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21B1 -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21B1
KR101029621B1 KR1020090020828A KR20090020828A KR101029621B1 KR 101029621 B1 KR101029621 B1 KR 101029621B1 KR 1020090020828 A KR1020090020828 A KR 1020090020828A KR 20090020828 A KR20090020828 A KR 20090020828A KR 101029621 B1 KR101029621 B1 KR 10102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yarn
sheet
power line
he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445A (ko
Inventor
홍길향
Original Assignee
홍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향 filed Critical 홍길향
Priority to KR102009002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62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탄소섬유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탄소섬유사에 의해 발열하게 되는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탄소섬유사가 다수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메인시트에 배열되어 서로 이웃하는 탄소섬유사가 일정한 간격 단위로 교차되도록 하고, 각 열의 탄소섬유사 양단부가 전원선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여 탄소섬유사의 특정부위가 단락되더라도 단락된 탄소섬유사를 제외한 탄소섬유사로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면상 발열시트의 발열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게 됨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직조기, 편직기와 같은 대형 섬유기계와 달리 팬시상품제작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소형 섬유기계의 일종인 스모킹 기계(smock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다수열의 탄소섬유사가 다양한 패턴형상을 이루며 메인시트에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면상 발열시트가 사용되는 의류, 생활용품 등의 각 분야에서 현재 요구되고 있는 주문자형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는 메인시트, 제1전원선, 제2전원선, 탄소섬유사 다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시트는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은 외부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으로, 메인시트의 양단부에 서로 나란하게 직선상으로 배열된다. 탄소섬유사 다발은 메인시트에 다수열로 배열되어 제1전원선 및 제2전원선과 접속하게 되되 각 열의 양단부는 서로 교차되지 않으면서 제1전원선 및 제2전원선과 각각 접속하게 되고, 각 열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메인시트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열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게 된다.
탄소섬유, 면상 발열시트, 스모크, 스모킹

Description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sheet with carbon thread}
본 발명은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탄소섬유사가 다수열을 이루며 서로 교차되는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특정부위의 탄소섬유사의 단락에 의해 전체 탄소섬유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고, 다수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가 스모킹 기계에 의해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도록 하여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되는 발열체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니크롬선, 칸달(kanthal)선, 철선, 니켈선 등이 코일형상으로 감겨 전열선으로 사용되는 금속발열체가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금속발열체는 타금속에 비하여 비저항이 크고 내열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비금속과 비교해서는 비저항이 현저하게 낮은 특성을 가지므로 과전류가 흘러 과열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선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이를 개선한 것이 흑연, 탄화규소, 규화몰리브덴과 같은 비금속물질을 사용하는 저항 발열체로서 특히, 탄소를 사용한 면상발열체가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탄소를 사용한 면상발열체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으로 필름층을 형성시킨 것과 탄소를 접착제와 섞어 인쇄한 것과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이용한 것 등이 있는데, 특히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89990호 "난연성 도전사를 이용한 망상 선면 발열체", 등록번호 제10-737190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72656호 "발열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 "난연성 도전사를 이용한 망상 선면 발열체"는 경사로 제 1 및 제 2 의 절연 모노사가 1개조를 이루는 경사부와, 위사로 난연성 도전사 및 상기 난연성 도전사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 배열되는 제 3 및 제 4 절연 모노사가 1개조를 이루는 위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와 상기 위사부는 평직과 사직이 교직한 여직으로 결합 제직된 망상 구조의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의 양측과 중앙에, 경사로 도전선 2본을 1조로 하여 복수의 도전선 조가 상기 위사부와 평직으로 촘촘히 제직되는 띠형상의 전극부로, 상기 전극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각 도전선 조를 구성하는 도전선 2본이 주기적으로 일정간격을 두어 상하로 분기 교번하여 좌우의 인접 조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후 상기 도전선 2본이 다시 수렴되는 3로 분접 구조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열체이고, 상기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는 2본/1조를 이루어 사의 직경보다 큰 소정의 조간 간격을 두고 경사로 배열된 일반 섬유사와, 사의 직경보다 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사로 배열된 탄소섬유사로 짜여지며, 상기 1조를 이루는 2본의 경사는 서로 상하좌우로 교차하면서 꽈배기 형상의 꼬임을 형성하고, 탄소섬유사가 상기 2본의 경사가 형성하는 꼬임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교차되어 이루어져 사간에 많은 공간이 존재하도록 이루어진 사의 밀도가 낮은 망상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양측에 경사로서 다수본의 도전사가 밴드상으로 촘촘하게 배열되어, 상기 도전사와 탄소섬유사와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1쌍 이상의 밴드상의 도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열체이다.
그리고, 상기 "발열성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은 일반 섬유와 탄소섬유를 함께 직조하여 제조되는 발열성 직물에 있어서,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며, 일반 섬유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직조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의 일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발열선이 직조된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조되어 구비되는 도전선 및, 상기 도전선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는 전력도입 단자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는 탄소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각각 씨줄과 날줄로서 직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직조된 발열시트의 양단부에 전원선이 배치되면서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탄소섬유사가 발열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탄소섬유사는 다수열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이에 대응하여 전원선은 다수열로 배열된 탄소섬유사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다수열로 배열된 탄소섬유사 중에서 특정 열의 탄소섬유사의 특정부위가 단락되면 해당 열의 탄소섬유사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면상 발열시트 전체의 발열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는 상기와 같이 탄소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직조 가공되는 것이어서 가공상의 번거로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가 사용되는 의류, 생활용품 등의 각 분야에서 주문자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한 특정형상의 면상 발열시트를 제조하거나, 면상 발열시트 내 탄소섬유사의 패턴형상을 다양하게 구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더불어, 면상 발열시트의 직조를 위하여 직조기, 편직기와 같은 섬유기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직조기, 편직기는 비교적 규모가 큰 설비로서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드물어 소형의 면상 발열시트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탄소섬유사가 다수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메인시트에 배열되어 서로 이웃하는 탄소섬유사가 일정한 간격 단위로 교차되도록 하고, 각 열의 탄소섬유사 양단부가 전원선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여 탄소섬유사의 특정부위에서 단락되더라도 단락된 탄소섬유사를 제외한 탄소섬유사로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면상 발열시트의 발열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직조기, 편직기와 같은 대형 섬유기계와 달리 팬시상품제작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소형 섬유기계의 일종인 스모킹 기계(smock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다수열의 탄소섬유사가 다양한 패턴형상을 이루며 메인시트에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시트(10), 제1전원선(20), 제2전원선(30), 탄소섬유사 다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소섬유사 다발(50)에 의해 발열하게 되는 면상 발열시트(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메인시트(10)를 구비하고,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고정용 띠(40)에 제1전원선(20)와 제2전원선(30)을 각각 다수열로 박음질한 후, 고정용 띠(40)를 가로질려 박음질되는 일반섬유사에 의해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부착시키는 단계와;
스모킹 기계(200)에 다수열의 탄소섬유사(60)가 장입되도록 하고, 스모킹 기계(200)의 미싱 헤드(220)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재봉바늘(240)을 통해 탄소섬유사(60)가 일괄적으로 메인시트(10)에 박음질되어 다수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 다발(50)이 패턴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탄소섬유사 다발(50)의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고정용 띠(40)에 박음질된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와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섬유사(50) 다발은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부착된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과 각각 수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일정한 간격으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마름모가 연속되게 배열된 패턴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시트에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탄소섬유사가 다수열을 이루며 서로 교차되는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특정부위의 탄소섬유사의 단락에 의해 전체 탄소섬유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수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가 스모킹 기계에 의해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어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가 사용되는 의류, 생활용품 등의 각 분야에서 현재 요구되고 있는 주문자형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고, 면상 발열시트이 품질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탄소섬유사(60)가 다수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메인시트(10)에 배열되어 서로 이웃하는 탄소섬유사(60)가 일정한 간격 단위로 교차되도록 하고, 각 열의 탄소섬유사(60) 양단부가 전원선(20)(30)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탄소섬유사(60)의 특정부위에서 단락이 일어나더라도 단락된 탄소섬유사(60)의 특정부위를 제외한 탄소섬유사(60)로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면상 발열시트(100)의 발열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스모킹 기계(smocking machine)(200)를 사용하여 다수열의 탄소섬유사(60)가 다양한 패턴형상을 이루며 메인시트(10)에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100)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이며,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메인시트(10), 제1전원선(20), 제2전원선(30), 탄소섬유사 다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시트(10)는 일정한 크기의 면적을 갖는 시트로서 면상 발열시트(100)의 주원단을 이루는 것으로,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이루어져 제1전원선(20), 제2전원선(30), 탄소섬유사 다발(50)이 메인시트(10)에 대해서는 절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메인시트(10)는 일반섬유사가 직조되어 이루어진 것이거나, 일반섬유사를 사용한 부직포의 형태로 제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은 외부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으로,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나란하게 직선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시트(100)는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한쌍의 고정용 띠(40)에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이 각각 다수열로 박음질되어 각각의 고정용 띠(40)가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서로 평행하게 부착되면서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이 메인시트(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용 띠(40)는 다양한 방법으로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띠(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띠(40)를 가로질려 박음질되는 일반섬유사에 의해 고정된다.
탄소섬유사 다발(50)은 메인시트(10)에 다수열로 배열되어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과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접속되는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소섬유사 다발(50)을 이루는 각 열의 탄소섬유사(60) 양단부는 서로 교차되지 않으면서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과 각각 접속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시트(100)는 각 열의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고정용 띠(40)에 박음질된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와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탄소섬유사 다발(50)을 이루는 각 열의 탄소섬유사(60)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메인시트(10)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열의 탄소섬유사(60)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시트(100)는 서로 이웃하는 열의 탄소섬유사(60)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가 일정한 간격으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하여 탄소섬유사 다발(5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마름모가 연속되게 배열된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탄소섬유사(60)는 망상(網狀)으로 복수개의 지점에서 서로 접속되어 탄소섬유사 다발(50)을 이루는 특정열의 탄소섬유사(60)의 특정부위가 단락되더라도 해당되는 특정열의 탄소섬유사(60) 전체가 단락되는 것이 아니라 단락된 탄소섬유사(60)의 특정부위만 단락되어 특정열의 탄소섬유사(60)의 나머지 부위로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100)는 탄소섬유사 다발(50)을 이루는 각 열의 탄소섬유사(60)가 박음질되어 배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100)는 서로 이웃하는 열의 탄소섬유사(60)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속되어 탄소섬유사(60)의 단락이 최소화된 부위에서만 발생됨에 따라 면상 발열시트(100)를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손상에도 면상 발열시트(100)의 발열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100)는 다음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메인시트(10)를 구비하고,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고정용 띠(40)에 제1전원선(20)와 제2전원선(30)을 각각 다수열로 박음질한 후 도 3의 (a)에서와 같이 고정용 띠(40)를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부착시킨다.
그리고, 탄소섬유사(6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도 3의 (b)에서와 같이 탄소섬유사(60)를 일괄적으로 메인시트(10)에 박음질처리하여 다수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 다발(50)이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탄소섬유사 다발(50)의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는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과 접속되도록 하여 외부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는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으로부터 탄소섬유사(60)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시트(100)는 스모킹 기계(smocking machine)(200)에 의해 탄소섬유사(60)가 박음질처리되도록 한다.
즉, 스모킹 기계(200)에 다수열의 탄소섬유사(60)가 장입되도록 하고, 스모킹 기계(200)의 미싱 헤드(220)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재봉바늘(240)을 통해 탄소섬유사(60)가 일괄적으로 메인시트(10)에 박음질되어 다수열의 탄소섬유사(60)로 이루어진 탄소섬유사 다발(50)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탄소섬유사 다발(50)이 메인시트(10)에 형성시키는 패턴을 다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시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부착된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과 각각 수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일정한 간격으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마름모가 연속되게 배열된 패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주로 팬시상풍제작용으로 사용되는 소형 섬유기계의 일종인 스모킹 기계(200)를 사용하여 다수열의 탄소섬유사가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면서 면상 발열시트(100)가 제조되는 구성이어서 면상 발열시트(100)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직조기, 편직기와 같은 대형 섬유기계와 달리 소형으로 이루어지는 스모킹 기계(200)의 사용에 따라 탄소섬유사 다발(50)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가지도록 박음질될 수 있고, 더불어 면상 발열시트가 사용되는 의류, 장갑, 양말, 기타 생활용품 등의 각 분야에서 현재 요구되고 있는 주문자형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시트 20 : 제1전원선
30 : 제2전원선 40 : 고정용 띠
50 : 탄소섬유사 다발 60 : 탄소섬유사
100 : 면상 발열시트 200 : 스모킹 기계
220 : 미싱 헤드 240 : 재봉바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메인시트(10), 제1전원선(20), 제2전원선(30), 탄소섬유사 다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소섬유사 다발(50)에 의해 발열하게 되는 면상 발열시트(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메인시트(10)를 구비하고, 비도전성 섬유소재로 된 고정용 띠(40)에 제1전원선(20)와 제2전원선(30)을 각각 다수열로 박음질한 후, 고정용 띠(40)를 가로질려 박음질되는 일반섬유사에 의해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부착시키는 단계와;
    스모킹 기계(200)에 다수열의 탄소섬유사(60)가 장입되도록 하고, 스모킹 기계(200)의 미싱 헤드(220)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재봉바늘(240)을 통해 탄소섬유사(60)가 일괄적으로 메인시트(10)에 박음질되어 다수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 다발(50)이 패턴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탄소섬유사 다발(50)의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고정용 띠(40)에 박음질된 제1전원선(20)과 제2전원선(30)와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섬유사(50) 다발은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메인시트(10)의 양단부에 부착된 제1전원선(20) 및 제2전원선(30)과 각각 수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각 열을 이루는 탄소섬유사(60)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일정한 간격으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마름모가 연속되게 배열된 패턴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시트에 일괄적으로 박음질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0828A 2009-03-11 2009-03-11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KR10102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28A KR101029621B1 (ko) 2009-03-11 2009-03-11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28A KR101029621B1 (ko) 2009-03-11 2009-03-11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45A KR20100102445A (ko) 2010-09-24
KR101029621B1 true KR101029621B1 (ko) 2011-04-15

Family

ID=4300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28A KR101029621B1 (ko) 2009-03-11 2009-03-11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50B1 (ko) 2011-12-08 2012-06-20 부광편직(주) 카본소재 발열원단 제조용 스티치본딩 편직기
CN106213887A (zh) * 2016-08-24 2016-12-14 徐家潼 一种纳米红外保健床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9297B (zh) * 2012-12-25 2015-03-25 上海朝日低碳新能源有限公司 碳纤维加热片及其制备方法
KR102125395B1 (ko) * 2013-02-20 2020-06-26 주식회사 광세로 도전성 면상체
KR101451339B1 (ko) * 2013-06-26 2014-10-22 동일산자 주식회사 면상발열체 및 그에 적용되는 광섬유 및 열선 재봉 방법
KR101638244B1 (ko) * 2014-10-06 2016-07-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7296B1 (ko) * 2014-11-18 2016-06-03 (주)텍스텍 면상 발열체
KR101585393B1 (ko) * 2015-03-18 2016-01-14 주식회사 유니웜 부착식 전극을 이용한 카본사 면상발열체의 전극 형성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52Y1 (ko) * 2006-06-22 2006-09-05 민병유 신축성을 가진 면상발열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52Y1 (ko) * 2006-06-22 2006-09-05 민병유 신축성을 가진 면상발열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50B1 (ko) 2011-12-08 2012-06-20 부광편직(주) 카본소재 발열원단 제조용 스티치본딩 편직기
CN106213887A (zh) * 2016-08-24 2016-12-14 徐家潼 一种纳米红外保健床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45A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621B1 (ko) 탄소 섬유사를 이용한 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JP5436491B2 (ja) 面状発熱体
JP2006049313A (ja) 加熱要素
RU2017137140A (ru) Оболочка для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мех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9245737A (ja) テープ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8410B1 (ko) 카본사를 이용한 발열 직물
KR101588893B1 (ko) 도전성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8953A (ko) 탄소 섬유의 자동 배열 장치
KR101627296B1 (ko) 면상 발열체
JPH01166480A (ja) たて編式発熱編み物
KR100641693B1 (ko)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4096240A (ja) 面状発熱体用布帛並びに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50509Y1 (ko)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IT201800010666A1 (it) Coprimaterasso termico o coperta termica
KR200418965Y1 (ko) 면상발열체
JP5845038B2 (ja) 面状発熱体
KR100737190B1 (ko) 탄소섬유사를 이용한 저밀도 면상 발열체
KR200406906Y1 (ko) 면상발열체를 채용한 발열매트
JPS614188A (ja) 面状発熱体
KR101766465B1 (ko) 탄소섬유를 망사에 직병렬로 제직한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ES2910064T3 (es) Calefactor eléctrico flexible integrado en un tejido y proceso para fabricar un calefactor eléctrico flexible integrado en un tejido
JP7295555B2 (ja) ハンダ付け部含有布帛
KR20090084378A (ko) 발열체 및 그 직조방법
TWM551193U (zh) 發熱織帶
JPS5986179A (ja) 面発熱体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