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741B1 -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741B1
KR101368741B1 KR1020130024573A KR20130024573A KR101368741B1 KR 101368741 B1 KR101368741 B1 KR 101368741B1 KR 1020130024573 A KR1020130024573 A KR 1020130024573A KR 20130024573 A KR20130024573 A KR 20130024573A KR 101368741 B1 KR101368741 B1 KR 10136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air supply
base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3002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02G1/161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yarn crimping air je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 원사공급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2 가닥 이상의 제1,2원사를 하나로 합치는 합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는 밀봉부재; 하단면에는 상기 제1,2원사가 통과하도록 원사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사통과홈은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 하면이 밀폐되며, 원사통과홈의 길이 중앙에는 수직하게 공기공급구가 천공된 합사유도부재; 상기 밀봉부재 및 합사유도부재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공급구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을 구비한 공압공급부재; 상기 공기공급홀과 상기 공기공급구 사이에 개재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2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색 혹은 서로 다른 재질의 원사를 합사하므로 결속력이 높고, 합사효율도 우수하며, 구조도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쉽고, 비용도 저렴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BRAIDING DEVICE AND KNITTING MACHINE WHICH THE SAME IS ATTATCHED}
본 발명은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게 개량된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기는 실린더 주위의 실린더홈 내에 배치된 실린더잭을 컴퓨터에 입력시킨 전자신호에 의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패턴의 편침으로 선침하여 무단으로 편직하도록 된 전자 선침장치로서, 이는 본체내에 힌지축으로서 실린더잭 구동용 슬라이더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영구자석을 부착한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컴퓨터로부터의 전자신호 유무에 따라 여자 또는 소자되는 솔레노이드를 근접되게 장착하여 솔레노이드의 자력으로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선침장치는 또한 실린더잭에 대한 슬라이더의 구동방식에 따라 크게 리프트 업 타입(Lift up type)과 푸시 인 타입(Push in type)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 작업에는 보통 신축성을 갖는 가연사와 비가연사를 함께 편직함으로써 고신축성과 재질감이 우수한 편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편직기로 실, 즉 원사를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로 공개특허 제2011-0082746호가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원사 보빈(116a,116b)에 감긴 가연사(118a)와 비가연사(118b)는 안내구(120a,120b)를 통과한 후에, 각각 텐션용 롤러(121a,121b)로 공급되고, 텐션용 롤러(121a,121b)로 공급된 가연사(118a)와 비가연사(118b)는 안내 롤러(122)와의 사이에서 텐션이 유지되면서 편직기로 공급되어 편직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직기를 이용하여 편직할 때 적어도 2가닥 이상의 실이 사용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이들 실을 합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2 종류의 실을 편직기 자체에서 합사하면서 편직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편직 전에 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998-0055982호, 등록실용 제0145606호, 공개실용 제1999-0018218호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부분 트위스트 방식, 다시 말해 2 종류의 실을 꼬아서 하나의 실이 되도록 합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트위스트 방식의 경우 두 가닥의 실을 단순히 꼬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상호 결속력이 약하고, 두꺼워져 편직작업이 불리한 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트위스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복잡다대한 구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설비비를 증대시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서로 다른 재질이나 혹은 색을 조합할 필요가 있을 때 종래 트위스트 방식은 단순 꼬아짐으로 인해 불균등한 합사가 이루어지므로 품질 측면은 물론 내구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이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합사효율이 좋고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사공급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2 가닥 이상의 제1,2원사를 하나로 합치는 합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는 밀봉부재; 하단면에는 상기 제1,2원사가 통과하도록 원사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사통과홈은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 하면이 밀폐되며, 원사통과홈의 길이 중앙에는 수직하게 공기공급구가 천공된 합사유도부재; 상기 밀봉부재 및 합사유도부재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공급구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을 구비한 공압공급부재; 상기 공기공급홀과 상기 공기공급구 사이에 개재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원사는 서로 색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재질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성질이 다른 원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통과홈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 형상을 갖고, 양측면에는 제1,2원사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압공급부재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합사유도부재 및 밀봉부재를 포함한 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색 혹은 재질이 서로 다른 제1,2원사가 각각 감겨 있는 제1,2원사드럼; 상기 제1,2원사드럼으로부터 각각 풀리면서 탄성지지되는 제1,2원사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하나의 원사로 합사하는 하우징 형태의 합사유닛; 상기 합사유닛으로부터 인출된 합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하는 편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를 부착한 편직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2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색 혹은 서로 다른 재질의 원사를 합사하므로 결속력이 높고, 합사효율도 우수하며, 구조도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쉽고, 비용도 저렴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편직기의 원사공급부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로 에어를 공급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는 하우징 형태의 합사유닛(1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합사유닛(10)은 원사공급부의 원사 배출단에 설치되어 공급된 2가닥 이상의 원사, 즉 제1,2원사(W1,W2)를 공기압축 방식으로 합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2원사(W1,W2)는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서로 색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재질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성질이 다르거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2원사(W1,W2)는 특정색의 제1원사(W1)와 다른 색의 제2원사(W2), 특정 재질의 제1원사(W1)와 다른 재질의 제2원사(W2), 가연사인 제1원사(W1)와 비가연사인 제2원사(W2) 등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도 2의 예에서, 원사공급부는 제1원사(W1)가 감겨있는 제1원사드럼(2), 제2원사(W2)가 감겨있는 제2원사드럼(3), 제1,2원사(W1,W2)를 합사유닛(10)으로 유도하는 안내롤(4) 및 상기 제1,2원사(W1,W2)에 장력을 부여하고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제1,2텐션수단(5,6)을 포함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는 제1,2원사(W1,W2)가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나오도록 안내하는 제1,2원사드럼(2,3)과, 상기 제1,2원사드럼(2,3)으로부터 풀려 나온 제1,2원사(W1,W2)를 서로 합쳐 하나의 실 형태로 만드는 합사유닛(10)과, 상기 합사유닛(10)을 거쳐 하나로 합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작업하는 편직기(6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 중 먼저, 원사공급부의 말단에 설치 사용되는 합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를 테면 베이스프레임(20), 밀봉부재(30), 합사유도부재(40), 공압공급부재(50) 및 씰링재(S)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대략 "∪" 형상의 판 부재로서, 바닥면에는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공(H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면과 직교되는 방향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밀봉부재(30)는 상기 합사유도부재(40)의 하단면을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공압 작동이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며, 고압의 공압에 의해 지속적인 타격이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합사유도부재(40)는 하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원사통과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원사통과홈(42)의 길이 중앙에는 상기 합사유도부재(40)를 상하로 관통하여 공기공급구(44)가 천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구(44)는 상기 공압공급부재(50)의 공기공급홀(52)과 맞닿게 되고, 그 사이를 씰링재(S)가 개재되어 씰링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원사통과홈(42)은 여러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원사가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파단 등이 생기지 않도록 반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반원형 단면 상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면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공급홀(52)은 상기 공압공급부재(50)의 상단면에 돌출된 공기주입관(54)과 연통되며, 상기 공기주입관(54)에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급원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 공압공급부재(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대략 '∩'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공압공급부재(50)의 개방된 양측은 상기 밀봉부재(30) 및 합사유도부재(40)가 놓이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압공급부재(50)의 양측 하단면에도 볼트공(H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압공급부재(50)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방식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하나의 컴프레셔(C)를 통해 다수의 합사유닛(10)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비를 줄이고, 제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합사유닛(10)은 제1,2,3,...n합사유닛(10a,10b,10c,...10n)으로 편직기(60, 도 2 참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3,...n합사유닛(10a,10b,10c,...10n)에는 제1,2,3,...n에어공급관(P1,P2,P3,...Pn)이 연결되며, 상기 제1,2,3,...n에어공급관(P1,P2,P3,...Pn)은 메인에어공급관(P)에 접속되고, 상기 메인공급관(P)은 상기 컴프레셔(C)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하나의 컴퓨레셔(C)로 다수개의 합사유닛(10)으로 고압의 에어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제1,2,3,...n에어공급관(P1,P2,P3,...Pn) 각각에 제1,2,3,...n밸브(V1,V2,V3,...Vn)을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개폐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메인에어공급관(P)과 연결되는 관로상에 메인밸브(V)를 설치하여 전체적인 에어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는 베이스프레임(20)의 내부 바닥면에 밀봉부재(30), 합사유도부재(40), 씰링재(S), 공압공급부재(50)가 차례로 적층된다.
그러면, 상기 밀봉주재(30)와 합사유도부재(40) 및 씰링재(S)는 상기 공압공급부재(50) 내부로 삽입되게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을 관통한 볼트(B)가 상기 공압공급부재(50)의 하단면 양측에 구비된 볼트공(H2)에 체결됨으로써 상호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30)는 상기 합사유도부재(40)의 개방된 원사통과홈(42)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가닥의 원사, 즉 제1원사(W1)와 제2원사(W2)는 베이스프레임(20)의 관통공(22)을 거쳐 일측 원사통과홈(42)으로 유입되고,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이를 통과하게 된다.
동시에, 공기주입관(54)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공기공급홀(52), 공기공급구(44)를 거쳐 두 가닥의 제1,2원사(W1,W2)를 향해 고압 분사된다.
그러면, 두 가닥의 제1,2원사(W1,W2) 각각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이 상호 엇갈리면서 일종의 니들펀칭과 같은 효과가 생기면서 서로 얽혀 일체화되는 합사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동시에, 공기는 원사통과홈(42)을 통해 빠져나가는데, 그 과정에서 합사된 원사를 균일하고 견고하게 가압, 즉 일종의 다짐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합사된 원사는 원사통과홈(42)의 반대단을 빠져나갈 때에는 한 가닥으로 합사된 원사만 나오게 되고, 이 한 가닥의 원사는 도 2에서 예시하고 있는 편직기로 공급되어 편직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의 편직기는 환편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사장치는 매우 간단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합사유닛(10)을 통해 간단 명료하면서 우수한 장력과 결합력을 가진 원사로 합사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쉽고, 설치가 용이하며, 비용도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2: 제1원사드럼 3: 제2원사드럼
10: 합사유닛 20: 베이스프레임
30: 밀봉부재 40: 합사유도부재
50: 공압공급부재 60: 편직기

Claims (5)

  1. 원사공급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2 가닥 이상의 제1,2원사를 하나로 합치는 합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는 밀봉부재;
    하단면에는 상기 제1,2원사가 통과하도록 원사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사통과홈은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 하면이 밀폐되며, 원사통과홈의 길이 중앙에는 수직하게 공기공급구가 천공된 합사유도부재;
    상기 상기 밀봉부재 및 합사유도부재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공급구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을 구비한 공압공급부재;
    상기 공기공급홀과 상기 공기공급구 사이에 개재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원사는 서로 색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재질이 다르거나 혹은 서로 성질이 다른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통과홈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 형상을 갖고, 양측면에는 제1,2원사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압공급부재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합사유도부재 및 밀봉부재를 포함한 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
  5. 색 혹은 재질이 서로 다른 제1,2원사가 각각 감겨 있는 제1,2원사드럼;
    상기 제1,2원사드럼으로부터 각각 풀리면서 탄성지지되는 제1,2원사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면서 상호 결합시켜 하나의 원사로 합사하는 하우징 형태의 합사유닛;
    상기 합사유닛으로부터 인출된 합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하는 편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사장치를 부착한 편직장치.
KR1020130024573A 2013-03-07 2013-03-07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KR10136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73A KR101368741B1 (ko) 2013-03-07 2013-03-07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73A KR101368741B1 (ko) 2013-03-07 2013-03-07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741B1 true KR101368741B1 (ko) 2014-03-03

Family

ID=5064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573A KR101368741B1 (ko) 2013-03-07 2013-03-07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18B1 (ko) 2017-04-03 2017-07-10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합사효율이 향상된 합사장치
KR101776025B1 (ko) 2017-04-03 2017-09-07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다양한 혼합사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합사장치
KR101814471B1 (ko) 2017-04-03 2018-01-04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친환경 합사장치
KR102071933B1 (ko) * 2019-09-17 2020-01-31 이지수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KR102125095B1 (ko) 2020-04-14 2020-06-19 임재균 편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482U (ko) * 1985-05-22 1986-11-28
KR20010025149A (ko) * 2000-11-01 2001-04-06 김중호 산업용 가연기의 합성섬유사 교락장치
KR20020005590A (ko) * 1999-02-16 2002-01-17 템코 텍스틸마쉬넨콤포넨텐 게엠베하 스레드의 삽입과 시동을 위한 방법 및 폴스 트위스트텍스터링 장치
JP2006052043A (ja) 2004-08-10 2006-02-23 Murata Mach Ltd スプライサーノズ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482U (ko) * 1985-05-22 1986-11-28
KR20020005590A (ko) * 1999-02-16 2002-01-17 템코 텍스틸마쉬넨콤포넨텐 게엠베하 스레드의 삽입과 시동을 위한 방법 및 폴스 트위스트텍스터링 장치
KR20010025149A (ko) * 2000-11-01 2001-04-06 김중호 산업용 가연기의 합성섬유사 교락장치
JP2006052043A (ja) 2004-08-10 2006-02-23 Murata Mach Ltd スプライサーノズ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18B1 (ko) 2017-04-03 2017-07-10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합사효율이 향상된 합사장치
KR101776025B1 (ko) 2017-04-03 2017-09-07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다양한 혼합사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합사장치
KR101814471B1 (ko) 2017-04-03 2018-01-04 주식회사 에쓰와이글리터 친환경 합사장치
KR102071933B1 (ko) * 2019-09-17 2020-01-31 이지수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KR102125095B1 (ko) 2020-04-14 2020-06-19 임재균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741B1 (ko)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CN104652031A (zh) 用于针织机的控制设备
CN103205856A (zh) 纺织机用导纱器
MY143291A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ladderproof fabrics
KR20080013764A (ko) 니트웨어 제조장치
CN201065452Y (zh) 导纱钩
CN207684629U (zh) 纱线打卷装置
CN101437993A (zh) 仿合股双色线的制造
DE502004008178D1 (de) Kabliertes kohlenstofffasergarn
CN202099522U (zh) 三色针筒机
JP3166750U (ja) 組み合わせ式縫い針ソケット構造
JP2010516913A (ja) 解撚した繊維材料から編み地を製造する編み機
CN106436034A (zh) 一种高水压水刺头
CN109811434B (zh) 压实机
KR100790440B1 (ko) 자수기용 실 공급장치
CN205856762U (zh) 送纱装置
CN105040256A (zh) 一种经编灯芯绒面料及其加工设备
CN218756251U (zh) 纺织用加弹机槽筒箱往复导丝器
KR101378853B1 (ko) 니트웨어 제조장치
CN105420866A (zh) 空气变形丝喷嘴结构
CN203398727U (zh) 高分子网套式纺织子管
CN204550976U (zh) 一种经编机用导纱针
CN202170406U (zh) 电脑针织横机纱嘴装置
CN221000046U (zh) 一种双针筒一体机橡筋线传送的改进装置
CN210826487U (zh) 一种用于生产经编面料的加捻机纱筒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