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143B1 - 반죽성형기 - Google Patents

반죽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143B1
KR102232143B1 KR1020180158745A KR20180158745A KR102232143B1 KR 102232143 B1 KR102232143 B1 KR 102232143B1 KR 1020180158745 A KR1020180158745 A KR 1020180158745A KR 20180158745 A KR20180158745 A KR 20180158745A KR 102232143 B1 KR102232143 B1 KR 10223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ugh
communication hole
molding machine
knead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888A (ko
Inventor
강수철
김선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8015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143B1/ko
Priority to RU2019140240A priority patent/RU2729820C1/ru
Publication of KR2020007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5Mixing, knea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는, 외부로부터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제 1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을 제 1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상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1 반죽통, 상면에는 제 1 연통홀과 연통되어 반죽이 공급되는 제 2 연통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3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을 제 3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하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2 반죽통, 제 2 반죽통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 3 연통홀로 이송된 반죽이 사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 3 반죽통을 포함하여, 반죽과 반죽에 포함되는 알갱이를 골고루 혼합하여 반죽 내에서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베이킹되었을 때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어 미관이 개선되며,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알갱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과자를 생산해낼 수 있다.

Description

반죽성형기{Apparatus for Forming Dough}
본 실시예들은 반죽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과 반죽에 포함되는 알갱이를 골고루 혼합하여 반죽 내에서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베이킹되었을 때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어 미관이 개선되며,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알갱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과자를 생산해낼 수 있는 반죽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제과, 제빵 등을 생상하기 위한 라인에는 소정의 첨가제와 밀가루를 반죽한 반죽을 성형하고 커팅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하기 위한 반죽성형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반죽성형기는 반죽이 공급되는 반죽통과 반죽통의 하면에 구비되는 노즐을 포함하여, 반죽이 반죽통에서 노즐을 통해 사출되며 커터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커팅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고, 그 후 베이킹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제과, 제빵 등에 다양한 맛과 식감을 구현해내기 위해 초콜릿칩 또는 씨앗, 땅콩,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 등의 입상재료(이하, 알갱이라 한다.)를 반죽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반죽성형기에서는 이러한 알갱이의 입도가 반죽의 입도보다 크므로 반죽과 골고루 혼합되지 않아 커팅되어 컨베이어로 이동되는 각 반죽에서 알갱이가 불균일하게 배치되어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고 또한 알갱이가 많이 배치된 부위가 베이킹되며 돌출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제과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갱이가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빈번하게 걸려 연속적인 생산을 중지시켜 생산속도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반죽과 반죽에 포함되는 알갱이를 골고루 혼합하여 반죽 내에서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베이킹되었을 때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어 미관이 개선되며,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알갱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과자를 생산해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을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제 1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을 상기 제 1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상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1 반죽통, 상면에는 제 1 연통홀과 연통되어 반죽이 공급되는 제 2 연통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3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을 제 3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하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2 반죽통, 제 2 반죽통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 3 연통홀로 이송된 반죽이 사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 3 반죽통을 포함하는 반죽성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죽과 반죽에 포함되는 알갱이를 골고루 혼합하여 반죽 내에서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베이킹되었을 때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어 미관이 개선되며,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알갱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과자를 생산해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200)는, 외부로부터 반죽(301)이 공급되고 하면에 제 1 연통홀(312)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301)을 제 1 연통홀(312)로 이송하기 위한 상측기어부(211)가 구비되는 제 1 반죽통(210), 상면에는 제 1 연통홀(312)과 연통되어 반죽(301)이 공급되는 제 2 연통홀(22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3 연통홀(325)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반죽(301)을 제 3 연통홀(325)로 이송하기 위한 하측기어부(222)가 구비되는 제 2 반죽통(220), 제 2 반죽통(220)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 3 연통홀(325)로 이송된 반죽(301)이 사출되는 노즐(241)이 구비되는 제 3 반죽통(240)을 포함하는 반죽성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a)는 알갱이(예를 들어, 초코칩)가 표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에 의해 제조된 과자(b)는 알갱이가 과자의 중심부에서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반죽성형기(200)는 상하로 연통되는 제 1 반죽통(210), 제 2 반죽통(220) 및 제 3 반죽통(240)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제 1 반죽통(210)으로 반죽이 공급되어 상측기어부(211)가 반죽(301)을 제 2 반죽통(220)으로 이송하며, 제 2 반죽통(220)의 하측기어부(222)가 반죽(301)을 제 3 반죽통(240)으로 이송하며, 제 3 반죽통(240)에 구비되는 노즐(241)에 의해 반죽(301)이 컨베이어(미도시) 등으로 사출되고 그 후 베이킹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노즐(241)로 사출되는 반죽(301)은 커터(331)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반죽(301)에는 다양한 맛과 식감을 구현해내기 위해 초콜릿칩 또는 씨앗, 땅콩,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 등의 알갱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알갱이가 반죽(301)과 골고루 혼합되기 위해 하측기어부(222)에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가 형성되고, 노즐(241) 내부에 구비되는 삽입부재(230)에 제 1 테이퍼부(911) 및 제 2 테이퍼부(912)가 형성되게 되는데,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노즐(241)이 축방향으로 네 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방향으로 더 많은 개수로 또는 더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임은 당연하며, 그러한 경우에 제 1 기어부(322), 제 2 기어부(323) 및 격벽(324) 등도 그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것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반죽통(210)은 일례로 상측이 개구되어 상측으로 반죽(301)이 공급될 수 있으며, 하면에 제 1 연통홀(312)이 형성되어 제 2 반죽통(220)과 연통된다.
상측기어부(211)는 제 1 반죽통(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며 공급된 반죽(301)이 연속적으로 제 1 연통홀(312)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측기어부(211)는 두 개 이상의 이송기어부(3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복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기어부(311)의 기어치 사이에는 제 1 공간부(313)가 형성됨으로써, 이송기어부(311)가 회전될 때 제 1 공간부(313)를 통해 반죽(301)이 이송되게 되며 또한 반죽(301)에 포함된 알갱이가 부숴지지 않고 온전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이송기어부(311)에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 등)가 결합되어 회전되게 되는데, 이송기어부(311)는 축방향에서 볼 때 우측은 반시계방향, 좌측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측에서 공급되는 반죽(301)을 하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기어부(311)는 서로 맞물리지 않으므로, 각 이송기어부(311)에 액추에이터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2 반죽통(220)에는 제 1 반죽통(210)의 제 1 연통홀(312)과 연통되는 제 2 연통홀(221)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3 연통홀(325)이 형성되어 제 3 반죽통(240)의 노즐(241)과 연통된다.
또한, 제 2 반죽통(220)의 내부에는 하측기어부(222)가 구비되어, 반죽(301)이 제 2 연통홀(221)에서 제 3 연통홀(325)로 이송됨에 따라 알갱이가 반죽(301) 내에서 골고루 분포되게 된다.
이러한 하측기어부(222)는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를 포함하여,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는 제 2 반죽통(220) 내부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를 회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반죽(301)이 하측기어부(222)와 후술할 오목면(326)의 사이에서 이송되도록,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는 축방향에서 볼 때 우측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좌측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하, '바깥방향으로 회전된다'고 한다.)되게 된다. 즉, 상측기어부(211)의 이송기어부(31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에는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 그리고 격벽(324)이 구비되게 되는데,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며 알갱이를 하측기어부(222)의 아래인 중앙공간(801)에 모아 노즐(241)로 반죽(301)이 사출될 때 알갱이가 반죽(301) 내에서 골고루 분포되게 하며, 격벽(324)은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를 축방향으로 분리하여 각 노즐(241)에 대응되게 함으로써 반죽통 내에서 알갱이가 걸리며 연속생산을 중지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기어치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어치는 축방향 중심부(711)를 기준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에서 볼 때 제 1 기어부의(322)의 기어치 양측은 제 2 기어부(323)의 반대쪽으로 경사지고 제 2 기어부(323)의 기어치 양측은 제 1 기어부(322)의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의 기어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산부(도면부호 미부여)와 제 2 산부(도면번호 미부여)를 포함하여, 제 1 산부와 제 2 산부가 만나는 중심부(711)가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이 맞물리는 쪽으로 배치되고 단부(712)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게 될 수 있다.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의 기어치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가 바깥방향으로 회전될 때 알갱이가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의 기어치에 의해 중앙공간(801)에 모이게 된다.
즉, 기어치의 양측 단부(712)가 중심부(711)에서 원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됨으로써,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가 바깥방향으로 회전될 때 반죽(301)이 하측기어부(222)와 오목면(326) 사이에서 이송되며 알갱이가 중앙공간(801)에 모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기어부(222)에는 격벽(324)이 구비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어부(322) 및 제 2 기어부(323)는 두 개 이상 구비되고, 격벽(324)은 제 1 기어부(322) 및 제 2 기어부(32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은 각각 제 1 샤프트(223)과 제 2 샤프트(224)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격벽(324)는 이들이 이격된 사이에 구비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노즐(241)이 두 개 이상 구비되되 격벽(32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으로써 제 1 기어부(322) 및 제 2 기어부(323) 각각과 대응될 수 있다.
격벽(324)에 의해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가 축방향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 제 1 기어부(322) 및 제 2 기어부(323)에 대응되게 노즐(241)이 위치됨으로써 반죽(301)이 각 노즐(241)로 사출될 때 알갱이가 걸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2 반죽통(220)의 내측면에는 오목면(32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목면(326)은 제 1 기어부(322)와 대향되는 내측면 및 제 2 기어부(323)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오목면(326)의 사이에 하측기어부(222)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면(326)은 하측기어부(22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되, 하측기어부(222)의 양측과 오목면(326)의 사이에는 제 2 공간부(327)가 형성되어 제 1 샤프트(223)와 제 2 샤프트(224)가 바깥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에 의해 반죽(301)이 제 2 공간부(327)를 따라 제 2 연통홀(221)에서 제 3 연통홀(325)로 이송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면(326)은 제 1 기어부(322) 및 제 2 기어부(323) 보다 큰 반경을 가져 하측기어부(222)와의 사이에 제 2 공간부(3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면(326)은 상측이 제 2 연통홀(321)과 연결되고 하측이 제 3 연통홀(325)와 연결됨으로써 제 2 연통홀(321)으로 이송된 반죽(301)이 제 2 공간부(327)를 통과하여 제 3 연통홀(325)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3 반죽통(240)에는 노즐(241)이 구비되어 제 2 반죽통(220)에서 이송된 반죽(301)이 노즐(241)을 통해 사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노즐(24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노즐(241)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도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과자의 형상에 맞춰 노즐(241) 역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노즐(241)의 내부에는 삽입부재(230)가 구비되게 되는데, 삽입부재(230)는 알갱이가 덩어리지며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241) 내부에서 걸리지 않게 하고 또한 반죽(301)에 알갱이가 골고루 분포되게 한다.
이러한 삽입부재(2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231)와 몸체부(231)에서 돌출되어 노즐(24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232)를 포함한다.
삽입부재(230)는 제 3 반죽통(2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별개로 제작되는 경우 지지부(232)가 노즐(241)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삽입부재(230)가 노즐(24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2)는 몸체부(231)에서 십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부재(230)가 노즐(24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될 때 지지부가 노즐(241)의 경사진 내측면에 걸리며 삽입부재(230)이 노즐(24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241)의 내측면에는 지지부(232)에 대응되는 홈(24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부재(230)가 노즐(241)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되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31)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9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테이퍼부(911)는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죽(301)은 노즐(241)의 내측면과 제 1 테이퍼부(911)의 외측면을 타고내려가며 사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231)에는 제 1 테이퍼부(911)의 상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테이퍼부(912)는 제 1 테이퍼부(911)와 마찬가지로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뾰족한 상단이 하측기어부(222)의 하측을 향하게 된다.
즉, 제 1 기어부(322)와 제 2 기어부(323)에 의해 중앙공간(801)에 모인 알갱이가 제 2 테이퍼부(912)에 의해 덩어리지며 뭉치는 것이 방지되어 노즐(241) 내부에서 걸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반죽성형기에 의하면, 반죽과 반죽에 포함되는 알갱이를 골고루 혼합하여 반죽 내에서 알갱이가 균일하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베이킹되었을 때 부분별로 맛과 식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생산할 수 있어 미관이 개선되며, 반죽성형기 내부에서 알갱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과자를 생산해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반죽성형기 210: 제 1 반죽통
211: 상측기어부 220: 제 2 반죽통
220: 제 2 연통홀 222: 하측기어부
223: 제 1 샤프트 224: 제 2 샤프트
230: 삽입부재 231: 몸체부
232: 지지부 240: 제 3 반죽통
241: 노즐 242: 홈
301: 반죽 311: 이송기어부
312: 제 1 연통홀 313: 제 1 공간부
322: 제 1 기어부 323: 제 2 기어부
324: 격벽 325: 제 3 연통홀
326: 오목면 327: 제 2 공간부
331: 커터 711: 중심부
712: 단부 801: 중앙공간
911: 제 1 테이퍼부 912: 제 2 테이퍼부

Claims (15)

  1. 외부로부터 반죽이 공급되고 하면에 제 1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반죽을 상기 제 1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상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1 반죽통;
    상면에는 상기 제 1 연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반죽이 공급되는 제 2 연통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3 연통홀이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반죽을 상기 제 3 연통홀로 이송하기 위한 하측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2 반죽통;
    상기 제 2 반죽통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3 연통홀로 이송된 반죽이 사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 3 반죽통;
    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기어부는 제 1 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1 샤프트 및 제 2 기어부가 구비되는 제 2 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기어부와 제 2 기어부가 서로 맞물리며,
    상기 제 2 반죽통의 상기 제 1 기어부 및 제 2 기어부와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상측이 상기 제 2 연통홀과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제 3 연통홀과 연결되는 오목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기어부 및 제 2 기어부와 오목면의 사이에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기어부는 두 개 이상의 이송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어부의 기어치 사이에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와 제 2 기어부의 기어치는 축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측에서 볼 때, 상기 제 1 기어부의 기어치 양측은 상기 제 2 기어부의 반대쪽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기어치 양측은 상기 제 1 기어부의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 및 제 2 기어부는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상기 하측기어부에는 상기 제 1 기어부 및 제 2 기어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 1 기어부 및 제 2 기어부 각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즐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삽입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 제 1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 1 테이퍼부의 상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 제 2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성형기.
KR1020180158745A 2018-12-11 2018-12-11 반죽성형기 KR10223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45A KR102232143B1 (ko) 2018-12-11 2018-12-11 반죽성형기
RU2019140240A RU2729820C1 (ru) 2018-12-11 2019-12-0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тест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45A KR102232143B1 (ko) 2018-12-11 2018-12-11 반죽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88A KR20200071888A (ko) 2020-06-22
KR102232143B1 true KR102232143B1 (ko) 2021-03-26

Family

ID=7114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45A KR102232143B1 (ko) 2018-12-11 2018-12-11 반죽성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2143B1 (ko)
RU (1) RU2729820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339A1 (ko) * 2022-12-13 2024-06-20 주식회사 인크레더블 오토피드 스프레더 빌트인 그래놀라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96Y1 (ko) * 2003-08-06 2003-11-07 진재효 과자류 제조장치
KR101674423B1 (ko) * 2016-06-13 2016-11-10 세 교 정 제과용 디포지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914A (en) * 1990-01-22 1991-03-05 Alterio Joseph C D Apparatus for encapsulating filler with dough
KR0136385Y1 (ko) * 1996-11-18 1999-02-01 임생규 떡 제조기용 반죽물 회전노즐 개선 구조
KR200445843Y1 (ko) * 2007-07-16 2009-09-10 장인락 가래떡성형기의 노즐기구
RU2408190C2 (ru) * 2008-05-20 2011-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нзе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тки пласта теста и формования из него те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RU127291U1 (ru) * 2012-10-26 2013-04-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отей" (ООО "Хоте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KR101833483B1 (ko) * 2016-03-30 2018-03-02 (주)토탈베이커리시스템 로타리밸브를 이용한 반죽 성형기
RU177762U1 (ru) * 2017-09-08 2018-03-12 Константи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шеле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96Y1 (ko) * 2003-08-06 2003-11-07 진재효 과자류 제조장치
KR101674423B1 (ko) * 2016-06-13 2016-11-10 세 교 정 제과용 디포지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339A1 (ko) * 2022-12-13 2024-06-20 주식회사 인크레더블 오토피드 스프레더 빌트인 그래놀라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9820C1 (ru) 2020-08-12
KR20200071888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834B2 (en) Method of forming food product
KR101674423B1 (ko) 제과용 디포지터
JP6617341B1 (ja) 家庭用のひまわりの種の殻剥き器
KR102232143B1 (ko) 반죽성형기
JP3009835B2 (ja)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DE10342820B4 (de) Vorrichtung zum Formen von dreilagigen Lebensmitteln
CN202962604U (zh) 一种省力研磨头组件
KR20120079296A (ko) 속심을 갖는 국수 제조 이중 노즐 장치
DE202018006101U1 (de) Gefüllter Keks
JP3887621B2 (ja) 三重の複合材料層を具える生食品成型設備
JPS608158B2 (ja) 横列複区分錠の打錠機
CN203457715U (zh) 一种多功能旋花式曲奇机
CN210286035U (zh) 一种等分轮盘式粉状物料定量出料装置
KR101007066B1 (ko) 떡 제조용 압출 금형 및 이를 갖는 떡 제조 장치
EP2209385B1 (de) Einlegevorrichtung für lose artikel, z.b. mandelkerne, haselnusskerne etc.
KR102285549B1 (ko) 관통형 떡 제조용 떡 기계
KR102126392B1 (ko) 가래떡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래떡 제조방법
JP2981181B2 (ja) 包み食品の成形装置
TWI814059B (zh) 含有粒狀物的組合食品之成形方法
KR200471014Y1 (ko) 치즈가래떡 제조장치
CN114800571B (zh) 一种用于生产带抓柄谷物棒的生产设备
CN107319617B (zh) 一种多食材混合的食品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00469251C (zh) 月饼饼胚自动收口装置
KR101885002B1 (ko) 구운 곡물 과자 제조장치
DE602005004761T2 (de) Keksähnliches Süsswarenproduk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