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63B1 - 저주파 자극밴드 - Google Patents

저주파 자극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63B1
KR102140663B1 KR1020190088491A KR20190088491A KR102140663B1 KR 102140663 B1 KR102140663 B1 KR 102140663B1 KR 1020190088491 A KR1020190088491 A KR 1020190088491A KR 20190088491 A KR20190088491 A KR 20190088491A KR 102140663 B1 KR102140663 B1 KR 10214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ain
sub
main ban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희
Original Assignee
(주)팍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팍스메디 filed Critical (주)팍스메디
Priority to KR102019008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손이나 발,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 상기 메인밴드의 일단과 타단을 상호 탈부착 시키기 위한 메인탈부착수단; 상기 메인밴드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저주파 발생기; 상기 메인밴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 및 상기 메인밴드의 타단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이나 발에 상기 메인밴드 착용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워지게 되는 가이드홀;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안정되게 착용한 상태에서 저주파 자극을 통해 근육 치료 및, 경혈과 경락에 연관되는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자극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자극밴드{LOW FREQUENCY STIMULATION BAND}
본 발명은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근육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근육이 상부운동신경계와 단절된 뒤 나타나는 근위축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근육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을 막고, 근육이 가지는 본래의 운동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저주파 자극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끼워 안정적으로 고정한 후 환부를 감싸 착용함은 물론, 메인밴드에 연장을 위한 서브밴드를 연결하여 흉부나 복부 등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자극밴드에 관한 기술이다.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좌식 상태로 생활하고 있으며, 누적되는 스트레스에 의해 목과 등, 허리부위의 근육과 신경이 많은 피로에 시달리고 경직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안마기와 같은 건강보조장치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안마기는 지압 및 마사지를 통해 경직된 신체 일부를 자극하여 신체의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해줌으로써, 신체에 쌓인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건강을 증진시키고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저주파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의 국소 부위를 자극하고, 이를 통해 비만이나 통증 등을 치료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주파 자극기는 지방세포와 지방세포 내의 지질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저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한 후 제거하기도 하는 것이다. 즉,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통해서 국부적 범위의 신체에 생리적 변화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저주파 자극에 따른 건강보조기구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55990호 (2004.06.30.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저주파 자극밴드』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손목 또는 발목에 착탈 가능하게 밴드를 구성하고, 상기 밴드의 외측면에 저주파 발생기를 형성하며, 상기 밴드의 내측면에 전극을 6개를 형성하되, 상기 저주파 발생기의 출력단과 상기 전극을 상기 밴드의 내부를 통하여 전선으로 연결 구성한 것으로,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고 다니기가 손쉽고 용이하여 저주파 자극을 필요시 어느 때나 사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손목의 경혈과 발목의 경락에 필요할 때마다 저주파 자극을 주어 경혈과 경락에 연관되는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자극밴드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8733호 (2008.02.2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초음파 및 저주파 밴드』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초음파 및 저주파 발생장치에 연결되며, 일측 끝단에 고리가 구비되고, 타측 끝단의 외면에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가 일면에 구비되는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내면 상하부에는 저주파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가 양측으로 관통되는 초음파발생기가 밴드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밴드에 고리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체형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인체에 밀착된 상태로 저주파와 초음파를 공급하여 인체의 혈액순환 향상 및 통증(근육통 등)을 완화시키고, 상기 저주파전극과 초음파발생기에 돌출홈을 더 구비하여 저주파와 초음파를 공급함과 동시에 지압 또는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는 초음파 및 저주파 밴드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747호 (2017.06.2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웨어러블 안마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안마부위에 부착되는 안마패치와, 복수 개의 상기 안마패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밴드부재를 포함하고, 안마 부위에 저주파가 방출되되, 안마시술 후 복수 개가 장신구 형태로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착용됨으로써, 별도의 보관케이스 없이 장신구처럼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ON/OFF, 저주파 세기 및 지압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웨어러블 안마기 및 이에 사용된 안마패치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55990호 (2004.06.30.공개)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8733호 (2008.02.22.등록)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747호 (2017.06.22.등록)
본 발명은 메인밴드 및 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이용해 손가락이나 발가락 부위의 주변 환부를 안정적으로 감싸 저주파 자극을 줄 수 있고, 메인밴드에 연결되는 서브밴드를 이용해 길이를 연장시켜 흉부나 복부 등의 환부를 감싸 저주파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한 저주파 자극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메인밴드와 서브밴드 간의 상호 탈부착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하게 길이조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킨 저주파 자극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는,
손이나 발,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
상기 메인밴드의 일단과 타단을 상호 탈부착 시키기 위한 메인탈부착수단;
상기 메인밴드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저주파 발생기;
상기 메인밴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 및
상기 메인밴드의 타단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이나 발에 상기 메인밴드 착용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워지게 되는 가이드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는,
기본적으로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고, 팔꿈치나 무릎은 물론 흉부나 복부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착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를 정면과 배면에서 바라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과 배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의 사용상태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메인밴드에 연장을 위한 서브밴드가 마련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과 배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상호 연결된 메인밴드와 서브밴드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6은 서브밴드에 서브통풍홀과 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7은 서브밴드에 보조띠가 더 구비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자극부재 측을 정면 또는 내측면, 저주파 발생기 측을 배면 또는 외측면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는,
크게 메인밴드(10), 메인탈부착수단(20), 저주파 발생기(30), 자극부재(40) 및 가이드홀(5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메인밴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나 발,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의 메인이너레이어(11), 그리고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이너레이어(11)와 상기 메인아우터레이어(12)는 서로 상응한 크기를 갖고, 압착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메인이너레이어(11)가 환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아우터레이어(12)가 외측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메인밴드(10)는 잡아당기게 되면 늘어나고 놓게 되면 복원됨으로써, 환부의 굵기나 감싸 조이게 되는 조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늘려서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밴드(10)는 적정 길이를 갖는데, 특히 일반 성인의 손이나 발, 목 등의 환부를 약간의 탄성으로 감싸 조일 정도로 늘린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이너레이어(11)는 적정 두께를 갖는데, 특히 환부와 직접 닿게 되는 부위이므로 압박감을 줄이면서 환부의 굴곡에 맞게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2~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에는 중앙 영역에 내외로 관통되면서 상기 메인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로 배치되는 통풍홀(13)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통풍홀(13)은 환부에 상기 메인밴드(10) 착용 시 상기 자극부재(40)와 접하게 되는 환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가 숨을 쉬도록 하여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 또한 상기 통풍홀(13)을 기준으로 상하 단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환부의 굴곡에 맞게 변형시켜 착용할 수 있다. 일예로 무릎에 상기 메인밴드(10) 착용 시 상기 통풍홀(13)이 무릎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통풍홀(13)의 상하 단부가 무릎의 상하 측을 감싸게 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탈부착수단(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의 일단과 타단을 상호 탈부착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이너레이어(11) 내측면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형 벨크로(21), 그리고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는 루프형 답면부(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크형 벨크로(21)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고리 형태의 수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며, 이러한 부재가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이너레이어(11)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형 답면부(22)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링 형태의 암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어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아우터레이어(12)의 재질 자체가 상기 루프형 답면부(22)의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아우터레이어(12)의 외측면 전부(前部)가 상기 루프형 답면부(22)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착용하게 되는 환부에 대한 상기 메인밴드(10)의 조임 세기 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저주파 발생기(30)는
도 1의 [나] 및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기로서,
출력단자가 상기 메인밴드(10)에서 상기 자극부재(40)가 배치되는 영역에 장착되는 접속단자와 상호 연결되며 일면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전원 및 모드를 선택하는 여러 스위치와, 각 스위치의 모드 선택에 따라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저주파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프로그램 된 마이컴과, 마이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등으로 구성된다.
자극부재(40)는
도 1의 [가] 및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밴드(10)에서 통풍홀(13)을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습기에 강한 내습성을 갖기에 변색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손상이 덜 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자극부재(40)를 이루는 전도성 필름은 상기 메인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의 띠 구조를 갖는데, 그 길이는 상기 메인밴드(10) 내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가이드홀(50)과 상기 후크형 벨크로(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밴드(10) 및 후술할 서브밴드(60) 등을 이용하여 환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저주파 발생기(30)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상기 자극부재(40)를 통해 저주파가 환부에 절단된다.
이렇게 전달된 저주파는 근육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근육이 상부운동신경계와 단절된 뒤 나타나는 근위축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근육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을 막고, 근육이 가지는 본래의 운동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는 효과를 갖는다.
가이드홀(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의 타단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이나 발에 상기 메인밴드(10) 착용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풍홀(13) 측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큰 직경의 구멍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메인탈부착수단(20)에 의해 착용 조임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작은 구멍 측으로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홀(50)의 좌우 폭은 후술할 서브탈부착수단(70)의 후크형 서브벨크로(71) 상하 폭과 상응하거나 이보다 좀 더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 가이드홀(50)의 좌우 폭은 상기 메인밴드(10)에 상기 서브밴드(60)를 연결하여 사용 시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의 삽입이 가능하면서 상기 메인밴드(10) 단독 사용 시에 일반 성인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적정 폭을 갖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밴드는 서브밴드(6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서브밴드(6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탈부착수단(70)에 의해 상기 메인밴드(10)와 상호 연결되어 환형(環形)을 이루고 상기 메인밴드(10)와 함께 흉부나 복부의 환부를 감싸게 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의 서브이너레이어(61), 그리고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서브아우터레이어(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서브이너레이어(61)와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는 서로 상응한 크기를 갖고, 압착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서브이너레이어(61)가 환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가 외측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서브밴드(60)는 상기 메인밴드(10)와 마찬가지로, 잡아당기게 되면 늘어나고 놓게 되면 복원됨으로써, 환부의 굵기나 감싸 조이게 되는 조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늘려서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서브밴드(60)는 적정 길이를 갖는데, 특히 일반 성인의 흉부나 복부 등의 환부를 감싸되, 상기 메인밴드(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밴드(10)와 함께 흉부나 복부 등의 환부를 감싸 조일 정도로 늘린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이너레이어(61)는 적정 두께를 갖는데, 특히 환부와 직접 닿게 되는 부위이므로 압박감을 줄이면서 환부의 굴곡에 맞게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밴드(10)와 서로 상응한 2~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밴드(60)에는 상기 메인밴드(10)의 통풍홀(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서브밴드(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로 배치되는 서브통풍홀(6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탈부착수단(70)은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외측면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는 루프형 서브답면부(7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고리 형태의 수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며, 이러한 부재가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서브밴드(60)의 서브이너레이어(61)에 고정 결합된다. 특히 일부가 박음질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62)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링 형태의 암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되어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서브밴드(60)의 서브아우터레이어(62)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재질 자체가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62)의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외측면 전부(前部)가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62)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착용하게 되는 환부에 대한 상기 서브밴드(60)의 조임 세기 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밴드(10)에서 상기 후크형 벨크로(21)와 상기 서브밴드(60)에서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62)가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환부 일부를 감싼 후 상기 가이드홀(50)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를 끼우고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72)에서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를 부착시킴으로써, 하나의 환형(環形)을 이루며 환부의 나머지를 감싸면서 착용이 완료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가이드홀(50)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를 먼저 끼우고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72)에서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환부 일부를 감싼 후 상기 메인밴드(10)에서 상기 후크형 벨크로(21)와 상기 서브밴드(60)에서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62)를 상호 부착시킴으로써, 하나의 환형을 이루며 환부의 나머지를 감싸면서 착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밴드(60)에서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인접한 영역의 상단 및 하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U자 형태의 홈부(64)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홈부(64)는 상기 루프형 서브답면부(72)에서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후크형 서브벨크로(71)를 부착 시에 상기 가이드홀(50)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가이드홀(50)에 상기 홈부(64)가 걸림에 따라 이탈 방지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서브밴드(60)에는 수형 벨크로 등에 의해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에 부착되며 버클 등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띠(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저주파 자극밴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메인밴드
11 : 메인이너레이어
12 : 메인아우터레이어
13 : 통풍홀
20 : 메인탈부착수단
21 : 후크형 벨크로
22 : 루프형 답면부
30 : 저주파 발생기
40 : 자극부재
50 : 가이드홀
60 : 서브밴드
61 : 서브이너레이어
62 : 서브아우터레이어
63 : 서브통풍홀
64 : 홈부
65 : 보조띠
70 : 서브탈부착수단
71 : 후크형 서브벨크로
72 : 루프형 서브답면부

Claims (7)

  1. 손이나 발,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10);
    상기 메인밴드(10)의 일단과 타단을 상호 탈부착 시키기 위한 메인탈부착수단(20);
    상기 메인밴드(1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저주파 발생기(30);
    상기 메인밴드(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40); 및
    상기 메인밴드(10)의 타단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손이나 발에 상기 메인밴드(10) 착용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워지게 되는 가이드홀(50);
    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밴드(10)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메인이너레이어(11)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탈부착수단(20)은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이너레이어(11) 내측면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형 벨크로(21)와, 상기 메인밴드(10)의 메인아우터레이어(12)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는 루프형 답면부(22)로 이루어지며,
    서브탈부착수단(70)에 의해 상기 메인밴드(10)와 상호 연결되어 환형(環形)을 이루고 상기 메인밴드(10)와 함께 흉부나 복부의 환부를 감싸게 되는 서브밴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60)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서브이너레이어(61)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서브아우터레이어(6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탈부착수단(70)은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외측면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형 서브벨크로(71)와, 상기 서브아우터레이어(62)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는 루프형 서브답면부(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밴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밴드(10)에는 중앙 영역에 내외로 관통되면서 상기 메인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로 배치되는 통풍홀(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재(40)는 상기 메인밴드(10)에서 상기 통풍홀(13)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밴드.
KR1020190088491A 2019-07-22 2019-07-22 저주파 자극밴드 KR10214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91A KR102140663B1 (ko) 2019-07-22 2019-07-22 저주파 자극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91A KR102140663B1 (ko) 2019-07-22 2019-07-22 저주파 자극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663B1 true KR102140663B1 (ko) 2020-08-03

Family

ID=720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491A KR102140663B1 (ko) 2019-07-22 2019-07-22 저주파 자극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1515A1 (en) * 2019-10-12 2021-11-25 Southeast University Wearabl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with precise force contro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09A (ja) * 1998-07-10 2000-02-08 Becton Dickinson & Co 足首装具
KR20040055990A (ko)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미래의료기 저주파 자극밴드
JP2004337483A (ja) * 2003-05-19 2004-12-02 Gyokuki Kin 足首保護具
KR200438733Y1 (ko) 2007-02-07 2008-03-04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초음파 및 저주파 밴드
KR20150062757A (ko) * 2013-11-29 2015-06-08 (주)휴레브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를 병행하는 복부비만 관리용 복대 및 복부비만 관리 시스템
KR101751747B1 (ko) 2016-02-18 2017-06-2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마기
KR20180137787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티알상사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09A (ja) * 1998-07-10 2000-02-08 Becton Dickinson & Co 足首装具
KR20040055990A (ko)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미래의료기 저주파 자극밴드
JP2004337483A (ja) * 2003-05-19 2004-12-02 Gyokuki Kin 足首保護具
KR200438733Y1 (ko) 2007-02-07 2008-03-04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초음파 및 저주파 밴드
KR20150062757A (ko) * 2013-11-29 2015-06-08 (주)휴레브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를 병행하는 복부비만 관리용 복대 및 복부비만 관리 시스템
KR101751747B1 (ko) 2016-02-18 2017-06-2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마기
KR20180137787A (ko) * 2017-06-19 2018-12-28 주식회사 티알상사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1515A1 (en) * 2019-10-12 2021-11-25 Southeast University Wearabl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with precise force control
US11690773B2 (en) * 2019-10-12 2023-07-04 Southeast University Wearabl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with precise forc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236A (en) Electrical stimulation support braces
US8938303B1 (en) Restless leg therapeutic device
US20070049814A1 (en) System and device for neuromuscular stimulation
US20150032184A1 (en) Neuromuscular stimulation system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200486278Y1 (ko) 복대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180137787A (ko) 감기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JP2012517835A (ja) 患者の足のリフレクソロジー点を刺激するための器具
WO2020037706A1 (zh) 一种足下垂功能性电刺激治疗仪
KR101787995B1 (ko) 다이어트 보정 속옷
KR100393885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CN210749790U (zh) 前列腺治疗仪
KR102140505B1 (ko)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CN105816955A (zh) 一款用于足下垂治疗的电极片
JP2011045696A (ja) 電子治療器
KR200305336Y1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200309020Y1 (ko) 저주파 자극밴드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WO2017017681A2 (en) Wearable device for stimulating and monitoring activity in body organs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100049382A (ko)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예방용 하지 근육 전기자극기
KR20150013407A (ko) 성장판 자극장치
KR200313130Y1 (ko) 저주파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