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33B1 -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 Google Patents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33B1
KR102071933B1 KR1020190114324A KR20190114324A KR102071933B1 KR 102071933 B1 KR102071933 B1 KR 102071933B1 KR 1020190114324 A KR1020190114324 A KR 1020190114324A KR 20190114324 A KR20190114324 A KR 20190114324A KR 102071933 B1 KR102071933 B1 KR 102071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yarn drum
yarn
speed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수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수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KR102019011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는 편직기가 개시된다. 이 편직기는 바디, 편직부, 제어부, 센서부 및 작업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한다. 바디는 편직부에서 편직된 편직물이 거치되며, 제어부의 신호를 기초로 바디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 유닛이 결합되며, 편직부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하여, 공기분사부가 공기를 분사하여 제1 원사 드럼에 감긴 제1 원사 또는 제2 원사 드럼에 감긴 제2 원사를 상호 결합하여 합사하도록 편직하며, 센서부는 제1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제2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유닛의 위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장치를 이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omitted}
본 발명은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의 너비를 더 넓게 만드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편직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실을 내리는 다수의 편직기용 사도(10)와, 상기 다수의 편직기용 사도(10)가 결합되는 고정구(20)와, 단바늘(31), L형 싱커(32), 장바늘(33), S형 싱커(34), 캠(35) 등이 장착되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전하도록 구성되는 실린더(30)와, 상기 고정구(20)와 실린더 (30)를 결합시키는 싱커커버(40)와, 상기 편직기용 사도(10)를 회동시키기 위한 사도올림부(50)와, 상기 단바늘 (31)과 장바늘(33) 중 어느 한 바늘을 선택적으로 올리기 위한 바늘선택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 공급장치는, 실공급릴(1)로부터의 실을 끼워 가이드하는 하부 도입아일릿(2a)과, 중간 도입아일릿(2b)과, 상부 도입아일릿(2c)으로 구성된 홀더 본체(2)와, 상기 하부 및 중간 도입아일릿(2a, 2b)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사이를 통과하는 실에 일정한 장력을 주기 위하여 축(3a) 상의 탄성스프링(3b)의 탄성력을 받아 서로 밀착되도록 두 개의 디스크(3)와, 상기 중간 및 상부 도입아일릿(2b, 2c)의 사이를 통과하는 실에 접촉되어 실이 단락되는 것을 감지하여 편직기에 정지 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스프링(4a)이 내장된 감지기(4)로 이루어진다.
편직기는 원사에 해당하는 경사와 위사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서로 교차시켜가며 직물원단을 제작하게 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직물원단은 직조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어지게 된다.
기존의 편직기들은 한가지 사이즈의 직물만 제조할 수 있어, 필연적으로 버리게 되는 직물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직물 사이즈를 넓게 제조하는 동시에,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편직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국내특허공보 10-0908489(2009.07.13.) 국내특허공개공보 10-2004-0038474(2004.05.0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정장치를 이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는 편직기는 바디, 편직부, 제어부, 센서부 및 작업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한다. 바디는 편직부에서 편직된 편직물이 거치되며, 제어부의 신호를 기초로 바디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 유닛이 결합되며, 편직부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하여, 공기분사부가 공기를 분사하여 제1 원사 드럼에 감긴 제1 원사 또는 제2 원사 드럼에 감긴 제2 원사를 상호 결합하여 합사하도록 편직하며, 센서부는 제1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제2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유닛의 위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장치를 이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편직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종래의 실 공급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또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편직기(100)는 바디(body, 110), 편직부(120), 제어부(200), 센서부(400) 및 작업자 입력부(500)를 포함한다. 편직기(1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직기(100)에 필요한 적어도 둘 이상의 원사를 공급하도록 제1 원사 드럼(810) 및 제2 원사 드럼(820)이 회전한다. 여기서, 제1 원사드럼(810)에 제1 원사가 감겨있고, 제2 원사드럼(820)에 제2 원사가 감겨있다. 제1 원사와 제2 원사는 속성이 상이할 수 있다.
편직기(100)는 바디(11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편직부에서 편직된 편직물(900)이 널리는 거치대 역할을 한다.
바디(110)에 이동이 가능한 고정 유닛(115)이 결합되어 있다. 고정 유닛(115)은 편직된 후 이동하는 편직물(900)이 옆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 유닛(115)은 제어부(200)의 신호를 기초로 바디(110)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조정한다. 일 예로, 고정 유닛(115)은 편직물의 폭보다 소정의 값(예, 5 내지 10cm 중 하나) 만큼 큰 폭이 되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바디의 폭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바디(110)는 기본 폭을 190cm로 설정하고 정 유닛(115)의 이동에 의하여 195 내지 210cm의 폭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편직기(100)의 편직부(120)는 공기분사부(122)를 포함하여, 공기분사부(122)는 풍속 90m/s 이상 100m/s 이하 속도의 공기를 분사하여 제1 원사 및 제2 원사를 상호 결합하여 합사하도록 한다. 단, 편직부(120)가 수행하는 편직은 선행기술문헌들(예, 국내특허공보 10-0908489,국내특허공개공보 10-2004-0038474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편직기(100)는 센서부(400)를 포함하며, 센서부(400)는 제1 센서부(410) 및 제2 센서부(42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410) 및 제2 센서부(420)는 제1 원사 드럼(810) 및 제2 원사 드럼(820)의 회전 속도를 각각 센싱한다.
여기서, 제1 센서부(410)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라고 하고, 제2 센서부(420)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라고 한다.
편직물 또는 편직 공법의 타입에 따라서 편직기(100)에 원사를 제공하는 제1 원사 드럼 및 제2 원사 드럼의 속도가 서로 다르게 각각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편직 공법의 일 세팅값에 따라서 제 1 원사드럼을 50~60m/s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고, 제 2 원사드럼을 100~120m/s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원사보다 제 2 원사가 추출되는 속도를 1.8~2배 빠르게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원사 드럼(810, 820)의 속도가 조정됨에 맞춰서 바디(110)와 고정 유닛(115)이 세팅되면 작업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원사 드럼(810, 820)의 속도가 조정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4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200)에서 처리하여 바디(110)의 폭을 조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제어부(200)는 프로세서(250) 및 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송수신부(260)를 통해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300)에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저장한다.
프로세서(250)는 작업시간산출부(252)를 포함하며, 작업시간산출부(252)는 센서부(400)에서 센싱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를 기초로 작업시간을 산출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250)는 상기 산출한 작업시간이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어, 작업자 교체 시간으로서 8시간) 이상인 경우 고정유닛(115)을 원래 위치로 복구하도록, 즉, 초기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정시간 이상 작업시간이 지속될 경우 작업자 또는 작업을 초기화하여 고정 유닛(115)을 원래 위치로 복구한 후 다시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신호매칭부(254)를 더 포함하며, 신호매칭부(254)는 송수신부(260)를 통해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를 각각 주기적으로 전송받지 못할 경우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 센서부(410 또는 420)를 비정상 동작상태로 판단한다.
프로세서(250)는 복구부(256)를 더 포함한다. 복구부(256)는 상기 신호매칭부(254)에서 상기 제1 센서부(410) 또는 제2 센서부(420)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된 경우, 해당 제1 센서부(410) 또는 제2 센서부(420)를 리부팅 시키는 디지털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260)를 통해 센서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매칭부(254)가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결과 제1 원사 드럼(810) 또는 제2 원사 드럼(820)의 속도가 소정의 기준값(즉, 충분히 속도가 변화되었다고 판단되는 기준이 되는 값, 예 10%이상 또는 10m/s) 이상 변화한 경우, 프로세서(250)는 상기 변화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1550)를 읽는다(loading).
표 1은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1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와 고정유닛 위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원사드럼 속도에 따른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이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는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학습되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
50 100 +2
100 50 +4
100 100 0
50 50 0
? ? ?
제어부(200)는 고정 유닛 제어 신호를 보내어 상기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1150) 및 작업자 입력부(500, 예, 핸들)의 입력을 기초로 바디(110)에 연결된 고정 유닛(115)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상기 고정 유닛 제어 신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읽은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한 주기의 처음 50% 기간 동안 움직이고, 작업자 입력부(500)에 따른 미세조정입력을 반영하여 상기 한 주기의 나머지 50% 기간 동안 움직이도록 하는 신호이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500)에서 미세조정입력의 크기, 회전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학습 데이터에서 적어도 3회 이상 반복된 미세 조정 움직임 패턴의 크기, 회전 및 이동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300)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한 데이터들은 다음 주기 때 고정 유닛(115)를 조정함에 반영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바디(body, 110), 편직부(120), 제어부(200), 센서부(400) 및 작업자 입력부(500)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300)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하는,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편직부에서 편직된 편직물이 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바디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 유닛(115)이 결합되며;
    상기 편직부는 공기분사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분사부(122)가 공기를 분사하여 제1 원사 드럼(810)에 감긴 제1 원사 또는 제2 원사 드럼(820)에 감긴 제2 원사를 합사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원사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12) 및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센싱한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422)를 기초로 상기 고정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250) 및 송수신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작업시간산출부(252)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한 작업시간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고정 유닛을 초기값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각각 주기적으로 전송받지 못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 센서부를 비정상 동작상태로 판단하는 신호매칭부(254)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복구부(256)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부는 상기 신호매칭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또는 제2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된 센서부를 리부팅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센서부(400)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호매칭부가 상기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결과 상기 제1 원사 드럼 및 제2 원사 드럼의 속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 변화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기준값 이상 변화한 제1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 및 제2 원사드럼 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를 읽는(loading)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은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작업자 입력부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고정 유닛을 이동시키는 고정 유닛 제어 신호를 상기 고정 유닛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고정 유닛 제어 신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은 고정 유닛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하나의 주기의 처음 50% 기간 동안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작업자 입력부에 따른 미세조정입력을 반영하여 상기 주기의 나머지 50% 기간 동안 움직이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는 편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로부터 크기, 회전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미세조정입력 학습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학습 데이터에서 적어도 3회 이상 반복된 미세 조정 움직임 패턴의 크기, 회전 및 이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기의 다음 주기에 상기 업데이트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업데이트한 데이터들은 수신하여 상기 고정 유닛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는 편직기.
KR1020190114324A 2019-09-17 2019-09-17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KR102071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24A KR102071933B1 (ko) 2019-09-17 2019-09-17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24A KR102071933B1 (ko) 2019-09-17 2019-09-17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33B1 true KR102071933B1 (ko) 2020-01-31

Family

ID=6936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24A KR102071933B1 (ko) 2019-09-17 2019-09-17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636A (ko) * 1997-10-02 1999-05-06 신태준 횡편기의 자동 편폭조절장치
KR20040038474A (ko) 2002-11-01 2004-05-08 김수명 편직기의 실 공급장치
KR100908489B1 (ko) 2007-07-30 2009-07-2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JP4956667B2 (ja) * 2007-05-10 2012-06-20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フィラメントの合糸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ィラメント合糸物
KR101368741B1 (ko) * 2013-03-07 2014-03-03 주식회사 유앤아이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KR101377446B1 (ko) * 2011-12-27 2014-03-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과 그 장치
KR101520525B1 (ko) * 2011-06-08 2015-05-14 산토니 에쎄.뻬.아. 니트웨어 또는 양말류용 환편기에서 생산하는 편직 물품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636A (ko) * 1997-10-02 1999-05-06 신태준 횡편기의 자동 편폭조절장치
KR20040038474A (ko) 2002-11-01 2004-05-08 김수명 편직기의 실 공급장치
JP4956667B2 (ja) * 2007-05-10 2012-06-20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フィラメントの合糸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ィラメント合糸物
KR100908489B1 (ko) 2007-07-30 2009-07-2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KR101520525B1 (ko) * 2011-06-08 2015-05-14 산토니 에쎄.뻬.아. 니트웨어 또는 양말류용 환편기에서 생산하는 편직 물품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정
KR101377446B1 (ko) * 2011-12-27 2014-03-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용의 편성데이터의 생성방법과 그 장치
KR101368741B1 (ko) * 2013-03-07 2014-03-03 주식회사 유앤아이 합사장치 및 이를 부착한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73445A (ja) 複数本の糸を用いて運転される繊維機械に、糸を一定の取り込み長で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9173445A5 (ko)
EP1832674B1 (en) Weft knittng machine with density adjusting function,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program
KR101569011B1 (ko) 횡편기와 횡편기에서의 편성방법
CN1837432B (zh) 用于纱线喂入控制的纺织机械
KR102071933B1 (ko) 바디의 너비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직물을 생산하는 편직기
EP1055756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attern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664208B (zh) 一种纺织机器和它的控制方法
CN102131971B (zh) 横机
KR102072812B1 (ko) 경편기의 시동 방법 및 경편기
CN102817167B (zh) 在针织服或袜类用圆针织机上于生产中调节针织品尺寸的方法
CN101161894A (zh) 针织机中的张力设定方法和针织机
KR102393168B1 (ko) 기계학습에 의한 편성기의 구동 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처리 시스템
GB235012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 adjustment for differing knitwear
US3464236A (en) Knitting machine employing compensating motion for knitting effect thread
US5107689A (en) Device for switching on and off at least one functional unit of a knitting machine
US2775881A (en) Guide bar shogging means for knitting machines
KR102102337B1 (ko) 횡편기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3차원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
US4368626A (en) Crochet knitting machine with weft bar adjustment and guide assembly
CN104562422B (zh) 对平型针织机上的纱线消耗量进行监控和调节
WO2022158251A1 (ja) インバースプレーティング用補正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生成システム
US3375681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s and method of knitting
US6810696B1 (en) Method for trimming loose threads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01994200A (zh) 流体喷射式织机的引纬装置
US1608285A (en) Chine wo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