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07B1 -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 Google Patents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07B1
KR102159307B1 KR1020190011019A KR20190011019A KR102159307B1 KR 102159307 B1 KR102159307 B1 KR 102159307B1 KR 1020190011019 A KR1020190011019 A KR 1020190011019A KR 20190011019 A KR20190011019 A KR 20190011019A KR 102159307 B1 KR102159307 B1 KR 10215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etallic fiber
glove
he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824A (ko
Inventor
석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셈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셈앤텍
Priority to KR102019001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41D19/01535Heated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Gloves with poc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재단된 장갑원단을 재봉하여 만드는 봉제장갑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원단을 서로 재봉하여 만들어진 봉제장갑의 일면 전체에 금속성 섬유 도선을 고르게 배치 형성하고,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은 장갑의 일측 포켓부에 수용되는 커넥터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보조 배터리 등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상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봉제장갑의 일면에 금속성 섬유 도선에 의한 발열선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금속성 섬유 도선이 갖는 우수한 내구성 및 뛰어난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작업을 하거나 레저 혹은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발열체의 단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고, 금속성 섬유 도선에 대한 커넥터의 연결 및 전원의 인가 등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종래의 발열장갑에 비하여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커넥터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부담 및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Sewing gloves with heating mean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재단된 장갑원단을 재봉하여 만드는 봉제장갑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봉제장갑의 일면에 금속성 섬유 도선을 고르게 고정 형성하고,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은 봉제장갑의 손목부에 형성된 포켓 내 커넥터를 통해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휴대용 보조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봉제장갑에 대한 우수한 발열 작용은 물론 내구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킨 발열봉제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이라 함은 착용자의 손을 보호하거나 보온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장갑 편직기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연속 생산되는 편직장갑과 원단의 재단 후 재봉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봉제장갑으로 크게 분류될 것이다.
상기의 편직장갑은 생산성이 용이하여 대체로 저렴한 가격으로서 우수한 신축성을 요구하는 작업용 장갑이나 특수 목적용 레저용 장갑 등에 비교적 적합할 것이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없고 형상이 단순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는 반면, 봉제장갑의 경우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재봉선에 의한 이물감이나 상대적으로 생산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장갑의 사용 목적이나 착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생산 방식 및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어, 근래에 들어서는 동절기 혹은 저온 상태에서의 근무 환경을 갖고 있는 경우 손의 보호와 동시에 방한을 목적으로 상기의 장갑에 발열수단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장갑의 발열수단은 우수한 유연성과 함께 효율적인 발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05203호와 같이 벙어리장갑의 내부 손바닥쪽 부위에 일정한 길이의 카본 선상발열체 다발과 전선이 교대로 연결된 카본 선상발열체를 직렬로 배치하여 휴대형 충전용 리튬 이온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 고효율의 발열효과를 낼 수 있는 카본 면상발열판 장착용 발열벙어리장갑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5572호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CB)의 면(面)에 도전성 잉크로 간접 인쇄하여 제작한 발열체를 장갑 외피 및 내피 사이에 포함하거나, 발열장갑 외피 및/또는 내피의 내측면에 도전성 잉크로 직접 인쇄하여 손을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발열부의 선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직접 이용함으로써 열 이용의 효율성이 높이고, 그 구성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작공정이 단순하여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발열장갑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7487호와 같이 내부에 장착된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열선을 장갑의 내피에 장착하여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 장갑의 보온력을 높이고 특히 취약한 손가락 부분의 보온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배터리와 전원버튼을 구비하고 장갑의 각 부분으로 연장되는 발열부를 구비한 발열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내피와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외피로 구분되고, 상기 내피는 손바닥에 상응하는 제1 내피와, 손등에 상응하는 제2 내피로 구분되어 손목이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곽선을 따라 재봉선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내피의 손목 부분에 상응하는 외면에는 충전이 가능한 소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인근에는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버튼이 장착되며; 발열부는 상기 재봉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원버튼을 연결하되 상기 재봉선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장갑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890690호와 같이 내피층 및 외피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장갑에 있어서, 장갑의 내피에 형성된 내피층, 내피층 및 외피층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피층의 손등 각 손가락 부위에 고정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장갑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열부는 발열이 일어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내피층에 고정시키는 덮개층으로 이루어진 발열장갑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열장갑의 경우 발열체의 파손 또는 단선이 쉽게 일어나고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거나 일상 생활을 하는 도중에도 발열체의 단선으로 인해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갑 사용시 불편함을 느끼게 하여 발열장갑 자체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지극히 떨어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중 표피 구조 혹은 내,외부 이중 장갑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장갑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작업을 하거나 일상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고, 높은 생산원가로 인해 구매시 상당한 부담을 주는 것이며, 내피 혹은 외피 등 일부 구성의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하는 경우 고가의 발열장갑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것은 물론 내구성이 매우 떨어져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발열장갑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먹을 쥐는 등의 작업 또는 레저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열체가 떨어지거나 끊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있어 벙어리 장갑과 같은 장갑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므로, 각종 작업 활동이나 레저 혹은 스포츠 활동을 하는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장갑 자체에 전원연결부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발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구성에 해당되는 상기 전원연결부가 장갑의 사용과정에서 불편함 또는 이물감을 주게 되는 것이고, 장갑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연결부를 재사용할 수 없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는 물론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05203 (2005.12.29.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35572 (2007.01.25.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57487 (2011.12.1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90690 (2018.08.16.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원단을 서로 재봉하여 만들어진 봉제장갑의 일면 전체에 금속성 섬유 도선을 고르게 배치 형성하고,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은 장갑의 일측 포켓부에 수용되는 커넥터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휴대용 보조 배터리 등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금속성 섬유 도선이 갖는 우수한 내구성 및 발열성으로 인해 발열장갑 자체의 사용 수명 및 내구성을 크게 높이고, 금속성 섬유 도선의 자유로운 절곡 특성으로 인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거나 업무를 보는 등 발열체의 단선 우려가 거의 없는 것이며, 커넥터 등을 연속하여 반복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 및 목적으로 만들어진 봉제장갑의 일면 전체에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초극세 금속성 섬유 도선을 배치 고정하고,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의 양단을 별도 구비의 커넥터에 용이하게 연결하며, 상기 커넥터에 마련된 전원 연결구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에 전기가 공급되면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장갑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커넥터가 접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편한 위치에 부착하거나, 필요한 경우 장갑으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상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봉제장갑의 일면에 금속성 섬유 도선에 의한 발열선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만들어진 발열장갑체는 금속성 섬유 도선이 갖는 우수한 내구성 및 뛰어난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작업을 하거나 레저 혹은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발열체의 단선 우려가 전혀 없어 발열이 일정하면서 안정적인 것이고, 신축성 등 부드러움이나 두꺼워지지 않는 등 사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더 좋아지는 것이며, 종래의 장갑 제조 공정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이 높아 대량 생산이 우수함은 물론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고, 금속성 섬유 도선에 외부 전원용 커넥터를 사용자가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과 함께 커넥터의 분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부담 및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커넥터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장갑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엄지 발열부 부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커넥터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커넥터 평면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발열체 고정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발열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발열체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발열체의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커넥터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장갑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의 엄지 발열부 부착 상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갑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방한을 위한 용도 혹은 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이,미용을 위한 용도로도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서, 편직장갑에 비하여 다양한 재질의 선택이 가능한 장점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기능을 함께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봉제장갑(10)은 통상적으로 손등원단(11)과 손바닥원단(12)으로 재단되고, 이들 손등원단(11) 및 손바닥원단(12)의 손가락 부분에 연결되는 지간원단(14)(14')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의 손바닥원단(12)은 타공 후 별도의 엄지삽입부(13)를 재봉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손등원단(11)과 손바닥원단(12) 및 지간원단(14)(14')을 서로 재봉에 의해 연결 고정함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갖는 봉제장갑(10)이 완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봉제장갑(10)의 일면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커넥터(30)에 의해 휴대용 보조 배터리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봉제장갑(10)에 대한 발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봉제장갑(10)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봉제장갑(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봉제장갑(10)의 하부를 직접 사용하여야 하는 작업용 장갑의 경우 봉제장갑(10)의 상부에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하면 될 것이고, 봉제장갑(10)의 하부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 목적을 갖지 않는 단순 방한용인 경우에는 봉제장갑(10)의 하부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직접 배치하여 생산하면 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봉제장갑(10)의 상부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원단(12)에 엄지삽입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봉제장갑(10)의 특성상 상기 엄지삽입부(13)에는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봉제장갑(10)의 손등원단(11) 일측에 상기 엄지삽입부(13)를 향하여 돌출된 엄지커버부(15)를 연장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엄지커버부(15)에도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이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엄지커버부(15)가 벨크로 테이프 등의 파스너를 통해 상기 엄지삽입부(13)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 손등원단(11)과 분리된 형태의 엄지손가락 부분에도 효과적인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단일 가닥으로 이루어져 봉제장갑(10)의 손목부로부터 시작하여 손바닥 혹은 손등 부분을 거쳐 각 손가락을 모두 경유한 후 다시 장갑의 손목부로 끝단이 위치되도록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스테인리스가 초극세사 형태로 섬유화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스테인리스 초극세사는 섬유화 가공하여 실의 형태로 방적하여 만들어지는데 초극세 필라멘트의 가닥수, 굵기 등에 따라 장력, 전기전도도(전기저항) 등 일정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통전시 고유저항에 의한 발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시 SMF 열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상기 SMF(Smart micro Fiber)는 기존의 니크롬선이나 카본 열선 등의 발열선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뛰어난 탄성, 유연성및 신장율과 강도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발열에 필요한 전기적 저항값을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 대단히 용이하고 실과 같은 형상으로서 실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므로써 물에 넣거나 빨아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끊어짐으로 인한 화재, 화상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열선 배치가 용이하므로 적재적소에 발열부위를 설치하는 것으로 전기효율을 높이는 발열이 가능하다.
이어, 상기 봉제장갑(10)의 손목부에는 벨크로 파스너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포켓부(40)를 부착 형성한 것이고 상기의 포켓부(40) 내측으로는 별도 구비의 커넥터(30)가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포켓부(40)는 상기 커넥터(30)를 간편하게 휴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상기의 커넥터(30)는 외부 전원을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전달하는 연결 매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포켓부(40)의 개방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한 덮개(41)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포켓부(40)는 장갑에 대한 발열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장갑으로부터 커넥터(30)와 함께 분리 제거하여 일반적인 형태의 장갑으로 사용되게 하고, 발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원 및 금속성 섬유 도선(20)이 연결된 커넥터(30)를 상기 포켓부(40)로 삽입 및 고정시켜 장갑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의 커넥터(30)는 내부에 회로기판(36)이 삽입된 하측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로부터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 회전되는 커버체(32)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31)의 상면에는 "ㄱ"자 형태로 된 도선안치홈(33)(33') 한 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체(32)의 저면에는 상기 도선안치홈(33)(33')과 대응하는 형태로 된 도선가압구(34)(34') 한 쌍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31)의 도선안치홈(33)(33') 내에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양측 끝단을 각기 삽입 및 안치시킨 상태에서 커버체(32)를 닫으면 커버체(32)의 도선가압구(34)(34')가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눌러주며 본체(31) 내부의 회로기판(36)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본체(31)와 커버체(32) 간의 잠금수단(37)을 통해 상기 커버체(32)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잠금수단(37)은 상호 자석체 혹은 푸쉬록 잠금구 또는 슬라이딩 잠금구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본체(31)에 대하여 커버체(32)를 닫아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대한 고정 및 전기적 연결 상태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커넥터(30)와 금속성 섬유 도선(20) 간의 연결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납땜이 불가능한 스테인리스 초극세사 형태로 된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대한 전기적 연결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커넥터(30)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연결 고정한 후 상기 커넥터(30)에 마련된 전원소켓(35)으로 휴대용 보조배터리 등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커넥터(30)의 회로기판(36)을 통해 금속성 섬유 도선(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이 시작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발열은 봉제장갑(10) 전체 및 사용자의 손에 영향을 끼치며 효율적인 발열장갑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봉제장갑(10)에 사용 도중 훼손되거나 더 이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포켓부(40)로부터 커넥터(30)를 분리 회수하여, 분리된 커넥터(30)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원의 재활용 및 비용 절감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것이다.
이어,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봉제장갑(10)에 고정하는 실시예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봉제장갑(10)의 표면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한 후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감싸는 형태의 재봉에 의해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유동없이 안정적인 밀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표면에 유연피복(21)이 형성된 상태로 봉제장갑(10)에 밀착 고정시키는 형태가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표면 전체에 연질 탄력재인 실리콘 수지 등을 이용하여 유연피복(21)을 형성하되, 상기 유연피복(21)의 하부 양측에는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부(22)(22')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날개부(22)(22')를 봉제장갑(10)에 직접 재봉을 통해 밀착 고정시키거나 상기 날개부(22)(22') 저면을 이용하여 봉제장갑(10)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대한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유연피복(21)을 갖는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경우, 도 7의 도시와 같이 금속성 섬유 도선(20)이 지그재그 형태의 절곡부(23)를 갖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일자 형태로 유연피복(21)과 날개부(22)(2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절곡부(23) 그대로인 길이를 유지하다가 도 8의 도시와 같이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곡부(23)가 일자 형태로 펼쳐지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질 탄력재인 유연피복(21)과 날개부(22)(22')는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신장되면서 금속성 섬유 도선(20)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작용하던 인장력이 제거 또는 상실되면 상기의 유연피복(21)과 날개부(22)(22')의 형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본래와 같이 절곡부(23)가 형성된 상태 그대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손의 움직임이 많은 장갑의 특성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절곡부(23)를 갖고 있는 금속성 섬유 도선(20)와 연질 탄력재로 된 유연피복(21)과 날개부(22)(22')로 인해 손가락을 빈번하게 움직이거나 다양한 손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상기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에는 무리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것이고, 절곡부(23)로 인해 길이의 변화 및 유연피복(21)의 신장력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발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작업 또는 각종 운동 및 레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봉제장갑은, 봉제장갑이 갖고 있는 본래의 효율성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상기 봉제장갑에 발열수단을 적용하되 상기의 발열수단은 간편한 전원의 인가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봉제장갑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발열체로 사용되는 금속성 섬유 도선의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봉제장갑과 같이 사용상의 편리함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봉제장갑 11 : 손등원단
12 : 손바닥원단 13 : 엄지삽입부
14,14' : 지간원단 15 : 엄지커버부
20 : 금속성 섬유 도선 21 : 유연피복
22,22' : 날개부 23 : 절곡부
30 : 커넥터 31 : 본체
32 : 커버체 33,33' : 도선안치홈
34,34' : 도선가압구 35 : 전원소켓
36 : 회로기판 37 : 잠금수단
40 : 포켓부 41 : 덮개

Claims (8)

  1. 손등원단(11)과 엄지삽입부(13)를 갖는 손바닥원단(12) 및 지간원단(14)(14')을 서로 재봉하여 만들어진 봉제장갑(10)의 일면 전체에 금속성 섬유 도선(20)을 배치 고정하고, 상기 봉제장갑(10)의 손목부 일측에는 별도 구비의 커넥터(30)를 형성하되, 상기 커넥터(30)는 별도로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에 공급되도록 구성한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섬유 도선(20)은 봉제장갑(10)의 손등원단(11) 상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봉제장갑(10)의 손등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손등원단(11)의 일측부에는 상기 손바닥원단(12)의 엄지삽입부(13)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엄지커버부(15)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엄지커버부(15) 상에도 금속성 섬유 도선(20)이 배치되게 하고, 상기 엄지커버부(15)는 파스너를 통해 상기 엄지삽입부(13)의 외면을 감싸며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본체(31)로부터 커버체(32)가 회전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31)의 상면과 커버체(32)의 저면에는 각기 도선안치홈(33)(33')과 도선가압구(34)(34')를 상호 대응 형성하며, 상기 본체(31)의 일측에는 전원소켓(35)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31) 내의 회로기판(36)을 통해 상기 도선안치홈(33)(33') 내의 금속성 섬유 도선(20)으로의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31)와 커버체(32)는 상호 간의 잠금수단(37)을 통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11019A 2019-01-29 2019-01-29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10215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19A KR102159307B1 (ko) 2019-01-29 2019-01-29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19A KR102159307B1 (ko) 2019-01-29 2019-01-29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24A KR20200093824A (ko) 2020-08-06
KR102159307B1 true KR102159307B1 (ko) 2020-09-23

Family

ID=720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19A KR102159307B1 (ko) 2019-01-29 2019-01-29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904B1 (ko) * 2022-10-04 2023-06-29 주식회사 셈앤텍 전기발열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47B1 (ko) 2008-05-08 2008-10-29 김재수 발열식 방한 장갑
US20090056107A1 (en) 2007-09-05 2009-03-05 Cole Williams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285798B1 (ko) * 2013-01-10 2013-07-12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전도성 장갑
JP2019026979A (ja) 2017-08-01 2019-02-21 富士通株式会社 ウエアラブル筐体及びウエアラブル筐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03Y1 (ko) 2005-10-04 2006-01-10 양우석 카본 면상발열판 장착용 발열벙어리장갑
KR200435572Y1 (ko) 2006-09-29 2007-01-31 김필종 발열장갑
KR200457487Y1 (ko) 2009-09-30 2011-12-22 임숙영 발열장갑
KR20110006320U (ko) * 2009-12-15 2011-06-22 실버레이 주식회사 다기능 장갑
KR101890690B1 (ko) 2012-04-24 2018-08-2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장갑
KR20140108095A (ko) * 2013-02-28 2014-09-05 굿파이낸셜 주식회사 충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6107A1 (en) 2007-09-05 2009-03-05 Cole Williams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865847B1 (ko) 2008-05-08 2008-10-29 김재수 발열식 방한 장갑
KR101285798B1 (ko) * 2013-01-10 2013-07-12 주식회사 대호데크론 전도성 장갑
JP2019026979A (ja) 2017-08-01 2019-02-21 富士通株式会社 ウエアラブル筐体及びウエアラブル筐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24A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847B1 (ko) 발열식 방한 장갑
CN206324244U (zh) 形成有保温部的防寒服
KR102159310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편직장갑
CN105520229A (zh) 包括微型发电机的发热服装和装置
KR101521898B1 (ko) 발열 장갑
US7458106B2 (en) Warming glove
US20090056107A1 (en)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096482B2 (ja) 外套
KR102159307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200392696Y1 (ko) 발열 장갑
JP2011094246A (ja) 手袋
KR200457487Y1 (ko) 발열장갑
KR20220122122A (ko) 배터리가 내장된 분리형 손목밴드를 갖는 발열장갑
CN211185983U (zh) 一种手套
KR20110006320U (ko) 다기능 장갑
KR101918202B1 (ko) 손가락 발열장치를 구비한 장갑
CN212036200U (zh) 一种便于写字的加热手套
KR102551425B1 (ko) 발열체 부착용 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9368A (ko) 발열 조끼
CN219515388U (zh) 一种加热手套
CN220545879U (zh) 电工电加热手套
KR102034464B1 (ko) 발열 인쇄층을 갖는 발열 방한구
JP2019183310A (ja) 調温ジャケットおよび保温ジャケット
KR200417152Y1 (ko) 의류 부착형 발열기
CN202635679U (zh) 无分叉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