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05B1 - Ems 장치 - Google Patents

Em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05B1
KR102498705B1 KR1020200158458A KR20200158458A KR102498705B1 KR 102498705 B1 KR102498705 B1 KR 102498705B1 KR 1020200158458 A KR1020200158458 A KR 1020200158458A KR 20200158458 A KR20200158458 A KR 20200158458A KR 102498705 B1 KR102498705 B1 KR 10249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belt
pad part
front pad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402A (ko
Inventor
안태일
안정우
Original Assignee
(주)메디스포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스포츠랩 filed Critical (주)메디스포츠랩
Priority to KR102020015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관리 및 강화 등을 위한 EMS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게 착용되며, 내부에 전도성 케이블을 마련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전방 패드부, 상기 벨트부의 길이 중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후방 패드부 및 상기 벨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패드부와 상기 후방 패드부에 전달되는 전류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드부가 상기 인체의 복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후방 패드부는 상기 인체의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MS 장치{DEVICE FOR Electric Muscle Stimulation}
본 발명은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 근육전기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근육 관리 및 강화 등을 위한 EMS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는 전기자극을 사용자의 신체 중 운동신경에 전달함으로써 근육 수축 및 이완을 유발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887호에는 종래의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ems 트레이닝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EMS는 기 설정된 주파수의 미세 전류가 근섬유 자극을 유발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직접적인 근육 자극에 의해 트레이닝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종래의 EMS 트레이닝 장치는 슈트 타입과 저가형 EMS 장치가 있었다.
슈트 타입은 고비용으로 이용에 불편하고, 저가형 EMS 장치는 과전류에 의한 근육화상 등의 위험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가형 EMS 장치는 나일론 원단에 은을 도금한 부위가 피부의 마찰과 노폐물 및 바디로션 등에 의해 은사가 벗겨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잦은 교체비용으로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EMS 트레이닝 장치는 공통적으로 케이블 단선에 의한 고장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분 없이도 전기의 전도를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고,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서도 근육 강화 및 마사지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EMS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는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게 착용되며, 내부에 전도성 케이블을 마련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전방 패드부, 상기 벨트부의 길이 중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후방 패드부 및 상기 벨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패드부와 상기 후방 패드부에 전달되는 전류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드부가 상기 인체의 복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후방 패드부는 상기 인체의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패드부 및 상기 후방 패드부는 은사 또는 동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패드부와 상기 후방 패드부는 1Hz ~ 99Hz 사이의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케이블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 없이도 종래에 비해 2 ~ 3배 큰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사 또는 동사에 탄소나노튜브를 도포하여 피부 마찰 및 로션 등과 접촉하여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에 마련된 전도성 케이블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여 늘어날 수 있게 함에 따라 단선을 방지하고 세탁 등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크기가 큰 기기에서 가능했던 기능을 작은 크기의 장치에서도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편의 및 휴대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 골반, 복부의 근육을 동시에 전기자극하여 근육 강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소 트레이닝을 할 수 있어 신진 대사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밸런스 및 재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육이완 마사지 트레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펼쳐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을 인체에 착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를 인체에 착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펼쳐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는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게 착용되며, 내부에 전도성 케이블(110)을 마련하는 벨트부(100), 상기 벨트부(100)의 일단부에 상기 벨트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전방 패드부(200), 상기 벨트부(100)의 길이 중에 상기 벨트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를 도포한 전도성 후방 패드부(300) 및 상기 벨트부(100)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패드부(200)와 상기 후방 패드부(300)에 전달되는 전류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벨트부(10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 고무 등의 밴드일 수 있다.
벨트부(100)의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된 복 수 개의 전도성 케이블(110)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벨트부(100)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도성 케이블(110)은 각각 벨트부(100)의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있는 소재의 벨트부(100)를 늘려도 전도성 케이블(110)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케이블(110)이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벨트부(100)의 세탁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부(100)가 밀착되는 인체로부터 오염될 수 있는 인체의 땀, 로션 등과 같은 오염물에 오염되어도 세탁으로 쉽게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는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은사 원단 또는 동사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가 은사 원단으로 제작되면 항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은사 원단으로만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를 제조하게 되면 인체와의 접촉 및 로션 등에 의해 은 도금 등이 벗겨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MS 장치는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의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 분산액을 도포하여 인체와의 접촉 및 로션 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은사 원사 또는 동사 원사로 제조된 전도성 패드는 물(수분)을 통해 전도성을 높이지 않으면 필요한 만큼의 전도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MS 장치는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의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 분산액을 도포하여 물(수분) 없이도 필요한 만큼의 우수한 전도성을 갖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한 소재이다.
탄소나튜브는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 각각에 3번 이상 도포하여 전도성 및 내구성과 인체 착용 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원격으로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의 전원 및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벨트부(100)의 일측에 탈착 결합될 수 있는데, 벨트부(100)의 일측에 벨트 자석을 형성하고 제어부(400)는 벨트 자석에 자성으로 부착되는 제어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을 인체에 착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를 인체에 착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100)는 인체(P)의 허리부를 감싸도록 인체(P)에 착용될 수 있다.
벨트부(100)가 인체(P)에 착용되면 벨트부(100)의 탄성에 의해 전방 패드부(200)은 인체(P)의 복부이 밀착되고 후방 패드부(300)는 인체(P)의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벨트부(100)가 인체(P)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어부(400)를 사용하여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의 출력을 조절하면 전방 패드부(200)가 인체(P)의 복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후방 패드부(300)는 인체(P)의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방 패드부(200)는 복부의 근육부에 밀착되도록 상측부 중앙에 오목한 파임부(210)를 형성하여 인체(P)의 배꼽 부분을 제외한 복부의 근육부에만 전방 패드부(20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후방 패드부(300)는 인체(P)의 허리부분을 커버하는 상부(310)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인체(P)의 엉덩이 상부를 커버하는 하부(320)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는 사용자가 제어부(400)를 사용하여 1Hz ~ 99Hz 사이에서 조절하여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가 1Hz ~ 10Hz 사이의 전파를 발생시키면 인체(P)의 복부, 허리부 및 둔부의 원활한 혈액순환, 휴식 및 엔도르핀 생성을 도와주어 근육이완 마사지 트레이닝, 근육의 밸런스 조절 및 재활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가 10Hz ~ 20Hz 사이의 전파를 발생시키면 인체(P)의 복부, 허리부 및 둔부의 근육에 산소공급 및 지구력 증가 등을 유도할 수 있어 유산소 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패드부(200)와 후방 패드부(300)가 20Hz ~ 99Hz 사이의 전파를 발생시키면 근육의 탄력과 선명도 증가, 힘의 저항력 증가, 근육량 증가, 근력 증가 및 근육량 비대 등의 효과가 있어 전파의 세기에 따라 기본에서 고급까지의 체력 및 근육강화 트레이닝을 할 수 있어 인체(P)의 복부, 허리부 및 둔부의 근육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EMS 장치는 인체(P)의 복부,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되어 강한 전류로 겉에서부터 속 근육까지 전파가 도달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근육 트레이닝을 할 수 있는 장치는 크기가 커서 바닥에 지지한 상태에서 전도성 케이블을 연결한 장비를 인체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근육 트레이닝을 유도하였으나, 무게가 무겁고 착용감이 나빠 착용자의 답답함을 유발하고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장치는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비용이 저렴하고 조작이 간단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 없이도 종래에 비해 2 ~ 3배 큰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사 또는 동사에 탄소나노튜브를 도포하여 피부 마찰 및 로션 등과 접촉하여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에 마련된 전도성 케이블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여 늘어날 수 있게 함에 따라 단선을 방지하고 세탁 등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크기가 큰 기기에서 가능했던 기능을 작은 크기의 장치에서도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편의 및 휴대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 골반, 복부의 근육을 동시에 전기자극하여 근육 강화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소 트레이닝을 할 수 있어 신진 대사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밸런스 및 재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육이완 마사지 트레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S 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벨트부
110: 전도성 케이블
200: 전방 패드부
300: 후방 패드부
310: 상부
320: 하부
400: 제어부

Claims (4)

  1.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게 착용되며,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전도성 케이블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벨트부;
    은사 또는 동사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부의 일단부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를 3번 이상 도포한 전도성 전방 패드부;
    은사 또는 동사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부의 길이 중에 상기 벨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고, 둘레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를 3번 이상 도포한 전도성 후방 패드부; 및
    상기 벨트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방 패드부와 상기 후방 패드부에 전달되는 전류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드부는 상측부 중앙에 오목한 파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패드부가 상기 인체의 복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상기 후방 패드부는 상기 인체의 허리부 및 둔부에 밀착되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 근육전기자극)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드부와 상기 후방 패드부는 1Hz ~ 99Hz 사이의 전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장치.
  4. 삭제
KR1020200158458A 2020-11-24 2020-11-24 Ems 장치 KR10249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458A KR102498705B1 (ko) 2020-11-24 2020-11-24 Ems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458A KR102498705B1 (ko) 2020-11-24 2020-11-24 Ems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02A KR20220071402A (ko) 2022-05-31
KR102498705B1 true KR102498705B1 (ko) 2023-02-10

Family

ID=8177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458A KR102498705B1 (ko) 2020-11-24 2020-11-24 Ems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7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14B1 (ko) * 2016-12-06 2018-08-29 주식회사 라임 전기근육자극 장치
KR20200127376A (ko) * 2019-05-02 2020-11-11 (주)메디스포츠랩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02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512B1 (ko)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US20100185259A1 (en) Garment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muscles
KR20200087149A (ko) 미용 마스크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EP4000451A1 (en) Cosmetic mask for eyes
KR101907511B1 (ko) 근육 및 관절의 통증 완화를 위한 가변형 저주파 기기
KR200486278Y1 (ko) 복대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210080273A (ko) 스마트 의류
KR102498705B1 (ko) Ems 장치
KR200490571Y1 (ko) 저주파 및 온열 치료용 니트 밴드
KR101898993B1 (ko) 기능성 골프웨어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KR102293630B1 (ko) 치료 및 근육 강화용 혈류 제한 에어커프 및 다방향 전기 자극 장치
KR101743176B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 패드
KR102140505B1 (ko)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120041525A (ko) 전신용 전기 자극 치료기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JP2021137119A (ja) 美容バンド
KR102013900B1 (ko) 전원 연결의 끊어짐을 최소화한 점착패턴을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200365815Y1 (ko) 허벅지용 저주파 벨트
CN112334183A (zh) 电刺激按摩用手套
KR102378441B1 (ko) 마사지 밴드
CN219920335U (zh) 一种ems按摩瑜伽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