M2)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송공급부(100) 상의 상기 주재(A)는 상기 연통공간(M2)을 지나 상기 형성공간(H)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 형성부(223)는 상기 문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속재(B)가 상기 문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문양 유로(M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속재(B)는 상기 유로 형성부(223)에 의해 상기 문양 유로(M1)를 지나면서 상기 문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형성부(223)는 상기 형성공간(H)에 배치된 상기 주재 형성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형성부(223)는 상기 유로 형성부(2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주재 형성부(230)의 상기 결합홀(K1)을 지나 상기 주재 형성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떡 형성부(210)가 형성하는 상기 형성공간(H)은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주재(A)를 전달받는 제1 형성공간(H1), 상기 주재 형성부(230)를 지나 상기 제1 형성공간(H1)으로부터 상기 주재(A)를 전달받는 제2 형성공간(H2) 및 상기 제2 형성공간(H2)으로부터 상기 주재(A)를 전달받고 상기 속재 형성부(220)로부터 상기 속재(B)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A)와 상기 속재(B)가 합류되는 제3 형성공간(H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제는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형성공간(H1)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형성공간(H1)으로 유입된 상기 주재(A)는 상기 주재 형성부(230)를 지나 상기 제2 형성공간(H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형성공간(H2)으로 유입된 상기 주재(A)는 상기 속재(B)와 합류될 수 있는 상기 제3 형성공간(H3)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속재(B)는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문양 유로(M1)를 지나 상기 제3 형성공간(H3)으로 이동되어 상기 주재(A)와 합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형성공간(H1)과 상기 제2 형성공간(H2) 간에는 상기 주재 형성부(230)를 기준으로 구별될 수 있고, 상기 제2 형성공간(H2)과 상기 제3 형성공간(H3) 간에는 상기 유로 형성부(223)의 하단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떡 형성부(210)는 상기 제1 형성공간(H1)을 형성하는 제1 내면(212), 상기 제2 형성공간(H2)을 형성하는 제2 내면(214) 및 상기 제3 형성공간(H3)을 형성하는 제3 내면(21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내면(212)은 상기 제2 내면(214) 및 상기 제3 내면(216)보다 내경이 크고, 상기 제2 내면(214)은 상기 제3 내면(216)보다 내경이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면(212)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며, 상기 제2 내면(214)의 내경이 상기 제3 내면(216)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주재(A)가 상기 제1 내면(212)으로부터 상기 제2 내면(214), 상기 제2 내면(214)으로부터 상기 제3 내면(216)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주재(A)는 조밀해 질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떡 형성부(210)는 상기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공급부(100)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40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면(2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동부(3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400)에 의해 상기 이동부(3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문양형성부(200)를 상기 이송공급부(100)의 하측에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300)를 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이동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이송공급부(10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215)은 상기 이송공급부(100)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215)의 지속적인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공급부(100)에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40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기 탄성부(4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송공급부(100)와 더욱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고, 조립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방법은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가래떡(R)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이송공급부
200: 문양형성부
300: 이동부
400: 탄성부

Claims (8)

  1. 가래떡을 형성하는 주재 내에 문양을 가지는 속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래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재가 투입되는 주재 투입공간 및 상기 속재가 투입되는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방향으로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이동시키는 이송공급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 내에 상기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 및
    상기 문양형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공급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탈착 가능하고,
    상기 이동부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문양형성부를 상기 이송공급부의 하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공급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송공급부에 가압되며,
    상기 이송공급부는,
    상기 주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는 호퍼부,
    상기 주재 투입공간 상의 상기 주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스크류부 및
    상기 속재 투입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속재 투입공간 상의 상기 속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크류부를 구비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문양형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문양형성부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형성부는,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 및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가래떡을 형성하는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떡 형성부,
    상기 형성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주재와 상기 속재를 분리시키며, 상기 속재가 상기 문양을 가지도록 문양 유로를 형성하는 속재 형성부 및
    상기 형성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형성공간 상에서 상기 주재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는 주재 형성부를 구비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속재 형성부 및 상기 주재 형성부는,
    상기 떡 형성부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떡 형성부는,
    상기 주재 형성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속재 형성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하는,
    가래떡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공간은,
    상기 이송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는 제1 형성공간,
    상기 주재 형성부를 지나 상기 제1 형성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는 제2 형성공간 및
    상기 제2 형성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재를 전달받고 상기 속재 형성부로부터 상기 속재를 전달받아 상기 주재와 상기 속재가 합류되는 제3 형성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떡 형성부는,
    상기 제1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면,
    상기 제2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2 내면 및
    상기 제3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3 내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면은,
    상기 제2 내면 및 상기 제3 내면보다 내경이 크고,
    상기 제2 내면은,
    상기 제3 내면보다 내경이 큰,
    가래떡 제조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래떡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가래떡 제조방법.
KR1020180069138A 2018-06-15 2018-06-15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KR10212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8A KR102126392B1 (ko) 2018-06-15 2018-06-15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8A KR102126392B1 (ko) 2018-06-15 2018-06-15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76A KR20190142076A (ko) 2019-12-26
KR102126392B1 true KR102126392B1 (ko) 2020-06-24

Family

ID=6910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38A KR102126392B1 (ko) 2018-06-15 2018-06-15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89B1 (ko) * 2009-07-02 2010-03-18 김동준 내부에 연속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가래떡 제조장치
KR101120315B1 (ko) 2011-09-09 2012-03-06 임보혁 떡 성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66B1 (ko) * 2012-04-04 2014-02-05 김도열 떡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89B1 (ko) * 2009-07-02 2010-03-18 김동준 내부에 연속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가래떡 제조장치
KR101120315B1 (ko) 2011-09-09 2012-03-06 임보혁 떡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76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39C (zh) 装饰食品和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KR102126392B1 (ko)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US2012008800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tting Dough Utilizing A Shaped Opening
KR100980513B1 (ko) 다색 만두 제조장치
JP3009835B2 (ja)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KR100991278B1 (ko) 떡 제조장치
US694842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KR101060777B1 (ko) 삼각형 단면의 면류제품 및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32143B1 (ko) 반죽성형기
JPS5844997A (ja) 横列複区分錠の打錠機
KR102285547B1 (ko) 꽈배기형 떡 제조용 떡 기계
JP4481183B2 (ja) 油脂性菓子生地の成形方法、油脂性菓子及び油脂性菓子生地の押出成形装置
WO1992021506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making molded product having pattern at cross-section
KR200219424Y1 (ko) 다색 떡 성형장치
KR100948489B1 (ko) 내부에 연속적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가래떡 제조장치
KR101092182B1 (ko)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KR102221134B1 (ko) 수제비 면 제조 장치
KR200215088Y1 (ko) 다중떡 성형장치
KR200445843Y1 (ko) 가래떡성형기의 노즐기구
JP2994324B2 (ja) 外側食品材料が束状を形成した食品の製造装置
KR101657229B1 (ko) 떡볶이용 떡 즉석 제조장치
JPH05317021A (ja) 縦縞押出機
KR200338653Y1 (ko) 심재를 삽설한 2중가래떡의 제조장치
EP0465884A1 (en) Confection and its production
CN105636483A (zh) 多功能厨房机器的面食制作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