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39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98B1
KR102124398B1 KR1020157013853A KR20157013853A KR102124398B1 KR 102124398 B1 KR102124398 B1 KR 102124398B1 KR 1020157013853 A KR1020157013853 A KR 1020157013853A KR 20157013853 A KR20157013853 A KR 20157013853A KR 102124398 B1 KR102124398 B1 KR 10212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image effec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633A (ko
Inventor
송지혜
장경철
조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3/00Real-time site-specific personalized weather information, e.g. nowca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 G06T2207/30192Weather; Meteor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5/00Indexing scheme for image rendering
    • G06T2215/16Using real world measurements to influence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센서부 및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화면에 시간 정보, 통신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날씨 정보를 반영하여 화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날씨 정보를 획득한 후,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날씨가 맑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가 포함된 이미지를 제공하며, 비가 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가 내리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복수의 이미지 중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경우 메모리 사용량에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부 및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날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픽셀의 색상 및 투명도를 조절하는 이미지 변형, 상기 영상과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의 픽셀을 합성하는 이미지 조합 및 상기 영상에 대해 영역별로 상이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스킹(Mask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이 발생시켜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성에 이미지와 조합하여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블러링 효과를 제공하거나 노이즈 값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습도가 높을수록 블러링 적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노이즈 값을 증가시켜 상기 영상에 습기가 찬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터치가 끝난 지점에 물방울이 맺히고 자이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중력 방향으로 상기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제공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동안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이미지 효과를 상기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날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픽셀의 색상 및 투명도를 조절하는 이미지 변형, 상기 영상과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의 픽셀을 합성하는 이미지 조합 및 상기 영상에 대해 영역별로 상이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스킹(Mask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이 발생시켜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성에 이미지와 조합하여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블러링 효과를 제공하거나 노이즈 값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습도가 높을수록 블러링 적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노이즈 값을 증가시켜 상기 영상에 습기가 찬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터치가 끝난 지점에 물방울이 맺히고 자이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중력 방향으로 상기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제공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동안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이미지 효과를 상기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의 날씨 정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 효과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통해 현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 역시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및 습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김에 따라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거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날씨 정보에 따라 이미지 효과가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센서부(120)는 온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120)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날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30)는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등)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센서부(120) 및 통신부(130)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통해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별로 획득할 수 있다.
날씨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140)는 획득된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량을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는 필터를 이용한 이미지 변형, 다른 이미지와의 이미지 조합 및 마스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온도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140)는 획득된 온도 정보에 따라 영상의 노이즈 발생 패턴을 조절하거나 기설정된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며,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성에 이미지와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140)는 획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영상의 블러링 효과를 제공하거나 노이즈 값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습도가 높을수록 블러링 적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노이즈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결정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량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현재 판단된 습도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습기가 찬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현재 판단된 온도 정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거칠기를 조절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습기가 찬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140)는 습기가 제거된 지점에 물방울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은 경우, 제어부(140)는 습기가 제거된 지점에 성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끝난 지점에 물방울이 맺히고 자이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중력 방향으로 상기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음성(예를 들어, 사용자 입김)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제공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습기가 제거된 경우, 사용자 입김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습기를 다시 생성하여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동안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140)는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미지 효과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통해 현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 역시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센서부(230), 마이크(240), 터치 입력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10)는 날씨 정보에 따라 이미지 효과가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효과가 제공된 영상을 대기 화면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220)는 외부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외부의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포탈 서버, 통신사 서버 등)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2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외부의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다양한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30)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30)가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240)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다. 특히, 마이크(240)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입김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입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는다. 특히, 터치 입력부(250)는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6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6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버스(276)를 포함한다. 이때,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등은 버스(27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74)는 ROM(2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60)에 저장된 O/S를 RAM(2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74)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71)에 복사하고, RAM(27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7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포인터,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74)는 저장부(2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74)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내지 27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센서부(230) 및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영상은 대기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센서부(230)에 포함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의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GPS 센서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뿐만 아니라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에 따라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이미지 변형, 이미지 조합 및 마스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변형은 입력 영상을 기반으로 픽셀 단위의 색상 및 투명도 값을 새롭게 산출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블러링, 노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조합은 하나 이상의 영상 간의 중첩되는 부분의 픽셀끼리 특정 연산을 수행하여 최종 픽셀값을 결정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add, subtract, multipl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킹(Masking)은 영상에 특정 영역을 설정한 후 영역별로 상이한 연산 방법을 차등 적용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비트맵 마스킹(bitmap masking), 벡터 마스킹(vector mask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획득된 날씨 정보가 온도 정보인 경우, 제어부(270)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 노이즈 발생 퍼턴 및 이미지 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온도가 영하인 경우, 성에 이미지와 조합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성에 이미지에 가중치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획득된 날씨 정보가 습도 정보인 경우, 제어부(270)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블러링, 노이즈값 조절 및 이미지 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습도가 높을수록 블러링 적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노이즈값을 증가시키며, 물방울 이미지와의 조합 빈도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처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사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70)는 황사량에 따라 노이즈값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먼지 이미지와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판단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량을 바탕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온도가 낮고 습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3의 a)에 도시된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가 낮은 추운 날씨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3의 a)에 도시된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가 높은 추운 날씨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3의 a)에 도시된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가 낮은 따뜻한 날씨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도 3의 a)에 도시된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가 높은 더운 날씨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획득된 날씨 정보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터치 입력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습도가 높은 더운 날씨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되는 동안 터치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영역을 마스킹 영역으로 적용하여 픽셀 연산의 차등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270)는 사용자 터치로 인해 습기 찬 유리창에 습기를 제거하여 낙서를 한 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7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터치가 끝난 지점에 물방울 이미지를 조합하고, 자이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중력 방향으로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습도값에 따라 물방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습도값이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습도값이 낮은 경우, 제어부(270)는 물방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습도가 높은 추운 날씨의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터치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영역을 마스킹 영역으로 적용하여 픽셀 연산의 차등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270)는 사용자 터치로 인해 습기 찬 유리창에 습기를 제거하여 낙서를 한 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2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터치가 끊어지는 지점에 성에 이미지를 조합하여 추운 날씨에 대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터치로 인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낙서한 듯한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마이크(240)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음성(예를 들어, 사용자 입김 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70)는 사용자 음성에 따라 블러링 적용 강도 및 마스킹 영역에 대한 연산 차등 적용 정도를 조절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제 입김을 불어넣는 것과 같은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동안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270)는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미지 효과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획득된 날씨 정보로부터 습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제공되는 이미지 효과를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효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주변의 날씨 정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 효과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날씨 정보가 기설정된 주기마다 획득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하는 영역이 변경된 경우 등과 같은 다른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습도 정보 및 온도 정보에 따라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날씨 정보(예를 들어, 황사 정보, 대기 정보 등)를 바탕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71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S7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부(120)나 통신부(130)를 통해 다양한 소스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S7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처리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처리량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810).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대기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S8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외부의 서버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날씨 정보에 따라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량을 판단한다(S830). 구체적으로, 획득된 날씨 정보가 온도 정보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 노이즈 발생 퍼턴 및 이미지 조합을 판단할 수 있으며, 획득된 날씨 정보가 습도 정보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서 블러링, 노이즈값 조절 및 이미지 조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판단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처리량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S8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바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경우(S85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한다(S86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마이크(240)를 통해 사용자 입김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70).
사용자 입김이 입력된 경우(S87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제공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한다(S88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습기가 제거된 이미지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날씨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90).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S890-Y),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시 S830 단계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처리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통해 날씨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의 서버(900)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의 서버(900)는 기상청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서버(900)로 현재 날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 및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서버(9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날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서버(9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날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10: 디스플레이부 120, 230: 센서부
130, 220: 통신부 140, 270: 제어부
240: 마이크 250: 터치 입력부
260: 저장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부 및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날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픽셀의 색상 및 투명도를 조절하는 이미지 변형, 상기 영상과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의 픽셀을 합성하는 이미지 조합 및 상기 영상에 대해 영역별로 상이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스킹(Mask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이 발생시켜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성에 이미지와 이미지 조합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획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블러링 효과를 제공하거나 노이즈 값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습도가 높을수록 블러링 적용 영역을 확대시키고 노이즈 값을 증가시켜 상기 영상에 습기가 찬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이미지 처리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터치가 끝난 지점에 물방울이 맺히고 자이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중력 방향으로 상기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상기 제2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제공된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동안 날씨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상기 변경된 날씨 정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11.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외부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가 제공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강수량 정보, 강우량 정보, 자외선 정보, 황사 정보, 미세 먼지 정보, 기압 정보, 풍속 정보 및 풍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날씨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픽셀의 색상 및 투명도를 조절하는 이미지 변형, 상기 영상과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의 픽셀을 합성하는 이미지 조합 및 상기 영상에 대해 영역별로 상이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스킹(Mask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노이즈 패턴이 발생시켜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며, 온도가 낮을수록 거친 노이즈 패턴을 발생시키고 성에 이미지와 이미지 조합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에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블러링 효과를 제공하거나 노이즈 값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제1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7013853A 2012-12-18 2013-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124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8699P 2012-12-18 2012-12-18
US61/738,699 2012-12-18
PCT/KR2013/011822 WO2014098478A1 (en) 2012-12-18 2013-12-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633A KR20150095633A (ko) 2015-08-21
KR102124398B1 true KR102124398B1 (ko) 2020-06-18

Family

ID=5093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53A KR102124398B1 (ko) 2012-12-18 2013-12-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4701B2 (ko)
JP (1) JP6334560B2 (ko)
KR (1) KR102124398B1 (ko)
CN (1) CN104871205B (ko)
DE (1) DE112013006049T5 (ko)
GB (1) GB2524694B (ko)
WO (1) WO2014098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8109B2 (en) * 2017-03-30 2020-11-17 Accuweather,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snowfall probability distributions
CN107065037A (zh) * 2017-05-19 2017-08-18 宁波耘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气象站数据采集控制系统
JP6946857B2 (ja) 2017-08-24 2021-10-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241465B (zh) * 2018-07-19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9050018A (ja) * 2018-11-09 2019-03-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02040B2 (en) 2019-06-24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effect in image
WO2020171425A1 (en) 2019-02-18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effect in image
CN112395530A (zh) * 2019-08-19 2021-02-2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数据内容的输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4868505B (zh) * 2022-07-12 2022-10-04 山西方圆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水肥控制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941A (ja) * 1999-02-19 2000-09-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2032951A (ja) * 2010-07-29 2012-0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174116A (ja) * 2011-02-23 2012-09-10 Ntt Docomo Inc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8359A (en) * 1993-10-29 1997-01-28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Weather effects generator for simulation systems
US20050102104A1 (en) * 2003-11-10 2005-05-12 Tap Publishing Company Providing custom locations and custom color scales for online weather radar displays
KR100605892B1 (ko) 2004-02-1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변경 방법
KR101104586B1 (ko) 2004-08-07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변경방법 및 장치
KR20060092625A (ko) * 2005-02-18 2006-08-23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키워드에 의해서 캐릭터의 움직임이 바뀌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60229810A1 (en) * 2005-04-11 2006-10-12 John Cross GPS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ather data
JP4701061B2 (ja) * 2005-10-13 2011-06-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5048249B2 (ja) * 2006-01-27 2012-10-1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195472B1 (ko) 2006-02-13 201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스킨색 변동 방법 및 장치
KR20070082195A (ko) 2006-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상에 따라 변화하는 바탕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US7657281B2 (en) 2007-01-04 2010-0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dynamically changing information provided on a display of a cellular telephone and related cellular telephones
JP5039465B2 (ja) * 2007-07-24 2012-10-03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ゲー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ゲーム機
KR101482103B1 (ko) * 2008-01-1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날씨정보 표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23811B2 (en) * 2008-03-21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10191775A (ja) * 2009-02-19 2010-09-02 Nikon Corp 画像加工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画像加工方法
KR101638056B1 (ko) * 2009-09-07 2016-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ui 제공 방법
US8482539B2 (en) 2010-01-12 2013-07-09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pen system
TWI617935B (zh) * 2010-10-18 2018-03-1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氣象資訊顯示系統及方法
KR101916741B1 (ko) * 2012-01-25 2018-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체 핸들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158035B2 (en) * 2012-04-05 2015-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acquisition, correlation and display of power distribution grid operational parameters and weather ev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941A (ja) * 1999-02-19 2000-09-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2032951A (ja) * 2010-07-29 2012-0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174116A (ja) * 2011-02-23 2012-09-10 Ntt Docomo Inc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71205B (zh) 2018-11-02
JP6334560B2 (ja) 2018-05-30
GB2524694A (en) 2015-09-30
DE112013006049T5 (de) 2015-09-10
GB201512517D0 (en) 2015-08-19
US9524701B2 (en) 2016-12-20
GB2524694B (en) 2017-07-05
US20140168252A1 (en) 2014-06-19
KR20150095633A (ko) 2015-08-21
JP2016511852A (ja) 2016-04-21
WO2014098478A1 (en) 2014-06-26
CN104871205A (zh)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CN106919358B (zh) 一种移动终端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423184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6936995B (zh) 一种移动终端帧率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80040026A1 (en) Motion and gesture-based mobile advertising activation
US9720496B2 (en) Techniques for stabilizing a display scene output
KR201400554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700708A (zh) 一种终端界面的调整方法及终端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201500845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757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KR102547321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1176526B (zh) 图片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09891459B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US9674452B2 (en) Real-time perspective correction
KR20150069388A (ko) 서버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의 센싱 방법
KR102464911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325280B2 (en) Physical orientation calibration for motion and gesture-based interactive sequence activation
US2016031387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061401B2 (en) Physical orientation calibration for motion and gesture-based interaction sequence activation
KR201500349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6779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an advertisement area, serve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JP2014219746A (ja) 地図描画装置
CN114063860A (zh) 图像显示方法及其装置
CN111068321A (zh) 一种应用于俄罗斯方块游戏的方块生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