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95B1 -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 Google Patents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95B1
KR101836495B1 KR1020110096628A KR20110096628A KR101836495B1 KR 101836495 B1 KR101836495 B1 KR 101836495B1 KR 1020110096628 A KR1020110096628 A KR 1020110096628A KR 20110096628 A KR20110096628 A KR 20110096628A KR 101836495 B1 KR101836495 B1 KR 10183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yarn
low frequency
conductive materi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214A (ko
Inventor
전병옥
김태규
강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to KR102011009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착용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비용이 저렴한 저주파자극기를 구현할 수 있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고,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 및 상기 전원선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고, 도전성고분자에 의해 선사로 형성된 고분자도전사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구성되는 자극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부재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부식이 발생되지 않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해물질이 피부침투나 피부의 산성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극부재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복대와 같은 의료도구, 안면마스크와 같은 미용도구, 조끼와 같은 의복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 접착패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더라도 설치 및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비용부담을 줄 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LINEAR TYPE STIMULATION MEMBER FOR LOW FREQUENCY DEVICE}
본 발명은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착용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비용이 저렴한 저주파자극기를 구현할 수 있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자극기는 저주파가 발생되는 장치로서 피부조직이나 피하조직에 자극을 인가하게 될 경우 혈행을 촉진하게 되므로 의료용이나 미용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저주파자극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0), 이 전원공급부(10)의 마이너스(-)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부재(20), 전원공급부(10)의 플러스(+) 전극과 연결되는 제2 전극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극부재(20,20')는 전극케이스(21), 이 전극케이스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의 마이너스(-) 전극 및 플러스(+) 전극과 연결된 케이블(30)과 접속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전극편(미도시), 및 전극편의 전면에 부착되어 피부와의 접촉을 접착패드(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저주파자극기는 전원공급부(10)의 작동으로 자극이 인가되면 피부 및 피하조직의 혈행을 촉진함으로써 치료효과나 미용효과는 발휘할 수 있지만 하기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저주파자극기의 제1 및 제2 전극부재(20,20')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패드(22)를 피부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시에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고,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 불쾌감과 거부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접착패드(22)의 접착성이 저하될 경우 제1 및 제2 전극부재(20,20')를 전체를 매번 신품으로 구매하여 교체하여야 하므로 지나치게 많은 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저주파자극기의 제1 및 제2 전극부재(20,20')는 전극편의 표면이 직간접으로 피부와 접촉되어 쉽게 부식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고, 부식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물질이 피부조직의 내부로 침투되어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전극이 철, 동, 등의 금속 전극일 경우 부식으로 인해 유해한 금속이온이 피부로 침투하게 되고, 탄소 전극일 경우에는 생성되는 수소이온으로 인해 피부의 산성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착용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비용이 저렴한 저주파자극기를 구현할 수 있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고,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 및 상기 전원선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고, 도전성고분자에 의해 선사로 형성된 고분자도전사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구성되는 자극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선사가 상기 전원선사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자극선사의 외면에 감김 되고, 상기 자극선사가 풀림되지 않도록 상기 자극선사의 감김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감김되는 고정선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선사와 함께 상기 전원선사에 감김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수분흡수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극선사는 복수 가닥이 하나의 묶음으로 꼬임된 후 감김될 수 있다.
상기 자극선사와 함께 상기 전원선사에 감김된 후 물리적 부하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용융 또는 분해된 후 경화되면서 상기 자극선사를 상기 전원선사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용선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고,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 및 상기 전원선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적층되고, 도전성고분자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적층, 형성되는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신축사; 상기 신축사에 감김 또는 엮음 되고,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구성된 전원선사; 및 상기 전원선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고, 도전성고분자에 의해 선사로 형성된 고분자도전사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구성되는 자극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사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성 고분자로 구성되고, 상기 자극선사는 상기 전원선사의 감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감김될 수 있다.
한편,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형성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외주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절연 전원선사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최 외곽에 덧씌워져 형성되는 피복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는 상기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가 면상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면상체의 표면으로 상기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노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되고, 상기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위사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공급되어 함께 제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상기 면상체에 일체로 엮여지는 엮음구간과, 상기 면상체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노출구간을 갖도록 엮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의하면,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부재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부식이 발생되지 않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해물질이 피부침투나 피부의 산성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극부재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복대와 같은 의료도구, 안면마스크와 같은 미용도구, 조끼와 같은 의복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 접착패드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더라도 설치 및 착용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비용부담을 줄 일 수 있다.
도1은 종래 저주파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b 및 도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2a 및 도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1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a 내지 도13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b 및 도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2b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피설치부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c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에 연결단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한다.
전원선사(11)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극선사에 비해 전류의 도전(통전) 특성이 우수한 선사로 구성되는 것으로 금, 은, 동 등과 같이 도전성이 뛰어난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로 구성되거나, 금, 은, 동 등과 같이 도전성이 뛰어난 도전성물질이 섬유사와 같은 모재의 외면에 도금, 증착 등의 방법으로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원선사(11)는 자극선사(12)로의 전류 통전을 위해 절연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선사가 선택, 적용된다.
자극선사(12)는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저주파 자극을 인체에 인가하기 위해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도전성고분자에 의해 선사로 형성된 고분자도전사(전도성 도전사라고도 한다)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분자도전사는 전자 수용체 또는 전자 공여체를 고분자에 도프함으로써 높은 도전율(전도율)이 얻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전도율 10-7Scm-1(반도체 이상의 값) 이상의 값을 표시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선형부재로 형성한다. 그리고, 고분자도전사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용화된 MEHPPV, P3HT(Poly-3-Hexythiophene), MDMOPPV로 호칭되고 있는 제품들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는 금, 은, 동, 등과 같은 도전성물질을 이온형태로 형성하거나 금, 은, 동, 탄소 등과 같은 도전성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로 형성한 후 섬유의 방사시에 필라멘트사에 포함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는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로 형성한 금, 은, 동, 탄소 등과 같은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도록 페이스트 또는 잉크 형태의 도전성 폴리머를 형성한 후 섬유사 등에 코팅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전원선사(11)와 자극선사(12)는 나노미터(nm) 내지 마이크로미터(㎛)단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10 ~ 50 마이크로미터(㎛) 직경을 갖는 것을 적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한 쌍의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를 준비하여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대와 같은 피설치부(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바느질하거나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피설치부(2)에 설치되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의 전원선사(11)의 단부에는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13)를 제작하여 접속함으로써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전원공급케이블(미도시)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후,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의 연결단자(13)에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케이블을 접속하고, 전원공급부의 온오프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는 한편, 전압조절스위치, 시간설정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전압과 시간을 희망하는 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전원공급케이블를 통해 전원선사(11)로 공급되고 전원선사(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선사(12)로 통전되면서 통상적인 저주파자극기의 자극부재와 유사하게 전기적인 자극이 인체에 인가된다.
이때,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는 전극선사(12)는 인체에 무해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도전사,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식 등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피부로 침투하는 현상이나 피부의 산성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선형 구조이므로 이를 복대나, 의복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유해한 접착패드를 피부에 접촉시킬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불쾌감이나 거부감이 없으며, 전극부재를 매번 구매할 필요도 없는 장점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배치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자극선사(12)는 복수 가닥으로 구성되는 한편 전원선사(11)의 외주면에 서로 엮여져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자극선사(12)가 복수 가닥으로 구성되어 서로 엮여져 배치되면 반복적인 사용에도 쉽게 풀리지 않고 피부와의 접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자극선사(12)가 전원선사(11)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자극선사(12)의 외면에 감김 되는 고정선사(14)를 더 구비한다.
이때, 고정선사(14)는 자극선사(12)의 풀림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선사이므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전체적인 외경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니어(denier)가 자극선사의 데니어 보다 작은 섬유사를 적용한다. 그리고, 고정선사(14)는 자극선사(12)가 보다 쉽게 풀리지 않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선사(12)의 감김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감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땀과 같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잇도록 하는 수분흡수사(15)를 더 구비한다.
수분흡수사(15)는 수분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1가닥 이상의 선사를 자극선사(12)와 함께 전원선사(11)에 감김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수분흡수사(15)는 면, 모, 견, 마, 펄프와 같이 비교적 수분흡수성이 우수한 천연 섬유사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4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자극선사(12)는 인장력과 같은 외력이 작용 될 경우에도 자극선사(12)가 전원선사(11) 외면상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복수 가닥이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된 후 감김되어 있다.
예컨대, 자극선사(1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경이 작은 도전성선사(121)를 서로 꼬아 하나의 묶음으로 합사하는 과정을 선 시행하고, 이와 같이 묶음으로 합사된 복수의 자극선사(12)를 전원선사(11)에 감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자극선사(12)가 묶음으로 합사된 후 감김되면 권취된 상태에서 전원선사(11)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5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인장력과 같은 외력이 작용될 경우에도 자극선사(12)가 전원선사(11) 표면상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착용선사(16)가 더 감김되어 구성된다.
부착용선사(16)는 자극선사(12)와 함께 전원선사(11)에 감김 된 후 물리적 부하에 용융되거나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분해된 후 경화되면서 자극선사(12)를 전원선사(11)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부착용선사(16)는 전원선사(11)에 감김 된 후 물리적 부하의 인가시에 용융된 후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부하는 부착용선사(16)가 용융될 수 있도록 물리적으로 가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방법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가열로에 투입하는 방법, 초음파로 가열하여 용융하는 방법, 고주파로 가열하여 용융하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부착용선사(16)는 전원선사(11)의 외주면에 감김된 상태에서 유기 용제와 반응하여 분해된 후 경화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된 부착용선사를 적용할 경우 유기 용제로서 아세톤을 공급하여 반응을 유도하게 되면 부착용선사(16)가 분해되어 전극선사(12)와 함께 전원선사(11)에 하나의 묶음으로 경화되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부착용선사(16)는 자외선의 조사시에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형 물질로 형성되어 자외선의 조사시 광 분해된 후 경화되면서 전극선사와 함께 전원선사에 하나의 묶음으로 경화되게 된다. 이때, 자외선 경화형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점착성 수지, 에폭시 수지, 산 무수화물 등의 자외선 경화제, 및 산화티탄 등과 같이 250~450nm 파장의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반응되어 라디칼을 형성하는 물질로 구성된 광개시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제6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자극선사(12)와 함께 전원선사(11)의 외주면에 감김되거나, 자극선사(12)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복수의 절연 전원선사(17)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절연 전원선사(17)는 전원공급부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전원선사(11)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전원선사(11)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전원공급부에 양측이 접속되어 발열되는 발열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절연 전원선사(17)는 도8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형성되는 몸체(171)의 외주면에 절연층(172)이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예컨대, 절연 전원선사(17)는 도전성물질로 형성되고 직경이 10 ~ 5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선사에 절연물질로서 에나멜 수지, 테프론 수지, 열가소성일레스토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및 불소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절연 코팅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7 변형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하되,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의 최 외곽에 덧씌워져 형성되는 피복층(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복층(18)은 절연 특성을 갖는 수지를 덧씌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특성을 갖는 복수의 섬유사(181)를 자극선사(12)의 외면에 감거나 엮어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섬유사(181)에 의해 피복층을 형성할 경우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섬유사로 구성되어 섬유 고유의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들에 나타난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11)와,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적층되는 전극층(31)을 구비한다.
전원선사(1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극선사(12)에 비해 전류의 통전 특성이 우수한 선사로 구성되는 것으로 금, 은, 동 등과 같이 도전성이 뛰어난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로 구성되거나, 금, 은, 동 등과 같이 도전성이 뛰어난 도전성물질이 섬유사와 같은 모재의 외면에 도금, 증착 등의 방법으로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어 있다.
적극층(31)은 도전성고분자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수지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도전성고분자는 전자 수용체 또는 전자 공여체를 고분자에 도프함으로써 높은 도전율(전도율)이 얻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용화된 MEHPPV, P3HT(Poly-3-Hexythiophene), MDMOPPV로 호칭되고 있는 제품들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수지는 예컨대 도전성물질 용액과 섬유형성 폴리머가 혼합된 형태로서, 이에 적용되는 도전성물질 용액은 수용성 폴리아닐린용액 또는 수용성 폴리머용액에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를 혼합한 것이고, 섬유형성 폴리머는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신축사(32), 신축사(32)에 감김 또는 엮음 되는 전원선사(11), 및 전원선사(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되는 자극선사(12)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사(32)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선사(11) 및 자극선사(1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극선사(12)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전원선사의 감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감김되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내부 중심에 신축 가능한 신축사(32)가 내장되고, 신축사(32)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전원선사(11)와 자극선사(12)가 감김되는 구조이므로 인장력의 인가시 전체적으로 늘어나고 인장력의 해제시 복귀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는 인체의 복부 등과 같이 호흡이나 움직임에 따라 변위가 발생되는 위치에 사용하는 저주파자극기의 선형 전극으로 적용할 경우 착용감과 활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저주파 자극을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12a 및 도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12a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12b는 실제품의 일부분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4)는 전술한 제1 및 제3 실시예에 나타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를 면상체(41)에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면상체(41)는 저주파자극기의 용도(의료용, 미용도구), 사용부위의 형태, 저주파자극기가 설치되는 물품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면상체는 복대와 같은 띠형, 담요와 같은 장방형, 안면마스크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의료용 등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띠형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는 면상체(41)에 바느질을 하는 방식으로 꿰매어 배치하거나, 자수기에 의해 자수를 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는 면상체(41)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노출부(1a)가 형성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자극노출부(1a)는 인체와의 접촉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파형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4)는 전술한 제1 및 제3 실시예에 나타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를 면상체(41)에 배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면상체(41)는 위사(411) 및 경사(412)로 공급되는 섬유사에 의해 직물지로 제직,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는 면상체(41)의 제직과정에서 위사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공급되어 함께 제직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는 직기를 이용한 제직과정에서 면상체(41)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체에 일체로 엮여지는 엮음구간(a)과, 면상체(41)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노출구간(b)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1,1',1")가 엮음구간(a)과 노출구간(b)으로 구성하게 되면 노출구간(b)을 자극노출부(1a)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 별도로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면상체의 표면으로 노출시킬 필요가 없어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1":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11:전원선사 12:자극선사
13:연결단자 14:고정선사
15:수분흡수사 16:부착용선사
17:절연 전원선사 18:피복층
31:전극층 32:신축사
4: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를 구비한 면상체
41:면상체 411:위사
412:경사

Claims (14)

  1.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구성되고,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선사; 및
    상기 전원선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그 외주면에 감김 되거나 엮음 되고, 도전성고분자에 의해 선사로 형성된 고분자도전사 또는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구성되는 자극선사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선사가 상기 전원선사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자극선사의 외면에 감김 되고, 상기 자극선사가 풀림되지 않도록 상기 자극선사의 감김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감김되는 고정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선사와 함께 상기 전원선사에 감김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형성된 수분흡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선사와 함께 상기 전원선사에 감김된 후 물리적 부하 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용융 또는 분해된 후 경화되면서 상기 자극선사를 상기 전원선사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용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전성물질에 의해 제작된 선사 또는 도전성물질이 외면에 적층된 선사로 형성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외주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절연 전원선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96628A 2011-09-22 2011-09-22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KR10183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28A KR101836495B1 (ko) 2011-09-22 2011-09-22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28A KR101836495B1 (ko) 2011-09-22 2011-09-22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214A KR20130032214A (ko) 2013-04-01
KR101836495B1 true KR101836495B1 (ko) 2018-03-09

Family

ID=484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28A KR101836495B1 (ko) 2011-09-22 2011-09-22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93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기능성 속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59B1 (ko) * 2018-11-08 2020-06-02 강석용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된 전도사로 이루어진 전기자극 의복용 전극패드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자극 의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10Y1 (ko) 2006-06-21 2006-09-11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저주파 의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10Y1 (ko) 2006-06-21 2006-09-11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저주파 의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93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기능성 속옷
KR102122952B1 (ko) * 2018-11-06 2020-06-15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기능성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214A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22668A2 (ko) 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극 방법
US20110036828A1 (en) Carbon nanotube fabric and heater adopting the same
KR101605367B1 (ko) 다면 저주파 치료용 착용밴드
US9955532B2 (en) Fabric heater
KR101233393B1 (ko) 미세 발열사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JP6400230B2 (ja) 低周波治療用着用バンド
US10166383B2 (en) Metallized film electrode for noninvasive electrotherapy
US11918059B2 (en) Textile product with skin-contact element and/or establishing external contact with the skin-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36495B1 (ko) 저주파자극기용 선형 자극부재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923A (ko)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TW201107548A (en) Carbon nanotube fabric and heater adopting the same
BR102020024385A2 (pt) Dispositivo com pelo menos uma unidade de eletrodo para uma eletroestimulação ou uma coleta de dados de aparelhos de diagnóstico
KR20170052865A (ko) 도전성패드
CN107447539B (zh) 一种高弹性电加热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131429A (ko) 전기자극용 도전성패드
KR20200094045A (ko) 신축성 해제방지 기능을 갖는 도전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및 전기자극모듈
KR101386943B1 (ko) 발열선 제조방법
KR20170093657A (ko) 다기능 전기자극용 면상체
KR20110006320U (ko) 다기능 장갑
KR20170029139A (ko) 전기 케이블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전기자극시스템용 면상체
KR101664488B1 (ko) 직물지용 도전선
KR102498705B1 (ko) Ems 장치
RU92329U1 (ru) Электрогрелка
KR20160140288A (ko) 전도선 및 이를 구비한 편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