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21B1 -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21B1
KR102124621B1 KR1020190003803A KR20190003803A KR102124621B1 KR 102124621 B1 KR102124621 B1 KR 102124621B1 KR 1020190003803 A KR1020190003803 A KR 1020190003803A KR 20190003803 A KR20190003803 A KR 20190003803A KR 102124621 B1 KR102124621 B1 KR 10212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
opening
transported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장욱
최종갑
Original Assignee
최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갑 filed Critical 최종갑
Priority to KR102019000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s in a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피이송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압 컨베이어에서 피이송물이 불규칙적으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내부의 수용공간에 피이송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호퍼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하중 측정이 완료된 피이송물을 유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해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유입된 피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프레임의 수용공간에서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pneumatic conveyor capable of load detection, and discharge contro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피이송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기압 컨베이어에서 피이송물이 불규칙적으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이송물의 이송으로 벨트 형태의 컨베이어가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벨트 형태의 컨베이어는 피이송물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수처리장이나, 폐기물처리장의 슬러지와 같은 피이송물을 벨트 형태의 컨베이어와 같이 오픈된 형태의 이송방법으로 이송시 외부환경이 오염되거나, 악취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피이송물이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축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공기압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작업환경의 개선이 중요시 되면서, 곡물 또는 모래와 같이 분진이 발생될 수 있는 피이송물의 이송에 대해서도 그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반면, 종래의 공기압 컨베이어는 피이송물의 이송을 위해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나, 밀폐된 환경의 구성이 어려워 내부 압력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671849호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와 같이 패킹 부재를 통해 압력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피이송물을 호퍼를 통해 공급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호퍼에 공급되는 피이송물의 양을 확인하거나, 피이송물의 양에 맞춰 송출량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호퍼를 통해 피이송물을 공급할 때에도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호퍼에 공급되는 피이송물의 양을 확인하거나, 송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1849호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호퍼에 공급되는 피이송물의 양을 확인하거나, 송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퍼를 통해 피이송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피이송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호퍼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하중 측정이 완료된 피이송물을 유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해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유입된 피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프레임의 수용공간에서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아치 형태의 도어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호퍼부의 하단에서 프레임의 개구부로 연장되는 임시 적재부와 상기 임시 적재부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도어와 상기 임시 적재부의 하단에 배치된 제2 도어로 구성되며, 제1 도어와 제2 도어는 교번하여 개폐함으로써, 프레임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의 수용공간은 원추상으로 구성되며, 압축공기가 수용공간의 하부까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배출유로의 피이송물을 직접 가압하여 배출유로 상의 피이송물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피이송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의하면, 측정부를 통해 호퍼에 공급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고, 이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에 의하면, 호퍼의 하단에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배치하고, 교번하여 개폐함으로써, 호퍼를 통해 피이송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내부의 수용공간(12)에 피이송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3)과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호퍼부(2)와 상기 프레임(3)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2)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4)와 상기 프레임(3)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하중 측정이 완료된 피이송물을 수용공간(12)으로 유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개폐부(5)와 상기 프레임(3)의 수용공간(12)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6)와 상기 공급부(6)에 의해 프레임(3)의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유입된 피이송물(1)이 배출되도록 프레임(3)의 수용공간(12)에서 연장되는 배출유로(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호퍼부(2)에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때, 상기 측정부(4)가 프레임(3)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2)에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 측정부(4)는 상기 프레임(3)을 지지하는 지지체(20) 상에 로드셀이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전체 하중이 기 설정됨 하중 이상으로 검출되거나, 호퍼부(2)에 임시 적재되는 피이송물에 의한 하중 상승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리기 위한 알람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6)는 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수용공간(12)에 공급함으로써, 하중이 측정된 후 수용공간(12)으로 인입된 피이송물(1)이 배출유로(7)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피이송물(1)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피이송물이 적을 때,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낮추고, 공급시간을 짧게 조절함으로써 피이송물 사이에 압축 공기가 함께 섞여 피이송물이 간헐적으로 공급되고, 피이송물 사이의 압축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면서 압력 차이에 의해 피이송물이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5)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동 축(5a)을 중심으로 하는 아치 형태의 도어(5)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도어(5)와 프레임(3)의 개폐구 사이에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3)은 복수개의 지지체(20)에 의해 기립되도록 설치되며, 이송가능하도록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19)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프레임(3)의 수용공간(12)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17b)와 상기 압력 측정부(17b)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배출유로(7)의 피이송물을 직접 가압하여 배출유로(7) 상의 피이송물을 신장되는 로드(17a)를 통해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가압부(1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배출유로(7) 상에 피이송물이 끼여 정체되었을 때 이를 배출시키기 위해 과도한 압력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도 끼여있는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내부 압력 변동 폭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도 배출유로(7)에 피이송물이 끼여 배출유로(7)가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3)의 수용곤간 내에 피이송물(1)이 내측면에 달라붙거나,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3)에 진동부(18)를 배치하여 배출유로(7)로 내려가지 않는 피이송물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개폐부는 호퍼부(2)의 하단에서 프레임(3)의 개구부로 연장되는 임시 적재부(14)와 상기 임시 적재부(14)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도어(21)와 상기 임시 적재부(14)의 하단에 배치된 제2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는 교번하여 개폐됨으로써, 프레임(3)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호퍼(2)의 하단과 임시 적재부(14)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제2 도어(22)는 임시 적재부(14)의 하단과 프레임(3)의 개구부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도어(21)가 개방되어 호퍼(2)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부(14)로 유입될 때, 상기 제2 도어(22)는 임시 적재부(14)의 하단과 프레임(3)의 개구부 사이를 폐쇄하여 프레임(3)의 내부 수용공간(12) 내의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후, 임시 적재부(14)의 피이송물은 상기 제2 도어(22)의 개방에 의해 프레임(3)의 내부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며, 이때 상기 제1 도어(21)는 호퍼(2)의 하단과 임시 적재부(14) 사이를 폐쇄하여 프레임(3)의 내부 수용공간(12) 내의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의 내부의 수용공간(12)은 원추상으로 구성되며, 압축공기가 수용공간(12)의 하부까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가이드(15)와 수용공간(12)의 내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으로 압축 공기가 피이송물(1)의 하부까지 직접적으로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수용공간(12) 내에 적재된 피이송물(1)의 양이나, 높이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피이송물(1)을 배출유로(7)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6)를 통해 공급되는 압출 공기가 나선형태로 공급되어 유동되도록 공급부(6)를 배치하여 프레임(3) 내부 수용공간(12) 내에 적재된 피이송물(1)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유로(7)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피이송물
2 : 호퍼부
3 : 프레임
4 : 측정부
5 : 개폐부
6 : 공급부
7 : 배출유로
11 : 개구부
12 : 수용공간
13 : 도어
14 : 임시 적재부
15 : 가이드
16 : 압력 측정부
17 : 가압부
18 : 진동부
19 : 바퀴
21 : 제1 도어
22 : 제2 도어

Claims (6)

  1. 내부의 수용공간에 피이송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호퍼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하중 측정이 완료된 피이송물을 유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해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유입된 피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프레임의 수용공간에서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의 수용공간은 원추상으로 구성되며,
    압축공기가 수용공간의 하부까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2. 내부의 수용공간에 피이송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피이송물이 임시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호퍼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중변화를 측정하여 호퍼부에 임시 적재된 피이송물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여 하중 측정이 완료된 피이송물을 유입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개폐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해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유입된 피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프레임의 수용공간에서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피이송물의 하중에 맞춰 압축 공기의 압력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피이송물의 시간당 송출량을 제어하고,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배출유로의 피이송물을 직접 가압하여 배출유로 상의 피이송물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아치 형태의 도어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호퍼부의 하단에서 프레임의 개구부로 연장되는 임시 적재부와;
    상기 임시 적재부의 상단에 배치된 제1 도어와;
    상기 임시 적재부의 하단에 배치된 제2 도어로 구성되며,
    제1 도어와 제2 도어는 교번하여 개폐함으로써, 프레임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피이송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6. 삭제
KR1020190003803A 2019-01-11 2019-01-11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KR10212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03A KR102124621B1 (ko) 2019-01-11 2019-01-11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03A KR102124621B1 (ko) 2019-01-11 2019-01-11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621B1 true KR102124621B1 (ko) 2020-06-18

Family

ID=7114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03A KR102124621B1 (ko) 2019-01-11 2019-01-11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15028A (zh) * 2023-08-09 2023-09-08 绵阳沃思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气力输送的吸料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74A (ja) * 1994-11-07 1996-05-28 Ishimaru Seisakusho:Kk 圧送加圧タンクと粉体定量圧送装置及び方法
JP2009091078A (ja) * 2007-10-05 2009-04-30 Tsukasa:Kk 粉粒体供給機
KR20130056493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중량 계량장치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KR101671849B1 (ko)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74A (ja) * 1994-11-07 1996-05-28 Ishimaru Seisakusho:Kk 圧送加圧タンクと粉体定量圧送装置及び方法
JP2009091078A (ja) * 2007-10-05 2009-04-30 Tsukasa:Kk 粉粒体供給機
KR20130056493A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중량 계량장치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KR101671849B1 (ko)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15028A (zh) * 2023-08-09 2023-09-08 绵阳沃思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气力输送的吸料斗
CN116715028B (zh) * 2023-08-09 2023-10-27 绵阳沃思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气力输送的吸料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206B2 (en) Conveying systems
US20100021248A1 (en) Pressure tank, an device for feeding powder to a conveying pipe, and its feeding method, and method for determining feeding intervals of powder to the conveying pipe (as amended
US20180148277A1 (en) Self controlled pneumatic loading method for granular materials
US6523721B1 (en)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upply system for closed system
ATE68589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osierten einfuehren feinkoerniger feststoffe in einen industrieofen.
US10179696B2 (en) Variable opening slide gate for regulating material flow into airstream
JPH03138217A (ja) ニユーマチツク式のサクシヨンコンベヤ装置
ATE216346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chüttgut, körnigem material oder pulverförmigem material
KR102124621B1 (ko) 하중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송출량 제어가 가능한 공기압 컨베이어
RU2683923C2 (ru) Воронка и метод выравнивания давления газа в ней
JP2019163163A (ja) 真空コンベアシステム
CN104914006B (zh) 一种用于测量散粒体在筒仓中流动规律的实验装置及实验方法
WO2022086698A3 (en) Bulk material receiving, conveying, storing, and dispensing
US20160096687A1 (en) Apparatus for handling fine bulk material
CN111661657A (zh) 使用真空输送机的粉体自动输送系统
KR20130030969A (ko) 하역용 분진 비산방지장치
CN100574654C (zh) 从中间存储器排出烟丝料的方法和装置
JPH11108742A (ja) エアースライド式コンベアスケール
JP2020164223A (ja) 容器処理装置
ITUB20155852A1 (it) Mulino per macinazione con sistema di alimentazione perfezionato
CN211282702U (zh) 一种定量给料系统
FI20095527A0 (fi) Menetelmä, laite ja järjestely kontin purkamiseksi
JPS6010125A (ja) 組合せ秤における被計量物供給装置
KR950000429Y1 (ko) 분체의 정량공급장치
KR102631064B1 (ko)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