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72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728B1
KR102275728B1 KR1020140086719A KR20140086719A KR102275728B1 KR 102275728 B1 KR102275728 B1 KR 102275728B1 KR 1020140086719 A KR1020140086719 A KR 1020140086719A KR 20140086719 A KR20140086719 A KR 20140086719A KR 102275728 B1 KR102275728 B1 KR 10227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highlight
source image
generate
highligh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965A (ko
Inventor
안우람
이태영
함철희
이재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728B1/ko
Priority to US14/796,316 priority patent/US10289270B2/en
Publication of KR2016000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 따라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ighlight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하이라이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기반의 운영체제는 사용자에게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UI 툴킷(Toolkit)들을 플래폼 레벨에서 정의하고 있다. 기존에는 버튼, 텍스트 박스, 리스트 등의 UI 툴킷을 제공하여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최근에는 UI 구성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가미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UX)까지도 제공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예로, 페이지 플립(page flip), 윈도우 생성 및 종료 애니메이션, 메뉴 아이템에 디스플레이되는 하이라이트 등이 있다.
특히, 메뉴 아이템에 디스플레이되는 하이라이트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메뉴 아이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의 메뉴 아이템들은 크기 및 형태가 서로 상이하므로, 크기나 모양이 상이한 메뉴 아이템등 사이에서 하이라이트를 이동할 경우, 하이라이트는 이동되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제1 메뉴 아이템(110)에서 제2 메뉴 아이템(120)으로 이동할 경우, 하이라이트는 제2 메뉴 아이템(120)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및 모양이 상이한 메뉴 아이템 사이에서 하이라이트를 이동하더라도 하이라이트의 두께에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또한, 도 1c는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때 크기가 점점 커지는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화면의 예이다. 하이라이트의 크기가 점점 커질 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하여 초당 60회의 이미지가 생성되어야 하며, 0.5초간 애니메이션을 재생한다고 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이라이트를 30회 연속으로 생성하여야 한다. 즉, 하이라이트가 생성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나인-패치(nine-patch) 방식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생성할 경우, 메뉴 아이템의 각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별도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하게 되므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량이 많아져 하이라이트가 생성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종래의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나인-패치(nine-patch) 방식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하이라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크기 변경이라 함은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이루는 사각형의 가로 또는 세로가 자유자재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래의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는 하이라이트의 표시 영역을 9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1,3,7,9 영역은 하이라이트의 모서리가 표시되는 영역이며, 2,8은 하이라이트의 가로가 표시되는 영역이고, 4,6은 하이라이트의 세로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5는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특히,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는 각 세부 영역에 각기 다른 변형(Transform)을 적용함으로써, 하이라이트를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때, 하이라이트에 적용할 수 있는 변형 방식에는 좌표 이동(Translate), 가로 방향 스케일(또는 가로 스트레치), 세로 방향 스케일(또는 세로 스크레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b는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에서 가로의 길이를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하이라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구성하는 영역 중 2,8 영역에 가로 방향 스케일을 적용하여 하이라이트의 가로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다. 이때, 2,8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좌표 이동만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c는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에서 세로의 길이를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하이라이트의 세로의 길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구성하는 영역 중 4,6 영역에 세로 방향 스케일을 적용하여 하이라이트의 세로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다. 이때, 4,6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좌표 이동만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인 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표현하려면 총 8개의 소스 이미지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서리의 4개의 소스 이미지, 각 변의 4개의 소스 이미지가 필요하다. 5번 영역에는 메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므로 별도의 소스 이미지가 필요하지 않다.
도 2d는 종래의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제1 소스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늘려 상단 변을 그린다. 그리고, 제2 소스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늘려 하단 변을 그리다. 그리고, 제3 소스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늘려 좌측 변을 그린다. 그리고, 제4 소스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늘려 우측 변을 그린다. 그리고, 제 5 내지 제8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4개의 모서리를 그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변 및 각 모서리를 그리기 위하여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할 경우,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영역(예를 들어, 2영역과 8영역)에 동일한 스케일 연산을 이중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처리 연산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하이라이트를 그리기 위하여 8개의 이미지를 모두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메모리에 불필요한 저장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리소스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라이트를 표현함에 있어 처리 연상량 및 메모리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 따라 상기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판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한 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3 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4 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 따라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판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한 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3 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4 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연산량 및 메모리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2d는 종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5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스마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프로젝션 TV,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 또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메뉴 아이템에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320)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이동 또는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330)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 따라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표시할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판단한다.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330)는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의 가로변의 모양이 대칭인 경우, 제어부(330)는 가로변을 구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경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330)는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한 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1 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2 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3 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4 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위치에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독출하여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330)는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위치에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독출하여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330)는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위치에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독출하여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소스 이미지를 읽는 방향과 쓰는 방향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소스 이미지를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생성함으로써,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연산 처리량 및 메모리 사용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 수신부(410), 영상 처리부(420), 디스플레이부(430), 오디오 처리부(440), 스피커부(450), 저장부(460), 통신부(470), 입력부(48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4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4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의 서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수신부(4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4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영상 수신부(4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420)에서 처리한 영상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493)에서 생성된 다양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430)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복수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44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4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스피커부(450)는 오디오 처리부(44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46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45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46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태블릿 PC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60)는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4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4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입력부(48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480)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하이라이트를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80)가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포인트, 포인팅 디바이스 모션 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90)는 저장부(4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491), ROM(492), 그래픽 처리부(493), 메인 CPU(4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495-1 ~ 495-n), 버스(496)를 포함한다. 이때, RAM(491), ROM(492), 그래픽 처리부(493), 메인 CPU(4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495-1 ~ 495-n) 등은 버스(4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4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494)는 ROM(4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460)에 저장된 O/S를 RAM(4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494)는 저장부(4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491)에 복사하고, RAM(4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4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4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4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4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4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494)는 저장부(4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495-1 내지 4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490)는 입력부(4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 따라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9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아이템의 모양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도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이라 함은, 하이라이트를 구성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모양이 동일한지 여부를 의미한다.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들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들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모서리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판단된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회전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90)는 하이라이트의 이미지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판단된 소스 이미지를 메뉴 아이템 크기만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90)는 읽는 방향과 쓰는 방향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소스 이미지를 회전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각도(예를 들어, 37도, 101도 등)로 도형을 회전하는 경우, 별도의 복잡한 연산 처리가 필요하지만, 90도, 180도, 270도 회전하는 연산은 간단한 좌표 계산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10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데이터를 읽은 후, 520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데이터를 쓰면 소스 이미지가 90도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의 위치에 생성된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610)에 생성되는 하이라이트(620)는 상하좌우 변이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템(610)의 모양이 정사각형이고, 메뉴 아이템(610)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610)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610)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90)는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610)의 한 변의 길이만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610)의 윗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610)의 한 변의 길이만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90도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610)의 우측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610)의 한 변의 길이만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180도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610)의 아랫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610)의 한변의 길이만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70도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610)의 좌측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6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하단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7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하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생성된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 내지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와 함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네 개의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61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62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710)에 생성되는 하이라이트(720)는 상하좌우 변이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템(710)의 모양이 직사각형이고, 메뉴 아이템(710)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710)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710)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9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710)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710)의 윗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180도 각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710)의 아랫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710)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90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710)의 우측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270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의 좌측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6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하단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7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2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하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생성된 제1 내지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와 함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네 개의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71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72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810)에 생성되는 하이라이트(820)는 윗변과 아랫변이 동일한 모양이며, 좌측변과 우측변이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템(810)의 모양이 직사각형이고, 메뉴 아이템(810)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메뉴 아이템(810)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제어부(490)는 메뉴 아이템(810)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메뉴 아이템(810)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메뉴 아이템(810)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810)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810)의 윗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180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810)의 아랫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직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810)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90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810)의 우측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270도만큼 회전하여 메뉴 아이템(810)의 좌측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3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5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3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상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6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3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우측 하단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7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제3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좌측 하단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8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90)는 생성된 제1 내지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와 함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네 개의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메뉴 아이템(81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820)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가 대칭성을 가지는 경우, 대칭성이 존재하는 영역의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함으로써, 연산 처리량 및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변이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로 인접한 변이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아이템의 윗변과 우측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하고, 메뉴 아이템의 아랫변과 좌측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경우, 메뉴 아이템의 윗변과 우측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소스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메뉴 아이템의 아랫변과 좌측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소스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크기를 판단한다(S9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메뉴 아이템의 모양 및 하이라이트의 대칭성 여부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한다(S920). 이때,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표시한다(S93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의해, 나인-패치 방식의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연산량 및 메모리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310, 430: 디스플레이부 320, 480: 입력부
33, 490: 제어부 410: 영상 수신부
420: 영상 처리부 440: 오디오 처리부
450: 스피커부 460: 저장부
470: 통신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중 제1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을 바탕으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다각형인 경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측에 대응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측에 대응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판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한 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3 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4 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1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템 중 제1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을 바탕으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의 크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대한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하이라이트를 생성하고, 상기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다각형인 경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측에 대응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측에 대응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대칭성을 판단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에 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대칭되는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를 동일한 소스 이미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한 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3 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4 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양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이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네 변 중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가 동일한 모양으로 대칭성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1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변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2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의 소스 이미지로 제3 소스 이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가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1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1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가로변에 위치하는 제2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메뉴 아이템의 세로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2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1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3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소스 이미지를 확대하고 제3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제2 세로변에 위치하는 제4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복사하여 하이라이트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86719A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KR10227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19A KR102275728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US14/796,316 US10289270B2 (en) 2014-07-10 2015-07-1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ighligh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719A KR102275728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65A KR20160006965A (ko) 2016-01-20
KR102275728B1 true KR102275728B1 (ko) 2021-07-09

Family

ID=5506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719A KR102275728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89270B2 (ko)
KR (1) KR102275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755S1 (en) * 2014-02-27 2016-07-05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255S1 (en) * 2014-02-27 2016-06-28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68S1 (en) * 2014-03-14 2016-05-24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acking items
KR102053454B1 (ko) 2018-03-26 2019-12-0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개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개체 편집 장치
CN110189687B (zh) * 2019-06-04 2020-10-09 深圳市摩西尔电子有限公司 一种对led模组图像进行图像变换的方法和装置
WO2021182397A1 (ja) * 2020-03-13 2021-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0195B2 (en) * 2002-12-18 2008-0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raphic pieces for a border image
JP2008122800A (ja) 2006-11-14 2008-05-29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US8350820B2 (en) * 2009-11-06 2013-01-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KR101695288B1 (ko) * 2010-03-31 2017-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드 변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KR20130066911A (ko) 2011-12-13 201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드로우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116490B (zh) 2012-12-04 2016-06-29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页的九切图绘制方法
US20150220504A1 (en) * 2014-02-04 2015-08-06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sual Annotations for Object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나인패치 이해하기(2013.07.24.) 1부.*
미국공개특허 제2004-0119726호(2004.06.24.) 1부.*
미국공개특허 제2011-0109572호(2011.05.1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1727A1 (en) 2016-01-14
KR20160006965A (ko) 2016-01-20
US10289270B2 (en)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4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KR1022757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이라이트 표시 방법
US1071291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74741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92859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KR10236804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205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6033498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acters from same
US2014018959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401817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US20140129979A1 (en) Display device and list display method thereof
KR102092289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문서 작성 방법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US109248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31387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40089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