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80U - 휴대용 온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온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80U
KR20200002780U KR2020190002477U KR20190002477U KR20200002780U KR 20200002780 U KR20200002780 U KR 20200002780U KR 2020190002477 U KR2020190002477 U KR 2020190002477U KR 20190002477 U KR20190002477 U KR 20190002477U KR 20200002780 U KR20200002780 U KR 20200002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nector
yarn
base memb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경
김정임
건 태 김
Original Assignee
김도경
건 태 김
김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경, 건 태 김, 김정임 filed Critical 김도경
Priority to KR2020190002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780U/ko
Publication of KR20200002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온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며, 인체나 의복 등에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및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온열기{PORTABLE HEATER}
본 고안은 휴대용 온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며, 인체나 의복 등에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계절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온 공간에서 활동하는 경우 인체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핫팩과 같은 일회용 온열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회용 온열기는 한 번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시 소비자 부담이 크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기식 휴대용 온열기를 사용할 경우 소비자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특허 제10-0799977호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온열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르면, 휴대용 온열기(1)는 소정의 온도를 발산하는 온열기 본체(10)와, 온열기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온열기 본체(10)는 열선이 내설된 가열판과, 가열판을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내화재 및 보온재가 외부 케이스(17) 내에 수납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17) 표면에는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내부 공간(15b)을 갖고 내부 공간(15b)에는 열선(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단자가 설치된 소켓(15)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휴대용 온열기(1)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보조 난방용도나 의료용 온열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휴대용 온열기(1)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휴대와 보관이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휴대용 온열기(1)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구성품이 필요하므로 생산원가가 비싸서 소비자부담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휴대용 온열기(1)는 부피가 크고 딱딱한 원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착용하기가 어려워 사용이 불편하고,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9977호 "휴대용 온열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8273호 "휴대용 온열기"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온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체나 의복 등에 다양한 형태로 간편하게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온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온열 기능과 함께 휴대용 조명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온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및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열선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낮게 형성된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광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 및 상기 온열부재를 피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단추, 단추구멍, 지퍼 및 벨크로 화스너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는 상기 온열부재에 구성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결속부재와, 상기 온열부재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고정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고정결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에 삽입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는 이동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정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온열밴드 또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줄 형상으로 엮여진 온열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섬유사가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온열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온열밴드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열선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열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는 전기자극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인체에 전극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기자극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 상기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상기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 및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신축성을 갖도록 엮여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외력의 인가 및 해제시 신축되는 신축사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사는 신축성고분자사로 형성되고 상기 온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길이방향신축사; 및 상기 길이방향신축사에 조임력을 인가하도록 신축성고분자사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방향신축사에 엮여지는 조임용신축사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복수 가닥의 섬유사에 도전사가 합사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사와 함께 엮여져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에 의하면, 열선을 구비한 가요성의 온열밴드 또는 온열줄에 커넥터가 설치된 간겨르, 단순한 구조이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와 원자재가 간결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에 의하면, 온열부재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열기를 인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움직임과 연동되어 신축되므로 착용상태에서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광발생장치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열도구로 사용하면서도 협소하거나 홀과 같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휴대용 램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휴대용 온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또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7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7b는 도7a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7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7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휴대용 보조배터리모듈(도5의 b 참조)과 같은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1)와, 이 커넥터(1)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2)로 구성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휴대와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인체나 의복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온열부재(2)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21)와, 이 온열베이스부재(21)에 배치되고 커넥터(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열베이스부재(2)는 가요성을 갖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 온열밴드(2a)로 구성되어 있다.
온열밴드(2a)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선(22)을 섬유사와 함께 공급하여 일체로 편조할 수 있도록 평타조물(Flat braided fabric)을 제작하는 직기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온열밴드(2a)는 섬유사로서 유기섬유사 및 무기섬유사가 제한 없이 선택되어 편조되지만 외력의 인가시 신장되고 외력의 해제시 수축되도록 신축사가 포함되어 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사는 일반적으로 스판사라고 호칭되는 섬유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폴리우렌탄과 같은 신축성고분자수지로 형성된 섬유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고분자수지로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열선(22)은 온열밴드(2a)의 편조시에 직기에 공급되어 함께 편조되는 것으로서, 전원의 공급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선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열선(22)는 2 가닥이 배치되어 그 단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선(22)은 복수의 도전사에 섬유사가 합사 또는 권취되어 구성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열선은 지지사(221)와 동반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사(222), 및 도전사(222)의 외부에 덧씌워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외피사(2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사(221) 및 외피사(223)는 피부와의 접촉시 트러블을 유방하지 않도록 섬유사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전사(222)는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물질이면서 선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사, 탄소사,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입자,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섬유사,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스테인레스, 티타늄, 동(Cu) 등의 도전성 금속사가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도전사(12)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면에 절연피막층(미도시)이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커넥터(1)는 전원을 수전받아 열선(22)으로 통전할 수 있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열선의 일단이 접속되는 양극단자와 열선의 타단이 접속되는 음극단자가 구비된 USB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USB커넥터는 USB 소켓, USB 플러그, 마이크로 USB 소켓, 마이크로 USB 플러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원공급부의 형태에 맞게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온열베이스부재(2)를 인체나 의복과 같은 피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3)가 구성되어 있다.
결속부(3)는 온열베이스부재(21)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피설치부에 온열베이스부재를 결속하거나 배치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지퍼나 벨크로 화스너와 같은 다양한 결속수단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결속부(3)는 온열베이스부재(21)에 구성되는 단추구멍(31)와, 이 단추구멍(31)에 결속되는 단추(3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추구멍에 의복에 설치된 단추를 결속하거나, 의복에 형성된 단추구멍에 온열베이스부재에 설치된 단추(32)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온열기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부(3)는 온열베이스부재(21)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결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속부재는 온열베이스부재(21)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331)와, 이 고정부(331)에 형성되고 단추(31)나 단추구멍(32)에 걸림되는 갈고리 형상의 고정걸림부(332)로 이루어진 고정결속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열선(22)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4)가 설치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4)는 열선(21)의 전원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온/오프 스위치(4)는 커넥터(1)로 구성되는 USB커넥터에 내장되도록 비교적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스위칭 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이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되게 누름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오프 스위치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온열부재(2)에는 온/오프 스위치 외에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같은 온도감지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마이콤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선의 전원 흐름을 단속하도록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는 단순한 방식 외에도 열선의 발열온도 레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용 온열기는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 및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도록 마이콤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버튼의 입력횟수에 따라 열선의 온도를 1단, 2단, 3단으로 높일 수 있고, 3단 상태에서 일 회 더 가압할 경우 전원이 오프 되는 통상의 누름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 및 입력부(미도시)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커넥터로 구성되는 USB커넥터에 내장되거나 USB커넥터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온열부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섬유사가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온열밴드(2a)로 형성된 온열베이스부재(21)를 구비하되, 열선(22)은 온열밴드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3)는 단추구멍(31) 또는 단추(32)로 구성되되 그 형성과정이나 설치시에 열선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열선(22)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열선(22)이 온열밴드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에 위치하므로 중앙 부분에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결속부(3)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결속부(3)의 설치과정에서 열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또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온열부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또 다른 변형예는 커넥터(1)에 접속되는 전기자극모듈(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인체에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기자극선(5)이 온열베이스부재(21)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자극은 인체에 약한 전류를 인가하여 혈류의 증진 등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근육자극(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기자극선(5)은 커넥터(1)에 접속되는 별도의 전기자극모듈(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자극용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자극을 인가하게 된다.
전기자극선(5)은 열선(22)으로 구성되는 도전선 외에 추가로 온열베이스부재(21)에 배치되는 음극 도전선(51)과 양극 도전선(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자극선(5)으로 구성되는 음극 도전선(51)과 양극 도전선(52)은 통상의 전기자극모듈에서 이용되는 약전이 용이하게 통전될 수 있도록 열선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낮게 제작된 도전선을 배치한다.
여기서, 전기자극모듈은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공지의 소형 전기자극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휴대용 보조배터리와 함께 휴대한 상태에서 손난로와 같은 온열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커넥터(1)를 휴대용 보조배터리(b)의 접속구(미도시)에 삽입하게 되면 전원이 열선(22)으로 전달되어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2)를 여러 겹으로 접어 손바닥에 위치하도록 파지하거나 손등에 감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면 열선(22)의 열기가 전달되므로 인체를 가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부재(2)를 인체에 감은 다음 고정결속부재(33)의 고정걸림부(332)를 단추구멍(3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면 인체의 몸통 부위를 가온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온열베이스부재(21)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신축되어 활동성을 갖게 되므로 작업이나 레져활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끈 형태로 형성되어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종래와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발열조끼를 착용할 필요없이 외투의 내부에 감아매는 등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서로 간에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6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요부 확대사시도로서 도6a의 A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1), 커넥터(1)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2)로 구성되되, 온열부재(2)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줄 형상으로 엮여진 온열줄(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온열부재(2)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23), 온열베이스부재(23)에 배치되고 커넥터(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가닥의 열선(22)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피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해 온열베이스부재(23)에 형성되는 결속부(3)가 구비되어 있다.
온열줄(2b)은 대표적으로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환타조물(Tubular braided fabric)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환타조물을 제작하는 직기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열베이스부재(23)는 유기 및 무기 섬유사(231)와 열선(22)을 서로 엮어 형성하되, 외력의 인가 및 해제시 신축되도록 섬유사로서 신축사(232)가 함께 공급되어 형성된다.
특히, 신축사(232)는 손상이나 절단시에도 안정적인 신축성과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신축사(232)는 온열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길이방향신축사(232a)와, 이 길이방향신축사(232a)에 조임력을 인가하도록 길이방향신축사에 편조되는 조임용신축사(232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신축사(232a) 및 조임용신축사(232b)는 신축성고분자수지로 형성된 신축성고분자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신축사(232a)는 신축성고분자수지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가닥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필라멘트사조립체 또는 한 가닥의 굵은 모노필라멘트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신축사는 1가닥의 모노필라멘트사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조임용신축사(232b)는 길이방향신축사와 마찬가지로 1가닥의 모노필라멘트사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임용신축사(232b)는 신축성고분자사에 섬유사가 권취되어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신축성고분자사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신축사에 밀착, 압박되면서 구속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열선과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수행하거나 열선이 발열작용을 수행할 경우 발산되는 열기를 품어 유지하면서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조임용신축사(232b)는 길이방향신축사(232a)의 신축시에도 부하가 작용되지 않으면서 연동되도록 길이방향신축사가 당겨져 신장된 상태에서 권취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길이방향신축사(232a)의 신장범위는 신축성고분자사의 종류나 굵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외력의 인가시 영구변형되지 않고 복원되는 범위내에서 특정 신율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열줄(23b)에 길이방향신축사(232a)와 조임용신축사(232b)가 구비되면 신축작용을 수행하는 길이방향신축사(232a)를 조임용신축사(232b)가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하여 구속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어서 길이방향신축사(232a)의 손상이나 절단시에도 급격하게 수축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인 신축성과 발열작용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결속부(3)는 온열베이스부재(23)에 구성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지되, 온열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결속부재(34)와, 온열베이스부재(23)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고정결속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결속부재(34)는 온열부재(2)에 삽입되도록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부(341)와, 이동부(341)에 일체로 형성되는 갈고리 형상의 이동걸림부(342)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결속부재(33)는 온열부재(2)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부(331)와, 이 고정부(331)에 일체로 형성되는 갈고리 형상의 고정걸림부(33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의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7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7b는 도7a의 요부 확대사시도로서 도7a의 B를 확대한 것이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1), 커넥터(1)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2)로 구성되고, 온열부재(2)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23), 온열베이스부재(23)에 배치되고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22), 및 온열부재(2)를 피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해 온열베이스부재(25)에 형성되는 결속부(3)로 구성되되, 온열베이스부재(23)에 배치되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공급선(6)과, 전원공급선(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광발생장치(7)가 더 구성되어 있다.
온열베이스부재(25)는 열선(22)을 구성하는 2가닥의 도전선과 함께 외력의 인가 및 해제시 신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2가닥의 길이방향신축사(251)와, 이 길이방향신축사(251)에 조임력을 인가하도록 길이방향신축사에 감김되는 조임용신축사(252)가 서로 엮여져 구성된다.
전원공급선(6)은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가닥의 도전선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열선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낮게 제작된 도전선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광발생장치(7)는 온열베이스부재(23)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는 광발생장치(7)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선을 가열하여 인체에 온기를 제공하는 온열기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두운 곳을 비추는 램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광발생장치(7)는 길이가 긴 온열베이스부재(25)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협소하거나 깊숙한 구멍과 같은 장소에 삽입할 수 있고 온열베이스부재가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용도의 램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온열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커넥터 2:온열부재
2a:온열밴드 2b:온열줄
21,23,25:온열베이스부재 22:열선
3:결속부 31:단추구멍
32:단추 33:고정결속부재
34:이동결속부재 4:온/오프 스위치
5:전기자극선 6:전원공급선
7:광발생장치

Claims (15)

  1.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및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2.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열선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낮게 형성된 전원공급선; 및
    상기 전원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광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3. 휴대용 온열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장 길이의 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부재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가 엮여져 형성되는 온열베이스부재;
    상기 온열베이스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열선; 및
    상기 온열부재를 피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단추, 단추구멍, 지퍼 및 벨크로 화스너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온열부재에 구성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결속부재와, 상기 온열부재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고정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고정결속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에 삽입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는 이동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결속부재는 상기 온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정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온열밴드 또는 섬유사를 포함하여 줄 형상으로 엮여진 온열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섬유사가 면상의 띠 형태로 엮여진 온열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온열밴드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열선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는 전기자극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인체에 전극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기자극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
    상기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3. 제1항 내지 제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흐름을 단속 및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신축성을 갖도록 엮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베이스부재는 외력의 인가 및 해제시 신축되는 신축사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사는 신축성고분자사로 형성되고 상기 온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길이방향신축사; 및 상기 길이방향신축사에 조임력을 인가하도록 신축성고분자사로 형성되어 상기 길이방향신축사에 엮여지는 조임용신축사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복수 가닥의 섬유사에 도전사가 합사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사와 함께 엮여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열기.
KR2020190002477U 2019-06-14 2019-06-14 휴대용 온열기 KR202000027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77U KR20200002780U (ko) 2019-06-14 2019-06-14 휴대용 온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77U KR20200002780U (ko) 2019-06-14 2019-06-14 휴대용 온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80U true KR20200002780U (ko) 2020-12-23

Family

ID=7408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77U KR20200002780U (ko) 2019-06-14 2019-06-14 휴대용 온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780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273Y1 (ko) 2003-09-17 2004-01-13 이장석 휴대용 온열기
KR100799977B1 (ko) 2007-01-31 2008-01-31 송성진 안전성이 향상된 휴대용 온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273Y1 (ko) 2003-09-17 2004-01-13 이장석 휴대용 온열기
KR100799977B1 (ko) 2007-01-31 2008-01-31 송성진 안전성이 향상된 휴대용 온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587B2 (ja)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3168913U (ja) 無線充電可能な耐張式発光又は発熱構造
KR101681819B1 (ko) 천 히터
KR100964092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6949320B2 (ja) 導電性ストレッチ連続状体
WO2017104596A1 (ja) 衣料
US20090057290A1 (en)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having variable heat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90056107A1 (en)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WO2018173749A1 (ja) 導電性複合シート
KR101588893B1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2780U (ko) 휴대용 온열기
JP2011094246A (ja) 手袋
KR102159310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편직장갑
KR20200094045A (ko) 신축성 해제방지 기능을 갖는 도전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및 전기자극모듈
KR20110019309A (ko) 도전성 면상체
WO2015174135A1 (ja) Led実装テープ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服
KR102159307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101945045B1 (ko) 부분 신축 도전성 면상체
KR102125395B1 (ko) 도전성 면상체
KR20110053872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싸개
KR20160140288A (ko) 전도선 및 이를 구비한 편성물
KR20110003065U (ko) 위생 패드
KR20210093129A (ko) 컵 워머
KR20100135629A (ko) 도전성 면상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