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376A -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 Google Patents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376A
KR20200127376A KR1020190051381A KR20190051381A KR20200127376A KR 20200127376 A KR20200127376 A KR 20200127376A KR 1020190051381 A KR1020190051381 A KR 1020190051381A KR 20190051381 A KR20190051381 A KR 20190051381A KR 20200127376 A KR20200127376 A KR 2020012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s
control module
main belt
belt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일
Original Assignee
(주)메디스포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스포츠랩 filed Critical (주)메디스포츠랩
Priority to KR102019005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376A/ko
Publication of KR2020012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저주파 강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저주파 시퀀스를 다양한 모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력운동 효과, 근육이완 및 수축효과, 유산소 운동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1.5mA 이내의 전류를 이용한 저주파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류가 안정되도록 하여 과대 전류로 인한 피부화상을 미연에 방재할 수 있도록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한 EMS 의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EMS CLOTHING INCLUDING EMS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근육을 자극하는 EMS 의류에 있어, 간편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저주파 강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저주파 시퀀스를 다양한 모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력운동 효과, 근육이완 및 수축효과, 유산소 운동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1.5mA 이내의 전류를 이용한 저주파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류가 안정되도록 하여 과대 전류로 인한 피부화상을 미연에 방재할 수 있도록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한 EMS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MS(Electric Muscle Stimulation)는 전기자극을 사용자의 신체 중 운동신경에 전달함으로써 근육 수축 및 이완을 유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EMS는 기 설정된 주파수의 미세 전류가 근섬유 자극을 유발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직접적인 근육 자극에 의해 트레이닝 효과가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존의 EMS 장치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정처 기준에서 화상 및 과도 전류로 인한 부작용 피해를 막기 위해 최대출력전류를 10mA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EMS 장치는 최대 근육 자극을 위하여 7~9mA의 출력 전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 전류값은 근육 운동 강도를 높이는 데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출력 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화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출력 파형의 안정적 피크치 파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저주파 특유의 전기 잡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488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간편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저주파 강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저주파 시퀀스를 다양한 모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력운동 효과, 근육이완 및 수축효과, 유산소 운동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1.5mA 이내의 전류를 이용한 저주파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류가 안정되도록 하여 과대 전류로 인한 피부화상을 미연에 방재할 수 있도록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한 EMS 의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는 밀착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진행하는 EMS 벨트 및 상기 EMS 벨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EMS 벨트의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MS 벨트는 사용자의 신체에 감겨 밀착고정되는 메인 벨트, 상기 메인 벨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EMS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을 감싸 압박함으로써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벨트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 말단부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되 해당 포개어지는 영역에는 벨크로가 마련되어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가 부착되기 위한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위치한 단자가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면으로 관통하여 노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 패드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임펄스 주파수를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도록 마련되는 은사패드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은 내측의 전도체가 길이 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반복적으로 폴딩된 상태에 해당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MS 제어모듈은 일측면에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말단부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는 영역에 마련된 상기 벨크로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보조 벨트 각각의 말단부에는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말단부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는 영역에 마련된 상기 벨크로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면상발열 케이블이 마련되며, 상기 면상발열 케이블은 일측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면상발열 케이블은 상기 EMS 제어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MS 제어모듈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주파수 시퀀스에 대한 전기자극 신호를 상기 EMS 벨트에 인가하며, 상기 EMS 벨트는 각각의 주파수 시퀀스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전기자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간편한 사용자 조작만으로 저주파 강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저주파 시퀀스를 다양한 모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력운동 효과, 근육이완 및 수축효과, 유산소 운동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1.5mA 이내의 전류를 이용한 저주파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류가 안정되도록 하여 과대 전류로 인한 피부화상을 미연에 방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자극부위를 감싸는 밴드 내에 신축성을 가진 면상발열 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저주파 자극과 더불어 근육에 온열감을 제공하여 근육을 가열시킴으로써 근육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자극부위에 접하는 자극 패드를 은사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젤 전해질 없이도 물 만으로 전기자극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목적에 맞추어 전기자극 강도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100)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벨트(111)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도 패드(112)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113)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100)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벨트(111)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도 패드(112)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113)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100)는 크게 EMS 벨트(110) 및 EMS 제어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EMS 벨트(110)는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복부, 허벅지, 종아리, 팔 등에 착용되며 밀착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해당 부위의 근육 수축 및 이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살펴보면, EMS 벨트(110)는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복부 등)에 감겨 착용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밀착고정되는 메인 벨트(111), 메인 벨트(111)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위치되며, 실제로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112), 각각의 전도 패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EMS 제어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13) 및 메인 벨트(111)의 일측에 마련되며 메인 벨트(111)의 외측을 감싸 압박함으로써 메인 벨트(111)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벨트(111)는 사용자의 복부, 허벅지 등과 같은 신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이를 위해 충분한 길이 예컨대 80cm 등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이때, 메인 벨트(111)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이 적용됨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 벨트(111)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메인 벨트(111)가 어느 정도 신축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벨트(111)는 그 자체가 허리 혹은 복부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부를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허리 및 복부가 곧게 직립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자세교정기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메인 벨트(111)의 양측 말단부는 서로 포개어지되, 포개어지는 영역에는 벨크로가 마련되기 때문에, 벨크로에 의해 메인 벨트(111)의 양측 말단부가 서로 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벨트(111)의 내측면에는 전도 패드(112)가 부착되기 위한 벨크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도 패드(112)가 메인 벨트(111)로부터 경우에 따라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벨트(111)에는 전도 패드(112)와 연결된 케이블(113)이 메인 벨트(111)를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한 EMS 제어모듈(120)과 연결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벨트(111)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면상발열 케이블이 마련된다. 이때, 면상발열 케이블은 후술되는 케이블(113)과 상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면상발열 케이블은 일측이 케이블(113)과 연결됨에 따라 EMS 제어모듈(12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메인 벨트(111) 내의 면상발열 케이블이 발열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전도 패드(112)는 사용자의 신체 예컨대, 복부, 등 등과 같은 부위에 실제로 밀착하여 접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후술되는 EMS 제어모듈(12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도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도 패드(112)는 EMS 제어모듈(120)에서 케이블(11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임펄스 주파수를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여 전기 자극이 가해지도록 마련되는 전도체인 은사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직조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전도 패드(112) 상에 물을 뿌릴 경우 전도 패드(112)를 통한 전기 자극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전도 패드(112)의 일면은 은사가 직조된 직조면이 형성되면, 타면에는 메인 벨트(111)에 마련된 벨크로에 부착되기 위한 벨크로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전도 패드(112)는 메인 벨트(111)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도 패드(112)에는 케이블(113)과 끼움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출형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 패드(112)는 케이블(113)과도 탈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전도 패드(112)는 메인 벨트(111)에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도 패드(112)는 케이블(113)과 연결되어, 후술되는 EMS 제어모듈(12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게 된다.
케이블(113)은 EMS 제어모듈(120)과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11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며, EMS 제어모듈(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전기신호를 전도 패드(1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블(113)은 내측의 전도체가 길이 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반복적으로 폴딩된 상태에 해당하므로,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113)이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케이블(113) 내의 전도체가 끊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113)은 전도 패드(112)에 형성될 돌출된 형태의 단자와 결합되는 단자와 함께, EMS 제어모듈(120)에 형성된 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 벨트(114)는 메인 벨트(111)의 외측면 중심부에 마련되되, 양측이 당겨지면서 메인 벨트(111)의 외측에 마련된 벨크로에 부착되도록 내측에 벨크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벨트(111)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후, 보조 벨트(114)가 메인 벨트(11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당겨지게 되며, 당겨진 보조 벨트(114)는 다시 메인 벨트(111)의 외측에 마련된 벨크로에 부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메인 벨트(111)가 풀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압박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 벨트(114)는 메인 벨트(111)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EMS 제어모듈(120)은 EMS 벨트(110)의 전도 패드(112)와 케이블(11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 패드(112)의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EMS 제어모듈(120)은 1Hz 내지 100Hz 내의 저주파 신호를 전도 패드에 인가하며, 전도 패드와 접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근섬유를 수축, 이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EMS 제어모듈(120)에 마련된 업(UP) 또는 다운(DOWN) 버튼 조작을 통해, 저주파 신호 강도를 12단계 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EMS 제어모듈(120)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시퀀스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EMS 제어모듈(120)에는 서로 다른 색상(RED, GREEN, BLUE, YELLOW)의 LED가 마련되며, 각 색상은 주파수 시퀀스 별로 온동작된다.
RED LED는 EMS 제어모듈(120)에서 사용자의 속근을 최대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주파수 강도(예컨대, 80Hz 4초자극 2초 휴식 등)를 전도 패드에 인가할 경우 온 동작될 수 있다.
또한 GREEN LED는 EMS 제어모듈(120)에서 사용자의 속근을 자극하기 위한 주파수 강도(예컨대, 60Hz 4초 자극 2초 휴식 등)를 전도 패드에 인가할 경우 온 동작될 수 있다.
또한 BLUE LED는 EMS 제어모듈(120)에서 사용자의 지근을 최대로 수축시키기 위한 주파수 강도(예컨대, 20Hz 4초 자극 1초 휴식 등)를 전도 패드에 인가할 경우 온 동작될 수 있다.
또한 YELLOW LED는 EMS 제어모듈(120)에서 앞서 살펴 본 RED LED, GREEN LED, BLUE LED 별 전기 자극 주파수를 기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 동안 자동으로 반복하여 전도 패드에 인가할 경우 온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각 LED 색상 별 주파수 강도는 EMS 제어모듈(120)에 마련된 모드변경 버튼 조작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5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 벨트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이 메인 벨트를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한다(S501).
그 다음, 메인 벨트의 내측면에 위치한 벨크로에 전도 패드를 위치시킨 후, 케이블의 단자를 전도 패드에 형성된 돌출형 단자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S502).
그 다음, 전도 패드와 사용자의 신체가 맞닿는 은사면에 물을 뿌린 후, 전도 패드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여 밀착되도록 착용된다(S503).
그 다음, 메인 벨트에 마련된 보조 벨트가 각각 양측으로 잡아 당겨진 후 메인 벨트의 외측면에 마련된 벨크로 부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는 압박감이 제공된다(S504).
그 다음, 메인 벨트의 외측으로 관통하여 나온 케이블이 메인 벨트의 외측면 벨크로에 부착된 EMS 제어모듈의 단자에 연결된다(S505).
그 다음, EMS 제어모듈이 온동작 된 후 EMS 제어모듈에서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전도 패드가 사용자의 신체 내부의 근섬유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여 근섬유 수축 및 이완이 진행되도록 한다(S50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110: EMS 벨트
111: 메인 벨트
112: 전도 패드
113: 케이블
114: 보조 벨트
120: EMS 제어모듈

Claims (10)

  1. 밀착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진행하는 EMS 벨트; 및
    상기 EMS 벨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EMS 벨트의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S 벨트는,
    사용자의 신체에 감겨 밀착고정되는 메인 벨트;
    상기 메인 벨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EMS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을 감싸 압박함으로써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벨트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 말단부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되 해당 포개어지는 영역에는 벨크로가 마련되어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가 부착되기 위한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말단에 위치한 단자가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면으로 관통하여 노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패드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임펄스 주파수를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도록 마련되는 은사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내측의 전도체가 길이 방향으로 물결무늬 형태로 반복적으로 폴딩된 상태에 해당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MS 제어모듈은 일측면에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말단부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는 영역에 마련된 상기 벨크로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 벨트 각각의 말단부에는 벨크로가 마련되며,
    상기 벨크로를 통해,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말단부와 타측 말단부에 포개어지는 영역에 마련된 상기 벨크로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면상발열 케이블이 마련되며, 상기 면상발열 케이블은 일측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면상발열 케이블은 상기 EMS 제어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S 제어모듈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주파수 시퀀스에 대한 전기자극 신호를 상기 EMS 벨트에 인가하며, 상기 EMS 벨트는 각각의 주파수 시퀀스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전기자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KR1020190051381A 2019-05-02 2019-05-02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KR20200127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81A KR20200127376A (ko) 2019-05-02 2019-05-02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381A KR20200127376A (ko) 2019-05-02 2019-05-02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76A true KR20200127376A (ko) 2020-11-11

Family

ID=7345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381A KR20200127376A (ko) 2019-05-02 2019-05-02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02A (ko) * 2020-11-24 2022-05-31 (주)메디스포츠랩 Ems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87A (ko) 2017-08-04 2019-02-13 김진길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ems 트레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87A (ko) 2017-08-04 2019-02-13 김진길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ems 트레이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402A (ko) * 2020-11-24 2022-05-31 (주)메디스포츠랩 Ems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735A (e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of flexing body portions
US20020077688A1 (en) Electrode-positioning body garment
KR101775512B1 (ko)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US6862481B1 (en) Bunion treating device
US20200094043A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KR101709196B1 (ko) 엉덩이 근육 및 괄약근 강화를 위한 저주파 근육 운동기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US6889088B2 (en) Bunion treating device
KR20200127376A (ko)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KR101289441B1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KR101578032B1 (ko) 저주파 복부자극기
KR101743176B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 패드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102293630B1 (ko) 치료 및 근육 강화용 혈류 제한 에어커프 및 다방향 전기 자극 장치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KR200406729Y1 (ko) 온열 찜질이 가능한 저주파 치료기용 복대
JP3217355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KR20150013407A (ko) 성장판 자극장치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339987Y1 (ko) 물리치료용 팬티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313130Y1 (ko) 저주파 치료기
GB2136297A (en) Electronic Stimulation of Muscles
KR20200127375A (ko) Ems 제어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