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309B1 -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309B1
KR101159309B1 KR1020090028175A KR20090028175A KR101159309B1 KR 101159309 B1 KR101159309 B1 KR 101159309B1 KR 1020090028175 A KR1020090028175 A KR 1020090028175A KR 20090028175 A KR20090028175 A KR 20090028175A KR 101159309 B1 KR101159309 B1 KR 10115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oth
hinge
hinge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758A (ko
Inventor
이원규
김석원
김한실
박세명
염영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3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 힌지 브래킷;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싱으로서, 일측에 상기 도어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힌지 몸체;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된 차체 힌지 브래킷;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톱니가 형성된 정지부재; 및 상기 차량용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힌지 브래킷과 정지부재에 형성된 톱니들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차량 도어를 안정되게 개방시킬 수 있고, 경사진 도로에서 주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도 갑작스러운 개폐를 막을 수 있어 안전한 장점이 있다.
차량용 도어, 도어 힌지, 브래킷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Assembly of hinge for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힌지 조립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힌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힌지 조립체(10)와 그 사이에 배치된 도어 체커(20)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이러한 도어 힌지 조립체(10)는 도어(2)의 전체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도어(2)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 도어 체커(20)는 도어(2)를 단계적으로 열리게 하면서, 도어(2)가 완전히 개방된 지점에서는 도어(2)가 자력에 의해 닫히거나 열리지 않도록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어 힌지 조립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2)에 고정되는 도어 힌지브래킷(11), 차체(1)에 고정되는 차체 힌지브래킷(12), 그리고 도어 힌지브래킷(11)과 차체 힌지브래킷(12)을 결합시키는 고정핀(13)으로 구성된다. 고정핀(13) 을 중심으로 도어 힌지브래킷(11)이 회동되어 도어(2)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체커(20)는 차체(1)와 도어(2)에 각각 연결된 체크바(21)와, 도어(2)의 내측에 결합되며 체크바(21)가 고정되는 이동체(22)와, 이동체(22)의 내부에서 체크바(21)와 접촉하는 롤러(23)를 포함한다. 도어 체커(20)의 체크바(21)와 롤러(23)에 의해 도어(2)가 반정도만 열려 있도록 하는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정지시키는 기능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힌지 조립체(10)는 도어(2)를 반정도 또는 완전 개방시킬 수는 있지만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켜 개방할 수는 없다. 또한, 자동차를 경사진 도로에서 주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2)를 열고 닫을 때에는 각도 조절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도어(2)의 자중에 의해 갑작스러운 개폐가 이루어져 안전상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힌지 조립체(10)와 도어 체커(20)가 별도로 구성되어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급격한 개폐를 방지하고 특히 자동차를 경사진 곳에서 주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가 갑작스럽게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도어의 개폐각도가 조절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차량용 도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 힌지 브래킷;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싱으로서, 일측에 상기 도어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힌지 몸체;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된 차체 힌지 브래킷;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톱니가 형성된 정지부재; 및 상기 차량용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레버와 상기 정지부재와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당기면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가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차량용 도 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 힌지 브래킷;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싱으로서, 일측에 상기 도어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힌지 몸체;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된 차체 힌지 브래킷;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톱니가 형성된 정지부재; 및 사용자가 상기 차량용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레버를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시 상기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가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가능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은, 상면 및 하면에 제1 톱니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정지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 방향으로 상기 제2 톱니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압축됨으로써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톱니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힌지 몸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삽입 반대방향으로는 슬 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은, 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몸체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전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차체 힌지 브래킷과 정지부재에 형성된 톱니들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차량 도어를 안정되게 개방시킬 수 있고, 경사진 도로에서 주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에도 갑작스러운 개폐를 막을 수 있어 안전하다.
둘째, 도어의 개폐시 도어를 회전시키는 역할은 물론 도어를 단계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체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셋째, 차체 힌지 브래킷의 톱니들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원하는 각도에 맞게 차량 도어를 단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 레버의 조작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닫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지부재 및 조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차체 힌지 브래킷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도어 힌지 브래킷(100), 힌지 몸체(200), 차체 힌지 브래킷(300), 정지부재(400) 및 조절부재(500)를 포함한다.
도어 힌지 브래킷(100)은 차량용 도어(1)에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 몸체(200)는 상하로 관통홀(210)이 형성된 케이싱이다. 힌지 몸체(200)의 일측에는 도어 힌지 브래킷(100)의 타측이 힌지(H) 결합하고, 측면에는 슬라이딩홀(220)이 형성된다.
차체 힌지 브래킷(300)은 일측이 차체(1)에 힌지 결합된다. 차체 힌지 브래킷(300)의 타측은 슬라이딩홀(2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일면에만 제1 톱니(310)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처럼 그 상면 및 하면에 제1 톱 니(310)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차체 힌지 브래킷(300)에 제1 톱니(310)가 한면에만 형성된 경우, 후술할 정지부재(400)는 하나만 필요하지만, 제1 톱니(310)가 상하면에 형성된 경우, 정지부재(400) 역시 2개가 필요하다. 또한, 차체 힌지 브래킷(300)은 그 측면에 가이드홈(RG)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몸체(200)는 그 내부에 가이드홈(RG)에서 회전하는 롤러(R)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 힌지 브래킷(300)은 롤러(R)의 회전에 의해 힌지 몸체(200) 내부에서 쉽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정지부재(4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관통홀(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삽입되며, 차체 힌지 브래킷(300) 방향으로 제2 톱니(4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500)는 기계식으로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슬라이딩홀(220)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부재(500)는 정지부재(400)의 외측에 위치한 탄성부재(510)와 커버(C)와 케이블(CB)을 포함한다. 케이블(CB)은 외부 레버(LO), 내부 레버(LI)와 정지부재(400)를 연결한다. 레버(LO, LI)를 당기면 케이블(CB)에 의해 정지부재(400)가 외측으로 이동된다. 조절부재(500)는 차량용 도어(1)의 내외부에 구비된 레버(LO, LI) 중의 어느 하나를 당기면 케이블(CB)을 당기게 되고, 케이블(CB)에 연결된 정지부재(400)를 당기서 결국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을 해제시킨다. 이때,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10)가 압축되고, 다시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리도록 다시 말하면 정지부재(400)가 차체 힌지 브래킷(300)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톱니(310)는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톱니(31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고, 제2 톱니(410)는 제1 톱니(310)와 대응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상기 힌지 몸체(200)에 삽입되는 방향(S)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삽입 반대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되지 못하게 된다.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상기 힌지 몸체(200)에 삽입되는 방향(S)일 때에는 도어(1)를 닫는 경우이고, 삽입되는 방향(S)과 반대방향일 때에는 도어(1)를 여는 경우이므로 도어(1)를 닫을 때는 레버(LO, LI)를 당기지 않아도 되지만, 도어(1)를 열 때에는 레버(LO, LI)를 당기지 않으면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에 의해 열 수 없게 된다. 도 8은 도어(1)를 개방했을 때를 나타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도면이고, 도 9는 도어(1)를 닫았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처럼 개방상태에서는 레버(LO, LI)를 당기지 않아도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힌지 몸체(200)에 삽입가능하며, 도 9처럼 닫은 상태에서는 레버(LO, LI)를 당겨야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힌지 몸체(200)에서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1 및 도 12은 도 10의 정지부재 및 조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도어 힌지 브래 킷(100), 힌지 몸체(200), 차체 힌지 브래킷(300), 정지부재(400) 및 조절부재(600)를 포함한다. 도어 힌지 브래킷(100), 힌지 몸체(200), 차체 힌지 브래킷(300), 정지부재(4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조절부재(600)는 차량용 도어(1)의 내외부에 구비된 레버(LO, LI) 중의 어느 하나를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을 해제시킨다. 조절부재(600는 정부재(400)의 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610)와 커버(C)와 전선(EL)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610)는 평상시에는 수축된 상태였다가, 사람의 손이 레버(LO, LI)와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400)가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이때, 조절부재(600)는 탄성부재(510)도 함께 구비한다. 솔레노이드(610)의 돌출에 의해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10)는 압축되고, 다시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리도록 다시 말하면 정지부재(400)가 차체 힌지 브래킷(300)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차체 힌지 브래킷(300)이 슬라이딩홀(220)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식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는 기계식과 달리 도어(1)를 열거나 닫을 때, 사람의 손이 자연스럽게 레버(LO, LI)와 접촉되기 때문에 레버(LO, LI)를 당기는 것과 무관하게 제1 톱니(310)와 제2 톱니(410)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손을 떼면 도어(1)가 정지한다.
앞서 설명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기계식 조절부재(500)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전자식 조절부재(600)는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기계식 조절부재(500)과 전자식 조절부재(600)가 함께 사용되면, 평소에 전자식 조절부재(600)에 의해 도어(1)의 개폐를 조절하다가 전자식 조절부재(6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예비적으로 기계식 조절부재(5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에 의하면, 차체 힌지 브래킷(300)과 정지부재(400)에 형성된 톱니들(310,410)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차량 도어(1)를 안정되게 개방시킬 수 있고, 경사진 도로에서 주 정차한 상태에서 도어(1)를 열고 닫을 때에도 갑작스러운 개폐를 막을 수 있어 안전하다. 도어(1)의 개폐시 도어(1)를 회전시키는 역할은 물론 도어(1)를 단계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체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차체 힌지 브래킷(300)의 톱니들(310)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원하는 각도에 맞게 차량 도어(1)를 단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1)를 닫을 때 레버(LO, LI)의 조작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닫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힌지 조립체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힌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지부재 및 조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차체 힌지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정지부재 및 조절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도어 힌지 브래킷 200...힌지 몸체
300...차체 힌지 브래킷 400...정지부재
500,600...조절부재

Claims (8)

  1. 차량용 도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 힌지 브래킷;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싱으로서, 일측에 상기 도어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힌지 몸체;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된 차체 힌지 브래킷;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톱니가 형성된 정지부재; 및
    상기 차량용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레버와 상기 정지부재와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당기면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3. 차량용 도어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도어 힌지 브래킷;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싱으로서, 일측에 상기 도어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힌지 결합하고, 측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힌지 몸체;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면에 제1 톱니가 형성된 차체 힌지 브래킷;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도록 제2 톱니가 형성된 정지부재; 및
    사용자가 상기 차량용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레버를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을 해제시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시 상기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가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가능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은,
    상면 및 하면에 제1 톱니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정지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 방향으로 상기 제2 톱니가 각각 형성된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정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압축됨으로써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이 상기 힌지 몸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삽입 반대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 힌지 브래킷은,
    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몸체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전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1020090028175A 2009-04-01 2009-04-01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10115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75A KR101159309B1 (ko) 2009-04-01 2009-04-01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75A KR101159309B1 (ko) 2009-04-01 2009-04-01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58A KR20100109758A (ko) 2010-10-11
KR101159309B1 true KR101159309B1 (ko) 2012-06-22

Family

ID=4313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75A KR101159309B1 (ko) 2009-04-01 2009-04-01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616A (zh) * 2018-02-09 2018-08-07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限位器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186A (ja) * 1994-03-23 1995-10-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機構
KR20000000662U (ko) * 1998-06-15 2000-01-15 홍종만 차량용 도어 체커장치
KR100448064B1 (ko) * 2002-05-29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186A (ja) * 1994-03-23 1995-10-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機構
KR20000000662U (ko) * 1998-06-15 2000-01-15 홍종만 차량용 도어 체커장치
KR100448064B1 (ko) * 2002-05-29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58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CA255441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covers for electric sockets and the like
KR20060135470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CN212176889U (zh) 一种防火门电动闭门器
US20020056232A1 (en) Locking controller of a sliding door
KR102554688B1 (ko) 차량용 록
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159309B1 (ko) 차량 도어용 힌지 조립체
US11359418B2 (en) Motor vehicle lock
JP5133273B2 (ja) ラッチ受け及び建具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200376430Y1 (ko)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WO2018118281A1 (en) Frameless door handle assembly with modular inertia locking mechanism
KR102124708B1 (ko) 도어 클로저
EP2318630B1 (en) A pivot window with electrical hinge connection
KR20200066859A (ko) 도어 클로저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US20190242173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20170034198A (ko) 작동력 조절 도어체커 및 작동력 조절 도어체커 조립체
JP3683722B2 (ja) スライドドア
KR100516696B1 (ko) 슬라이드 도어의 글라스 안전 장치
JP2014105485A (ja) 折戸
KR20190100821A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0804012B1 (ko) 스크린도어의 안전개폐장치
JP3777283B2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