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320U - 다기능 장갑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320U
KR20110006320U KR2020090016436U KR20090016436U KR20110006320U KR 20110006320 U KR20110006320 U KR 20110006320U KR 2020090016436 U KR2020090016436 U KR 2020090016436U KR 20090016436 U KR20090016436 U KR 20090016436U KR 20110006320 U KR20110006320 U KR 201100063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glove body
heating element
multifunctional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320U/ko
Publication of KR20110006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41D19/01535Heated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Protective gloves with luminous or refl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장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를 갖는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된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가닥으로 감김되고 절연 피복된 도전선, 및 상기 도전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발열체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신호전달선이 신축성을 갖도록 장갑몸체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발열체의 단선이나 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열체가 장갑몸체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및 경사로 함께 직조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신축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단순, 간결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작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이물감이 없으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기능 장갑, 발열체, 자가발전장치, 발광수단

Description

다기능 장갑 {A MULTI-FUNCTIONAL GLOVE}
본 고안은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열작용을 수행하거나 전원을 전달하는 케이블이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전원을 필요한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를 용이하게 내장 및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손 부분에는 동절기나 저온환경에서 냉기로부터 손을 보온하기 위한 용도, 또는 작업시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장갑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것으로서, 그 보온능력은 섬유사가 갖는 보온특성에 의존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 한계점을 갖고 있다. 즉,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강하하거나 수분 등이 장갑 표면에 침투할 경우 충분한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장갑 자체의 보온 기능 외에 별도의 발열장치를 장갑몸체에 구성한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 호 제10-086584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등 부분과 손가락 부분이 두 겹으로 형성된 장갑 본체의 손등 부분과 손가락 부분에 삽입 설치되고, 한 쌍의 불연성 부직포 사이에 일정한 저항값을 갖는 텅스텐 또는 스테인리스(SUS) 재질의 박막 또는 와이어 형태의 발열선(240)이 배선된 다수의 면상발열체(200); 내부에 충전지 또는 건전지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320)와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홈 형태의 출력단자(340)가 형성된 전원공급부(300); 상기 전원공급부(300)의 출력단자에 결합하도록 핀 형태로 형성된 연결단자(420)와, 상기 연결단자(420)로부터 각 면상발열체의 발열선(240)으로 병렬연결되면서 그 외면은 절연성 피복으로 감싸진 전선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00)를 구비한 발열식 방한장갑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7921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형태의 장갑(10)과; 상기 장갑(10)의 손가락 등 부분에 부착된 발열판(20)과; 상기 장갑(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된 배터리(30) 및 스위치(40)와; 상기 발열판(20)과 배터리(30) 및 스위치(40)를 각각 연결하는 전선(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열판(20)은 길이가 5 ∼ 10 Cm이고, 저항값이 3 ∼ 20 Ω이며, 섬유 가닥수가 500 내지 2000인 다수개의 카본섬유 발열체(60)와; 상기 카본섬유 발열체(60)들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전선(55)과; 상기 카본섬유 발열체(60)와 전선(55)이 덧씌워지도록 상하로 접착시킨 한 쌍의 절연섬유 패드(70)로 이루어진 발열장갑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발열장갑들은 섬유사로 이루어진 장갑본체 외에 별도로 발열 작용을 수행하는 발열체가 구비되어 열기를 제공하므로 보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발열체가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손등이나 손가락 부분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착용감의 불량은 물론이고, 부자연스러운 손동작으로 인해 운전 중, 작업 중, 및 운동 중에 심각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신축되지 않은 발열체에 반복적으로 인장력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될 경우 쉽게 열선이 단선되거나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결여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 외에도,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65847호의 경우에는 발열선(240)이 배선된 면상발열체(200)가 지나치게 많은 수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상발열체(200)에 각각 전선(440)을 접속하여야 하는 등 조립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단점을 갖는다. 그리고, 작은 장갑본체에 절연 피복된 통상의 전선(440)이 너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어 착용시 이물감을 줄 뿐만 아니라 두께가 두꺼워져서 착용감이 현저히 불량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79218호의 경우에도, 발열판(20), 및 다수 개의 카본섬유 발열체(60)와 같이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는 발열체로 구성되므로 손등이나 손가락 부분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서 착용감이 불량하고, 신축되지 않은 발열체에 반복적으로 인장력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될 경우 쉽게 열선이 단선되거나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결여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다수 개의 전선(55)이 구비되어 있고, 절연을 위한 별도의 절연섬유 패드(70)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 자체중량이 과다하고 조립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단점을 갖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너무 복잡하고 통상의 전선 을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착용시 이물감을 주고,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등 상품성이 결여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발열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장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고 구조가 단순, 간결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중량과다, 이물감 등과 같은 착용불량 요인이 해소되도록 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 다기능 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의 움직임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원을 생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를 갖는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된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가닥으로 감김되고 절연 피복된 도전선, 및 상기 도전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상기 장갑몸체의 직조시에 공급되는 섬유사와 함께 위사 및/또는 경사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착용 중 및 사용 중에 손상되지 않고 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띠형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장갑은,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를 갖는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띠형으로 직조되는 발열몸체와, 상기 발열몸체에 파형 구조로 엮여져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하여 신축되는 발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몸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몸체는 수평 중심축을 기준으로 손의 윗부분을 감싸는 상부 몸체와, 손의 아래 부분을 감싸는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서로 접하는 측면 둘레부분에 상기 발열체가 결합되어 상,하부몸체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그 내부에 수용되거나 그 표면에 덧대어지도록 띠 형태로 형성된 마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장갑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갑몸체는,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사;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사; 및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수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어 직조될 수 있다.
상기 장갑몸체에 배치되는 발광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소정 경로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 전원 및 신호전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갑몸체는 고장력 섬유사, 유리섬유사, 탄소섬유사, 및 금속사로 이루어지는 방호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호사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내선의 외주면상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사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고 고분자에 의해 피복된 금속사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사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갑몸체의 입구측 둘레에 결속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갑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 수단은 결속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전원의 통전 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갑몸체에 내주면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손의 피부 부분에 저주파자극을 인가하는 저주파전극을 포함하는 저주파발생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2차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장갑몸체에 형성되는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에 충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장치는, 상기 장갑의 양쪽 장갑몸체에 설치되고, 기전력이 생성되는 유도코일을 구비하여 서로 교차시에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전원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신축성과 도전성을 갖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자극의 변화에 따른 인력 또는 반력에 의해 요동되는 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발생부와 대응하는 양쪽 장갑에 구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와 접하여 교차시에 기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구비한 구동자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갑몸체의 내면 또는 외면상으로 끼워지는 제2 장갑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의하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발열체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및 신호전달선이 신축성을 갖도록 장갑몸체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발열체의 단선이나 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열체가 장갑몸체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및 경사로 함께 직조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신축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단순, 간결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작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고 이물감이 없으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가발전장치를 장갑몸체에 구성하여 손의 움직임을 통해 자체적으로 에너지원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조달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발열수단 등을 구비할 경우, 응원용, 이벤트 행사용 장갑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12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 내지 도12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발열체로서 적용되는 도전성 선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갑(1)은, 장갑몸체(11)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13)를 구비하되, 발열체(13)로서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2)를 장갑몸체(11)에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손이 삽입된 상태에서 장갑몸체(1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장갑몸체(11)는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사를 위사(117) 및 경사(118)로 공급하여 직조(여기서의 직조는 제직, 편직 등의 다양한 직조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한다.
위사 및 경사는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사만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손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장갑몸체의 형성을 위해 스판사와 같은 신축성 고분자사를 더 공급한다.
그리고, 위사(117) 및 경사(118)는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사나,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수지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체온에 근접하는 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사나 형상기억수지사를 포함하여 장갑몸체를 형성할 경우, 사용자가 손을 장갑몸체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설정된 형상(사용자가 희망하는 형태)으로 장갑몸체(11)의 형태가 변형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장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2)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2차전지, 스위치,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충전모듈(14)로 구성되어 장갑몸체(11)에 형성되는 수납부(15)에 수납된다. 수납부(15)는 장갑몸체(11)의 손목부분이나 손등 부분에 형성되는 주머니 형태로서, 충전모듈(121)의 수납시에 여닫을 수 있도록 벨크로화스너, 지퍼, 원터치 단추 등을 구비한 주머니커버(151)가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3)로 구성되는 도전성 선형부재(2)는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된 중심선(2a), 중심선(2a)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가닥으로 감김되고 절연 피복된 도전선(2b), 및 도전선(2b)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중심선(2a)은 신축성 고분자사 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판사가 적용될 수 있고, 도전선(2b)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동선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피층(2c)은 다수 가닥의 섬유사를 중심선(2a) 및 도전선(2b)의 외부에 꼬아서 감은 형태로 구성하거나 환타 조물(Tubular braided fabric) 형태로 직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2)는 장갑몸체(11)의 직조시에 공급되는 섬유사와 함께 위사 및/또는 경사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3)로서 구성되는 도전성 선형부재(2)는 착용 중 및 사용 중에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장갑몸체(11)의 손등 부분(손가락의 등 부분 포함)에 배치되게 위사(손가락 방향)로서 공급되어 구성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발열체의 다른 배치형태 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열체(13)로서 구성되는 도전성 선형부재(2)는 착용 중 및 사용 중에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장갑몸체(11)의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즉, 장갑몸체(11)의 직조시에 도전성 선형부재(2)를 섬유사와 함께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하여 구성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3)는 전술한 도전성 선형부재(2)로 구성되되,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2)가 띠형부재(131)에 배치되어 장갑몸체(11)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다기능 장갑(1)은, 도전성 선형부재(2)를 장갑몸체(11)의 직조시에 함께 직조하지 않고, 도전성 선형부재를 띠형부재(131)에 박음질하거나 엮어 띠형부재를 기 제작된 장갑몸체(11)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일반 장갑을 발열장갑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장갑몸체를 형성하는 섬유조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기능 장갑(1)은 방검, 방탄 등의 방호용 장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갑몸체(11)를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로서 방호사(111)를 공급하여 형성한다.
즉, 방호사(111)로서 고장력 섬유사, 유리섬유사, 탄소섬유사, 및 금속사와 같은 선사를 장갑몸체(11)의 전체 또는 일부로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도5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호사(111)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 는 내선(111a)의 외주면상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방호사(111)는 코일형태로 감아서 형성하거나, 내선(111a)의 둘레에 환타 조물(Tubular braided fabric) 형태(미도시)로 엮어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갑몸체(11)를 형성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로서 방호사(111)를 내선(111a)에 감김되는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직조물의 조직이 더욱 견고하게 되고, 방호사(111)의 단면 구조가 만곡된 대략 원형 구조를 갖게 되므로 칼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나 총탄 등이 표면에 접촉되거나 부딪히게 되더라도 원형의 만곡면에 접촉, 슬립(미끄럼)되므로 방호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방호사(111)의 다른 형태로서, 고분자에 의해 피복된 금속사와 같은 방호사(111)가 내부 중심에 위치하고, 이 금속사의 외주면에 섬유사를 감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방호작용을 수행하는 방호사로서의 금속사가 섬유사의 내부에 매입되어 노출되지 않으므로 평상시에 장갑 표면의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사시에 내부에 매입된 금속사가 날카로운 도구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호작용을 수행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다기능 장갑(1)은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및 전기신호의 전달을 위해, 장갑몸체(11)에 소정 경로로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을 구비한다.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은 장갑몸체(11)에 배치되고 신축성과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도2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은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된 중심선(2a), 중심선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가닥으로 감김되고 절연 피복된 도전선(2b), 도전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2c)을 포함하는 도전성 선형부재(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은 완성된 상태에서의 직경은 1mm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발열체(13)와,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의 구성에 관한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간략하게 차이점을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동선이 발열선과 전원 및 전기신호 공급선으로 모두 사용되듯이, 발열선(13,발열체)과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은 동일한 도전성 선형부재(2)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도전성 선형부재(2)를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장치가 없는 상태로 전원부와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도전성 선형부재의 양단부를 각각 전원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 접속하여 폐회로를 형성하고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기저항에 의해 도전성 선재가 가열됨)하게 되면 발열선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전성 선형부재(2)를 전기에너지 소모장치 또는 전기신호의 전달이 요구되는 장치로 연결하면 전원 및 신호전달선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발열선은 탄소사 등과 같이 비저항이 큰 도전선을, 전원 및 신호전달선은 비저항이 작은 도전선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기능 장갑(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시에 타인이 식별할 수 있는 문자, 문양이나 기호 형태 등을 갖도록 장갑몸체(11)에 배치되는 발광수단(17)을 구비한다. 이 발광수단(17)은 그 배치형태에 맞도록 장갑몸체(11)에 배치되는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에 접속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지만, 그 외에도 유기EL(Electro Luminescence)선 또는 무기EL(Electro Luminescence)선 등과 같은 발광선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 장갑(1)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되는 저주파발생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저주파발생장치는 장갑몸체(11)의 등 부분에 안착되는 저주파발생부와, 전원 및 신호전달선(16)에 의해 저주파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장갑몸체에 내주면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손의 피부 부분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는 저주파전극을 구비한다. 그 외에도, 다기능 장갑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로서, 도7을 참조하면, 다기능 장갑(1)은 전원공급부(12)에 충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자가발전장치(18)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자가발전장치(18)는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제한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 장갑몸체(11,11a)을 서로 근접시키거나 교차시킬 때 전원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자가발전장치(18)는 양쪽 장갑몸체(11,11a)에 설치되고, N/S 자극을 갖는 진동자(181a), 및 기전력이 생성되는 유도코일(181b)을 구비하여 서로 교차시에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전원발생부(181)와, 이 전원발생부(181)와 대응하는 양쪽 장갑에 구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181)와 접하여 교차시에 기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구비한 구동자석부재(182)를 구비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3 변형예에 적용되는 자가발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전원발생부(18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자(181a) 및 유도코일(181b)과, 케이스(181c)를 구비한다.
케이스(181c)는 좌우측에 유도코일(181b)이 권선되는 권선부(181c1)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용공간(181c2)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81c2)의 내부에는 진동자(181a)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진동자(181a)는 N/S 자극을 갖는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수용공간(181c2)의 내부에서 요동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 진동자(181a)는 구동자석부재(182)의 이동시에 N극 및 S극이 교차되게 반복적으로 근접되므로 자극의 변화에 따른 인력 또는 반력에 의해 수용공간(181c2) 내부에서 요동되면서 유도코일(181b)에 기전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자가발전장치(18)는 전원발생부(12)에 N/S 자극을 갖는 진동자(181a)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양쪽 장갑몸체에 모두 전원발생부(1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발생부(12)의 진동자(181a)가 서로 근접되면 도미노 형상처럼 서로 전자기유도작용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자석부재(182)를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자가발전장치(18)는 복수의 전원발생부(181)가 전술한 도2에 나타난 도전성 선형부재(2)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 연결부재(183)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부재(183)는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2)로서 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생성된 전원이 충전되도록 되어 있고, 연결부재(183)에는 발광수단(17)이 접속되어 생성된 전원에 의해 발광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을 참조하면, 다기능 장갑(1)은 장갑몸체(11)와, 신축 가능하게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13)를 구비하되, 장갑몸체(11)의 입구측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부(19)를 더 구비한다.
연장부(19)는 손목 부분을 감싸는 정도의 길이 또는 팔목 부분 까지 감싸는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연장부(19)는 자체적으로 보온작용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발열체(13)로부터 생성된 열기의 방출을 지연 또는 차단하면서 보다 넓은 범위까지 온열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장부(19)와 장갑몸체(11)의 접속부위에서 지퍼, 벨크로화스너 등과 같은 결속수단(21)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19)는 장갑몸체(11)로부터 연장되는 발열체(19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수단(21)은 전체 또는 일부를 도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결속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전원의 통전 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결속수단(21)을 벨크로화스너로 구성할 경우, 장갑몸체(11)측에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수 벨크로화스너를 설치하고, 연장부(19)측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암 벨크로화스너를 설치하며, 수 벨크로화스너의 걸림훅의 일부나 전체를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사로 형성하고, 이 도전사로 형성된 걸림훅과 접속되는 암 벨크로화스너의 걸림고리를 연장부(19)에 형성된 발열체(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사로 형성하게 되면, 서로 결속시에 전기적 통전상태로 되고, 서로 해제시에 통전상태가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결속수단(21)을 지퍼로 구성할 경우에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몸체(11)측에 형성되는 치열(211) 중 발열체(13)와 연결되는 치열과, 이 장갑몸체(11)측 치열(211)과 대응하는 연장부(19)측에 치열(212)을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하고, 이 양쪽 치열 사이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더(213)를 도전성 금속 등으로 형성할 경우 슬라이더(213)의 상하 이동시에 전원의 통전 또는 차단작용이 수행되므로 스위칭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a 및 도10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a 및 도10b을 참조하면, 다기능 장갑(1)은 장갑몸체(11)와, 신축 가능하게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13)를 구비하되, 장갑몸체 끼워지는 제2 장갑몸체(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다.
제2 장갑몸체(22)는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몸체(11)의 내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장갑몸체 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손의 삽입홀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장갑몸체(22)는 발열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기가 직접적으로 피부에 작용되지 않도록 하여 예기치 않은 과열 및 오작동시에 화상을 입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장갑몸체(22)가 장갑몸체(1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2 장갑몸체을 수분이 흡수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하여 발열체(13)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피부로부터 땀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제2 장갑몸체(22)는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몸체(11)의 외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장갑몸체(11)의 외부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장갑몸체의 외부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장갑몸체(22)가 장갑몸체(11)의 외부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2 장갑몸체(22)를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내부 수분의 방출이 용이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열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피부로부터 땀이 발생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 장갑몸체(22)에도 별도의 발열체를 구성하고, 도9에 나타난 결속수단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11a 내지 도11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1a는 분리사시도, 도11b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c는 발열체(23)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1')은 장갑몸체(11)와, 신축 가능하게 장갑몸체(11)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23)를 구비하되, 발열체(23)는 장갑몸체(1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띠형으로 직조되는 발열몸체(231)와, 이 발열몸체(231)에 파형 구조로 엮여져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하는 신축되는 발열선(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갑몸체(11)는 수평 중심축을 기준으로 손의 윗부분을 감싸는 상부몸체(112)와, 손의 아래 부분을 감싸는 하부몸체(113)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몸체(112) 및 하부몸체(113)는 서로 접하는 측면 둘레부분에 결합되는 발열체(23)에 의해 상,하부몸체(112,113)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몸체(231)는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성 고분자사와 섬유사를 위사 및 경사로 공급하여 직조하고, 장갑몸체(11)의 손등 부분, 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의 측면 둘레 부분에 배치되게 결합하거나, 손등 부분 및 손가락 부위의 측면 둘레부분 양쪽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선(232)은 발열몸체(231)의 직조시에 위사로 공급되어 사인파(sin), 코사인파(cos), 펄스파, 톱니파, 및 상하로 반복되는 U자 파형 구조 등의 형태가 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엮여진다. 이와 같이 발열선(232)을 발열몸체(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대해 굴곡부가 펼쳐지거나 수축되면서 가요성을 갖게 되므로 단선이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23)는 방수작용과 절연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축성 고분자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방수 및 절연층을 구비할 수 있다.
발열선(232)은 파형 구조로 형성됨에 됨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와 같이 자체적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은 구조라고 하더라도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절연 피복된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도전선과, 도전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전선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동선으로 구성되고, 외피층은 다수 가닥의 섬유사를 도전선의 외부에 꼬아서 감은 형태로 구성한다.
도12a 및 도1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1b의 B-B선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1')은 상,하부몸체(112,113)를 서로 결속하여 장갑몸체(11)를 형성하는 동시에 발열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발열체(23)를 별도의 마감부재(233)에 구성한 후, 이 마감부재(233)를 상,하부몸체(112,113)에 결속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33)를 띠 형태로 직조하여 구 성한 후 그 내면에 발열체(23)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장갑몸체(11)에 결합하거나,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33)를 내부에 발열체삽입부(233a)을 갖는 양면 구조의 띠로 직조하되, 발열체삽입부(233a)의 내부에 발열체(23)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장갑몸체(11)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발열체(23)를 별도의 마감부재(233)에 구성하여 결속하게 되면, 발열체(23)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절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을 더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23)를 직접 장갑몸체(11)에 박음질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도전선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1')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거나 설명하지는 않지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세부 구성들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갑몸체를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로서 방호사를 공급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제2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원 및 신호전달선 및 발광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3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자가발전장치, 제4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연장부, 및 제5 변형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2 장갑몸체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발열체로서 적용되는 도전성 선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발열체의 다른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3 변형예에 적용되는 자가발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a 및 도10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a 내지 도11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a 및 도1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갑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다기능 장갑 11,11a:장갑몸체
111:방호사 112:상부몸체
113:하부몸체 12:전원공급부
13,23:발열체 131:띠형부재
14:충전모듈 15:수납부
16:전원 및 신호전달선 17:발광수단
18:자가발전장치 181:전원발생부
19:연장부 21:결속수단
22:장갑몸체 231:발열몸체
232:발열선 233:마감부재

Claims (22)

  1.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를 갖는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된 중심선, 상기 중심선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가닥으로 감김되고 절연 피복된 도전선, 및 상기 도전선의 외주면에 복수의 섬유사에 의해 감김 형성되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상기 장갑몸체의 직조시에 공급되는 섬유사와 함께 위사 및/또는 경사로 공급되어 일체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착용 중 및 사용 중에 손상되지 않고 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형부재는 띠형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5. 손가락장갑 또는 벙어리장갑 형태를 갖는 장갑몸체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상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띠형으로 직조되는 발열몸체와, 상기 발열몸체에 파형 구조로 엮여져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하여 신축되는 발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몸체는 상기 장갑몸체의 손등 부분 및/또는 손가락 부위를 감싸는 부분 중에서 측면 둘레부분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수평 중심축을 기준으로 손의 윗부분을 감싸는 상부몸체와, 손의 아래 부분을 감싸는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의 서로 접하는 측면 둘레부분에 상기 발열체가 결합되어 상,하부몸체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그 내부에 수용되거나 그 표면에 덧대어지도록 띠 형태로 형성된 마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장갑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사;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합금사; 및
    소정 변태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수지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어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에 배치되는 발광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소정 경로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 전원 및 신호전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는 고장력 섬유사, 유리섬유사, 탄소섬유사, 및 금속사로 이루어지는 방호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사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내선의 외주면상에 권취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사는,
    내부 중심에 위치하고 고분자에 의해 피복된 금속사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사의 외주면에 감김되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의 입구측 둘레에 결속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갑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결속 또는 해제동작에 따라 전원의 통전 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에 내주면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손의 피부 부분에 저주파자극을 인가하는 저주파전극을 포함하는 저주파발생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2차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장갑몸체에 형성되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충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장치는,
    상기 장갑의 양쪽 장갑몸체에 설치되고, 기전력이 생성되는 유도코일을 구비 하여 서로 교차시에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기전력이 생성되는 복수의 전원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신축성과 도전성을 갖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자극의 변화에 따른 인력 또는 반력에 의해 요동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부와 대응하는 양쪽 장갑에 구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와 접하여 교차시에 기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구비한 구동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2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몸체의 내면 또는 외면상으로 끼워지는 제2 장갑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갑.
KR2020090016436U 2009-12-15 2009-12-15 다기능 장갑 KR201100063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36U KR20110006320U (ko) 2009-12-15 2009-12-15 다기능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36U KR20110006320U (ko) 2009-12-15 2009-12-15 다기능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20U true KR20110006320U (ko) 2011-06-22

Family

ID=4929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36U KR20110006320U (ko) 2009-12-15 2009-12-15 다기능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32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14B1 (ko) * 2013-12-17 2015-03-05 광주광역시 광산구 압전소자를 구비한 발광 장갑
KR2020009382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셈앤텍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20200093825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셈앤텍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편직장갑
KR20210102589A (ko) 2020-02-12 2021-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섬유와 플렉시블 배터리를 이용한 발열장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14B1 (ko) * 2013-12-17 2015-03-05 광주광역시 광산구 압전소자를 구비한 발광 장갑
KR2020009382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셈앤텍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20200093825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셈앤텍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편직장갑
KR20210102589A (ko) 2020-02-12 2021-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섬유와 플렉시블 배터리를 이용한 발열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0444B2 (ja)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9029703B2 (en) Electronically-controllable woven article with receptacle structure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35572Y1 (ko) 발열장갑
KR100964092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6320U (ko) 다기능 장갑
JP6096482B2 (ja) 外套
JP2019537204A (ja) 炭素フェルト発熱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73962Y1 (ko) 다기능 온열복대와 이를 이용한 발열의복
KR20110010527A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608B1 (ko) 전원을 생성할 수 있는 선재와, 이를 이용한 결합체, 및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복
KR102159310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편직장갑
KR200468620Y1 (ko) 다기능 벨트
JPH0561361B2 (ko)
KR101089901B1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면상체
CN211794351U (zh) 一种电加热袜
KR102159307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20160110797A (ko)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2122A (ko) 배터리가 내장된 분리형 손목밴드를 갖는 발열장갑
KR102032042B1 (ko) 내구성이 우수한 발열직물
KR20160067246A (ko) 발열 장갑
KR101939995B1 (ko) 패브릭 히터의 신축전선을 이용한 접합용 단자 조립체
KR20200002780U (ko) 휴대용 온열기
KR20110053872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00069530A (ko) 도전성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