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328B1 -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328B1
KR102126328B1 KR1020190149241A KR20190149241A KR102126328B1 KR 102126328 B1 KR102126328 B1 KR 102126328B1 KR 1020190149241 A KR1020190149241 A KR 1020190149241A KR 20190149241 A KR20190149241 A KR 20190149241A KR 102126328 B1 KR102126328 B1 KR 10212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incoming
outgoing
status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대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약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기계식 주차설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게 되고, 각 현장의 컨트롤러가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용시간에, 원거리에 배치된 차량을 근거리에 배치된 공차고로 이동시키는 정렬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출고 속도를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입출고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Mechanical parking equipment for enhancing vehicle parking speed and parking reservation system therewith}
본 발명은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일 구성 대비 입출고 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도심이 확장됨에 따라 주차 공간 부족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기계식 주차설비가 대두됨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계식 주차설비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안전하게 유도하여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로서, 다량의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빌딩 등에 설치되어 주차 공간의 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작방식에 따라 승강기식, 평면왕복식, 다층순환식 등으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기계식 주차설비는 현재 비어있는 주차공간(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파레트를 입출구로 이동시킨 후, 입차를 요청한 차량이 입출구에 배치된 파레트에 적재되면, 파레트를 해당 주차위치로 이동시켜 입차가 이루어지고, 출차 요청 시,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파레트를 다시 입출구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는 주차공간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각 주차공간과 입출구와의 이동거리(△d)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거리의 배치된 주차공간에 차량 입출차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는 소수의 입출구를 통해 수십대까지의 차량들의 입출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1대의 차량을 출차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은, 대략적으로 몇 분일 수 있지만, 출퇴근 시간과 같이 대기 차량이 밀린 경우에는 자신의 차량이 언제 나오는지 알 수 없고, 대기 차량이 차례로 나오는 것을 지켜보면서 비생산적인 시간을 보내야 하므로, 바쁜 현대인에게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는 설비 자체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입출차에 소모되는 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특히 최근 들어 기계식 주차설비가 대형화 추세인 점을 감안할 때,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차 시간을 절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01437호(발명의 명칭 : 기계식 주차타워 입출차 예약 정보처리장치에 따른 주차타원 원격관제 시스템과 그의 주차타워 정보처리장치 및 운격 관제보드장치)에 개시된 주차타워 원격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주차타워 원격관제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주차타워 운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차타워 제어기와, 상기 주차타워 제어기와 통신 인터페이스 구성을 가지고, 상기 주차타워의 입출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타워 키오스크, 상기 주차타워의 입출고 예약정보와 상기 주차타워 키오스크의 주차타워 현장입출고요청이나 예약요청 정보를 수집 전달처리하고, 입출고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갱신 관리하는 예약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예약 정보처리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예약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달처리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타워 제어기의 주차타워 운전장치 제어 동작을 관제하여 입출고 처리하고, 입출고 처리 정보를 상기 예약 정보처리장치로 제공하여 입출고 상황을 알리는 관제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타워 제어기는 차량을 정해진 주차장소에 위치하는 주차타워 운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를 입출고 예약 시스템과 연동된 입출고 원격관게 시스템을 통해 관제함으로써 인력배치에 따른 비용부담 해소와 함께 효율적인 예약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각 주차장소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각 주차장소와 입출구와의 이동거리(△d)가 서로 다른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입출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주차장소에 차량 입출차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는 대기시간을 절감시키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비의 크기가 크다고 가정할 때, 한 대의 차량을 출차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불필요한 시간낭비가 증가하고, 특히 차량주차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일 때, 대기시간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대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약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기계식 주차설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한 입출고 예약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각 현장의 컨트롤러가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용시간에, 원거리에 배치된 차량을 근거리에 배치된 공차고로 이동시키는 정렬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출고 속도를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입출고 예약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사용자가 소지하며, 입출고 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며,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로우데이터를 수집하는 PLC들; 상기 PLC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PLC로부터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각 차고의 입출고 상태인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들;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입출고 현황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대응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예약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대상으로 선택받음과 동시에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및 출차예약시간을 입력받으면,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와 입력된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및 출차예약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예약데이터를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예약관리서버는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컨트롤러로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예약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현재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한 후, 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라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어데이터를 연결된 PLC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들은 데이터베이스부; 주기적으로 연결된 PLC에 접근하여 해당 PLC에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우데이터 수집부; 상기 로우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거나 또는 상기 예약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현재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하며, 생성/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 현장에서 차량 입고 또는 차량 출고를 요청받을 때 실행되며, 입출고 대상인 차고를 결정한 후, 결정된 차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고 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입출고 요청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른 제어데이터 또는 상기 입출고 요청부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요청데이터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데이터 생성부; 상기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에 의해 입출고 현황정보가 생성/갱신되면, 생성/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가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제어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어데이터가 연결된 PLC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들은 차고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고정렬부는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 입출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차고에 입고된 차량들을 입출구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되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공차고로 이동시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각 차고의 위치 및 식별정보와, 입출구로부터 각 차고까지의 이동거리(△d)를 나타내는 차고별 이동거리(△d) 정보와, 전체 차고들 중 근거리영역의 차고들과 원거리영역의 차고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차고정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탐색 및 참조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되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 상기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근거리영역의 차고들 중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차고인 공차고들을 추출하는 공차고 추출모듈; 상기 차고별 이동거리(△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차고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공차고들을 이동거리(△d)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 상기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원거리영역의 차고들 중 현재 입차가 이루어진 차고인 변경대상차고들과 변경대상차고들 각각에 입고된 차량인 변경대상차량들을 추출하며, 입출차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의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 기준값을 검출하는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 상기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기준값을 을 참조하여, 변경대상차량들을 기준값이 빠른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 상기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에 의해 우선수위가 부여된 공차고들과, 상기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된 변경대상차량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공차고 및 변경대상차량을 매칭시키는 매칭모듈;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정보를 참조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우선순위의 변경대상차량을 해당 우선순위의 공차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인 변경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데이터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변경데이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변경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값은 출차예약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은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출차예약시간을 검출할 때, 변경대상차량의 출차예약시간이 등록되지 않은 비예약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이 입차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설정시간(TH)을 합산한 시간을 출차예약시간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출고 현황정보는 전체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 현재 입차 가능한 가용차고에 대한 정보, 입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출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대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약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기계식 주차설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현장의 컨트롤러가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용시간에, 원거리에 배치된 차량을 근거리에 배치된 공차고로 이동시키는 정렬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출고 속도를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01437호(발명의 명칭 : 기계식 주차타워 입출차 예약 정보처리장치에 따른 주차타원 원격관제 시스템과 그의 주차타워 정보처리장치 및 운격 관제보드장치)에 개시된 주차타워 원격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입출고 예약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계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용자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차고정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입출고 예약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계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입출고 예약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대의 차량들을 주차시키기 위한 차고들과 차량을 각 차고로 입출차 시키는 통상의 기계식 주차설비(7-1), ..., (7-N)들과, 기계식 주차설비(7-1), ..., (7-N)들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함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7)의 로우데이터(Raw-data)를 수집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6)들과, 각 현장에 설치되어 해당 현장의 PLC(6)와 연동하여 PLC(6)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설비상태정보 및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설비상태정보 및 입출고 현황정보를 후술되는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하는 컨트롤러(5-1), ..., (5-N)들과, 컨트롤러(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설비상태정보 및 입출고 현황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단말기(4)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단말기(4)에게 입출고 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약관리서버(9)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사용자단말기(4)와, 사용자단말기(4)에 설치되어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각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특정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을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과, 예약관리서버(9), 컨트롤러(5-1), ..., (5-N)들 및 사용자단말기(4)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차요금의 정산 및 결제가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요금정산 및 결제 처리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현장에 설치되는 주차요금 정산기(미도시)를 이용한 방식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망(10)은 예약관리서버(9), 컨트롤러(5-1), ..., (5-N)들 및 사용자단말기(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등과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기계식 주차설비(7-1), ..., (7-N)들은 다수의 차량들이 입차될 수 있는 복수개의 차고들을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을 입출 및 출차 시키기 위한 설비이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입출구(71)가 지상에 구비되는 주차탑(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계식 주차설비(7)가 승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기계식 주차설비(7)의 종류는 도 3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강기식, 평면 왕복식, 수직 순환식, 다층 순환식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주차탑(70)의 입출구(71)와 인접한 바닥면에는 차량(C)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72)이 설치된다.
또한 주차탑(70)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700)가 형성되고 있고, 승강로(700)에는 리프트(73)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700)의 각 층의 양측에는 주차공간인 차고(710)들이 형성되고, 각 차고(710)의 바닥면에는 차량을 탑재하기 위한 파레트(75)들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차고(710)의 바닥면에는 바닥면과 리프트(73) 사이로 파레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계식 주차설비(7)에는 각 구성수단의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7)는 연결된 PLC(6)의 관리 및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6)들은 각 현장에 설치되어 해당 현장의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PLC(6)는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7)의 각 구성수단의 로우데이터(Raw-data)를 수집하며,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해당 현장의 컨트롤러(5)로 전송한다.
또한 PLC(6)는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제어데이터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7)가 구동하도록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5)는 PLC(6)와 연동하여 PLC(6)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들을 분석 및 가공하여 설비상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설비상태정보를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이때 설비상태정보는 각 구성수단의 동작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예약관리서버(9)는 컨트롤러(5)로부터 전송받은 설비상태정보를 통해 각 기계식 주차설비(7)의 현재 상태를 인지함과 동시에 이를 감안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예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5)는 PLC(6)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들을 분석 및 가공하여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이때 입출고 현황정보는 전체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 현재 입차 가능한 가용차고에 대한 정보, 입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출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5)는 현재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활용 및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라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어데이터를 PLC(6)로 출력하고, PLC(6)는 컨트롤러(5)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데이터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7)가 구동되도록 기계식 주차설비(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는 입출고 현황정보를 통해 ‘A’ 차고에 입차된 차량 ‘a’의 출차예약시간이 현재 시간이면, 해당 ‘a’차량을 차고로부터 입출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계식 주차설비(7)로 전송하고, PLC(6)는 컨트롤러(5)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데이터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제어하여 ‘A’차고에 주차된 ‘a’차량을 입출구(71)로 이동시키게 된다.
예약관리서버(9)는 각 현장의 컨트롤러(5-1), ..., (5-N)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컨트롤러(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설비상태정보 및 입출고 현황정보를 저장하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기계식 주차설비(7)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7)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약관리서버(9)는 접속된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특정 기계식 주차설비(7)에 대한 예약을 요청받으면, 이에 대응되는 입출고 예약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입출고 예약정보를 예약된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응되는 컨트롤러(5)로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5)는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입출고 예약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정보가 현재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하며, 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함으로써 예약관리서버(9) 및 컨트롤러(5)는 동일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사용자단말기(4)는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워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Note-bool), 데스크탑PC(Desktop-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에는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다.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은 사용자단말기(4)에 설치되어 예약관리서버(9)와 연동하여 사용자(User)에게 각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차에 대한 예약을 요청받는 응용프로그램이다.
도 4는 도 2의 사용자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단말기(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1)와,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42)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43)과, 사용자단말기(4)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44)과,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모듈(45)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2의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은 전술하였던 도 4의 사용자단말기(4)에 설치되어 예약관리서버(9)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입출고 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0)과, 데이터 입출력모듈(31),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 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33), 예약관리모듈(34), 디스플레이 모듈(35), 결제처리모듈(36)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0)은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모듈(30)은 데이터 입출력모듈(3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으면, 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33)을 실행시키고, 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33)에 의해 정보요청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정보요청데이터가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사용자단말기(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예약관리모듈(34)에 의해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되도록 사용자단말기(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정보를 요청한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전송받으면, 디스플레이모듈(35)을 제어하여 전송받은 입출고 현황정보가 기 설정된 그래픽절차에 따라 사용자단말기(4)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사용자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으면, 결제처리모듈(36)을 실행시킨다.
데이터 입출력모듈(31)은 사용자단말기(4)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를 사용자단말기(4)의 모니터(41)에 전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연산을 처리한 후, 결과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GUI 또는 GUIX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
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33)은 기 등록된 기계식 주차설비(7-1), ..., (7-N)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33)에 의해 생성된 정보요청데이터는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4)를 통해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되고, 예약관리서버(9)는 전송받은 정보요청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해당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한다.
예약관리모듈(34)은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요청받을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예약관리모듈(34)은 사용자로부터 예약대상인 기계식 주차설비를 선택받음과 동시에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출차예약시간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또한 예약관리모듈(34)은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식별정보와, 입력된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및 출차예약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예약관리모듈(34)에 의해 생성된 입출고 예약데이터는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되고, 예약관리서버(9)는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현장의 컨트롤러(5)로 전송하고, 해당 현장의 컨트롤러(5)는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함과 동시에 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5)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GUI를 사용자단말기(4)의 모니터(41)에 디스플레이 한다.
결제처리모듈(36)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7)의 이용요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이때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식 및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와, 데이터베이스부(51), 통신 인터페이스부(52), 부가서비스부(53), 로우데이터 수집부(54),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 입출고 요청부(57), 제어데이터 생성부(58), 차고정렬부(5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컨트롤러(5)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51), (52), (53), (54), (55), (56), (57), (58), (5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로우데이터 수집부(54)에 의해 PLC(6)의 로우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 및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로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로우데이터 수집부(54)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들과,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에 의해 생성된 설비상태정보들과,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에 의해 생성/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전송받은 예약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각 차고의 위치 및 식별정보와, 기계식 주차설비의 각 구성수단의 식별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입출구로부터 각 차고까지의 이동거리(△d)를 나타내는 차고별 이동거리(△d) 정보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때 이동거리(△d)는 입출구로부터 해당 차고까지 파레트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전체 차고들 중 근거리영역의 차고들과, 원거리영역의 차고들에 대한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때 근거리영역의 차고는 입출구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고를 의미하고, 원거리영역의 차고는 입출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고를 의미하고, 이러한 근거리영역의 차고 및 원거리영역의 차고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기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2)는 예약관리서버(9) 및 PLC(6)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부가서비스부(53)는 턴테이블 제어, 입출구 제어 및 리프트 제어 등과 같이 기계식 주차설비(7)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로우데이터 수집부(54)는 주기적으로 PLC(6)의 메모리에 접근하여 PLC(6)에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로우데이터 수집부(54)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 및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로 입력한다.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는 로우데이터 수집부(54)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설비상태정보는 각 구성수단의 동작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설비상태정보 생성부(55)에 의해 생성된 설비상태정보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51)에 저장됨과 동시에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된다.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는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각 차고의 의 상태, 각 차고에 입차된 차량의 차량번호, 입차 정보, 출차 정보들을 검출하여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갱신한다. 이때 입출고 현황정보는 전체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 가능한 가용차고에 대한 정보, 입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출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는 차고정렬부(59)에 의해 차고상태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차고상태정보가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는 예약관리서버(9)로부터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는 후술되는 차고정렬부(59)에 의해 차고정렬이 이루어지면, 정렬된 내용이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56)에 의해 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예약관리서버(9)로 전송됨으로써 컨트롤러(5) 및 예약관리서버(9)에는 동일한 내용의 입출고 현황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입출고 요청부(57)는 예약하지 않은 차량 운전자로부터 현장에서 차량 입고 또는 차량 출고를 요청받을 때 실행된다.
또한 입출고 요청부(57)는 차량 입고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부(51)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활용 및 참조하여 해당 차량이 입고될 차고를 결정한 후, 결정된 차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고 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입출고 요청부(57)는 차량 출고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부(51)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활용 및 참조하여 해당 차량이 입고되어있는 차고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입출고 요청부(57)는 생성된 입고 요청데이터 및 출고 요청데이터를 제어데이터 생성부(58)로 입력한다.
제어데이터 생성부(58)는 데이터베이스부(51)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라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데이터는 기계식 주차설비(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데이터 생성부(58)는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특정 차고의 차량의 출차가 이루어져야한다고 판단하면, 해당 차고의 차량을 출차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데이터 생성부(58)는 입출고 요청부(57)로부터 입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입고 요청데이터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데이터 생성부(58)는 입출고 요청부(57)로부터 출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출고 요청데이터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데이터 생성부(58)에 의해 생성된 제어데이터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PLC(6)로 전송된다.
도 7은 도 6의 차고정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고정렬부(5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가용여부 판별모듈(591)과, 공차고 추출모듈(592),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593),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595), 매칭모듈(596), 변경데이터 생성모듈(597)로 이루어진다.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591)은 데이터베이스부(51)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탐색 및 참조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되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 예약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즉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591)은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내에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되지 않으면, 차고를 정렬할 시간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정렬가용여부 판별모듈(591)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공차고 추출모듈(592) 및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이 실행된다.
공차고 추출모듈(592)은 정렬가용여부 판별모듈(591)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된다.
또한 공차고 추출모듈(592)은 전체 차고들 중 기 설정된 근거리영역의 차고들을 추출한다. 이때 근거리영역의 차고들은 입출구로부터 근거리에 배치되는 차고들을 의미한다.
또한 공차고 추출모듈(592)은 입출고 현황정보를 탐색 및 참조하여, 추출된 근거리영역 차고들 중 현재 비어있는 차고인 공차고들을 추출한다.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592)은 기 설정된 차고별 이동거리(△d)들을 참조하여, 공차고 추출모듈(592)에 의해 추출된 공차고들을 이동거리(△d)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공차고 추출모듈(592)에 의해 ‘A’차고, ‘B’차고, ‘C’차고가 검출되고, ‘A’, ‘B’, ‘C’의 공차고들 각각의 이동거리(△d)가 ‘α’, ‘β(β<α)’, ‘γ(γ<β<α)’일 때, 공차고 추출모듈(592)은 ‘A’, ‘B’, ‘C’의 공차고들 중 이동거리가 가장 작은 ‘γ’를 갖는 ‘C’ 공차고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이동거리가 가장 큰 ‘α’를 갖는 ‘A’ 공차고에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은 정렬가용여부 판별모듈(591)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된다.
또한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은 전체 차고들 중 기 설정된 원거리영역의 차고들을 추출한다. 이때 근거리영역의 차고들은 입출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차고들을 의미하며, 전체 차고들 중 근거리영역의 차고들을 제외한 차고들이다.
또한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은 입출고 현황정보를 탐색 및 참조하여, 추출된 원거리영역 차고들 중 현재 입차가 이루어진 차고(이하 변경대상차고라고 함)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변경대상차고들에 입차된 차량(이하 변경대상차량이라고 함)들을 추출한다.
또한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은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출차예약시간을 검출한다. 이때 만약 변경대상차량이 현장에서 입출차되어 출차예약시간이 등록되지 않은 비예약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이 입차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설정시간(TH)을 합산한 시간을 출차예약시간으로 선정한다.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595)은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594)에 의해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출차예약시간들을 참조하여 변경대상차량들을 출차예약시간이 빠른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즉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595)은 변경대상차량들 중 출차예약시간이 빠른 변경대상차량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되, 출차예약시간이 느린 변경대상차량에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매칭모듈(596)은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593)에 의해 검출된 공차고의 우선순위 정보들과,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595)에 의해 검출된 변경대상차량의 우선순위 정보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공차고 및 변경대상차량을 매칭시켜 매칭데이터를 생성한다.
변경데이터 생성모듈(597)은 매칭모듈(596)에 의해 생성된 매칭데이터를 참조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변경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변경데이터는 해당 우선순위의 변경대상차량을 해당 우선순위의 공차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변경데이터 생성모듈(597)에 의해 생성된 변경데이터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제어데이터 생성부(58)로 입력되고, 제어데이터 생성부(58)는 변경데이터 생성모듈(597)로부터 입력된 변경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변경데이터 생성모듈(597)은 변경데이터에 따라 차량 이동이 완료되면, 다음 우선순위에 대응되는 변경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입출고 예약시스템(1)은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대한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계식 주차설비의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약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기계식 주차설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입출고 예약시스템(1)은 각 현장의 컨트롤러가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용시간에, 원거리에 배치된 차량을 근거리에 배치된 공차고로 이동시키는 정렬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출고 속도를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1:입출고 예약시스템 3: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
4:사용자단말기 5:컨트롤러 6:PLC
7:기계식 주차설비 9:예약관리서버 10:통신망
30:제어모듈 31:데이터 입출력모듈
32:인터페이스 처리모듈 33:정보요청데이터 생성모듈
34:예약관리모듈 35:디스플레이 모듈 36:결제처리모듈
50:제어부 51:데이터베이스부 52:통신 인터페이스부
53:부가서비스부 54:로우데이터 수집부 55:설비상태정보 생성부
56: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 57:입출고 요청부
58:제어데이터 생성부 59:차고정렬부
70:주차탑 71:입출구 72:데크
73:리프트 75:파레트
591:정렬가용여부 판별모듈 592:공차고 추출모듈
593: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
594: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
595: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 596:매칭모듈
597:변경데이터 생성모듈

Claims (8)

  1. 사용자가 소지하며, 입출고 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를 관리 및 제어하며,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로우데이터를 수집하는 PLC들;
    상기 PLC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PLC로부터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여 각 차고의 입출고 상태인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들;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입출고 현황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대응되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입출고 현황정보를 제공하는 예약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대상으로 선택받음과 동시에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및 출차예약시간을 입력받으면, 선택된 기계식 주차설비와 입력된 차량번호, 입차예약시간 및 출차예약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예약데이터를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예약관리서버는 상기 입출고예약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컨트롤러로 입출고 예약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예약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현재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한 후, 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라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어데이터를 연결된 PLC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들은
    데이터베이스부;
    주기적으로 연결된 PLC에 접근하여 해당 PLC에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우데이터 수집부;
    상기 로우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로우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입출고 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거나 또는 상기 예약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예약데이터가 현재 입출고 현황정보에 반영되도록 입출고 현황정보를 갱신하며, 생성/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
    현장에서 차량 입고 또는 차량 출고를 요청받을 때 실행되며, 입출고 대상인 차고를 결정한 후, 결정된 차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고 요청데이터를 생성하는 입출고 요청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입출고 현황정보에 따른 제어데이터 또는 상기 입출고 요청부로부터 전송받은 입출고 요청데이터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데이터 생성부;
    상기 입출고 현황정보 생성/갱신부에 의해 입출고 현황정보가 생성/갱신되면, 생성/갱신된 입출고 현황정보가 상기 예약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제어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제어데이터가 연결된 PLC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들은 차고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고정렬부는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 입출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차고에 입고된 차량들을 입출구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되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공차고로 이동시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해당 기계식 주차설비의 각 차고의 위치 및 식별정보와, 입출구로부터 각 차고까지의 이동거리(△d)를 나타내는 차고별 이동거리(△d) 정보와, 전체 차고들 중 근거리영역의 차고들과 원거리영역의 차고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차고정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입출고 현황정보를 탐색 및 참조하여,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되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현재 시간으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의 시간 동안 입차 또는 출차가 예약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
    상기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근거리영역의 차고들 중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차고인 공차고들을 추출하는 공차고 추출모듈;
    상기 차고별 이동거리(△d)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차고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공차고들을 이동거리(△d)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
    상기 정렬 가용여부 판별모듈에 의해 차고정렬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입출고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원거리영역의 차고들 중 현재 입차가 이루어진 차고인 변경대상차고들과 변경대상차고들 각각에 입고된 차량인 변경대상차량들을 추출하며, 입출차 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의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 기준값을 검출하는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
    상기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기준값을 을 참조하여, 변경대상차량들을 기준값이 빠른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
    상기 공차고 우선순위 부여모듈에 의해 우선수위가 부여된 공차고들과, 상기 변경대상차량 우선순위 부여모듈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된 변경대상차량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공차고 및 변경대상차량을 매칭시키는 매칭모듈;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매칭된 정보를 참조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우선순위의 변경대상차량을 해당 우선순위의 공차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인 변경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데이터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변경데이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변경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 입출고 예약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출차예약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 입출고 예약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대상차량 추출모듈은
    추출된 변경대상차량들 각각의 출차예약시간을 검출할 때, 변경대상차량의 출차예약시간이 등록되지 않은 비예약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이 입차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설정시간(TH)을 합산한 시간을 출차예약시간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 입출고 예약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 현황정보는 전체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고에 대한 정보, 현재 입차된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 현재 입차 가능한 가용차고에 대한 정보, 입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출차 예약된 차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 입출고 예약시스템.
KR1020190149241A 2019-11-20 2019-11-20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KR10212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41A KR102126328B1 (ko) 2019-11-20 2019-11-20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41A KR102126328B1 (ko) 2019-11-20 2019-11-20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28B1 true KR102126328B1 (ko) 2020-06-24

Family

ID=7140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241A KR102126328B1 (ko) 2019-11-20 2019-11-20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3849A (zh) * 2021-03-30 2021-06-25 满帮信息咨询有限公司 预约车辆匹配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664109A (zh) * 2022-01-21 2022-06-24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立体车库的智能控制方法
KR20220159710A (ko) * 2021-05-26 2022-12-05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이중 주차가 허용되는 자율 주차 로봇 시스템의 주차면 할당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07A (ja) * 1996-11-21 1998-06-09 Shinmeiwa Eng Kk 機械式駐車設備の遠隔制御装置
JP2018049514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システム
KR101882440B1 (ko) * 2017-11-08 2018-08-24 박정화 기계식 주차장의 출차 대기 단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13205A (ko) *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07A (ja) * 1996-11-21 1998-06-09 Shinmeiwa Eng Kk 機械式駐車設備の遠隔制御装置
JP2018049514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システム
KR101882440B1 (ko) * 2017-11-08 2018-08-24 박정화 기계식 주차장의 출차 대기 단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13205A (ko) *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3849A (zh) * 2021-03-30 2021-06-25 满帮信息咨询有限公司 预约车辆匹配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33849B (zh) * 2021-03-30 2024-02-27 满帮信息科技有限公司 预约车辆匹配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59710A (ko) * 2021-05-26 2022-12-05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이중 주차가 허용되는 자율 주차 로봇 시스템의 주차면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2562117B1 (ko) * 2021-05-26 2023-07-3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이중 주차가 허용되는 자율 주차 로봇 시스템의 주차면 할당 장치 및 방법
CN114664109A (zh) * 2022-01-21 2022-06-24 合肥巍华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立体车库的智能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328B1 (ko) 입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입출고 예약시스템
CN107178237B (zh) 一种多机多路径的并行化存取车调度系统
CN110789390B (zh) 一种轨道式移动充电系统及其调度控制方法
CN103150926B (zh) 基于移动机器人小车的预约取车方法
CN107148371B (zh) 用于提供物体的运送服务的计算机化系统和方法
US6662077B2 (en) Architecture for presen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an automated parking and storage facility
CN103592926B (zh) 基于机械式立体停车场与agv相结合的智能控制系统及方法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3121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oods storage and retrieval
WO2009047635A2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garage with catwalk installation
CN110689231B (zh) 一种城域地下空间的智能管理方法与系统
KR20220102379A (ko) 다중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방법 및 장치
CN112434913A (zh) 一种外卖机器人及基于机器人的室内外卖配送方法
KR101339183B1 (ko) 카트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WO2002082337A1 (fr) Systeme de partage de vehicule
KR102308141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주차장 충전 서비스 방법 및 주차장 충전 시스템
JP2023159407A (ja) 駐車設備及び駐車設備の制御方法
KR20210066978A (ko) 주차장 제어 시스템
CN115783915A (zh) 一种楼宇设备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07262845A (ja) 機械式駐車設備および当該設備における出庫制御方法
CN113187284A (zh) 一种车辆管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5421487A (zh) 一种在轨单元的自动回仓控制方法及装置
KR20230139657A (ko) 사용자 통계 기반 출고 속도를 높인 기계식 주차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시스템
CN114495563A (zh) 一种智能停车管理系统及智能停车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