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33B1 -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33B1
KR102123333B1 KR1020200031995A KR20200031995A KR102123333B1 KR 102123333 B1 KR102123333 B1 KR 102123333B1 KR 1020200031995 A KR1020200031995 A KR 1020200031995A KR 20200031995 A KR20200031995 A KR 20200031995A KR 102123333 B1 KR102123333 B1 KR 10212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bar
stage
pressing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길
Original Assignee
홍유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유길 filed Critical 홍유길
Priority to KR102020003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판(11)의 상단 중앙에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베이스(1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내장홀더(12)에 한 쌍의 지주(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을 위한 모듈 구조물을 조립하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태양광모듈부에 대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어 오염물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Assembly method for solar module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모듈 구조물을 조립하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태양광모듈부에 대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어 오염물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기술과 관련하여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 등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시킴으로써 이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이라고 한다.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는 기술에 있어 다양한 구조로 설치되어 적용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수단들의 설치를 위해서 각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조립과 그에 따르는 별도의 가공이 수행되어야 시공 전은 물론 시공 이후를 아우르는 전반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들은 태양광 설비의 설치에 그치고 있어 태양광 설비의 효율적인 운용에 한계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9657호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모듈 구조물을 조립하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태양광모듈부에 대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어 오염물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11)의 상단 중앙에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베이스(1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내장홀더(12)에 한 쌍의 지주(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을 위한 모듈 구조물을 조립하되, 각 구성부 중 적어도 태양광모듈부에 대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어 오염물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태양광모듈부에 대한 표면처리가 적용되어 오염물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타입의 내진수단이 적용된 가공수단을 운용할 수 있어 이를 통한 태양광 구조물 적어도 일부에 대한 안정적인 오염방지 가공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광 모듈 구조물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지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지주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 베이스 및 지주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 베이스 및 지주의 조립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부가 구비된 유체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부의 배관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배출구에 연결된 약액 공급부의 나우팩의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도 7에 추가로 구비되는 내진수단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다른 내진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또 다른 내진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주베이스(10), 한 쌍의 지주(20), 장볼트(30), 태양광모듈(O)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지주 베이스(10)는 지주(20)와 분리된 별도의 단품으로 필요에 따라 기성품의 지주(20)를 태양광모듈(O)의 설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달리하여 내장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지주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로 바닥면(G)의 전후에 각각 앙카볼트(6) 등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고, 원형의 베이스판(11) 상단 중앙에는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주(20)를 내장홀더(12)에 끼워서 일체화 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20)는 내장홀더(12)의 내부에 끼움 내장되는 것으로, 현장 상황에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의 지주 베이스(10)만을 바닥면(G)에 1차 설치함으로써 수평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크레인 등의 장비나 많은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지주(20)는 현장 여건에 따라 높이나 길이가 수시로 변화됨에도 기성품(6∼12m)의 용융도금된 지주를 사용함으로써 급변하는 상황에 따른 대응력이 쉽고,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여 간편하게 가변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용융도금 작업을 생략하여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한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지주 베이스(10)는 내장홀더(12)의 외면(12a)(12b)(12c)이 상기 지주(20)의 3면을 감싸주어 종래의 보강리브(4)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지지면적이 확장됨으로써 보강력 및 구조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장홀더(12)의 내부에 끼워지는 지주(20)는 도 6과 같이 상기 내장홀더(12)의 양측 외면(12a)(12b) 및 지주(20)의 양측 외면을 동시에 한 쌍의 장볼트(30)가 상하에 각각 관통하여 너트(3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내장홀더(12)에 내장된 지주(20)는 상기 지주 베이스(10)와 상호 견고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20)는 전방의 지주(20)보다 후방의 지주(20)가 더 낮은 높이로 [0031] 설치됨에 따라 상기 지주(20)에 안착되는 태양광모듈(O)은 경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지주 베이스(10)가 분리된 단품으로 이루어져 바닥면(G)에 설치할 때지주(20)를 제외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이동하여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1차로 설치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지주(20)를 상기 지주 베이스(10)에 끼움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주(20)를 지주 베이스(10)에 끼움 내장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장볼트(30)가 관통하는 양측 외면(12a)(12b)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삽입 안내부(14)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지주(20)를 더욱 쉽게 끼워 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안내부(14)가 형성된 만큼 원자재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 안내부(14)를 형성함에 따라 지주(20)를 지지하는 지지력 및 구조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미미하나, 이러한 문제점 마저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상기 삽입 안내부(14)와 대향된 다른 하나의 외면(12c)에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하에 각각 상기 외면(12c) 및 지주(20)를 동시에 관통하는 조립피스(15)가 추가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주 베이스(10) 및 지주(20)는 견고한 일체성 및 우수한 강성을 확보하여 태양광모듈(O)의 지지력을 대폭 상승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장홀더(12)의 하단에 상기 내장홀더(12)의 내부와 연통하는 우수 배수구(16)가 상기 베이스판(1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유체처리수단은 기 공지된 다양한 코팅수단, 표면처리 수단 등을 가지고 적용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일 예시로서의 본 발명의 대상물 유체처리수단은 전술한 구성부들 중 적어도 상기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유체를 분사하여 코팅, 세척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태양광모듈을 코팅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면,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대상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에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 공급부는 상기 노즐부에 약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물 유체처리수단은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액 배출구에는 노즐부와 연결되지 않은 약액 공급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는 각각 노즐부에 연결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와 노즐부 사이에 분기되어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배출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는 하나의 배관을 통해 노즐부와 연결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와 배관 사이에 분기되어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배출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부 또는 약액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밸브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상물 유체처리 방법은 대상물을 로딩하는 단계와, 약액을 노즐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물에 약액을 유체처리하는 단계와, 유체처리된 대상물을 언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을 노즐부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노즐부에 약액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액을 노즐부에 공급하는 단계는 복수의 약액 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약액 공급부는 세정 및 약액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액을 노즐부에 공급하는 단계는 노즐을 준비하는 단계와, 약액 공급부를 세정하는 단계와, 상기 약액 공급부에 약액을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노즐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 및 약액 충전을 마친 약액 공급부를 노즐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은 세정, 처짐 보정 및 갭 조정이 완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부가 구비된 대상물 유체처리수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부의 배관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액 배출구에 연결된 약액 공급부의 나우팩의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물 유체처리수단은 대상물(G')이 안착되는 스테이지(215’)와,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G')에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200')와, 상기 노즐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부에는 유리 대상물과 같은 피처리물이 안착되며, 통상 대상물(G')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테이지(215’) 내부에는 상기 대상물(G')을 스테이지(215’)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개의 리프트 핀(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 핀은 대상물의 로딩 및 언로딩 시 대상물(G')을 스테이지(215’)에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215’)의 내부에는 상기 리프트 핀과 간섭되지 않도록 진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홀은 대상물(G')이 상기 스테이지(215’)에 안착되면, 대상물 유체처리 공정시 대상물(G')이 스테이지(2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지(215’)에 흡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상물(G')이 안착된 스테이지(215’)의 상부에는 상기 대상물(G')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노즐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노즐부(200')는 슬릿 형태의 노즐(210')과, 상기 노즐(210')이 장착되는 노즐 헤드(220')와, 상기 노즐 헤드(2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노즐(210')은 노즐 몸체와, 유입구 및 토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 몸체 내부에 약액을 저장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갖고, 유입구는 노즐 몸체에 형성되며 토출구는 노즐 몸체 중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선형의 토출구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약액이 대상물(G') 상부에 토출된다. 상기 노즐 헤드(220')는 상기 노즐(2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노즐(2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노즐 헤드(220')는 노즐(210')과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를 조절하여 노즐(210') 양단의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편차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230')는 노즐 헤드(2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헤드(220')를 수직 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Z축 구동 유닛(232')과, 상기 노즐 헤드(220')를 수평 즉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켜 대상물(G')에 약액을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하는 한 쌍의 Y축 구동 유닛(231')을 포함한다. 상기 Y축 구동 유닛(231')은 모터와 이동 레일, 가이드 레일과 같은 이동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로 비접촉 타입의 리니어(linear')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부(200')는 Y축 구동 유닛(232')을 통해 상기 대상물(G')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노즐(210')을 통해 약액을 분사하여 상기 대상물(G') 표면에 균일한 약액이 도포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달리, 노즐부(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G')을 슬라이딩시켜 동일한 코팅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노즐(210')에 약액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300')가 상기 스테이지(215’)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 1약액 공급부(310')는 상기 노즐 헤드(220')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2 약액 공급부(320')는 상기 약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약액 배출구(400')에 연결된다. 즉, 노즐 헤드(220')의 상부에 연결된 제 1 약액 공급부(310')는 노즐 헤드(220')를 통해 상기 노즐(210')에 약액을 공급하여 유체처리 공정을 진행하고, 약액 배출구(400')에 연결된 제 2 약액 공급부(320')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세정 및 다음 유체처리 작업에 쓰일 약액의 일정량을 충전시켜 다음 유체처리 작업을 준비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테이지(215’)의 일측에는 예비 토출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처리 공정을 처음 시작하는 경우, 약액을 상기 예비 토출 장치에 예비 토출하여, 대상물(G')에 균일한 약액이 도포되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약액 공급부에서 약액이 공급되는 과정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제 1 약액 공급부와 제2 약액 공급부의 동작은 같으므로, 제 1 약액 공급부에 연결된 배관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노즐 헤드(220')에 연결된 약액 공급부(310')는 약액 공급 용기(311')와, 상기 약액 공급 용기(311')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312')와, 상기 저장 탱크(312')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저장하는 버퍼탱크(313')와, 상기 약액 공급 용기(311'), 저장 탱크(312'), 버퍼 탱크(313') 사이에 연결된 배관(315a~315h'), 밸브(314a~314g'), 여과기(316') 및 펌프(3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약액 공급 용기(31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약액 공급 용기(311')에 충전된 약액은 제 3 및 제 4 배관(315c, 315d')에 의해 저장 탱크(312')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약액 공급 용기(311')의 약액을 저장 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CDA(314a') 및 제 2CDA(Clean Dry Air, 314b')가 제 1 및 제 2 배관(315a, 315b')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CDA(314a, 314b')와 제 1 및 제 2 배관(315a, 315b')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밸브(318a, 318b')가 마련된다. 즉, 제 1 및 제 2 밸브(318a, 318b')를 개방하여, 제 1 및 제 2 CDA(314a, 314b')에서 형성된 청정건조공기로 약액 공급 용기(311')에 압력을 가압하면 상기 약액 공급 용기(311')가 압축되면서 내부에 저장된 약액이 제 3 및 제 4 배관(315c, 315d')을 통해 배출되고, 제 3 및 제 4 배관(315c, 315d')이 합쳐지는 제 5 배관(315e')에 의해 저장 탱크(312')에 공급된다. 이때, 제 3 및 제 4 배관(315c, 315d')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밸브(318c, 318d')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약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배관(315a, 315b')에는 제 1 및 제 2 배관(315a, 315b')에서 분기된 제 1 및 제 2 대기 개방구(319a, 319b')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개방구(319a, 319b')는 제 1 및 제 2 CDA(314a, 314b')에서 형성된 일정량의 청정건조공기의 일부를 배출시켜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1 및 제 2 CDA(314a, 314b')에서 정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면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제 1 및 제 2 CDA(314a, 314b')를 통해 청정건조공기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였지만, 상기 약액 공급용기(311')에 질소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 용기(312')는 상기 약액 공급 용기(311')에서 공급된 약액을 혼합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저장용기(312')에는 제 3 CDA(314c') 및 제 5 밸브(318e')가 구비된 제 6 배관(315f')이 연결되어 상기 제 3 DCA(314c')에 의해 저장된 약액에 압력을 가한다. 또한, 저장된 약액을 배출하기 위해 제 7 배관(315g')이 상기 저장 용기(31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저장 용기(312')에는 밸브 및 제 3 대기 개방구(319c')가 연결되어, 청정건조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5 배관(315e')을 통해 상기 저장 용기(312')에 저장된 약액은 제 3 CDA(314c')에서 형성된 청정건조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 7 배관(315g')으로 상기 약액을 배출하고, 이때, 제 3 대기 개방구(319c')에 의해 상기 청정건조 공기의 압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 7 배관(315g')을 통해 배출된 약액은 버퍼 탱크(313')와 연결되고, 상기 제 7 배관(315g')에는 여과기(31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여과기(316')에는 밸브 및 제 4 대기 개방구(319d')가 연결된다. 상기 여과기(316')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약액에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 등에 의한 약액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여과기(316')에 연결된 제 4 대기 개방구(319d')에 의해 여과기(316')에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제어한다. 상기 여과기(316')를 거쳐 불순물 등이 제거된 약액은 제 7 배관(315g')에 의해 버퍼 탱크(313')로 공급된다. 상기 버퍼 탱크(313')는 약액의 양을 체크하고, 상기 약액에 첨가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퍼 탱크(313')에는 약액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해 레벨 센서(331')가 부착되고, 상기 레벨 센서(331')가 버퍼 탱크(313') 내에 약액의 부족을 감지하면 이에 의해 제어 장치(미도시')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레벨 센서(331')가 제어 장치로 신호를 보내면 불순물 등이 제거된 약액이 상기 버퍼 탱크(313')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버퍼 탱크(331')에는 밸브 및 제 5 대기 개방구(319e')가 연결되어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탱크(331')에는 상기 노즐 헤드(220')에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 제 8 배관(315h')이 연결되고, 상기 제 8 배관(315h')에는 펌프(317') 및 제 6 및 제 7 밸브(318f, 318g')가 마련된다. 이때, 제 6 및 제 7 밸브(318f, 318g')는 상기 펌프(317')의 전,후에 설치되어, 상기 약액을 공급 및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220')에는 기포를 배출할 용도로 밸브 및 약액 출구(400') 마련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노즐 헤드(220') 내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약액 배출구(400')에 연결된 제 2 약액 공급 장치(32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약액을 세정액으로 교체하여 상기 세정액을 통해 이전 공정에서 제 2 약액 공급 장치(320') 및 배관에 남아 있는 잔류된 약액을 세정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배출구(400')에 연결된 제 2 약액 공급 장치(320')의 이전 공정에 사용된 약액이 저장된 약액 공급 용기(311')를 약액 공급 장치(320')로부터 분리하고, 세정액이 담긴 약액 공급 용기(340')를 약액 공급 장치(320')에 장착하여, 도 8에 도시된 약액 순환에 의해 배관들을 세정한다. 이어, 상기 배관들의 세정을 마치면, 상기 세정액이 담긴 약액 공급 용기(340')를 분리하고, 새로 사용될 약액이 저장된 약액 공급 용기(350')를 제 2 약액 공급 장치(320')에 장착하여, 상기 배관들에 남아 있는 세정액을 약액 배출구로 배출하면서, 소량의 새로운 약액을 공급하여 다음 공정을 준비한다. 이후, 제 2 약액 공급부(320') 및 배관은 노즐부(200')와 연결되어 새로운 유체처리 약액을 대상물에 유체분사하여 코팅처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은 도 7에 추가로 구비되는 내진수단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지(215’)는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체(210, 220)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작업대(10)와 상기 기기본체(100)가 안착되는 스테이지(215’)가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지(215’)는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체(210, 220)가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체(210, 220)는, 상단의 제1-1 연결바(211)와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1-1 연결바(211)와 연동되는 제1-2 연결체(212)로 구비되는 제1 연결체(210)와, 상단의 제2-1 연결바(221)와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1 연결바(221)와 연동되는 제2-2 연결체(222)로 구비되는 제2 연결체(220)가 구비되는 제2 연결체(220)로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제1-1 연결바(211)와 상기 제2-1 연결바(221)는 각기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공압 또는 유압 방식 등 기타 여러 공지기술방식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이 아닌 고정방식(예 : 일체형 구조 방식, 상호 장착 결속 구조 방식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싱기 스테이지(215’)는 상기 연결체(210, 220)를 매개로 하부에 거치유닛(110)이 설치되며,상기 거치유닛(110)은, 상기 연결체(210, 220)가 위치되는 거치부(111)와, 상기 연결체(210, 220)들 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부(111)에 구비되는 기둥체(112a) 및 상기 기둥체(112a)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랜지 형태의 고정부(112b)가 구비되는 중심고정부(112)와, 상기 거치부(111)상의 일측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중심고정부(112)와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고정하는 제1 고정체(113)와, 상기 거치부(111)상의 타측에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고정하는 제2 고정체(114)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고정부(112)의 상기 기둥체(112a)는 상방과 하방 유동을 통해 상기 고정부(112b)로 하여금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동시에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기둥체(112a)는 횡단면 기준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서 상기 거치부(111)에서 일정반경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제1 고정체(113)는,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제1-1 고정부(1131)와,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2a 고정부(1132a)와, 상기 제1-2a 고정부(1132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2b 고정부(1132b)와, 상기 제1-2a 고정부(1132a)의 하부에서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3a 고정부(1133a)와, 상기 제1-3a 고정부(1133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3b 고정부(1133b)와, 상기 제1-3a 고정부(1133a)의 하부에서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4a 고정부(1134a), 상기 제1-4a 고정부(1134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4b 고정부(1134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정체(114)는,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제2-1 고정부(1141)와,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2-2a 고정부(1142a)와, 상기 제2-2a 고정부(1142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2-2b 고정부(1142b)와, 상기 제2-2a 고정부(1142a)의 하부에서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2-3a 고정부(1143a)와, 상기 제2-3a 고정부(1143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2-3b 고정부(1143b)와, 상기 제2-3a 고정부(1143a)의 하부에서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2-4a 고정부(1144a), 상기 제2-4a 고정부(1144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2-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2-4b 고정부(1144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1 고정부(1131) 내지 상기 제1-4b 고정부(1134b)는 상기 제1 고정체(113)에서 진퇴 유동되거나 상하 좌우 유동을 통해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파지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1 고정부(1131)는 횡단면 기준 형상이 다각형상이며, 상기 제2-1 고정부(1141) 내지 상기 제2-4b 고정부(1144b)는 상기 제2 고정체(114)에서 진퇴 유동되거나 상하 좌우 유동을 통해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파지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1 고정부(1141)는 횡단면 기준 형상이 다각형상이며, 상기 제1-1 고정부(1131) 내지 상기 제1-4b 고정부(1134b)에 의하여 상기 제1 고정체(113)가 고정되며, 상기 제2-1 고정부(1141) 내지 상기 제2-4b 고정부(1144b)에 의하여 상기 제2 고정체(114)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고정부(1131)는 수직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가압한다.
상기 제2-1 고정부(1141)는 수직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가압한다. 상기 거치부(111)는, 상기 제1-2 연결체(212)가 거치되는 영역에 제1 센싱부(S1)가 구비되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무게 내지 가압힘을 감지하여 제1 인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2 연결체(222)가 거치되는 영역에 제2 센싱부(S2)가 구비되어, 상기 제2-2 연결체(222)의 무게 내지 가압힘을 감지하여 제2 인지정보를 생성한다.
외부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인지정보에 기반하는 규격의 제1-2 연결체(212)를 외부 DB로부터 파악하여, 제1-1 고정부(1131) 내지 상기 제1-4b 고정부(1134b)로 하여금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규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일률적으로 유동하여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인지정보에 기반하는 규격의 제2-2 연결체(222)를 외부 DB로부터 파악하여, 제2-1 고정부(1141) 내지 상기 제2-4b 고정부(1144b)로 하여금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규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일률적으로 유동하여 가압한다. 상기 중심고정부(112)의 상기 고정부(112b)는, 하부에 제1 관통봉(11121)이 구비되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에 결속되고, 하부에 제2 관통봉(112a2)이 구비되어 상기 제2-2 연결체(222)에 결속되며, 상기 제1 관통봉(11121)과 상기 제2 관통봉(112a2)이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에 각각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고정부(112)의 상기 기둥체(112a)로부터 독립적으로 일정범위 회전 유동한다.
상기 제1-2a 고정부(1132a), 상기 제1-2b 고정부(1132b), 상기 제1-3a 고정부(1133a), 상기 제1-3b 고정부(1133b), 상기 제1-4a 고정부(1134a) 및 상기 제1-4b 고정부(1134b)는, 각각 길이방향 단부에 상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상방 유동체(U1)와, 길이방향 단부에 하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하방 유동체(D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상방 유동체(U1)와 상기 제1 하방 유동체(D1)는, 상기 제1-2a 고정부(1132a), 상기 제1-2b 고정부(1132b), 상기 제1-3a 고정부(1133a), 상기 제1-3b 고정부(1133b), 상기 제1-4a 고정부(1134a) 및 상기 제1-4b 고정부(1134b)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추가 고정시킨다.
상기 제2-2a 고정부(1142a), 상기 제2-2b 고정부(1142b), 상기 제2-3a 고정부(1143a), 상기 제2-3b 고정부(1143b), 상기 제2-4a 고정부(1144a) 및 상기 제2-4b 고정부(1144b)는, 각각 길이방향 단부에 상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상방 유동체(U2)와, 길이방향 단부에 하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하방 유동체(D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상방 유동체(U2)와 상기 제2 하방 유동체(D2)는, 상기 제2-2a 고정부(1142a), 상기 제2-2b 고정부(1142b), 상기 제2-3a 고정부(1143a), 상기 제2-3b 고정부(1143b), 상기 제2-4a 고정부(1144a) 및 상기 제2-4b 고정부(1144b)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추가 고정시킨다.
상기 거치부(111)는 양측에 위치고정부(115)가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부(115)는, 상기 거치부(111)의 양측에 위치되는 받침부(1151)와, 상기 받침부(1151)를 관통하며 상기 거치부에 연동되는 연동체(1152)와, 상기 연동체(1152)를 길이방향 간에 유동시키기 위한 구동체(1153)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111)는, 하부에 고정다리부(116)가 구비되며, 상기 위치고정부(115)의 상기 구동체(1153)는, 상기 고정다리부(116)가 기저부(예: 토양 등)에 적어도 일부 묻힌 상태에서 상기 연동체(1152)를 매개로 상기 거치부(111)를 수평방간에 일정범위 전진 또는 후진 유동시키도록 유동힘을 가한다.
상기 고정다리부(116)는, 중앙의 제1 고정다리부(1161)와,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틸트 유동되는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하도록 틸트 유동되는 제3 고정다리부(116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는 상기 거치부(111)로부터 틸트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는 하부에 고정모듈(116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모듈(1164)은, 일측부(1164b)로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의 유동을 가능하게 릴리즈시키거나, 타측부(1164c)로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의 유동을 가능하게 릴리즈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모듈(1164)의 상기 일측부(1164b)는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를 사이데 두고 그 양측에서 파지하는 형태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등의 방식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는 하부에 대각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는 제1 기경부(1162a)가 구비되어 기저부를 기경(起耕)하도록 전후 유동되는 제1 기경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는 하부에 대각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는 제2 기경부(1163a)가 구비되어 기저부를 기경(起耕)하도록 전후 유동되는 제2 기경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기경동작 및 상기 제2 기경동작은 기저부에 묻히기 전 상태에서 수행되거나, 기저부에 묻힌 후에 수행된다.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는, 상기 제1 기경부(1162a)가 구비되는 제1 경사영역부(1162T)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경사영역부(1162T)는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에서 일정범위로 회전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는, 상기 제2 기경부(1163a)가 구비되는 제2 경사영역부(1163T)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경사영역부(1163T)는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에서 일정범위로 회전유동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1151)는 하부에 위치조정모듈(1154)이 구비되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1151)에 의하여 상기 위치고정부(115)의 하강 시,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는 상기 제1 고정다리부(1161)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틸트된 상태에서 기저부에 대한 지지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1151)는, 상기 받침부(1151)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에 각각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조절체(1171)와, 상기 가압조절체(1171)를 길이방향 간에 유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체(1172)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조절체(1171)는, 상기 제2 구동체(1172)로부터 직접 구동되는 제1 가압조절체(1171a)와, 상기 제1 가압조절체(1171a)로부터 출몰되어 구동되며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에 각기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가압조절체(117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조절체(1171)의 단부에는 고무,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접촉매개체(M2)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1151)는 소정의 중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구동체(1172)는 상기 받침부(1151)의 상기 중공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가압조절체(1171a)의 구동에 따라 일정범위로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압조절체(1171b)는 상기 제1 가압조절체(1171a)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고정다리부(1162)와 상기 제3 고정다리부(1163)에 대한 가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태양광모듈 구조물 설치방법은, 베이스판(11)의 상단 중앙에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베이스(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장홀더(12)에 끼움 내장되고, 현장 상황에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한 쌍의 지주(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태양광모듈 구조물 조립방법은, 베이스판(11)의 상단 중앙에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베이스(1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내장홀더(12)에 한 쌍의 지주(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는 지주 베이스 내장형 태양광 모둘 구조물 시공방법은, 바닥면(G)의 전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판(11)의 상단 중앙에 상하가 개방된 내장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 베이스(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내장홀더(12)에 한 쌍의 지주(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주 베이스 내장형 태양광모듈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들은 발명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하도록 넓이와 높이 두께 등에 있어 도면의 개략적인 크기 표현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밝혀둔다. 한편, 클리닝 가공이 적용된 태양광모듈 구조물 설치방법으로서, 지주(20)의 상단에 클리닝된 태양광모듈(O)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모듈(O)은 유체처리수단에 의하여 유체 분사 과정을 거치도록 구비되며, 전술한 태양광모듈은 공지기술인 출원번호 제10-2019-0006898호와 유사한 방식의 클리닝 수단을 이용하여 클리닝이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내진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스테이지(215’)하부에 구비되는(예: 스테이지와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형태, 또는 용접가공 방식 등의 적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함.) 내진수단은 안착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사각구조부(110”)와 상기 사각구조부(110") 저면에 구비되어 사각구조부(110")를 거치시키는을하부구조모듈 포함한다.
상기 하부구조모듈, 상기 사각구조부(110") 저면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 하부에 위치되는 제2 베이스구조부(112")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바(113")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13")들을 연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연동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13")는,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의 모서리부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지지바(1131"), 제2 지지바(1132"). 제3 지지바(1133") 및 제4 지지바(1134")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114")는, 상기 제1 지지바(1131")와 상기 제2 지지바(1132")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동부(1411")와, 상기 제2 지지바(1132")와 상기 제3 지지바(1133")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연동부(1142")와, 상기 제3 지지바(1133")와 상기 제4 지지바(1134")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연동부와, 상기 제3 지지바(1133")와 상기 제4 지지바(1134") 사이에 구비되는 제4 연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동부(1411") 내지 상기 제4 연동부(1144")는, 상기 제1 지지바(1131") 내지 상기 제4 지지바(1134")를 둘러싸도록 결속되는 띠형 결속체(BT")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며, 상기 띠형 결속체(BT")에 텐션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지지바(1131") 내지 상기 제4 지지바(1134")에 대한 고정력을 가한다. 여기서 띠형 결속체(BT")는 고무, 엘라스토머, 금속재질(예: 금속체인, 금속박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동부(1411")는, 회전 유동이 가능한 원통형 제1 유동체(1411a")와, 상기 제1 유동체(1411a")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양단에 상기 띠형 결속체(BT")가 결속되는 제1 서브 유동체(1411b")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연동부(1142")는, 회전 유동이 가능한 원통형 제2 유동체(1142a")와, 상기 제2 유동체(1142a")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양단에 상기 띠형 결속체(BT")가 결속되는 제2 서브 유동체(1142b")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연동부(1143")는, 회전 유동이 가능한 원통형 제3 유동체(1143a")와, 상기 제3 유동체(1143a")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양단에 상기 띠형 결속체(BT")가 결속되는 제3 서브 유동체(1143b")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연동부(1144")는, 회전 유동이 가능한 원통형 제4 유동체(1144a")와, 상기 제4 유동체(1144a")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양단에 상기 띠형 결속체(BT")가 결속되는 제4 서브 유동체(1144b")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체(1411a") 내지 상기 제4 유동체(1144a")는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 사이에서 회전유동을 통해 상기 띠형 결속체(BT")들이 상기 제1 지지바(1131") 내지 상기 제4 지지바(1134")를 가압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제1 서브 유동체(1411b") 내지 상기 제4 서브 유동체(1144b")는, 각기 상기 제1 유동체(1411a") 내지 상기 제4 유동체(1144a")상에서 설정 높이로 위치 이동하여 상기 띠형 결속체(BT")들이 상기 제1 지지바 내지 상기 제4 지지바(1134")에 가하는 가압힘을 보강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는, 상기 지지바(113")와, 상기 제1 유동체(1411a") 내지 상기 제4 유동체(1144a")가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부(112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부(1121")의 하방 유동에 기반하여 함입공간(IH")이 형성되며, 상기 하강모드시 사각구조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입공간(IH")에 수용되어 은폐된다.
도 24 내지 도 30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다른 내진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지(215’")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일측 하부를 받치는 제1-1 접촉부(1151")와, 상기 스테이지(215’")의 일측면부에 접하는 제1-2 접촉부(1152")를 포함하는 제1 안착체(115")와, 상기 스테이지(215’")의 타측 하부를 받치는 제2-1 접촉부(1161")와, 상기 스테이지(215’")의 타측면부에 접하는 제2-2 접촉부(1162")를 포함하는 제2 안착체(116")와, 상기 제1 안착체(115")와 상기 제2 안착체(116") 사이에서 상기 스테이지(215’")의 하부를 받치는 제3 안착체(117")를 포함하는 안착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1-1 접촉부(1151")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기 형성된 제1-1 장착공간부(H11")에 삽입되는 제1-1 삽입체(1181")와, 제1-1 삽입체(118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1 구동본체(1182")와, 상기 제1-1 구동본체(1182")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1 돌출체(1183")를 포함하는 제1-1 결속구(118")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기 제1-1 장착공간부(H11")에는 상기 제1-1 삽입체(1181") 양단을 각기 가압하는 한 쌍의 제1-1 가압부(1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가압부(1122")가 상기 제1-1 삽입체(1181")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1 삽입체(1181")는 후진유동을 통해 상기 제1-1 돌출체(1183")로 하여금 상기 제1-1 가압부(1122")를 외부측으로 가압하며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2 접촉부(1152")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기 형성된 제1-2 장착공간부(H12")에 삽입되는 제1-2 삽입체(1191")와 상기 제1-2 삽입체(119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1 구동본체(1192")와, 상기 제2-1 구동본체(1192")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2 돌출체(1193")를 포함하는 제1-2 결속구(119")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기 제1-2 장착공간부(H12")에는 상기 제1-2 삽입체(1191") 양단을 각기 가압하는 한 쌍의 제1-2 가압부(11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가압부(1123")가 상기 제1-2 삽입체(1191")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삽입체(1191")는 후진유동을 통해 상기 제1-2 돌출체(1193")로 하여금 상기 제1-2 가압부(1123")를 외부측으로 가압하며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1 접촉부(1161")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기 형성된 제2-1 장착공간부(H21")에 삽입되는 제2-1 삽입체(1201")와, 상기 제2-1 삽입체(120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1 구동본체(1192")와, 상기 제2-1 구동본체(1192")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1 돌출체(1202")를 포함하는 제2-1 결속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기 제2-1 장착공간부(H21")에는 상기 제2-1 삽입체(1201") 양단을 각기 가압하는 한 쌍의 제2-1 가압부(11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가압부(1124")의 상기 제2-1 삽입체(1201")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1 삽입체(1201")는 후진유동을 통해 상기 제2-1 돌출체(1202")로 하여금 상기 제2-1 가압부(1124")를 외부측으로 가압하며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2 접촉부(1162")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기 형성된 제2-2 장착공간부(H22")에 삽입되는 제2-2 삽입체(1211")와, 상기 제2-2 삽입체(121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2 구동본체(1212")와, 상기 제2-2 구동본체(1212")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2 돌출체(1213")를 포함하는 제2-2 결속구(121")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기 제2-2 장착공간부(H22")에는 상기 제2-2 삽입체(1211") 양단을 각기 가압하는 한 쌍의 제2-2 가압부(1125")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가압부(1125")의 상기 제2-2 삽입체(1211")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2 삽입체(1211")는 후진유동을 통해 상기 제2-2 돌출체(1213")로 하여금 상기 제2-2 가압부(1125")를 외부측으로 가압하며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3 안착체(117")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기 형성된 제3 장착공간부(H3")에 삽입되는 제3 삽입체(1221")와, 상기 제3 삽입체(122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3 구동본체(1222")와, 상기 제3 구동본체(1222")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체(1223")를 포함하는 제3 결속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기 제3 장착공간부(H3")에는 상기 제3 삽입체(1221") 양단을 각기 가압하는 한 쌍의 제3 가압부(1124")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부(1124")의 상기 제3 삽입체(1221")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삽입체(1221")는 후진유동을 통해 상기 제3 돌출체(1223")로 하여금 상기 제3 가압부(1124")를 외부측으로 가압하며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스테이지(215’")의 하방에는 베이스구조물(131")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구조물(131")은, 구동몸체(1311")와, 상기 구동몸체(1311")의 상부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안착체(115")와 상기 제2 안착체(116") 사이로 진입하는 제1 진입체(1312")와. 상기 구동몸체(1311")의 상부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안착체(116")와 상기 제3 안착체(117") 사이로 진입하는 제2 진입체(1313")를 포함한다.
다각형태인 상기 제1 진입체(1312")와 상기 제2 진입체(1313")는 각각 일정반경으로 회전을 통해 다각형인 상기 제1 안착체(115")와 상기 제2 안착체(116") 및 상기 제3 안착체(117")에 대한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베이스구조물(131")은, 일단에 상기 제1 안착체(115")를 수용하여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 가이드하도록 당기는 제1 가변부(1314")와, 타단에 상기 제2 안착체(116")를 수용하여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 가이드도록 당기는 제2 가변부(131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착체(115"), 상기 제2 안착체(116"), 상기 제3 안착체(117")는 각각 기본적으로 상기 베이스구조물1t31")에 연동 결속되어 일정범위로 승강 또는 하강이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종국적으로 상기 스테이지(215’")에대한 당김힘과 밀어냄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체(115") 제2 안착체(116")의 각 구성부는 상호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형성된다. 예컨데, 제1-1 접촉부(1151")와 상기 제1-2 접촉부(1152")가 위치를 달리하며, 제2-1 접촉부(1161")와 상기 제2-2 접촉부(1162")가 위치를 달리하며 구비된다. 도 27 내지 도 28의 경우 제1-1 접촉부(1151")내지 상기 제2-2 접촉부(1162")는 각각 상기 스테이지(215’")에서 개별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둘레방향 회전역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0의 경우 제1-2 접촉부(1152")는 상기 제1-1 접촉부(1151")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2 접촉부(1162")는 상기 제2-1 접촉부(1161")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7은 도 7에 추가로 구비되는 내진수단과, 도 18 내지 도 23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내진수단 및 도 24 내지 도 30은 도 7 내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스테이지 하부에 구비되는 다른 내진수단은 크기와 비율 위치 등의 조율을 따라 함께 설치되거나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40: 태양광모듈 2, 20: 지주
3, 11: 베이스판 4: 보강리브
10: 지주 베이스 12: 내장홀더
14: 삽입 안내부 15: 조립피스
16: 우수 배수구 30: 장볼트

Claims (8)

  1. 삭제
  2. 태양광모듈(O)의 유체처리를 위한 유체처리수단으로서,
    상기 유체처리수단은,
    태양광모듈(O)이 안착되는 스테이지(215’)와, 상기 스테이지(21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태양광모듈(O)에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200’)를 포함하며,
    스테이지(215’)는 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체(210, 220)가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210, 220)는,
    상단의 제1-1 연결바(211)와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1-1 연결바(211)와 연동되는 제1-2 연결체(212)로 구비되는 제1 연결체(210)와,
    상단의 제2-1 연결바(221)와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1 연결바(221)와 연동되는 제2-2 연결체(222)로 구비되는 제2 연결체(220)가 구비되는 제2 연결체(220)로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지(215’)는,
    상기 스테이지(215’)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착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사각의 사각구조부(110")와, 상기 사각구조부(110") 저면에 구비되어 사각구조부(110’")를 거치시키는 하부구조모듈(11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구조모듈(110")은,
    상기 사각구조부(110") 저면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 하부에 위치되는 제2 베이스구조부(112")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바(113")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1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1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13")들을 연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연동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113")는,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의 모서리부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지지바(1131"), 제2 지지바(1132"). 제3 지지바(1133") 및 제4 지지바(1134")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114")는,
    상기 제1 지지바(1131")와 상기 제2 지지바(1132")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동부(1141")와,
    상기 제2 지지바(1132")와 상기 제3 지지바(1133")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연동부(1142")와,
    상기 제3 지지바(1133")와 상기 제4 지지바(1134")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연동부(1143")와,
    상기 제4 지지바(1134")와 상기 제1 지지바(1131") 사이에 구비되는 제4 연동부(1144")를 포함하는 유체처리수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215’)는 상기 연결체(210, 220)를 매개로 하부에 거치유닛(110)이 설치되며,
    상기 거치유닛(110)은,
    상기 연결체(210, 220)가 위치되는 거치부(111)와,
    상기 연결체(210, 220)들 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부(111)에 구비되는 기둥체(112a) 및 상기 기둥체(112a)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랜지 형태의 고정부(112b)가 구비되는 중심고정부(112)와,
    상기 거치부(111)상의 일측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중심고정부(112)와 상기 제1-2 연결체(212)를 고정하는 제1 고정체(113)와,
    상기 거치부(111)상의 타측에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고정하는 제2 고정체(114)를 포함하는 유체처리수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고정부(112)의 상기 기둥체(112a)는 상방과 하방 유동을 통해 상기 고정부(112b)로 하여금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동시에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기둥체(112a)는 횡단면 기준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서 상기 거치부(111)에서 일정반경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제1-2 연결체(212)와 상기 제2-2 연결체(222)를 가압 고정시키는 유체처리수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체(113)는,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상부를 누르기 위한 제1-1 고정부(1131)와,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2a 고정부(1132a)와,
    상기 제1-2a 고정부(1132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2b 고정부(1132b)와,
    상기 제1-2a 고정부(1132a)의 하부에서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3a 고정부(1133a)와,
    상기 제1-3a 고정부(1133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3b 고정부(1133b)와,
    상기 제1-3a 고정부(1133a)의 하부에서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일측의 제1-4a 고정부(1134a),
    상기 제1-4a 고정부(1134a)와 짝을 이루어 상기 제1-2 연결체(212)의 측면부를 누르기 위한 타측의 제1-4b 고정부(1134b)를 포함하는 유체처리수단.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31995A 2020-03-16 2020-03-16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KR10212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95A KR102123333B1 (ko) 2020-03-16 2020-03-16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95A KR102123333B1 (ko) 2020-03-16 2020-03-16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333B1 true KR102123333B1 (ko) 2020-06-16

Family

ID=7114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95A KR102123333B1 (ko) 2020-03-16 2020-03-16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3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051A (ja) * 2001-04-09 2002-10-18 Katsutoshi Imanaga 建物緊張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の緊張保持方法、建物のジャッキアップ方法
JP2004100393A (ja) * 2002-09-12 2004-04-02 Nippon Ekonika:Kk 筋交い装置及び筋交い装置に使用するロープ取付具
KR20040032176A (ko) * 2002-10-01 2004-04-17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양방향 이송장치
KR20110007866A (ko) * 2009-07-17 2011-01-25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KR101189657B1 (ko) 2011-02-24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설계계수 산출방법 및 그 장치
JP2013143409A (ja) * 2012-01-10 2013-07-22 Systec:Kk 太陽光発電設置物
KR101864438B1 (ko) * 2017-12-11 2018-06-04 김재훈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1922832B1 (ko) * 2018-02-05 2018-11-27 박봉열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및 그의 코팅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051A (ja) * 2001-04-09 2002-10-18 Katsutoshi Imanaga 建物緊張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の緊張保持方法、建物のジャッキアップ方法
JP2004100393A (ja) * 2002-09-12 2004-04-02 Nippon Ekonika:Kk 筋交い装置及び筋交い装置に使用するロープ取付具
KR20040032176A (ko) * 2002-10-01 2004-04-17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양방향 이송장치
KR20110007866A (ko) * 2009-07-17 2011-01-25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KR101189657B1 (ko) 2011-02-24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설계계수 산출방법 및 그 장치
JP2013143409A (ja) * 2012-01-10 2013-07-22 Systec:Kk 太陽光発電設置物
KR101864438B1 (ko) * 2017-12-11 2018-06-04 김재훈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1922832B1 (ko) * 2018-02-05 2018-11-27 박봉열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및 그의 코팅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3204B (zh) 电镀设备
KR102123334B1 (ko) 태양광 모듈용 유체처리수단
KR102123333B1 (ko) 태양광 모듈의 유체처리수단
CN202572701U (zh) 一种用于芳纶蜂窝芯制造的自动浸胶、翻转设备
KR102134588B1 (ko) 지주 베이스 내장형 태양광 모듈 구조물 시공방법
CN102146729A (zh) 球形容器内顶部施工易拆装伞形平台及其使用方法
EP0740024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unette
CN214637469U (zh) 一种小型预制构件自动喷淋设备
CN212404665U (zh) 一种钢轨道梁安装胎具
CN117001219A (zh) 一种用于钢管家具生产的拼接平台
KR101708372B1 (ko) 골리앗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해체방법
US5417765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owder coating booth
CN209379243U (zh) 空心电抗器表面处理用喷涂装置
KR100621427B1 (ko) 수도꼭지의 칩 세척장치
CN102723257B (zh) 衬底处理设备和衬底处理方法
CN106180106B (zh) 一种桶自动清洗装置
CN1326637C (zh) 大规格轴承及轴承箱体大流量高压卧式清洗机
CN211220740U (zh) 一种用于清洗的倾斜机械手
CN210100374U (zh) 一种搅拌站混凝土下料装置
CN112393028A (zh) 一种安装高层建筑水暖间管道用工装
CN217831002U (zh) 一种多晶硅片表面淋洗装置
CN216577204U (zh) 一种钢结构预处理除锈装置
CN116007347B (zh) 承载结构及烘箱
CN217433426U (zh) 一种熟料取样器安装板的焊接装置
CN2592297Y (zh) 大规格轴承及轴承箱体大流量高压卧式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