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95B1 -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95B1
KR102125095B1 KR1020200045527A KR20200045527A KR102125095B1 KR 102125095 B1 KR102125095 B1 KR 102125095B1 KR 1020200045527 A KR1020200045527 A KR 1020200045527A KR 20200045527 A KR20200045527 A KR 20200045527A KR 102125095 B1 KR102125095 B1 KR 10212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knitting
contact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균
Original Assignee
임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균 filed Critical 임재균
Priority to KR102020004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타래에 감겨있는 실을 자동으로 풀어가면 편직할 수 있고,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편직된 편직물을 펼친 상태로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편직물에 진동을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털어낼 수 있고, 편직물을 펼친 상태에서 타격력을 가해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편직물을 펼쳐진 상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편직물에 바람을 공급하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는 하나 이상의 실타래에 감긴 실을 이용하여 편직하는 것으로서, 실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편직하는 편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직장치{KNITTING DEVICE}
본 발명은 편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타래에 감겨있는 실을 자동으로 풀어가면 편직하는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건이나 스웨터 등의 의류와 같은 편직물들은 편직기를 통해 제조된다.
편직기는 편직물의 재료가 되는 실이 권취되어 있는 실타래, 실타래의 실를 통해 수건이나 스웨터 등의 편직물을 짜는 편직수단, 편직수단을 통한 편직작업 완료 후 실타래의 실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편직수단은 다수의 바늘들이 정렬된 침상과 침상의 바늘들을 조작하여 편직작업을 수행시키는 캠판을 포함하고, 절단수단은 가위처럼 서로 어긋나게 회전되도록 배치된 제1칼날과 제2칼날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직기는 실타래에 감긴 실이 편직수단에 의해 게속하여 풀려나가며 편직작업을 수행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편직작업이 가능하다. 아울러, 절단수단의 칼날들은 하나의 편직물의 편직작업 완료 실타래의 실을 절단하여 다른 이전 편직작업과 다음 편직작업이 명확히 구별됨으로, 다수의 편직물의 연속적인 작업을 가능케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8741호
본 발명은, 실타래에 감겨있는 실을 자동으로 풀어가면 편직할 수 있고, 편직이 완료된 편직물을 펼친 상태로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편직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직물에 타격력을 가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직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편직물에 바람을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는, 하나 이상의 실타래에 감긴 실을 이용하여 편직하는 것으로서, 실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편직하는 편직부, 전측과 후측에 상기 편직부에 의해 편직된 편직물이 인입되는 입구 및 편직물이 인출되는 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편직물이 통행하는 통행로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편직물의 상측을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펼침유지부, 상기 편직물을 함체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이송시키며, 그 과정에서 상기 편직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진동식 제거부, 상기 함체의 출구 측에 위치된 편직물에 타격력을 전달하여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타격식 제거부, 상기 타격식 제거부를 거친 편직물을 제자리 회전을 통해 이물질을 3차로 제거하는 회전식 제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펼침유지부는 상기 편직물의 상측 전면에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편직물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전면 고정부, 상기 편직물의 상측 후면에 접촉되어 전면 고정부와 대향되며, 일면에 상기 편직물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그 이면에 반원형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후면 고정부, 상기 전면 고정부와 후면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 상기 고리에 걸려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함체의 천장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식 제거부는 상기 편직물의 전면 중앙 및 양측면을 동시에 감싸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전면 감쌈부, 상기 전면 감쌈부에 결합되어 상기 편직물의 중앙 후면에 접촉되며, 출구와 마주하는 면의 하측과 상측에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후면 감쌈부, 상기 통행로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하측과 상측에 상기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와 대응되는 하부 경사면과 상부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 지지부, 상기 함체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가 상기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과 접하여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편직물에 반복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면 감쌈부와 후면 감쌈부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전,후진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격식 제거부는 상기 후면 감쌈부의 상,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편직물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과 대향되는 타격판, 상기 타격판과 마주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타격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제거부는 제2 모터, 제2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며 상기 편직물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고정되고 회전바의 회전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실타래에 감겨있는 실을 자동으로 풀어가면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편직할 수 있고, 편직이 완료된 편직물을 펼친 상태로 이동시키며, 그 과정에서 편직물에 진동을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털어낼 수 있고, 편직물을 펼친 상태에서 타격력을 가해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편직물을 펼쳐진 상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편직물에 바람을 공급하여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깨끗한 편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함체, 펼침유지부 및 진동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펼침유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펼침유지부 및 감쌈부가 편직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감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가 편직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감쌈부가 편직물을 감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타격식 제거부가 편직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회전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회전식 제거부를 도시한 평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함체, 펼침유지부 및 진동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펼침유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펼침유지부 및 감쌈부가 편직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감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가 편직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감쌈부가 편직물을 감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타격식 제거부가 편직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회전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에 적용된 회전식 제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1)는 하나 이상의 실타래에 감긴 실을 이용하여 편직물(2)을 편직한 다음, 완성된 편직물(2)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1)는, 실을 공급하는 공급부(10),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일정크기로 편직하는 편직부(20), 편직물(2)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함체(30), 함체(3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편직물(2)이 기립된 상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펼침유지부(40), 함체(30)의 내부공간에서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식 제거부(50), 함체(30)의 출구(30b) 측에서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타격식 제거부(60), 함체(30)의 외부에서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회전식 제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0) 및 편직부(20)는 편직장치(1)에서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장치(1)는 편직물(2)의 완성 후 실타래의 실을 절단하는 절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편직장치(1)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편직물(2)은 함체(30)로 이동되어 진동식 제거부(50)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0)는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측과 후측에 편직물(2)이 인입되는 입구(30a) 및 편직물(2)이 인출되는 출구(30b)가 각각 형성되고, 입구(30a)와 출구(30b) 사이에는 편직물(2)이 통행하는 통행로(30c)가 형성된다.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유지부(40)는 함체(30)의 입구(30a)에서부터 출구(30b)까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직물(2)이 기립된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진동식 제거부(5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 고정부(41), 후면 고정부(42), 밀착부(43), 후크(44), 롤러(4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고정부(41)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직물(2)의 전면에 위치된다.
전면 고정부(41)에는 편직물(2)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밀착돌기(411)가 다수 형성된다.
후면 고정부(42)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직물(2)의 후면에 위치되어 전면 고정부(41)와 대향된다.
후면 고정부(42)에는 편직물(2)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421)가 다수 형성되며, 그 이면에는 후술되는 전,후진 구동부(55)와 결합을 위한 고리(422)가 형성된다.
밀착부(43)는 일측이 전면 고정부(41)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면 고정부(42)에 고정된다.
밀착부(43)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전면 고정부(41)와 후면 고정부(4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즉, 밀착부(43)로 인해 밀착돌기(411,412)가 편직물(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편직물(2)을 펼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후크(44)는 고리(422)에 걸려 고정부(41,42)를 일정 높이로 띄운다.
후크(44)는 상단에 롤러(45)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수직바(441)를 포함한다.
즉, 전면 고정부(41)와 후면 고정부(42)가 편직물(2)의 전,후면에 밀착되고, 후크(44)가 고리(422)에 걸리며, 수직바(441)가 롤러(45)의 축에 고정됨으로 인해, 편직물(2)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롤러(45)는 함체(30)의 천장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30d)에서 구름이동하면서 함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수직바(441)의 상측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축에는 수직바(441)의 나선이 체결되는 나선홀이 형성되어, 수직바(441)와 축은 나선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45)의 구름이동은 편직물(2)을 함체(30)의 입구(30a)에서부터 출구(30b)까지 이송시키는 진동식 제거부(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식 제거부(50)는 편직물(2)을 함체(30)의 입구(30a)에서부터 출구(30b)까지 이송시키며, 그 과정에서 편직물(2)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것으로, 전면 감쌈부(51), 후면 감쌈부(52), 상부 지지부(53), 하부 지지부(54), 전,후진 구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감쌈부(51)는 편직물(2)의 중앙을 감싸되,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편직물(2) 중에서 입구(30a)와 마주하는 전면 및 양측면을 감싼다.
전면 감쌈부(51)의 양측 내벽면에는 후술되는 후면 감쌈부(52)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51)가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감쌈부(51)는 후술되는 상,하부 지지부(53,5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후면 감쌈부(52)는 양측에 돌기(51)가 삽입되는 홈(523)이 형성되어 전면 감쌈부(51)와 결합될 수 있다.
후면 감쌈부(52)는 전면 감쌈부(51)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편직물(2)의 후면을 감싼다.
후면 감쌈부(52)는 출구(30b)와 마주하는 면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하측과 상측에 제1 경사부(521)와 제2 경사부(52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감쌈부(52)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전,후진 구동부(55)와 결합을 위한 고리(524)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감쌈부(52)는 전면 감쌈부(51)와 함께 상,하부 지지부(53,5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53)와 하부 지지부(54)는 전면 감쌈부(51)와 후면 감쌈부(52)가 마치 활 처럼 휘어 졌다가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지지하여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털려 나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부 지지부(5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0)의 천장면에 고정된다.
상부 지지부(5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함체(3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부 지지부(53)는 전면 감쌈부(51)와 후면 감쌈부(52)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그 양측이 휘어질 수 있도록 함체(30)의 좌측 끝부분과 우측 끝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53)의 하측에는 제1경사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하부 경사부가 형성된다.
하부 경사부로 인해 상부 지지부(53)의 하측 두께가 얇아 짐으로 후면 감쌈부(52) 및 전면 감쌈부(51)가 보다 많이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54)는 함체(3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하부 지지부(54)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 지지부(53)와 동일한 간격으로 함체(3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54)는 상부 지지부(53)와 수직 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54)의 상측에는 제2 경사부(522)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상부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부 경사부와 상부 경사부의 사이에는 전면 고정부(41)와 후면 고정부(4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경사부로 인해 하부 지지부(54)의 상측 두께가 얇아 짐으로 후면 감쌈부(52) 및 전면 감쌈부(51)가 보다 많이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상부 지지부(53)와 하부 지지부(54)는 전면 감쌈부(51) 및 후면 감쌈부(52)가 출구(30b)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체(30)에 볼트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후진 구동부(55)는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가 상부 경사면(541)과 하부 경사면(531)과 접하여 전면 감쌈부(51)와 후면 감쌈부(52)가 반복적으로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펼쳐짐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 구동부(55)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81)를 포함하는 탑차(80)에 탑재되어 함체(30)의 외부 출구(30b)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체에 구비되는 피스톤이 출구(30b)를 출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차(80)는 출구(30b)를 통해 함체(30)의 통행로(30c)에 인입될 수 있다.
피스톤의 끝단에는 후면 감쌈부(52)의 고리(524)에 결합되는 고리(551)가 마련된다.
이때, 후면 감쌈부(52)의 고리(524)와 피스톤의 고리(551)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이 후진하여 후면 감쌈부(52) 및 이에 결합된 전면 감쌈부(51)를 당기면 제1경사부는 상부 경사부에 지지되고, 제2 경사부(522)는 하부 경사부에 지지되어, 전면 감쌈부(51)와 후면 감쌈부(52)는 마치 활 처럼 휘어지게 되고, 이어서, 피스톤이 전진되면 제1 경사부(521)와 제2 경사부(522)가 각각 상부 경사부와 하부 경사부에서 이격되어 전면 감쌈부(51)와 후면 감쌈부(52)는 다시 펼쳐지면서 편직물(2)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감쌈부(51) 및 후면 감쌈부(52)는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 자연적으로 몇 차례 더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펼쳐지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전,후진 구동부(55)는 전면 감쌈부(51) 및 후면 감쌈부(52)가 반복적으로 휘어짐과 펼침 작동을 반복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면 감쌈부(51) 및 후면 감쌈부(52)를 반복적으로 후진 및 전진시킨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식 제거부(60)는 편직물(2)에 타격력을 전달하여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것으로, 밀착판(61), 코일스프링(62), 타격판(63), 제1 모터(64), 타격바(6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격식 제거부(60)는 진동식 제거부(50)에서 제거되지 않은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타격식 제거부(60)를 이용하여 편직물(2)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상부 지지부(53) 및 하부 지지부(54)를 함체(30)에서 분리한 다음, 펼침유지부(40)가 편직물(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진 구동부(55)를 통해 전면 감쌈부(51) 및 후면 감쌈부(52)를 후진시켜 도 7과 같이 편직물(2)을 출구(30b)측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후면 감쌈부(52)의 고리(524)에서 피스톤의 고리(551)를 분리한 다음, 함체(30)의 출구(30b)측 외부에 타격식 제거부(60)를 위치시키면 된다.
밀착판(61)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면 감쌈부(5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며, 편직물(2)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때, 후면 감쌈부(52)의 상측에 위치되는 밀착판(61)의 저면에는 후면 감쌈부(52)의 제1 경사부(521)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면 감쌈부(52)의 하측에 위치되는 밀착판(61)의 상면에는 후면 감쌈부(52)의 제2 경사부(522)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부(521)와 제2 경사부(522)에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밀착판(61)에는 제1 경사부(521)와 제2 경사부(522)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에 돌기가 삽입됨으로 후면 감쌈부(52)의 상,하측에 밀착판(61)이 고정된다.
나아가, 밀착판(61)은 편직물(2) 전체에 진동력을 고루게 전달할 수 있도록 편직물(2)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코일스프링(62)은 편직물(2)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측에 위치된 밀착판(61)과 하측에 위치된 밀착판(6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62)은 후술되는 타격판(63)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코일스프링(62)들은 밀착판(61)의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타격판(63)은 코일스프링(62)에 결합되며 밀착판(61)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타격판(63)은 밀착판(61)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터(64)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91)를 포함하는 탑차(90)에 탑재되어 함체(30)의 출구(30b)측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터(64)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 모터 또는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바(65)는 타격판(63)을 타격하는 것으로, 모터축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타격바(65) 중 타격판(63)을 타격하는 부분은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되면서 타격판(63)을 타격할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다.
타격바(65)는 제1 모터(64)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타격판(63)을 반복적으로 타격하고, 이로 인해 타격판(63)은 코일스프링(62)을 압축시키면서 밀착판(61)과 가까워지거나 또는, 코일스프링(62)의 팽창에 의해 밀착판(61)과 멀어짐을 반복하며, 결국, 편직물(2)에는 진동이 발생되어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털려 나가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제거부(70)는 함체(30)의 외부에서 제자리 회전을 통해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3차로 제거하는 것으로, 제2 모터(71), 회전바(72), 안착판(73), 팬(7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식 제거부(70)는 타격식 제거부(60)에서 제거되지 않은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회전식 제거부(70)를 이용하여 편직물(2)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펼침유지부(40)에서 편직물(2)을 분리 한 다음, 함체(30)의 외부로 꺼내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제2 모터(71)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 모터 또는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72)는 제2 모터(71)의 모터축에 편심 결합되며, 제2 모터(71)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안착판(73)은 회전바(72)에 고정되며 상면에 편직물(2)이 안착된다.
안착판(73)의 가장자리는 안착판(73)이 회전바(72)와 함께 회전할 때 편직물(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될 수 있다.
팬(74)은 안착판(73)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회전바(72)의 회전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킨다.
즉, 안착판(73)에 편직물(2)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2 모터(71)가 작동되면 회전바(72) 및 안착판(73)이 제자리 회전되어, 편직물(2)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날아가게 되며, 팬(74)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부양되는 이물질을 날려 보내 편직물(2)에 다시 가라 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편직장치 10 : 공급부
20 : 편직부 30 : 함체
30a : 입구 30b : 출구
30c : 통행로 30d : 레일홈
40 : 펼침유지부 41 : 전면 고정부
411,421 : 밀착돌기 42 : 후면 고정부
422, 524, 551 : 고리 43 : 밀착부
44 : 후크 441 : 수직바
45, 81, 91: 롤러 50 : 진동식 제거부
51 : 전면 감쌈부 51 : 돌기
52 : 후면 감쌈부 521 : 제1 경사부
522 : 제2 경사부 523 : 홈
53 : 상부 지지부 531 : 하부 경사면
54 : 하부 지지부 541 : 상부 경사면
55 : 전,후진 구동부 60 : 타격식 제거부
61 : 밀착판 62 : 코일스프링
63 : 타격판 64 : 제1 모터
65 : 타격바 70 : 회전식 제거부
71 : 제2 모터 72 : 회전바
73 : 안착판 74 : 팬
80, 90 : 탑차

Claims (2)

  1. 하나 이상의 실타래에 감긴 실을 이용하여 편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실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일정크기와 형상으로 편직하는 편직부를 포함하고,
    전측과 후측에 편직물이 인입되는 입구 및 편직물이 인출되는 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편직물이 통행하는 통행로가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편직물의 상측을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펼침유지부,
    상기 편직물을 함체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이송시키며, 그 과정에서 상기 편직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진동식 제거부,
    상기 함체의 출구 측에 위치된 편직물에 타격력을 전달하여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타격식 제거부,
    상기 타격식 제거부를 거친 편직물을 제자리 회전을 통해 이물질을 3차로 제거하는 회전식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펼침유지부는,
    상기 편직물의 상측 전면에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편직물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는 전면 고정부,
    상기 편직물의 상측 후면에 접촉되어 전면 고정부와 대향되며, 일면에 상기 편직물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그 이면에 반원형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는 후면 고정부,
    상기 전면 고정부와 후면 고정부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
    상기 고리에 걸려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함체의 천장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식 제거부는,
    상기 편직물의 전면 중앙 및 양측면을 동시에 감싸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전면 감쌈부,
    상기 전면 감쌈부에 결합되어 상기 편직물의 중앙 후면에 접촉되며, 출구와 마주하는 면의 하측과 상측에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후면 감쌈부,
    상기 통행로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하측과 상측에 상기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와 대응되는 하부 경사면과 상부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 지지부,
    상기 함체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가 상기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과 접하여 휘어졌다가 원 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편직물에 반복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면 감쌈부와 후면 감쌈부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전,후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식 제거부는
    상기 후면 감쌈부의 상,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편직물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
    상기 밀착판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판과 대향되는 타격판,
    상기 타격판과 마주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타격판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제거부는,
    제2 모터,
    제2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에 고정되며 상기 편직물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고정되고 회전바의 회전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편직장치.
  2. 삭제
KR1020200045527A 2020-04-14 2020-04-14 편직장치 KR10212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27A KR102125095B1 (ko) 2020-04-14 2020-04-14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27A KR102125095B1 (ko) 2020-04-14 2020-04-14 편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095B1 true KR102125095B1 (ko) 2020-06-19

Family

ID=7113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27A KR102125095B1 (ko) 2020-04-14 2020-04-14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94A (ko) * 1991-04-19 1992-11-19 가와세 신지 크리일 스탠드에 있어서의 섬유찌꺼기등의 집진장치
KR20040091166A (ko) * 2003-04-19 2004-10-28 중앙섬유기계 주식회사 링크스 앤 링크스 형 환편기의 스판얀 안내기구
KR101368741B1 (ko) 2013-03-07 2014-03-03 주식회사 유앤아이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KR20180033950A (ko) * 2016-09-27 2018-04-0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린넨 편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102802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세형텍스타일 편직기의 장력장치
KR20190024524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신정 니트 원단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94A (ko) * 1991-04-19 1992-11-19 가와세 신지 크리일 스탠드에 있어서의 섬유찌꺼기등의 집진장치
KR20040091166A (ko) * 2003-04-19 2004-10-28 중앙섬유기계 주식회사 링크스 앤 링크스 형 환편기의 스판얀 안내기구
KR101368741B1 (ko) 2013-03-07 2014-03-03 주식회사 유앤아이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KR20180033950A (ko) * 2016-09-27 2018-04-0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린넨 편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102802A (ko) * 2017-03-08 2018-09-18 주식회사 세형텍스타일 편직기의 장력장치
KR20190024524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신정 니트 원단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1002T3 (es) Medios para impedir la acumulacion de borra y desperdicios enlos elementos para tejer de una maquina circular de genero de punto.
KR102125095B1 (ko) 편직장치
CN106048795A (zh) 一种清洁型纺织用纱线上蜡机构
KR101194954B1 (ko)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CN105666299A (zh) 一种新型钢球处理机
KR101978458B1 (ko) 니트 원단 제조장치
US2422608A (en) Apparatus for plucking feathers
CN106048829A (zh) 一种纺织用纱线上蜡机构
JPH0316416B2 (ko)
JP2009543647A (ja) ブラシ洗浄装置
RU142886U1 (ru) Машина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термо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тканей, в частности, трикотажных
KR101252142B1 (ko) 섬유원단 처리기의 섬유원단 낙모 집진제거장치
US6880366B2 (en) Textile machine with at least one dust removal device
JPS6392518A (ja) からまり合つているか又はくつつき合つている個体をばらばらに分離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880000584B1 (ko) 우모, 섬유물질의 활성화방법
KR101106771B1 (ko) 대량의 문지 사용이 용이한 토션 레이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물 제조 방법.
KR100411836B1 (ko)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CN108642752B (zh) 一种用于纺织的单层毛线针织布料的废线清除设备
US6149092A (en) Yarn supply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CN207727318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服装生产用清洗箱
KR102291327B1 (ko) 외주면경사형 드라이빙롤러가 설치된 그물회수정렬장치
TR201907026T4 (tr) İplik şeklindeki bir malzemeye şekil verilmesi için tertibat.
CN213409664U (zh) 一种能高效清理的棉絮处理机
CN220406360U (zh) 纺织品震动除废料装置
KR102276400B1 (ko) 파일원단용 연속 텀블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