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29B1 -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29B1
KR102124829B1 KR1020200015992A KR20200015992A KR102124829B1 KR 102124829 B1 KR102124829 B1 KR 102124829B1 KR 1020200015992 A KR1020200015992 A KR 1020200015992A KR 20200015992 A KR20200015992 A KR 20200015992A KR 102124829 B1 KR102124829 B1 KR 10212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ain body
line
end lin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원
이강해
Original Assignee
유성원
이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원, 이강해 filed Critical 유성원
Priority to KR102020001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29B1/ko
Priority to KR1020200030827A priority patent/KR102292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29B1/ko
Priority to PCT/KR2021/001808 priority patent/WO20211624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3Tread wear sensors, e.g. electronic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6Tread wear monito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tire)와 도로의 마찰력에 의해 주행한다. 타이어에서 트레드(tread)는 도로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도로 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드의 마모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과 직결되기에 타이어 평가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트레드에는 제동력과 구동력 향상을 위하여 홈(그루브(groove)라고 불리기도 한다)이 깊게 파여 있다. 즉, 타이어의 트레드에 무늬가 없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이 많이 발생하여 위험하기에, 홈은 타이어의 드레드에 형성되어,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트레드의 마모량은 트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와 형성 방향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홈의 형성 방향에 따라 리브형, 러그형, 블록형 등과 같은 다양한 패턴을 갖는 트레드가 있다.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가 마모되기에, 트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는 점점 얕아진다. 결국에는 트레드는 무늬가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어, 차량의 제동력은 감소되고, 차량 탑승자는 안전에 있어 위협받게 된다.
종래에 운전자는 타이어의 드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직접 측정하고, 홈의 깊이가 감소된 경우에 타이어를 교체하였다. 이로 인해, 타이어 생산 업체는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삼각형을 표시하였다. 또한, 타이어의 원주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된 삼각형을 따라가면, 홈의 일부에는 돌출된 부분이 있고, 운전자는 돌출된 부분의 높이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트레드 높이가 같은 경우에 타이어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타이어의 트레드가 어느 정도 마모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직접 육안으로 타이어의 트레드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차량의 주행 중에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육안으로 타이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메인 몸체;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1 서브 몸체; 및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제 1 메인 몸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메인 몸체;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 2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2 서브 몸체; 및 결합 돌기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 지점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연결 라인을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되어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1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에서 결합 돌기 주위에 위치되며, 양종단이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 1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종단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종단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가 위치되고,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가 위치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볼트 결합되어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가 상호 간에 접촉될 때, 제 1 연결 라인은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며,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는 마모되어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압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입력단 라인의 종단 및 출력단 라인의 종단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제 2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될 때, 처리부는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마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마모율은 처리부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현재 측정된 전압값을 처리부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임계 전압값을 뺀 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산출되고, 처리부는 산출된 타이어의 마모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차량에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고, 차량에는 출력 신호에 따른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출력단 라인과 전원부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전류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처리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육안으로 타이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감지될 수 있다.
(2) 타이어의 마모된 정도가 보다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3)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설치된 다양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설치된 다양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제 1 몸체(101), 제 2 몸체(102), 전원부(103) 및 처리부(104)를 포함하고, 차량(1)에 장착된 타이어(10; tire)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트레드(11; tread)에 설치되어, 타이어(10)에서 트레드(11)의 외주면의 마모를 감지하고, 감지된 트레드(11)의 외주면의 마모 상태를 차량(1)에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드(11)는 타이어(10)에서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고무층이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트레드(1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은 트레드(11)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노면과 마주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특히, 노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11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는 제 1 메인 몸체(111), 제 1 서브 몸체(113) 및 결합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인 몸체(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서브 몸체(113)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일종단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서브 몸체(113)의 외경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결합 돌기(115)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 돌기(1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 돌기(115)의 외경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몸체(101)에서 결합 돌기(115)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 및 제 1 메인 몸체(11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점점 삽입되어, 제 1 서브 몸체(113)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타이어(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서브 몸체(113)가 타이어(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때까지, 결합 돌기(115) 및 제 1 메인 몸체(11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제 1 몸체(101)에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10)의 내주면은 타이어(10)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트레드(11)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몸체(102)는 제 2 메인 몸체(121), 제 2 서브 몸체(123) 및 결합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메인 몸체(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 2 서브 몸체(123)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121)의 일종단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2 서브 몸체(123)의 외경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결합홈(125)은 결합 돌기(115)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2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홈(125)의 내경은 결합 돌기(115)의 외경에 대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돌기(115)는 결합홈(125)에 삽입되어 결합홈(125)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가 결합홈(125)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과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은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몸체(102)에서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제 1 메인 몸체(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메인 몸체(121)가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되면서, 결합 돌기(115)와 결합홈(125)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 2 서브 몸체(123)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서브 몸체(123)가 타이어(10)의 내주면 상에 위치될 때까지,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인 몸체(121)는 제 1 메인 몸체(1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115)는 결합홈(125)에 볼트 결합되어 완전히 삽입되면,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 접촉될 수 있고, 제 1 서브 몸체(113) 및 제 2 서브 몸체(123)는 각각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상호 간에 결합되어 타이어(10)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결합 돌기(115)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115a)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125)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115a)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125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3(c) 참조). 삽입 돌기(115a)가 뾰쪽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경우,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위치된 경우,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서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제 2 몸체(102)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는 제 2 몸체(102)에 공급될 수 있고, 제 1 몸체(101)에도 공급될 수 있다. 즉, 전원부(103)는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원부(103)는 차량(1)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축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3)는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 라인(131)은 전원부(103)와 제 2 몸체(1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입력단 라인(131)은 전원부(103)의 (+)극에 연결된다. 전류는 입력단 라인(131)을 통해 전원부(103)로부터 제 2 몸체(102)로 유동할 수 있다.
출력단 라인(133)은 입력단 라인(131)으로부터 이격되고, 전원부(103)와 제 2 몸체(1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출력단 라인(133)은 전원부(103)의 (-)극에 연결된다. 전류는 출력단 라인(133)을 통해 제 2 몸체(102)로부터 전원부(103)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원부(103)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유동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102)의 제 2 메인 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홈(125) 주위에 연결 라인(120)이 위치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c) 참조). 한편, 연결 라인(120)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연결 라인(120)은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종단은 각각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0)의 적어도 일 지점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에 위치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순서대로 마모될 수 있다. 특히, 제 1 메인 몸체(111)가 마모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마모가 시작되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은 거의 마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인 몸체(121)가 마모되어, 연결 라인(120)은 마모되어 단선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0)이 단선되면, 전원부(103)에 의한 전류는 연결 라인(120)에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몸체(101)의 제 1 메인 몸체(111)의 내부에는 결합 돌기(115) 주위에 제 1 연결 라인(120a)이 위치되고, 제 2 몸체(102)의 제 2 메인 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홈(125) 주위에 제 2 연결 라인(120b)이 위치될 수 있다(도 3(b) 참조). 한편, 제 1 연결 라인(120a)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연결 라인(120b)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20a)은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양종단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115) 주위를 따라 제 1 연결체(120a')가 위치되고, 제 1 연결체(120a')는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연결 라인(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 라인(120b)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연결 라인(120b) 중 어느 하나는 입력단 라인(131)에 연결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제 2 연결 라인(120b) 중 다른 하나는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125) 주위를 따라 제 2 연결체(120b')가 위치되고, 제 2 연결체(120b')는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연결 라인(120b)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가 결합홈(125)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1 연결체(120a') 및 제 2 연결체(120b')는 상호 간에 접촉되어 압축될 수 있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과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결 라인(120a)의 양종단은 연결체(120a')에 접촉되고 제 2 연결 라인(120b)의 종단은 제 2 연결체(120b')에 접촉되어, 제 1 연결 라인(120a)의 양종단은 각각 제 2 연결 라인(120b)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는 마모될 수 있다. 특히, 제 1 메인 몸체(111)가 거의 마모되면,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은 거의 마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인 몸체(111)의 마모에 의해 제 1 연결 라인(120a)은 마모되어 단선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20a)이 단선되면, 전원부(103)에 의한 전류는 제 2 연결 라인(120b) 및 제 2 연결체(120b)에서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d) 참조). 여기서,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은 각각 종단면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제 2 몸체(102)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03)가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할 때,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저항으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101)에서 제 1 메인 몸체(111) 및 제 1 서브 몸체(113) 및 제 2 몸체(102)에서 제 2 메인 몸체(121) 및 제 2 서브 몸체(123)는 절연 재료로 피복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순서대로 마모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마모되면서 작아지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처리부(104)는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04)는 전류 측정부(141), 전압 측정부(143) 및 처리 몸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141)는 전원부(103)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133)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43)는 입력단 라인(131)과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131)과 출력단 라인(133)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다.
처리 몸체부(145)는 전류 측정부(141) 및 전압 측정부(143)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141)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타이어(10)에 위치되고, 전원부(103)가 전류를 제 2 몸체(102)에 공급할 때, 전류 측정부(141)는 일정한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의 마모에 의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마모됨에 따라, 연결 라인(120)이 단선되거나, 제 1 연결 라인(120a)이 단선될 수 있다. 이는 돌출 영역(11a)이 거의 마모된 상태, 즉,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류는 연결 라인(120)에서 유동되지 않아, 전류 측정부(141)는 전류값을 0A로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도 3(a) 및 도 3(c) 참조). 또한, 전류가 제 1 연결 라인(120a)에서 유동되지 않아, 전압 측정부(143)는 변화된 전압값, 특히 감소된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도 3(b) 참조)
또한, 출력 신호는 차량(1)에 전송되어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이거나,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은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텍스트 및 이미지는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차량 탑승자는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를 통해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인지하고 타이어(1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마모된 제 2 몸체(102) 및 연결 라인(120)은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수리된 이후에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새로운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3(b)에 도시된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마모되지 않는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새로운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도체로 이루어져, 전원부(103)에 대한 저항으로써 작용하는 경우,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의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마모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감소되는 저항값을 나타낼 수 있다(도 3(d) 참조).
전압 측정부(143)는 점점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전압 측정부(143)에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하여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의 마모에 대응되는 타이어(10)의 마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10)의 마모율은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현재 측정된 전압값을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임계 전압값을 뺀 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전압값은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가 트레드(11)의 돌출 영역(11a)에 설치되고 돌출 영역(11a)의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을 의미하고, 임계 전압값은 트레드(11)의 돌출 영역(11a)이 거의 마모된 상태, 즉,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때,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몸체(101)가 거의 마모된 상태일 때, 임계 전압값이 측정될 수 있다. 즉, 타이어(10)의 마모율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에 대비하여 타이어(10)의 마모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처리 몸체부(145)는 타이어(10)의 마모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신호를 통해 차량(1)(예를 들어, 계기판 등)에 타이어(10)의 마모율을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측정부(143)가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차량(1)에 전송되어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이거나,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음향은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텍스트 및 이미지는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차량 탑승자는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를 통해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인지하고 타이어(10)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우, 전압 측정부(143)가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제 2 몸체(102)는 마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10)의 교체가 이루어지면, 마모되지 않는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교체된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제 1 몸체(101)가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 2 몸체(10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몸체(101)는 돌출 영역(11a)들 사이의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 2 몸체(10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어디에서나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볼트 결합되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3)는 제 2 몸체(102)에 연결되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하고, 처리부(104)는 상기의 회로에서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마모값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 예를 들어, 돌출 영역(11a)의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마모될 때, 처리부(104)는 변하는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는 차량(1)에서 타이어의 마모율의 형태로 출력되기도 하고,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음향, 텍스트,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육안으로 타이어(10)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차량(1)의 내부에서 타이어(10)의 마모를 감지할 수 있고, 타이어(10)의 마모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를 타이어(10)의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삽입시켜 상호 간에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 볼트 결합된다. 또한, 타이어(10)의 트레드(11)에는 제 1 몸체(101)의 외경 이하의 내경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천공 작업은 타이어(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타이어(10)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타이어(10)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타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101: 제 1 몸체
102: 제 2 몸체
103: 전원부
104: 처리부

Claims (10)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제 1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메인 몸체;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1 서브 몸체; 및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위치되며,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제 1 메인 몸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메인 몸체;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 2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2 서브 몸체; 및
    결합 돌기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 지점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연결 라인을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되어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1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에서 결합 돌기 주위에 위치되며, 양종단이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 1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종단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종단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가 위치되고,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가 위치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볼트 결합되어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가 상호 간에 접촉될 때, 제 1 연결 라인은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며,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는 마모되어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압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돌기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입력단 라인의 종단 및 출력단 라인의 종단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제 2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될 때, 처리부는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마모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7.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입력단 라인의 종단 및 출력단 라인의 종단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제 2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될 때, 처리부는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마모율을 산출하며,
    타이어의 마모율은 처리부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현재 측정된 전압값을 처리부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임계 전압값을 뺀 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산출되고,
    처리부는 산출된 타이어의 마모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차량에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고,
    차량에는 출력 신호에 따른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출력단 라인과 전원부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전류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처리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20200015992A 2020-02-10 2020-02-1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212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92A KR102124829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20200030827A KR102292720B1 (ko) 2020-02-10 2020-03-12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PCT/KR2021/001808 WO2021162464A1 (ko) 2020-02-10 2021-02-1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92A KR102124829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827A Division KR102292720B1 (ko) 2020-02-10 2020-03-12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29B1 true KR102124829B1 (ko) 2020-06-22

Family

ID=71142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92A KR102124829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20200030827A KR102292720B1 (ko) 2020-02-10 2020-03-12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827A KR102292720B1 (ko) 2020-02-10 2020-03-12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24829B1 (ko)
WO (1) WO202116246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64A1 (ko) * 2020-02-10 2021-08-19 유성원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CN113340740A (zh) * 2021-06-02 2021-09-03 徐州海瑞电动车科技有限公司 电动车轮毂承压测试台
EP4015251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tread wear sensor plug
EP4015252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Vehicle tire sensor retaining system
EP4015256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sensor container system
EP4015255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polymer plug for tread wear sen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4197769A1 (en) * 2021-12-15 2023-06-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and system for tire tread wear sensing and electrostatic dischar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57736A1 (en) * 2022-11-15 2024-05-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Inclusion of a sensor in a t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9291A1 (de) * 2013-08-06 2015-02-12 Intread Gmbh Messelement zur anordnung in einer lauffläche eines reifens
KR20180026980A (ko) * 2016-09-05 2018-03-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115U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자동차 타이어 마모 검출장치
US9649889B2 (en) * 2012-12-13 2017-05-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utonomous, plug-in wear or abrasion sensing system
JP5933473B2 (ja) * 2013-03-15 2016-06-0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摩耗検出装置
KR102124829B1 (ko) * 2020-02-10 2020-06-22 유성원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9291A1 (de) * 2013-08-06 2015-02-12 Intread Gmbh Messelement zur anordnung in einer lauffläche eines reifens
KR20180026980A (ko) * 2016-09-05 2018-03-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64A1 (ko) * 2020-02-10 2021-08-19 유성원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EP4015251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tread wear sensor plug
EP4015252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Vehicle tire sensor retaining system
EP4015256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sensor container system
EP4015255A1 (en) * 2020-12-15 2022-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polymer plug for tread wear sen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628695B2 (en) 2020-12-15 2023-04-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sensor container system for improved sensor functionality and longevity
US11639077B2 (en) 2020-12-15 2023-05-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tread wear sensor plug
US11738604B2 (en) 2020-12-15 2023-08-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nsor retaining system for vehicle tire
CN113340740A (zh) * 2021-06-02 2021-09-03 徐州海瑞电动车科技有限公司 电动车轮毂承压测试台
CN113340740B (zh) * 2021-06-02 2021-12-21 徐州海瑞电动车科技有限公司 电动车轮毂承压测试台
EP4197769A1 (en) * 2021-12-15 2023-06-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and system for tire tread wear sensing and electrostatic dis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08A (ko) 2021-08-19
KR102292720B1 (ko) 2021-08-23
WO2021162464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29B1 (ko)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CN104228477B (zh) 用于轮胎磨损监测的可磨蚀传感器系统
TWI652203B (zh) 用於支承軸尤其舵桿或舵葉之軸承,電子軸承間隙測量裝置,包括用於支承軸或舵葉的軸承之舵以及用於測量支承軸或舵葉的軸承的磨損之方法
JP5631335B2 (ja) 自動車用タイヤのトレッド溝深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4228476B (zh) 在轮胎中安装胎面磨损传感器的方法
JP4549975B2 (ja) タイヤ状態推定方法
US7280036B2 (e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CA2391788A1 (en)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CN111315595A (zh) 充气轮胎、轮胎磨耗信息取得系统、及充气轮胎的磨耗信息取得方法
JP73535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869917B2 (ja) 摩耗度指示タイヤ
US10190863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layer of rubber-like material
KR101388465B1 (ko) 타이어의 트레드 마모도 측정장치
KR102185704B1 (ko) 마모 감지형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모 감지형 타이어
KR20180026980A (ko) 타이어 시스템
KR102379769B1 (ko)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2379770B1 (ko)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KR101790231B1 (ko) 전도성 트레드가 구비되는 타이어를 이용한 타이어 변형 및 노면상태 실시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TE518706T1 (de) Haftmessungen zwischen einem kraftfahrzeugrad und der fahrbahn
US20190241023A1 (en) Tpms with acoustic sensor
CN210390648U (zh) 一种汽车轮胎磨损自动检测装置
JP2009126420A (ja) タイヤ摩耗検知システム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US202301825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re tread wear sensing and electrostatic discharge
TWM520030U (zh) 胎紋深度偵測警示裝置
KR101676455B1 (ko) 공기압 점검용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