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708B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708B1
KR102124708B1 KR1020180153500A KR20180153500A KR102124708B1 KR 102124708 B1 KR102124708 B1 KR 102124708B1 KR 1020180153500 A KR1020180153500 A KR 1020180153500A KR 20180153500 A KR20180153500 A KR 20180153500A KR 102124708 B1 KR102124708 B1 KR 10212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oor
chain
brak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863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8015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7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2003/228Arrangements where the end of the closer arm is sliding in a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도어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스프링푸셔가 상호 마주보면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스프링푸셔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두 개의 스프링푸셔를 탄성 지지하고, 체인의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지지체가 두 개의 스프링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를 지그잭으로 감싸는 상기 체인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가 문틀에 설치된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인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와 스프링푸셔가 이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체인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두 개의 스프링푸셔와 체인지지체의 이동에 따라 체인의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푸셔의 이동 거리보다 체인의 이동 거리를 세 배로 할 수 있어 제품의 길이 방향의 크기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으며, 도어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는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여닫이식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도록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시설물의 출입문이나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현관문 등과 같은 여닫이식 도어에는 통상적으로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도어 체크라고도 함)가 도어에 설치되며, 종래에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기어축(링크샤프트이라고도 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하우징 내부의 일 측에 배치된 스프링과,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스프링을 가압하여 도어 폐쇄를 위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스프링푸셔를 구비함과 아울러 유압 등과 같은 댐핑 구조를 이용하여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늦추게 된다.
이러한 도어클로저에는 두 개의 링크와 하나의 힌지부재로 구성되되어 있으며, 일 예로서 종래에는 특허출원번호 제10-1994-0007429로 등으로 출원된 기술이 많이 있으며, 이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클로저의 기어축의 한쪽 단부가 두 개의 링크 중의 하나의 링크의 단부와 결합되고,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재에 두 개의 링크 중의 다른 하나의 링크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두 개의 링크를 상호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도어를 닫히게 한다.
그리고 패닉디바이스(일명 패닉바라고도 함)는 사용자가 밀어서 도어를 개방하기 편하도록 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패닉디바이스의 누름부를 밀어눌러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면서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두 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도어클로저의 탄성력을 도어로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저의 위치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의 위치를 도어의 회전 중심측으로 근접하여 설치하기 어렵고, 특히 두 개의 링크가 돌출되는 형태이므로 도어의 중앙부에 위치한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를 닫히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푸셔의 이동에 따라 체인의 이동 거리를 세 배로 하여 작은 크기로도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게 하며, 특히 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스프링푸셔가 상호 마주보면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스프링푸셔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두 개의 스프링푸셔를 탄성 지지하고, 체인의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지지체가 두 개의 스프링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를 지그잭으로 감싸는 상기 체인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가 문틀에 설치된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인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와 스프링푸셔가 이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스프링푸셔의 측면과 이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이동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이동체에 브레이크패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패드부와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이동 속도를 낮추는 브레이크바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구멍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탄성체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이동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가 테체결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일측과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 사이에 브레이크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로 상기 브레이크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패드부와 브레이크바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체인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으며, 두 개의 스프링푸셔와 체인지지체의 이동에 따라 체인의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링푸셔의 이동 거리보다 체인의 이동 거리를 세 배로 할 수 있어 제품의 길이 방향의 크기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으며, 도어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는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두 개의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각각 줄이는 브레이크수단으로 브레이크바와 브레이크패드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하여 도어의 초기 닫힘 속도와 후기 닫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가 패닉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 B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에 적용되는 브레이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가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어 클로저(1)가 도어프레임(2)과 도어(3)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프레임(2)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3)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구조이며, 본 실시에에서는 일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1)가 패닉디바이스(4)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도어 클로저(1)는 도어프레임(2)과 도어(3) 사이의 어떠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에 두 개의 스프링푸셔(12)와 하나의 스프링(13), 두 개의 체인지지체(14) 및 체인(15)이 설치되며, 하우징(11)의 외부에 위치하는 힌지부재(16)가 상기 체인(15)의 단부와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부재(16)가 상기 도어프레임(2)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이 상기 도어(3)에 설치된다.
물론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푸셔(12)를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체인(15)을 출입시키기 위한 체인출입구멍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 개의 스프링푸셔(12)는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두 개의 스프링푸셔(12)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13)이 설치되어 하나의 스프링(13)으로 두 개의 스프링푸셔(1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프링푸셔(12) 중의 하나에 암나사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13a)에 체결되는 스프링조정부재(13a)를 이용하여 스프링(13)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인지지체(14)는 상기 체인(15)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스프링푸셔(12)의 상부 또는 하부,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프링푸셔(1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체인지지체(14)를 갖추게 된다.
물론 상기 체인지지체(14)는 체인(15)과 결합되는 스프로킷이나 체인(15)을 단순 지지하는 풀리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15)의 일부가 상기 체인지지체(14)의 둘레를 감싸는 것이어서, 스프링푸셔(12)와 체인지지체(14)의 이동 거리보다 체인(15)이 이동 거리를 세배로 하기 위해서, 상기 체인(15)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14)를 지그잭으로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15)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11) 내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체인(15)의 타측 단부가 문틀에 설치된 힌지부재(16)에 설치되어 도어(3)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인(15)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14)와 스프링푸셔(12)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3)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스프링지지체(14)와 스프링푸셔(12)가 이동되면서 상기 체인(15)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출입되는 것이며, 스프링푸셔(12)가 상기 체인(15)을 지지하면서 이동되므로 스프링푸셔(12)의 이동거리의 세배로 체인(15)의 단부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푸셔(12)의 이동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스프링푸셔(12)의 측면과 이와 대응하는 하우징(11)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스프링푸셔(12)와 하우징(11)의 일측에 브레이크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브레이크수단이 스프링푸셔(12)와 하우징(1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하우징(11)의 측면에 가이드구멍(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이동체(21)가 상기 스프링푸셔(12)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이동체(21)에 브레이크패드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22)의 패드부(22a)와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이동 속도를 낮추는 브레이크바(23)가 상기 하우징(11)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구멍(11c)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암나사부(21a)를 구비하는 탄성체지지부(21b)가 상기 브레이크이동체(21)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21a)에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24)가 체결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22)의 일측과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24) 사이에 브레이크스프링(25)을 개재하여 상기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24)로 상기 브레이크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22)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22)의 패드부(22a)와 브레이크바(23)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22)의 회전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패드부(22a)가 위치하도록 하여 도어(3)를 개방할 경우 즉 스프링푸셔(12)가 스프링(13)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브레이크패드부재(22)와 브레이크바(23)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3)를 개방할 때에는 브레이크수단의 마찰력을 줄여서 도어(3)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도어(3)가 닫힐 때에는 브레이크수단의 마찰력으로 스프링푸셔(12)의 이동속도를 늦추어서 도어(3)가 천천히 닫히게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를 개방할 때를 살펴보면 도어(3)의 모서리부가 체인(15)와 접촉하게 되므로 도어(3)의 모서리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인(15)이 위치되는 부위의 상기 도어(3)에 고정 설치되는 제1체인이격지지체(31a)와, 상기 제1체인이격지지체(31a)와 힌지 결합되는 제2체인이격지지체(31b)로 이루어지는 체인이격지지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3)가 개방될 때에 상기 제2체인이격지지체(31b)가 상기 체인(15)과 도어(3)의 모서리를 비접촉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체인이격지지체(31b)가 상기 체1체인이격지지체(31a)와 힌지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90도로 이하로 꺽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체2체인이격지지체(31b)가 힌지부재(16)으로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2체인이격지지체(31b)와 체1체인이격지지체(31a)가 180도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어(3)가 개방되면서 체인(15)가 도어(3)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어(3)가 닫힐 때에는 도어(3)와 도어프레임(2) 모서리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체인이격지지체(31b)가 쉽게 접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체인이격지지체(31)에 의해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도어(3)가 개방되면서 체인(15)이 도어(3)의 모서리에 근접하더라도 체인(15)이 도어(3)의 모서리로부터 이격하여 체인(15)이 도어(3)의 모서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체인이격지지체(31a)와 제2체인이격지지체(31b) 사이에 리턴스프링을 설치하여 제2체인이격지지체(31b)가 도 5와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면 도 9에서 도 5로 도어(3)가 닫힐 때 제2체인이격지지체(31b)가 도어(3)와 도어프레임(2) 사이에 더욱 원활하게 걸리지 않게 됨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1)는 도 5 내지 도 9와 같이 도어(3)를 개방하면 도어(3)의 개방 각도에 따라 힌지부재(16)과 하우징(11)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즉 도어(3)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힌지부재(16)와 하우징(1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힌지부재(16)에 연결되는 체인(15)이 하우징(11)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14)와 스프링푸셔(12)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스프링(13)을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도어(3)에 외력을 가지지 않으면 압축된 스프링(13)의 탄성력이 스프링푸셔(12)를 이동시켜서 도 9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도어(3)를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3)가 닫힐 때, 브레이크수단에 의해 두 개의 스프링푸셔(12)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도어(3)가 천천히 닫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체인이격지지체(31)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5)을 도어(3)의 모서리부로부터 이격 지지하게 되어 도어(3)에 체인(15)이 닿지 않도록 하여 체인(15)에 의해 도어(3)의 모서리부가 파손되는 것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도어 클로저 11 : 하우징
12 : 스프링푸셔 13 : 스프링
14 : 체인지지체 15 : 체인
16 : 힌지부재 17 : 링크
21 : 브레이크이동체 22 ; 브레이크패드부재
23 : 브레이크바 24 :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
31 : 체인이격지지체

Claims (4)

  1. 도어프레임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스프링푸셔가 상호 마주보면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스프링푸셔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두 개의 스프링푸셔를 탄성 지지하고, 체인의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지지체가 두 개의 스프링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를 지그잭으로 감싸는 상기 체인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가 문틀에 설치된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인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와 스프링푸셔가 이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체인이격지지체와, 상기 제1체인이격지지체와 힌지 결합되는 제2체인이격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체인이격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체인이격지지체가 도어가 개방될 때에 체인과 도어의 모서리를 비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스프링푸셔의 측면과 이와 대응하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이동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이동체에 브레이크패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패드부와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이동 속도를 낮추는 브레이크바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구멍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탄성체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이동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가 테체결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일측과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 사이에 브레이크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브레이크스프링조정구로 상기 브레이크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부재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패드부와 브레이크바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4. 삭제
KR1020180153500A 2018-12-03 2018-12-03 도어 클로저 KR10212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00A KR102124708B1 (ko) 2018-12-03 2018-12-03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00A KR102124708B1 (ko) 2018-12-03 2018-12-03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63A KR20200066863A (ko) 2020-06-11
KR102124708B1 true KR102124708B1 (ko) 2020-06-18

Family

ID=7107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500A KR102124708B1 (ko) 2018-12-03 2018-12-03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74B1 (ko) * 2021-03-03 2023-01-12 김경태 체인타입의 공압식 도어클로저
KR102488391B1 (ko) * 2022-01-11 2023-01-13 (주)예성글로벌 도어클로저 기능을 갖는 패닉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32734U (zh) 2017-09-29 2018-05-08 上海宝钢工业技术服务有限公司 便捷式护栏门自动关闭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5972A (en) * 1932-06-01 1933-04-25 Walter F Foster Door closer
KR102042312B1 (ko) * 2017-03-20 2019-11-07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32734U (zh) 2017-09-29 2018-05-08 上海宝钢工业技术服务有限公司 便捷式护栏门自动关闭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63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3914B2 (en) Hinge for wings or doors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102124708B1 (ko) 도어 클로저
EP3235982B1 (en) Completely concealed-type, damped and soft positioning shower room door opening/closing structure
US20120118676A1 (en) Door engagement device for elevator
WO2007146241A3 (en) Toy track devices
EP2924212A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9000264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실링 장치
KR10084248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밀봉 장치
KR102190979B1 (ko) 도어 클로저
CA2331080A1 (en) Over center door closing mechanism
JP5650447B2 (ja) 引戸の跳ね上げ抑制装置
EP2133502A4 (en) DEVICE FOR CLOSING PEDESTRIAN DOORS INCLUDED IN GARAGE TILTING GATES
KR200402223Y1 (ko)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20070066831A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JP5449047B2 (ja) 中央開き戸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AU2001244212A1 (en) Fitting for a window or door
JP52082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1900597B1 (ko)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JP2758933B2 (ja) ドアクローザ
CN107587806B (zh) 阻尼铰链
KR101159309B1 (ko)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JPH02270793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