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95B1 - 도전성 면상체 - Google Patents

도전성 면상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95B1
KR102125395B1 KR1020130018560A KR20130018560A KR102125395B1 KR 102125395 B1 KR102125395 B1 KR 102125395B1 KR 1020130018560 A KR1020130018560 A KR 1020130018560A KR 20130018560 A KR20130018560 A KR 20130018560A KR 102125395 B1 KR102125395 B1 KR 10212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nar body
woven
yarn
conducti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718A (ko
Inventor
전병옥
김도경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세로
Priority to KR102013001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93Stiff materials, e.g. cane or sla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면상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접속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전원공급선에 의해 연결하지않고 도전선의 배치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희망하는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도전성 면상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는 도전성 면상체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된 면상체와; 상기 면상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을 구비하되, 상기 도전선은 배치경로상에서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진폭부는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도전성 면상체에 의하면, 도전선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접속 진폭부가 형성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므로 도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접속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가설할 필요도 없으므로 전기회로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조립비과 원자재비의 절감으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에 의하면, 도전선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원공급선이 노출되지 않아 도전성 면상체의 구조가 간결, 단순해지고, 외관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전성 면상체{ELECTRIC CONDUCTION PLANAR ELEMENT}
본 발명은 도전성 면상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접속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전원공급선에 의해 연결 하지않고 도전선의 배치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희망하는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도전성 면상체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고도화되고, 첨단화되면서 현대인들은 종래와 같이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보온성과, 충분한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신축성, 및 땀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에 더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의복을 요구하고 있다.
즉,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의복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의복 스스로 발열작용을 수행하거나 냉각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가볍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계절에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는 지능형 의류를 기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섬유분야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만족하고, 미래의 섬유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그 대표적인 연구성과로서 일부 스마트 의류가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레저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발열 조끼와 같은 발열 의류와, MP3와 같은 전자기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 부착형 의류를 예로 들 수 있다.
발열 의류는 탄소섬유사 또는 동선을 이용한 발열선에 의해 구성된 면상발열체를 의복에 꿰매거나 별도로 마련한 주머니에 설치하고,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저항열을 이용하여 발열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열 의류는 면상발열체가 신축성을 갖지 못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신축성을 요하지 않은 인체의 등 부분이나 배 부분에만 제한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교적 활동성이 요구되지 않은 낚시 조끼와 같은 특정 의복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신축성이 없으므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어서 활동성이 요구되는 잠수복, 작업복, 전투복, 스포츠 의류 등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부착형 의류는 벨크로 화스너에 전자기기의 조작버튼을 구성하여 의복의 소매 부분에 탈부착 하도록 구성하고, 의복의 내부에 조작버튼, 전원부, 및 전자기기와의 전류 및 전기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선을 설치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자기기 부착형 의류는 의복의 내부에 도전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의복의 착용감이 불량하고, 세탁시에 의복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선과 조작버튼 등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의복에 설치된 도전선이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충분한 활동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어서 실험 의류, 샘플 의류로만 개발되어 있고 실용화에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964092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한 도전성 패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도록 면상으로 형성되는 패드(110)와, 이 패드(110)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성 선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탄소섬유사, 동선 등과 같이 도전성은 갖지만 신축성을 갖지 않은 도전성 선재를 이용하여 신축성을 갖는 면상의 발열체 또는 면상의 도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활동성이 요구되는 스마트 의류나 전열기구 등에 구성하게 되면 충분한 활동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도전성 패드는 도전성 선재(120)를 패드(110)에 다수 가닥 배치하여 발열회로나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각각의 도전성 선재(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미도시,전원공급 케이블)을 별도로 가설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선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공급선과 (-)전원공급선으로 이루어져 패드(110)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므로 도전성 패드의 전체적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2가닥의 전원공급선이 패드(110)의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간섭현상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간섭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전원공급선과 도전성 선재의 접속부위가 손상 또는 파단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종래는 도전성 패드는 2가닥의 전원공급선(미도시)과 도전성 선재(120)를 일일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납땜작업이 요구되므로 조립시간의 증가와 조립인건비의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접속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전성 면상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을 별도의 전원공급선으로 연결하지않고 도전선의 배치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희망하는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전성 면상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는 도전성 면상체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된 면상체와; 상기 면상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을 구비하되, 상기 도전선은 배치경로상에서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진폭부는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단위 지점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접속 진폭부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선은 상기 접속 진폭부에 비해 진폭이 낮은 형상의 소 진폭부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상체는 섬유사를 위사 및 경사로 공급하여 직조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직물지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함께 직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선은 위사 및 경사에 엮여져 상기 직물지에 구속되는 고정영역과, 상기 직물지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면상체의 일측 면에 자수사로 공급되어 상기 면상체에 꿰여지는 고정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면상체의 타측 면에 상기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고정사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도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선은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된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되고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및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구비한 다층 면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을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부로 공급,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사의 일부로 공급,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선은 상기 상면직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선과, 상기 하면직에 배치되는 제2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선과 상기 제2 도전선은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접속 진폭부는 서로 교차 또는 근접되는 진폭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 진폭부의 교차 부위 또는 근접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면상체를 관통하여 압착 설치되는 도전성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선은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절연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상체에 상기 도전선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엮어지고 도전성을 갖는 선사로 형성된 도전사를 구비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체는 전자파의 차폐와 노이즈의 방지를 위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적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에 적용되는 복수의 도전선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절연층을 갖는 절연 도전선과 절연층을 갖지않은 비절연 도전선이 혼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지로 구성되되, 상기 위사 및 경사로서 신축성 고분자사가 포함되어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지로 구성되되, 이 직물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으로 직조되는 베이스 직조층, 상기 베이스 직조층의 상면에 띠 형태로 제직되는 부가 직조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은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접속 진폭부를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부가 직조층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직조층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1 도전선과, 상기 상기 부가 직조층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2 도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직조층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직조층의 상면에 면상으로 직조되는 보호 직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상기 접속 진폭부와, 상기 접속 진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도전선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병렬 및 직렬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에 의하면, 도전선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접속 진폭부가 형성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므로 도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접속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가설할 필요도 없으므로 전기회로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조립비과 원자재비의 절감으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에 의하면, 도전선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원공급선이 노출되지 않아 도전성 면상체의 구조가 간결, 단순해지고, 외관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에 의하면, 전원공급선의 외부 노출없이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서 사용중에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전원공급선과 도전선의 접속부위가 손상 및 파손될 염려가 없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접속 진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4는 도13의 E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대용 이미지,
도1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대용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1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15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이해를 돕기 위해 외부 전원의 공급부와 연결되는 부위를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각종 전기소자나 전기모듈 등이 접속되도록 도전선(12)을 면상체(11)에 배치하여 전원공급 및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기회로를 구성하거나, 도전선(12)을 면상체(11)에 배치하여 전원공급시 저항 값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회로를 구성하되,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전선(12)은 면상체(11)에 복수의 경로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도전선(12)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12a)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접속 진폭부(12a)는 인접하는 1개의 접속 진폭부만 서로 접속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위 지점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접속 진폭부(12a)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도통시 전속 진폭부(12a)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c)에 배치된 도전선에 비해 전기저항 값이 낮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면상체(11)는 발포폼패드, 부직포, 각종 합성수지시트, 천연피혁지, 인조피혁지 등과 같이 면상 구조를 갖는다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력의 인가시 어느 정도 신축성을 갖는 직물지를 적용한 예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면상체(11)는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도록 도전선이 접속 진폭부(12a)와 소 진폭부(12b)로 이루어진 파형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면상체(11)로서 직물지를 적용하지 않으면서 신축성을 갖는 구조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축성 고분자발포 패드, 신축성 고분자수지에 의해 형성된 신축성 시트를 면상체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신축성 시트의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신축성 고분자 수지는 실리콘 계열의 고무,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도전선(12)은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원의 통전이 가능하거나, 전원의 공급시에 전기저항에 의해 가열되는 동선, 탄소사,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 등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자수기나 직기에 섬유사와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섬유기반의 도전선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선(12)은 면상체의 종류나 면상체에 별도의 절연시트를 부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절연피복층이 형성된 도전선이나 절연피복층이 형성되지 않은 도전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직물지에 도전선을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32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를 이용하여 자수방식으로 배치, 고정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834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물지의 직조시에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도전선을 직접 공급하여 직조하는 직조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그 배치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확대부 A는 도전선의 소 진폭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면상체(11)와, 이 면상체(11)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12)을 구비하되, 면상체(11)는 섬유사를 위사(a) 및 경사(b)로 공급하여 직조한 직물지로 구성되고, 도전선(12)은 직물지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함께 직조, 배치되되, 인접하는 도전선(12)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12a)와, 이 접속 진폭부(12a)에 비해 진폭이 낮게 배치되는 소 진폭부(12b)를 구비한 구조로 직조, 배치된다.
상기 면상체(11)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지로 구성되되, 인장력과 같은 외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위사 및 경사의 전체 또는 일부를 신축성 고분자사로 공급하여 직조할 수 있다. 이때 신축성 고분자사는 폴리우레탄사나 스판사 등과 같이 신축성 고분자에 의해 형성된 신축성 고분자사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선(12)을 직물지의 직조시에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직접 공급하여 직조하는 방식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83435호에 개시된 직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직조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 진폭부(12a) 및 소 진폭부(12b)는 면상체(11)에 인장력, 충격력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원위치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굴곡시킨 것으로 대표적인 형태로서 사인파, 톱니파 등과 같은 파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진폭부(12a)를 톱니파 형태로 배치하고 소 진폭부(12b)를 사인파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도전선(12)은 도3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121)와, 이 중심사(121)에 엮어지는 도전사(122)를 구비한다.
중심사(121)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 및 인조 섬유사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사(121)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발열용 면상체로 적용할 경우에 절연 특성이 뛰어나고 내열특성을 갖는 고장력 섬유사, 세라믹 섬유사, 유리섬유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고장력 섬유사가 선택, 적용될 경우에는 내열 특성이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아라미드사(상품명)나 케브라사(상품명)가 적용된다.
그리고, 중심사(121)는 도전선에 작용되는 인장력과 같은 외력에 대응하여 늘어날 수 있도록 신축성 고분자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사(121)가 신축 가능한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도전사(122) 또한 감김 구조로 배치되어 인장력의 인가시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도전선(12) 전체가 신축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전사(122)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금속사로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정도의 직경을 갖는 스텐레스선, 티타늄선, 동선 등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된 금속사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도전선(12)을 구성하는 도전사(122)의 가닥 수는 희망하는 발열량, 면상체의 소재,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값 등에 따라 5 내지 50 가닥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도전선(12)은 도전사(122)의 외주면에 감겨져 절연기능이나 보호용 외피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123)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외피사(123)는 외력의 인가시에 늘어날 수 있도록 중심사(121)에 권취되는 구조로 배치된다.
특히, 도전선(12)은 직조되는 것이므로 직기의 바늘에 꿰어질 수 있도록 1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하되, 100 내지 500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 진폭부(12a)는 단위 지점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접속 진폭부(12a)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 배치됨으로써 소 진폭부(12b)에 비해 전기저항값이 낮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접속 진폭부(12b)들이 서로 연결되면 전기적 도통관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도전선 묶음 형태가 되므로 도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저항의 특성상 저항값이 소 진폭부(12b)에 비해 낮아지게 되므로 소 진폭부(12b)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접속 진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1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기에 의해 접속 진폭부(12a)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의 양쪽 부분이 서로 교차되게 도전선(12)을 배치하고 서로 교차하거나 인접하는 부분에 납땜(w)을 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1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방법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기에 의해 접속 진폭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12a)의 양쪽 부분이 서로 교차되게 도전선을 배치하고 서로 교차하거나 인접하는 부분에 커넥터(13)를 설치하여 도전선(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13)는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된 리벳을 적용할 수 있고, 면상체(11)에 홀(13a)을 천공한 후 이 홀(13a)에 암,수 도전성 리벳(131,132)을 삽입하고 리벳터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하는 방식으로 고정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노출영역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직조시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도전선(12)이 엮여져 직물지에 구속되는 고정영역(p1)과, 직물지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p2)을 갖도록 직조된다.
이와 같이 도전성 면상체(1)에 도전선(12)이 노출되는 노출영역(p2)이 형성되면 발광다이오드 등의 전기전자소자나, 각종 전기장치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 직물지상에서 섬유사와 혼재되어 있는 도전선(12)을 일일이 찾아내는 번거로움이 없이 노출된 도전선에 전기전자소자 등을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면상체(11)에 도전선(12)이 접속 진폭부(12a)와 소 진폭부(12b)를 갖도록 배치되되, 도전선(12)은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절연 도전사가 포함된 도전선을 적용하여 구성하고, 면상체(11)에는 도전선(12)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4)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소재로 제작된 필름을 면상체(11)에 부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절연층(14)은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면상체(11)의 일면으로 도전선(12)이 배치되고, 면상체(11)의 타면에 전자파의 차폐와 노이즈의 방지를 위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적층부(15)가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보조적층부(15)는 도전성금속 나노입자, 도전성금속 산화물입자 등이 포함된 필름이 부착되거나, 도전성 입자가 포함된 폴리머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체(11)에 보조적층부(15)가 배치되면 전자파의 차폐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발열매트 등의 소재로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인가되는 전자파의 방사량을 줄일 수 있어서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확대부는 면상체에 배치되는 도전선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면상체(11)에 도전선(12)이 접속 진폭부(12a)와 소 진폭부(12b)를 갖도록 배치되고, 복수 가닥의 도전선(12)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배치되되, 복수 가닥 중 일부 가닥의 도전선은 절연층을 갖는 도전성 선재로 구성된 절연 도전선(12c)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가닥의 도전선은 절연층을 갖지않은 도전성 선재로 구성된 비절연 도전선(12d)으로 구성되어 혼합,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전선(12)이 절연 도전선(12c)과 비절연 도전선(12d)이 혼합, 배치되면 절연 도전선(12c)은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비절연 도전선(12d)은 발열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절연 도전선(12c)은 불소 코팅층이 등이 도포되어 절연 처리된 다양한 도전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직조방식으로 배치되므로 도8의 확대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사(121), 도전사(122) 및 외피사(123)로 이루어진 섬유기반의 도전선에서 도전사(122)를 절연층(122a)이 형성된 것을 선택하여 구성하고, 비절연 도전선(12d)은 도8의 확대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기반의 도전선에서 도전사(122)를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절연 도전선(12c)은 비절연 도전선(12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전사(122)의 배치수량을 추가하거나 도전사의 직경을 증가하여 저항값이 낮게 형성된 도전성 선재로 구성하고, 반대로 비절연 도전선(12d)은 저항값이 절연 도전선(12c)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도전사(122)의 배치수량을 작게 하거나 도전사의 직경을 축소하여 구성한다.
도8에 도시된 제4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1)는 도전선(12)이 서로 접촉되게 복잡하게 배치되더라도 절연 도전선(12c)과 비절연 도전선(12d)으로 구성됨에 따라 누전이나 누설과 같은 전기적인 결함을 예방할 수 있어서 단일의 면상체(11)에도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발열회로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체(11)의 일측 및 타측에 비절연 도전선(12d)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한 쌍의 발열회로를 구성하고, 절연 도전선(12c)을 이용하여 일측 및 타측의 접속 진폭부(12b)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전기적인 누전없이 비절연 도전선(12d)은 발열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절연 도전선(12c)은 전원공급선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도전성 면상체(1)는 일측 및 타측의 발열회로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좌우 분리형 온열매트나 더블 침대용 발열체로 적용할 경우 좌우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도전선(22)이 고정사(23)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2)는 면상체(21)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22)이 접속 진폭부(22a)와 소 진폭부(22b)를 갖도록 파형 구조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도전선(22)이 면상체(21)의 일측 면에 자수사 공급방식으로 공급되어 면상체(21)에 꿰여지는 고정사(2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2)는 자수기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자수방식을 시행하게 되면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접속 진폭부(22a) 및 소 진폭부(22b)의 패튼 형태에 맞게 자수기의 작동을 프로그램밍하고 직물지와 같은 면상체(21)를 자수기의 베드면(미도시)에 올려놓고 베드면을 베드구동장치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자수사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도전선(22)을 공급, 배치하고 고정사바늘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전선(22)이 접속 진폭부(22a) 및 소 진폭부(22b)를 갖도록 배치되면서 고정사(23)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전선의 배치경로를 따라 나타나는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2)는 면상체(21)의 일측면(상면)에 도전선(22)이 자수사 공급방식으로 공급되고 면상체(21)에 꿰여지는 고정사(23)에 의해 접속 진폭부(22a)와 소 진폭부(22b)를 갖도록 고정되되, 면상체(21)의 타측 면(저면)에 도전선(22)의 배치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고정사(23)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도전선(24)이 더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도전선(24)은 도전선(22)과 동일, 유사한 도전성 선재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면상체의 상하면에 도전선(22) 및 보조 도전선(24)이 배치되므로 면상체(2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도전선(24)과 도전선(22)은 면상체(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별도의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에는 전기전자소자 등이 접속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도전선의 배치경로를 따라 나타나는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3)는 면상체(31)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32)이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32a)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32a)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성되되, 면상체(21)는 다층 면상체(31a)로 구성된다.
상기한 다층 면상체(31a)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된 상면직(311),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되고 상면직(311)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312), 및 상면직(311) 및 하면직(31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313)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전선(32)은 도11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면직(311)을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부로 공급, 배치된다. 그리고 도전선(32)은 하면직(312)을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부로 공급, 배치되거나, 연결사(313)의 일부로 공급,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층 면상체(31a)는 이격공간의 내부에 발포폼과 같은 쿠션재, 에어로겔 알갱이와 같은 보온재, 숯 또는 황토 알갱이 등과 같이 기능성 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3) 또한 접속 진폭부(32a)에 의해 도전선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전원공급선을 접속하지 않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면상체가 이격공간을 갖는 다층 면상체(31a)로 구성됨에 따라 인체에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다층 면상체(31a)로 구성된 면상체(31)에 접속 진폭부(32a)를 갖도록 도전선(32)이 배치되되, 도전선(32)은 상면직(311)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선(32c)과, 하면직(312)에 배치되는 제2 도전선(32d)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전선(32c) 및 제2 도전선(32d)은 상면직(311) 및 하면직(312)을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부로 공급, 배치된다.
도12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의 면상체인 다층 면상체(31a)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전선(32c) 및 제2 도전선(32d)에 의해 2개의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회로를 단일 면상체로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스마트의류, 웨어러블컴퓨터 등을 간결,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고, 양쪽면(상면직 및 하면직)으로 발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발열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전선(32c) 및 제2 도전선(32d)은 필요에 따라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다양한 전기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4는 도13의 E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대용 이미지로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선은 후술되는 베이스 직조층(411)에 제직되는 제1 도전선(42c)이고, 실선으로 나타나는 선은 후술되는 부가 직조층(412)에 제직되는 제2 도전선(42d)을 나타낸 것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4)는 면상체(41)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이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42a)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42a)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성되되, 면상체(41)는 베이스 직조층(411)과, 이 베이스 직조층(411)의 상면에 직조되는 부가 직조층(412)을 포함하는 직물지로 구성된다.
베이스 직조층(411)은 도13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면상으로 직조되고, 부가 직조층(412)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직조층(411)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도전선(42)의 배치경로상에 띠 형태로 직조된다.
상기 도전선(42)은 부가 직조층(412)과 대응하는 하부 층인 베이스 직조층(411)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1 도전선(42c)과, 부가 직조층(412)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2 도전선(42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선(42)이 베이스 직조층(411)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선(42c)과 부가 직조층(412)에 배치되는 제2 도전선(42d)으로 구성되면 부가 직조층(412)에 의해 제1 및 제2 도전선(42c,42d)이 서로 이격 되므로 동일의 배치경로를 따라 2개 도전선이 배치되더라도 서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선(42c,42d)의 절연상태가 불량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누전 등이 발생되지 않아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대용 이미지로서,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촬상하되, 내부의 부가 직조층(412)이 나타나도록 보호 직조층(413)의 일 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촬상한 이미지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4)는 베이스 직조층(411)의 표면에 직조되는 부가 직조층(412)을 구비하되, 부가 직조층(412)이 덧씌워져 내부에 위치하도록 직조되는 보호 직조층(413)을 더 구비한다.
보호 직조층(413)은 위사(a) 및 경사(b)에 의해 베이스 직조층(411)의 상면에 서로 엮여져 면상으로 직조된 것으로 도15에는 보호 직조층(413)을 형성하는 위사(a) 및 경사(b)가 나타나 있고 이 보호 직조층(413)을 형성하는 위사(a) 및 경사(b)가 제거된 부분에는 부가 직조층(412) 및 제2 도전선(42d)이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4)에 따르면 부가 직조층(412)의 상면에 보호 직조층(413)이 더 구비되어 부가 직조층(412)을 보호하게 되므로 제2 도전선(42d)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중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 중 실시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반복되는 설명이므로 구체적으로 적용예를 도면으로 나타내거나 설명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도 실시 가능한 범위내에서 서로간에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면상체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2,3,4:도전성 면상체 11,21,31,41:면상체
12,22,32,42:도전선 12a,22a,32a,42a:접속 진폭부
12b,22b,32b,42b:소 진폭부 12c:절연 도전선
12d:비절연 도전선 121:중심사
122:도전사 123:외피사
13:커넥터 14:절연층
15:보조적층부 23:고정사
24:보조 도전선 31a:다층 면상체
31c,42c:제1 도전선 31d,42d:제2 도전선
311:상면직 312:하면직
313:연결사 411:베이스 직조층
412:부가 직조층 413:보조 직조층
p1:고정영역 p2:노출영역

Claims (20)

  1. 도전성 면상체에 있어서,
    면상 구조로 형성된 면상체와;
    상기 면상체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선을 구비하되,
    상기 도전선은 배치경로상에서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접속 진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진폭부는 인접하는 접속 진폭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단위 지점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접속 진폭부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 배치되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접속 진폭부에 비해 진폭이 낮은 형상의 소 진폭부를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는 섬유사를 위사 및 경사로 공급하여 직조한 직물지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직물지의 직조과정에서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되어 함께 직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위사 및 경사에 엮여져 상기 직물지에 구속되는 고정영역과, 상기 직물지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영역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상기 면상체의 일측 면에 자수사로 공급되어 상기 면상체에 꿰여지는 고정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의 타측 면에 상기 도전선의 배치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고정사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도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도전선과 상기 도전선은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된 상면직,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제직되고 상면직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면직, 및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구비한 다층 면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선은 상기 상면직 및 상기 하면직을 형성하는 위사 및 경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부로 공급,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사의 일부로 공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상기 상면직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선과, 상기 하면직에 배치되는 제2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전선과 상기 제2 도전선은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0.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접속 진폭부는 서로 교차 또는 근접되는 진폭을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 진폭부의 교차 부위 또는 근접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도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면상체를 관통하여 압착 설치되는 도전성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절연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상체에 상기 도전선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엮어지고 도전성을 갖는 선사로 형성된 도전사를 구비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는 전자파의 차폐와 노이즈의 방지를 위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보조적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절연층을 갖는 절연 도전선과 절연층을 갖지않은 비절연 도전선이 혼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지로 구성되되, 상기 위사 및 경사로서 신축성 고분자사가 포함되어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되는 직물지로 구성되되, 이 직물지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면상으로 직조되는 베이스 직조층, 상기 베이스 직조층의 상면에 띠 형태로 제직되는 부가 직조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선은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접속 진폭부를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부가 직조층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직조층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1 도전선과, 상기 상기 부가 직조층에 위사 또는 경사의 일부로 공급, 직조되는 제2 도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직조층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직조층의 상면에 면상으로 직조되는 보호 직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20. 제1항, 제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상기 접속 진폭부와, 상기 접속 진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도전선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병렬 및 직렬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면상체.
KR1020130018560A 2013-02-20 2013-02-20 도전성 면상체 KR10212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60A KR102125395B1 (ko) 2013-02-20 2013-02-20 도전성 면상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60A KR102125395B1 (ko) 2013-02-20 2013-02-20 도전성 면상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18A KR20140104718A (ko) 2014-08-29
KR102125395B1 true KR102125395B1 (ko) 2020-06-26

Family

ID=5174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560A KR102125395B1 (ko) 2013-02-20 2013-02-20 도전성 면상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04B1 (ko) * 2020-01-03 2021-07-02 (주)한빛넥스트 저전력 전도사가 적용된 면상 발열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73B1 (ko) * 2009-02-18 2016-01-13 정기삼 금속사 접속핀 및 이를 구비한 전도성 직물
KR101029621B1 (ko) * 2009-03-11 2011-04-15 홍길향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110019309A (ko) * 2009-08-19 2011-02-25 실버레이 주식회사 도전성 면상체
KR101672049B1 (ko) * 2010-07-01 2016-11-16 주식회사 광세로 발열작용과 전류 및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가죽
KR20120034534A (ko) * 2010-10-01 2012-04-12 실버레이 주식회사 디지털 섬유 도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18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144B2 (ja)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TWI485300B (zh) 導電織物、織物電路及其製造方法
EP1197722A2 (en) Heating/warming textile articles with phase change components
KR101013069B1 (ko) 탄소섬유 발열직조체, 이를 구비한 발열조끼 및 발열침구
US20090095735A1 (en) Flexible heating weave
KR100964092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515B1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5395B1 (ko) 도전성 면상체
KR200463236Y1 (ko) 자수 제조방식의 면상도전체
KR20110010527A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64530B1 (ko) 발열부 및 선로부 일체형 발열섬유제품
KR20160110797A (ko)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45045B1 (ko) 부분 신축 도전성 면상체
KR102032042B1 (ko) 내구성이 우수한 발열직물
KR102116632B1 (ko)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EP2508337A1 (en) Conductive fabric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140083841A (ko) 면상도전체의 도전성 선재 배치구조
CN205416582U (zh) 一种高性能导电面料
JP7021820B2 (ja) 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及び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の製造方法
KR20110099606A (ko) 자수 제조방식의 면상도전체
KR20140084818A (ko)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선을 일체로 구비한 면상도전체
KR20230120250A (ko) 탈부착 가능한 이중 직물
TWM608031U (zh) 聚氨酯電熱元件
KR20100069530A (ko) 도전성 패드
KR20200002780U (ko) 휴대용 온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