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952B1 - 기능성 속옷 - Google Patents

기능성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952B1
KR102122952B1 KR1020180135002A KR20180135002A KR102122952B1 KR 102122952 B1 KR102122952 B1 KR 102122952B1 KR 1020180135002 A KR1020180135002 A KR 1020180135002A KR 20180135002 A KR20180135002 A KR 20180135002A KR 102122952 B1 KR102122952 B1 KR 10212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attached
functional underwear
us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993A (ko
Inventor
윤용재
문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문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문윤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Priority to KR102018013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능성 속옷은 항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되는 몸통부; 및 몸통부의 내측면 중 기설정된 영역에 부착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에서 유도되는 정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는 미세전도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속옷{FUCTIONAL UNDERWEAR}
본 발명은 항균 및 탈취기능을 포함하고, 전류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는 기능성 속옷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주파로 인체의 특정 부위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여 인체를 치료하는 저주파 치료장치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장치는 저주파 전기자극을 피부에 가하기 위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극패드를 원하는 인체 부위에 직접 부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양말, 장갑, 복부 패드, 팬티, 브래지어 등의 피복품을 벗어야 하기 때문에 공중시설이나 야외에서 저주파 치료를 받는데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을 소재를 포함하는 피복품이 저주파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피복품은 금속사와 같은 섬유로 직조되기 때문에 저주파 치료시에 의복에 전극패드를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인체에 전기자극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중시설이나 야외에서도 피복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으로 인하여 저주파 전기자극이 피복품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어 저주파 치료효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여 저주파 자극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은 항균, 소취 등 추가적인 기능이 제한되며, 전기 전도성 소재와 피복이 박음질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5923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천연 원료에 전도성 물질이 압착되어 제조된 기능성 속옷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기능성 속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기능성 속옷은 항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기설정된 영역에 부착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에서 유도되는 정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는 미세전도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복수의 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비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가 전도성 물질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와 접촉되는 측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미세전도섬유가 부착되는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롤링된 상태로 보관되어, 이동가능한 자유단이 상기 벨크로 소재와 접촉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접착성 물질의 접착력을 기초로 상기 몸통부에 부착되며, 상기 몸통부에 부착시 고압의 압력을 전달받는 프레스 공정, 시침 및 재봉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 및 사타구니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에 기초하여 상기 몸통부 내측면에 압착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 사타구니 및 둔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내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씨실,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씨실은, 상호 간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날실과 직조되고, 상기 복수의 날실은, 상호 간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씨실과 혼방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날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3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에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된 몸통부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열되는 미세전도섬유가 압착되어, 섬유간 연결을 위한 봉제선이 제거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세균, 제습 기능을 갖는 미세전도섬유를 몸통부 내측에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의 광범위한 영역에 서식하는 세균 제거, 사용자의 혈액순환 향상, 복부자극을 통한 생리통 완화 및 사용자 생식기의 건전성 향상을 위한 환경 등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내수성 소재를 포함하여, 침습, 세탁과 같이 몸통부가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항균 또는 소취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의 배치와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능성 속옷을 구성하는 미세전도섬유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탈착기능을 묘사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 커버가 추가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된 몸통부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열되는 미세전도섬유가 압착되어, 섬유간 연결을 위한 봉제선이 제거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이고, 도 2는 기능성 속옷의 배치와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1)은 몸통부(11) 및 미세전도섬유(13)를 포함한다. 몸통부(11)는 종래의 사각 팬티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몸통부(11)는 항균 및 탈취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천연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1)는 미네랄 실로 직조될 수 있다. 몸통부(11)는 고치실, 옥, 코랄칼슘 및 šœ가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될 수 있다. 몸통부(11)는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슈퍼박테리아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11)는 암모니아와 같은 독성 가스를 흡착하여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몸통부(11)는 내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속옷(1)을 세탁하는 경우, 몸통부(11)가 수분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네랄 실에 포함된 소재가 몸통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몸통부(11)는 내수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수성 소재는 몸통부(11) 외측에 분사, 코팅, 접합 등의 방식으로 포함되어 수분의 접근을 예방하거나, 몸통부(11) 내부에 포함된 천연 원료를 미셀(micelle) 구조와 같이 둘러싸는 형태로 격리하여 수분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통부(11)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씨실(111) 및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실(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씨실(111)은 상호 간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날실(113)과 직조될 수 있다. 제1 간격은 임의의 간격으로, 몸통부(11)에 요구되는 신축성 또는 견고성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될 수 있다. 일 예로, 10 mm의 간격 내에 40개의 씨실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씨실간 이격된 거리를 제1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날실(113)은 상호 간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씨실(111)과 혼방 직조될 수 있다. 제2 간격은 임의의 간격으로, 몸통부(11)에 요구되는 신축성 또는 견고성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될 수 있으며, 씨실(111)간 이격된 제1 거리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될 수 있다. 일 예로, 10 mm의 간격 내에 70개의 날실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날실간 이격된 거리를 제2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의 내측면 중 기설정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자(9)의 인체와 접촉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9)의 신체에서 유도되는 정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기초로 사용자(9)에게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구리, 은, 금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사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전도섬유(13)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전류를 기초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사용자(9)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원적외선을 사용자(9)의 체내로 조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세혈관이 온도가 상승되고 직경이 확장되어 혈액순환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13)는 전류를 기초로 사용자(9)의 표피에 서식하는 균을 항균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은 사용자(9)의 표피로 조사될 수 있으며, 표피에서 서식하는 균을 항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세전도섬유(13)는 전류를 기초로 발열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전류를 기초로 발열하여 몸통부(11) 내측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의 다양한 부위에 패터닝될 수 있다. 특히, 미세전도섬유(13)는 사용자(9)의 성별에 기초하여 몸통부(11) 내측면에 압착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패터닝된 영역에서 발열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 또는 외부와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1)은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몸통부(11)의 자체적인 항균, 탈취 기능뿐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세균, 제습 기능을 갖는 미세전도섬유(13)를 몸통부(11) 내측에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 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9) 피부의 광범위한 영역에 서식하는 세균을 제거하며, 사용자(9)의 혈액순환 향상, 복부자극을 통한 생리통 완화 및 사용자 생식기의 건전성 향상을 위한 환경 등을 조성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날실(11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13)는 씨실(111)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미세전도섬유(13)는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합적인 방향으로 동시에 배치되어 일정한 패터닝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단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미세전도섬유(13)는 제3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통부(11)의 내측면에 압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미세전도섬유(13)는 도 1과 같이 10 mm의 등간격으로 날실(11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몸통부(11)의 정면에 위치하여 남성 사용자의 생식기 주변을 제습, 항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합적인 방향으로 동시에 배치된 미세전도섬유(13)는 가로, 세로 10 mm의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모양이 2차원적으로 확장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미세전도섬유(13)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원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나, 미세전도섬유(13)가 배치되는 형태는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세전도섬유(13)는 접착성 물질(15)의 접착력을 기초로 몸통부(11)에 부착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에 부착시 고압의 압력을 전달받는 프레스 공정, 시침 및 재봉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고압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미세전도섬유(13)와 몸통부(11) 사이에 접착성 물질(15)이 고루 분포될 수 있으며, 접착성 물질(15)의 뭉침에 의해 미세전도섬유(13)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미세전도섬유(13)와 몸통부(11)를 시침이나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접합하여 디자인의 수려함과 착용감의 편의성을 이룰 수 있다. 도 2에 기재된 내용 중, 사용자(9)의 인체를 기준으로 가까운 위치를 내측, 먼 위치를 외측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접착성 물질(15)은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소수성 물질로 구성되어 세탁시 몸통부(11)와 미세전도섬유(13)의 결합이 해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몸통부(11)와 미세전도섬유(13)는 높은 압력과 접착성 물질(15)을 통해 결합되어, 종래의 섬유간 결합에서 발생하는 봉제선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1)의 사용자는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기능성 속옷을 구성하는 미세전도섬유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전도섬유(13)는 복수의 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는 비전도성 물질(131)을 포함하는 섬유와 전도성 물질(133)을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에서 비전도성 물질(131)은 전도성 물질(133)을 둘러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의 이러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도성 물질(133)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전도섬유(13)의 기대수명이 향상될 수 있으며, 미세전도섬유(13)에서 발생하는 열이 사용자(9)에게 직접 전달되어 사용자(9)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미세전도섬유(13)에 포함된 비전도성 물질과 전도성 물질의 배치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 3의 배치와 반전된 형태의 배치, 상호 교번된 배치 등 다양한 배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도성 물질의 발열효율, 미세전도섬유(13)가 배치된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탈착기능을 묘사하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와 접촉되는 측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몸통부(11)는 미세전도섬유(13)가 부착되는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전도섬유(13)와 몸통부(11) 간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시 미세전도섬유(13)의 과도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부(11)와 미세전도섬유(13)를 분리하여 몸통부(11)를 선택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13)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을 조절하기 위해 부착된 미세전도섬유(13)의 개수 및 형태를 조절하거나, 부착된 미세전도섬유(13)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접어둘 수 있다.
상세하게, 몸통부(11)에 형성된 벨크로 소재에 다양한 형태의 미세전도섬유(13)를 부착하여 항균, 소취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폭이 두꺼운 미세전도섬유를 배치함으로써 미세전도섬유 간 이격간격을 축소하고, 가열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폭이 얇은 미세전도섬유를 배치함으로써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자극만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미세전도섬유를 배치함으로써 국부적인 영역에 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미세전도섬유를 혼성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자극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의 부착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미세전도섬유를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미세전도섬유(13)에서 전달되는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세전도섬유(13)의 일단을 몸통부(11)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9)와 접촉하지 않도록 몸통부(11)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미세전도섬유(13)의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예슬 하기의 도 5를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 커버가 추가된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몸통부(11)는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하며 몸통부(11)의 상부에 롤링된 상태로 보관되어 이동가능한 자유단이 벨크로 소재와 접촉가능한 커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115)는 기능성 속옷(1) 중 기설정된 영역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며, 고정된 영역에서 감김 및 풀림이 조절될 수 있다. 상세하게, 롤링된 커버(115)의 자유단은 몸통부(11)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벨크로 소재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벨크로 소재에 자유단이 고정된 커버(115)는 미세전도섬유(13)로부터 발생되는 자극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9)는 커버(115)의 자유단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미세전도섬유(13)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위치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해당 도면에서 커버(115)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단일한 자유단을 포함하고 있지만, 커버(115)는 다양한 형태의 자유단을 포함하여 미세전도섬유(13)로부터 발생되는 자극을 다양한 형태로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커버(115)가 롤링되는 위치 및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의 정면 및 양 허벅지 내측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미세전도섬유(13)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미세전도섬유(13)는 가열, 항균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향이 복합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의 정면에서 연장되어 후방의 허리라인까지 연장된 U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미세전도섬유(13)는 몸통부(11)의 내측면 중 사용자(9)의 하복부, 사타구니 및 둔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미세전도섬유(13)에 다른 방향의 미세전도섬유를 추가 배치하여 배치된 영역의 가열, 항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서 미세전도섬유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2)은 종래의 삼각 팬티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삼각 팬티 형태의 기능성 속옷(2)과 사각 팬티 형태의 기능성 속옷(1)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삼각 팬티 형태의 기능성 속옷(2)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삼각 팬티 형태의 기능성 속옷(2)은 사용자의 하복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미세전도섬유(23)가 부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몸통부(21)의 최상단 영역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된 복수의 미세전도섬유(2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과 같은 형태의 기능성 속옷(2)은 미세전도섬유(23)가 가열됨에 따라 사용자의 복부에 미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여성 사용자의 생리통 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복부로 전달된 미열은 소화기의 혈액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몸통부(21)의 최상단으로부터 몸통부(21)의 최하단 영역으로 연장된 형태의 미세전도섬유(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미세전도섬유(23)는 몸통부(21)의 내측면 중 사용자의 하복부 및 사타구니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복부뿐 아니라, 사용자의 생식기 주변에 미열을 발생시켜 혈액순환 향상과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생식기 주변에 서식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식기 주변 환경의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23)가 몸통부(21)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몸통부(21)의 하단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도 10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복수의 영역에 분리된 형태로 패터닝 될 수 있다.
이처럼, 미세전도섬유(23)가 몸통부(21)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성별, 체형, 설계상의 변형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맞춤형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들과 다르게 기능성 속옷은 저장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성 속옷의 미세전도섬유는 열전 소자, 압전 소자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온, 움직임으로부터 전류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인체에서 유도되는 정전기 이외에 사용자의 체온,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전류를 획득하기 위해 열전 소자 또는 압전 소자가 미세전도섬유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미세전도섬유는 사용자의 체온 변화에 따라 전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전류를 저장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미세전도섬유는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기초로 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전류를 저장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도섬유가 몸통부를 구성하는 미네랄 실을 감싸는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전도섬유가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으며, 수분에 의해 미네랄 실에 포함된 천연 원료 손실의 예방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스프링 형태로 제공된 미세전도섬유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전류가 발생되지 않은 저온에서 피치가 촘촘하고, 전류의 흐름을 통한 발열시 피치가 확장되는 형상의 미세전도섬유가 미네랄 실을 감싸도록 하여 저온 세탁시 방수효과를 향상시키고, 발열시 항균,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미네랄 실 및 미세전도섬유의 기능을 테스트 한 실험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험예 1>미네랄 실의 항균작용 테스트
해당 실험예에서는 슈퍼박테리아(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에 대한 미네랄 실의 항균작용을 테스트하였다. 접종한 균액의 농도는 (1±0.3) X 105 CFU/mL 이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Tween 80을 접종균액의 0.05% 첨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KS K 0693:2011 준용방법을 통하여 백분율로 항균도를 산출하였으며,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도는 99.9(%)를 초과하는 수치로 산출되었다.
<실험예 2>미네랄 실의 탈취작용 테스트
해당 실험예에서는 가시검지관법을 통해 세탁시간 및 회수에 따라 변화된 암모니아의 소취율을 가스검지관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이 실시된 시험편의 크기는 10(cm) * 10(cm)의 크기이고, 무게는 5.7g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1000ml의 용기에 시편을 위치시키고, 500 μl/ml의 시험가스를 주입하였다. 시험환경은 섭씨 24도, 습도는 16% 이었으며, 시편을 세탁한 방법은 KS K ISO 6003: 2006, 9B에 따라 50회 연속세탁을 수행하였다. 최종 소취율은 아래의 수식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각각의 소취율(%)은 하기의 표와 같다.
[수학식 1]
소취율 = [(Blank가스농도 - Sample 가스농도)/Blank가스농도] X 100
구분 세탁1회 세탁5회 세탁10회 세탁20회 세탁30회 세탁50회
30분 78 78 78 78 78 78
60분 80 80 80 80 80 80
90분 81 81 81 81 81 81
120분 83 83 83 83 83 83
<실험예 3>미세전도섬유의 원적외선 방출 테스트
해당 실험예에서는 KFIA-FI-1005 방법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섭씨 37도에서 FT-IR 분광계를 사용하여 흑체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Emissivity
(5 ~ 20μm)
Emission Power
(W/m2 μm, 37℃)
0.894 3.45 x 102
<실험예 4>미세전도섬유의 항바이러스 테스트
해당 실험예에서는 미네랄 실과 미세전도섬유로 구성된 3(cm) * 3(cm) 면적의 시편을 실험군으로, 실험군과 동일한 크기의 일반 마스크를 대조군으로 준비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109.2 TCID50/ml 농도의 토바이러스 인플루엔자를 10배 희석하여 3회 분사하였다. 이후 바이러스의 회수는 항생제를 첨가한 멸균 PBS 2ml로 수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접종방법은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바이러스를 3회 분사하여 1분, 5분 및 10분간 반응하고 항생제를 첨가한 PBS를 이용하여 10-1 , 10-2 , 10-3 내지 10-7 로 희석 후 종란에 희석배수 당 0.1ml의 희석액을 접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혈구응집반응은 3일 후 확인하였고 바이러스 최종유무를 확인하여 획득한 결과는 하기의 표와 같다.
구분 반응시간 바이러스 역가 바이러스 억제역가
EID50/ml EID50/ml
실험군 1 104.2 103.0
5 102.5 103.9
10 100.0 105.2
대조군 1 107.2 -
5 106.4 -
6 105.2 -
<실험예 5>미세전도섬유의 세탁후 항균 테스트
해당 실험예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공시균 ①) 및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 공시균 ②)에 대한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1회 내지 50회의 연속세탁을 수행한 후 항균도를 KS K 0693:2006 준용 방법을 통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접종균액의 농도는 각각 공시균 ①과 ②가 각각 1.3 X 105 CFU/ml씩 접종되었다. 첨가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Tween 80 이며 접종균액에 0.05% 첨가하였다. 세탁방법은 KS K ISO 6330:2006, 11B로 50회 연속세탁을 수행하였다. 각 세탁 회수별 항균도(%)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분 세탁1회 세탁5회 세탁10회 세탁20회 세탁30회 세탁50회
공시균 ① 53.3 73.7 77.6 87.9 90.5 99.9
공시균 ② 95.0 98.9 99.8 99.9 99.9 99.9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구성된 몸통부를 통한 항균, 소취 기능 및 몸통부의 다양한 영역에 패터닝된 미세전도섬유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 증진, 항균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물질을 기초로 높은 압력을 가하여 몸통부와 미세전도섬유가 압착되어 제조됨으로써, 봉제선 없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능성 속옷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내수성 소재를 포함하여, 침습, 세탁과 같이 몸통부가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항균 또는 소취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2: 기능성 속옷
11, 21: 몸통부
111: 씨실
113: 날실
115: 커버
13, 23: 미세전도섬유
131: 비전도성 물질
133: 전도성 물질
15: 접착성 물질
9: 사용자

Claims (12)

  1. 항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미네랄 실로 직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기설정된 영역에 부착되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에서 유도되는 정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는 미세전도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롤링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동가능한 자유단에 의해 상기 미세전도섬유로부터 발생되는 자극을 차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속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복수의 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비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가 전도성 물질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기능성 속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와 접촉되는 측면의 기설정된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미세전도섬유가 부착되는 영역에 벨크로 소재가 부착된, 기능성 속옷.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롤링된 상태로 보관되어, 이동가능한 자유단이 상기 벨크로 소재와 접촉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속옷.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접착성 물질의 접착력을 기초로 상기 몸통부에 부착되며, 상기 몸통부에 부착시 고압의 압력을 전달받는 프레스 공정, 시침 및 재봉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부착되는, 기능성 속옷.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기능성 속옷.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 및 사타구니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기능성 속옷.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 중 상기 사용자의 하복부, 사타구니 및 둔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기능성 속옷.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내수성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속옷.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씨실,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실,을 포함하는, 기능성 속옷.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씨실은,
    상호 간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날실과 직조되고,
    상기 복수의 날실은,
    상호 간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씨실과 혼방 직조된, 기능성 속옷.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도섬유는,
    상기 날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3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에 압착된, 기능성 속옷.

KR1020180135002A 2018-11-06 2018-11-06 기능성 속옷 KR10212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2A KR102122952B1 (ko) 2018-11-06 2018-11-06 기능성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02A KR102122952B1 (ko) 2018-11-06 2018-11-06 기능성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93A KR20200051993A (ko) 2020-05-14
KR102122952B1 true KR102122952B1 (ko) 2020-06-15

Family

ID=7073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02A KR102122952B1 (ko) 2018-11-06 2018-11-06 기능성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128A (ko) * 2021-04-07 2022-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02A (ja) * 1999-05-07 2000-11-14 Ya Man Ltd 下着電極
KR200467584Y1 (ko) * 2012-11-09 2013-06-21 주식회사 빅엔빅섬유 남성용 기능성 속옷
KR101836495B1 (ko) * 2011-09-22 2018-03-09 주식회사 광세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923A (ko) 2006-11-21 2008-05-26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JP6080201B2 (ja) * 2013-02-26 2017-02-15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ージング方法
KR20170011923A (ko)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코넥실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02A (ja) * 1999-05-07 2000-11-14 Ya Man Ltd 下着電極
KR101836495B1 (ko) * 2011-09-22 2018-03-09 주식회사 광세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KR200467584Y1 (ko) * 2012-11-09 2013-06-21 주식회사 빅엔빅섬유 남성용 기능성 속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128A (ko) * 2021-04-07 2022-10-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KR102514408B1 (ko) * 2021-04-07 2023-03-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기파 기반의 인체 정전기를 이용한 병원체의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993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JP2018505758A (ja) 低周波治療用着用バンド
KR102122952B1 (ko) 기능성 속옷
RU2300583C2 (ru) Ткань для создания барьерного эффекта против магнитных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и/или металл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эффектов
KR101225040B1 (ko)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기능이 있는 환자복
KR20080045923A (ko)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KR102227714B1 (ko) 전도성 미세전류 원단 및 그에 의한 의류
JP2007529238A (ja) 加熱衣料システム
CN201451378U (zh) 一种保健内衣
JP2840599B2 (ja) 放射・保温特性と脱臭・抗菌特性を備えた織物
KR101826019B1 (ko) 하복부 보정 거들 팬티
JP3042096U (ja) 導電性繊維生地
JP3104124U (ja) 低周波治療器
KR200490653Y1 (ko) 도전성 원단을 갖는 의류
CN212279930U (zh) 一种磁性负离子腰背夹
KR200350911Y1 (ko) 바이오 건강 의류
KR20240077200A (ko) 저주파 마사지 장치
RU2724563C1 (ru) Двухстороннее 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одежды
JPH1072704A (ja) 銀メッキ繊維を用いた衣料品
KR200291499Y1 (ko) 남성용 건강팬티
WO1996040362A1 (en) Field-attenuating articles for protecting against biological interaction with electrostatic fields
JP2007100221A (ja) 体形補整用ロングガードル
KR200328556Y1 (ko) 낭습 방지 및 통기성을 향상시킨 팬티
KR200274742Y1 (ko) 낭습방지용 남성팬티
JP2001037888A (ja) 起電性布材料及び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