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923A -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923A
KR20080045923A KR1020060115180A KR20060115180A KR20080045923A KR 20080045923 A KR20080045923 A KR 20080045923A KR 1020060115180 A KR1020060115180 A KR 1020060115180A KR 20060115180 A KR20060115180 A KR 20060115180A KR 20080045923 A KR20080045923 A KR 2008004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fabric
conductive material
electrode
frequency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씨엔텍 코퍼레이션
오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씨엔텍 코퍼레이션, 오용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Priority to KR102006011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5923A/ko
Publication of KR2008004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으로 활용하고 상기 전극과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로 활용하며, 상기 직물은 자주파 자극을 위한 신체 부위에 적합한 전극 배열을 갖도록 하는 의복 또는 생활용품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저주파 자극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전도성 직물을 사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가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종래의 저주파 자극기의 전극으로 사용되었던 패드 등의 수단이 갖는 사용 및 활동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모든 의류, 신발류 및 다양한 생활용품에 응용할 수 있도록 그 사용범위를 넓힘으로써, 생활속에서 자유롭게 저주파 자극을 즐길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직물을 은사와 일반섬유를 합성하여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도 은사로 인한 항균, 방취, 방충, 열반사 작용, 정전기 차단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Low frequency stimulating system using conductive textil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2a 내지 도 2t는 양말 및 신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3은 팬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4는 브라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5는 거들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6은 올인원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7은 침구류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를 밸트고리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발 110 : 저주파 자극기
120 : 깔창 200 : 양말
300 : 팬티 400 : 브라
420 : 연결단자 500 : 거들
600 : 올인원 700 : 침구류
210, 220, 230, 240, 310, 410, 510, 610, 710, 920, 930 : 저주파 자극 영역
본 발명은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으로 활용하고 상기 전극과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로 활용하며, 상기 직물은 자주파 자극을 위한 신체 부위에 적합한 전극 배열을 갖도록 하는 의복 또는 생활용품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저주파 자극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란, 인체의 혈액을 알칼리성으로 개선하여 자율신경의 작용을 조정함과 동시에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노화현상을 예방하는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전혀 부작용이 없으며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낮은 주파수대의 전자기파의 일종이다.
저주파는 일종의 파동에너지를 뜻하는 것으로, 생체세포를 운동시켜 체내에 축적된 지방을 태워 에너지를 분해하며, 이로 인하여 체내에 활력과 생명력이 충만하게 한다. 즉, 사람은 운동을 하면 세포가 진동하며, 운동량에 따라 그 진동수는 달라진다. 따라서, 저주파를 이용한다는 것은 힘들이지 않고 인체를 운동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저주파의 기능을 보면, 세포의 운동기능을 회복하고, 축적된 체지방을 분해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부를 아름답게 한다.
저주파는 세포를 진동시켜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소모하여 소변으로 배설하게 한다. 세포를 운동시킴으로 인해 경화된 세포벽에 탄력을 회복시키며 산소의 요구량과 대사량이 늘어나 대사 순환이 촉진되어 세포의 운동기능을 회복시킨다. 저주파의 미세한 파동에너지가 세포를 진동시켜 축적된 지방을 에너지화하여 태워 버리므로 체지방 세포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가 탁월하여 운동으로 살을 빼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저주파는 혈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세포에 활력을 부여하고 근육의 피로를 푸는데 효과적이다. 저주파는 피부층의 경화된 세포벽을 부드럽게 하며 세포의 운동력을 회복하여 늘어진 피부를 리프팅해주며 주름을 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설명된 저주파를 이용하는 자극기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347198호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주파 자극 치료기용 패드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요지는 인체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저주파 전기 자극치료와 지압침에 의한 지압 및 혈침역할을 하는 엔디(Nd)자석에 의한 자기장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패드 몸체(1)의 대판(2) 표면에 도포된 패드액 도포층(2a)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지판(3a)을 부착하되, 이 지지판(3a)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도시하지 않음)에는 엔디자석(3)이 부착되고, 그 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지압침을 돌출 형성함으로서 패드(2)에 의한 저주파 치료효과를 극대한 한 것이다.
다음, 등록실용신안 제339987호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치료용 팬티(20)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요지는 천(21)으로 된 팬티(20)에 있어서, 인체의 괄약근 등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도록 천(21)의 내면에 접착절연층을 개재하여 열발생시트 및/또는 저주파발생시트가 박막으로 부착되고, 그 위에 실리콘보호층이 형성되는 물리치료패드(30)와, 그 물리치료패드(30)의 열발생시트(32) 및/또는 저주파발생시트(33)에 전원 또는 저주파 신호를 인가하도록 그 열발생시트(32) 및/또는 저주파발생시트(33)에 연결되는 절연성 박막형 내지 세선형 연결수단(40) 및 그 연결수단(40)의 단부에 연결되고 외부의 분리접속가능한 신체 휴대 내지 착용용 전원 또는 저주파 신호의 발생수단(10)에 그 접속부(11)를 개재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41)를 포함하며, 열발생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온도센서가 상기 실리콘보호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98810호에서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주파 발생장치를 갖는 의류를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요지는 의류 허리단(50)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되면서 의류 허리단(50)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고정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52a, 52b)와, 상기 의류 허리단(50)의 앞쪽 좌우에 각각 위치되어 인체의 복부와 접촉되며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52a, 52b)와 같은 극 성으로 각각 접속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52a, 52b)와,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52a, 52b)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어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기(5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일체감을 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부피를 줄이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장시간 동안 저주파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예로 든 것들과 같은 종래의 저주파 자극 관련 기술은 저주파 자극기와 부착용품이 일원화되지 못하는 것으로써, 사용상 매우 불편한 점이 따른 다.
즉, 상기 도 1a에 나타낸 저주파 패드는 패드 몸체(1)를 직접 피부에 대고 저주파 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써, 이와 같은 저주파 시스템은 활동시 떼어질 우려가 있고 미관상 좋지 않다.
상기 도 1b에 나타낸 물리치료용 팬티는 피부에 직접 닿는 물리치료패드(30)부분이 착탈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단순히 팬티에 탈부착하는 기술에 불과하고 상기 도 1b에 나타낸 저주파 패드와 같이 활동시 떼어질 우려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탁/건조 시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상기 도 1c에 나타낸 저주파 발생장치를 갖는 의류를 보면, 단순히 의류 허리단(5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저주파 발생장치에 불과하여, 그 활용도가 극히 제한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직물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신체의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으로 활용하고 상기 전극과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로 활용하며, 상기 직물은 저주파 자극을 위한 신체 부위에 적합한 전극 배열을 갖도록 하는 의복 또는 생활용품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저주파 자극 활용도 및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의류 또는 생활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발에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양말; 및 상기 양말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는 저주파 자극기를 갖는 신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아랫배 또는 엉덩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가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아랫배, 엉덩이 및 허벅지 부위 중 어느 한 부위 이상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가슴, 아랫배, 엉덩이 및 허벅지 부위 중 어느 한 부위 이상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어깨 또는 허리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제조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특정 신체 부위의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전극 및 상기 전극과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로 활용하여 의류 또는 생활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의 제 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전도성 물질로써 금, 은, 동 등으로 금속사를 제조하고, 상기 금속사와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제조하며, 의류 또는 생활원단에 상기 금속사의 직조 위치를 선별적으로 택하여, 저주파 자극기와 연계되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사는 금사, 은사, 동사 등으로 제조할 수 있고, 기타 다른 금속 뿐만 아니라 전도성 재질의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대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카본, 구리, 철 등 전도성 물질 모두가 가능하다.
상기 금속사 중 은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은의 기능은 항균, 방취, 방충, 열반사 작용, 정전기 차단 등이 있다. 상기 방충 기능은 진드기의 기피성을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열반사 작용은 여름에 시원함을 겨울에 따뜻함을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정전기 차단 작용은 먼지가 묻지 않고 신체건강을 증진한다.
상기 은사의 제조과정을 보면, 5 내지 15㎛의 두께를 갖는 은박판을 제조한 후, 상기 은박판을 여러겹 적층하여 0.2 내지 0.5㎜의 폭으로 절단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절단하는 폭이 지나치게 얇을 경우에는, 일반섬유와 합성될 시, 직물의 세탁시 등 끊어질 우려가 있어, 저주파 자극기의 통전 및 전극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절단하는 폭이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직물 제조시 다루기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은박판을 절단하는 폭은 0.2 내지 0.5 ㎜의 폭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은박판의 두께도, 상기 절단하는 폭과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끊어질 우려가 있으며,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에는 직물로써 다루기가 곤란하고 은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은박판의 두께는 5 내지 15㎛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다른 금속사 및 기타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은사의 두께 및 폭과 마찬가지로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은사는 일반섬유와 합성되는 바, 이러한 합성은 직물 전체에 걸쳐 진행될 수도 있고, 원하는 영역에만 합성될 수도 있다. 즉, 제조되는 물품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선택적으로 합성 영역을 결정한다. 이러한 은사와 일반섬유의 합성영역은 저주파 자극이 필요한 영역이다.
상기 은사와 일반섬유가 합성된 직물은 제조 물품, 저주파 자극 영역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직물의 조직을 이룬다. 즉, 직물은 경사(warp, end)와 위사 (filling yarn, weft)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들어지며, 교차시키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직물조직을 형성하는 바,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주자직(satin weave), 변화직(mixture weave), 두둑직(rib weave), 바스켓직 (basket weave), 허커백직(huckaback weave fabric), 파능직(broken twill weave fabric), 산형능직(pointed twill weave), 화강직(Granite weave), 주야주자직 (satin check weave), 도비직(dobby weave), 자카드직물, 덧사직(extra yarn weave), 파일직(pile weave), 크레이프(crepe fabric), 이중직물(double cloth), 사직과 여직 등의 다양한 직물조직을 제조 물품, 저주파 자극 영역에 따라 선택적 으로 취하여 저주파 자극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적용되는 의류 또는 생활원단을 보면, 속내의, 양말, 장갑, 상의, 하의, 외투 등 거의 모든 의류, 구두, 쇼파, 침대시트, 전기요, 카시트, 침구류 등의 다양한 생활원단에 적용된다.
즉, 상기 적용되는 의류 또는 생활원단에 따라, 상기 직물조직을 선택적으로 취하여 저주파 자극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저주파는 수㎐ 내지 수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주파는 얇은 천조각이나 종이에도 전류가 통하지 않게되므로 신체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해서는 전극이 직접 피부에 닿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평상시와 같은 의류를 착용하더라도 항시 원하는 신체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주파 자극 통전루트는 전도성 직물이 혼합된 의류를 착용한다면 외투로부터 속내의에 이르기까지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자를 통해 저주파 자극 전류를 흘려줄 수 있다. 즉, 전도성 직물을 어느부위에 얼마나 혼합하느냐, 통전루트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저주파 자극 여부가 달려 있는 것이다.
상기 선택적으로 취해지는 직물조직의 다양한 종류의 활용 분야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8523253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직물조직에 전도성 물질(바람직하게는 은사)을 포함하여 저주파 전류를 통전시키고, 이러한 직물이 의류 제품으로 제조된다면 원하는 신체부위를 저주파 자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응용될 수 있는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신발(100) 및 양말(2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저주파 자극기(110)가 신발굽에 내장되어 있고, 신발 밑창으로부터 신발깔창(120)에 이르기까지 저주파 전류가 흐르는 통전 루트를 형성하며, 도 2b에 도시된 양말 (200)을 통해 자극을 원하는 발 영역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게 된다. 상기 양말은 도 2c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자극 부위(201, 220, 230)를 전도성 직물을 이용하여 설정하고,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에 직접 저주파 자극이 가할 수 있는 통전루트(240)를 확보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발(100) 및 양말(200)에 적용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깔창 (120)은 족궁의 아치형 각도를 적용한 형태로 설정한다. 이는 족궁의 불안정한 배열로 인하여 발에 각종 질병이 수반될 수 있으며, 반대로 족궁의 안정적인 배열은 발에 걸린 각종 질병을 예방 내지 치료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은 횡과 종으로 활시위처럼 완만하게 휘어진 아치형의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직립보행을 하는 동물에게 발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쿠션역활을 한다. 상기 발의 아치형 구조를 족궁이라고 한다.
발에 관련된 여러가지 질병은 저주파 자극과 더불어 족궁의 안정적인 배열을 병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발에 관련된 여러가지 질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뒤꿈치 통증과 관련된 족저건막염, 건염과 관련된 아킬레스 건염과 PT(Posterior Tibialis) 건염, 족궁의 변형과 관련된 평발의 요족(까치발), 발가락 뒤쪽 발바닥 굳은살 통증인 메타탈살지아(Metatarsalgia), 발가락이 갈라지는 부분의 신경통인 몰튼씨 신경통(Morton's neuroma, 발가락 신경 위측증), 엄지발가락이 발 바깥쪽으로 기형화되는 현상인 무지 외반증(Bunion, 부니온) 등이 있다.
도 2g 내지 도 2i는 상기 신발깔창(120)에 관련된 족궁의 각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g를 보면, 상횡궁과 하횡궁, 내측종궁과 외측종궁을 볼 수 있고, 도 2h는 발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세점을 이은 선을 나타낸 것이며, 도 2i는 상기 세점을 측면에서 바라본 입체조감도이다.
도 2j 내지 도 2m은 발가락과 연계된 아치각을 나타낸 것으로, 제 1 지 내지 제 5 지의 평균적인 아치각을 보여준다. 도 2j에 나타난 제 1 지의 평균 아치각은 25°, 도 2k에 나타난 제 2 지의 평균 아치각은 15°, 제 3 지의 평균 아치각은 10°(도시하지 않음), 도 2l에 나타난 제 4 지의 평균 아치각은 8°, 도 2m에 나타난 제 5 지의 평균 아치각은 5°, 따라서, 상기 신발깔창(120)의 전체 평균 아치각은 12.6°로 설정한다.
상기 신발깔창(120)의 형태는 상기 제 1 지 내지 제 5 지의 평균 아치각을 적용하고, 신발 밑창으로부터 신발깔창(120)에 이르기까지 저주파 전류가 흐르는 통전 루트를 형성하며, 외형은 사용자의 발모양과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깔창(120)의 재질은 우레탄과 바이오세라믹을 혼합하여 그 착용감과 내구성을 높인다. 도 2n는 상기 신발깔창(12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설명된 전도성 직물과 교정용 깔창을 이용한 신발류의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모든 신발류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구두, 등산화, 샌달, 슬리퍼, 부츠, 군화 등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o 내지 도 2t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팬티(3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팬티(300)의 저주파 자극 영역(310)은 아랫배부분 및 뒷면의 엉덩이부분에 설정되어, 쳐진 부위를 올려주거나 튀어나온 부위의 지방을 분해한다. 도 3b는 배꼽부위로부터 아래쪽으로 V자 보양으로 파진 모양의 팬티(320)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도 3c와 같이, 상기 V자 모양의 홈에 전도성 직물을 추가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브라(4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라(400)의 저주파 자극 영역(410)은 쳐진 부위를 올려주거나 옆으로 벌어진 부위를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400)의 일측에는 연결단자(420)가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420)의 위치는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 부위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400)의 등쪽 부위에도 전도성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거들(5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들(500)의 저주파 자극 영역(510)은 아랫배 부분 및 뒷면의 엉덩이부분에 설정되어, 쳐진 부위를 올려주거나 튀어나온 부위의 지방을 분해한다. 상기 거들(500)의 길이가 허벅지까지 닿을 정도로 길 경우에는 허벅지 부위의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올인원(6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올인원(600)은 상기 팬티(300), 브라 (400), 거들(500)에서 저주파 자극을 줄 수 있는 영역(610)을 모두 포함하므로 복합적인 몸매관리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인원(600)은 전도성 직물의 형성 부위(610)를 가슴, 아랫배, 엉덩이, 옆구리, 등쪽 부위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올인원(600)의 일측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620)를 형성하여 저주파 자극기와 연결한다.
도 6b는 가슴부위가 형성되지 않은 올인원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6c와 같이, 가슴부위를 제외한 아랫배, 엉덩이, 옆구리, 등쪽 부위 등에 전도성 직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슴부위에 대한 자극을 위해, 도 6d와 같이, 상기 도 4와 같은 브라(400)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이 침구류(7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침구류(700)의 저주파 자극 영역(710)은 어깨, 허리 및 엉덩이부분에 설정되고 저주파 자극을 원하는 영역의 연결단자에 저주파 자극기를 연결하여 취침하면서 몸이 뒤틀려도 계속적으로 저주파 자극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직물이 상기 침구류(700)에 세로형태로 설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팬티(300), 브라(400), 거들(500), 올인원(600) 등 속내의에 적용되는 전도상 직물은 일반섬유와 전도성 물질(바람직하게는 은사)을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두둑직, 허커백직 등으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침구류(700) 등에 적용되는 전도성 직물은 일반섬유와 전도성 물질(바람직하게는 은사)을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자카드 직물, 사직과 여직 등으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팬티(300), 브라(400), 거들(500), 올인원(600) 등 속내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저주파 자극기를 밸트고리(430)에 형성하여 상기 속내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8은 상기 밸트고리(430)에 저주파 자극기를 형성한 것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4에 나타낸 브라의 연결단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a 내지 도 7b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모두 평상시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전극 및 통전 루트를 미리 설정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들에 나타낸 제품들의 일측에 연결 단자를 구비하여 저주파 자극기와 연결하는 유선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나타낸 제품들의 일측에는 저주파 자극기를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구비하고 외부에서 무선 리모콘으로 상기 저주파 자극기를 작동하는 무선 시스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시계, 핸드폰, 목걸이 등의 악세사리에 리모콘을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주파 자극 영역은 피부에 직접 닿는 위치에 설정하고, 통전 루트는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 영역에 설정하는 것이며, 이는 직물의 혼합시 설정됨은 자명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신체의 원하는 특정부위를 저주파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 전도성 영역(910)과 피부에 직접 닿는 전도성 영역(92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영역의 구분은 상기 표 1의 직물 제조 방법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제품화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9b에 나타낸 단면과 같이, 신체 부위별로 선택적으로 제조된 전도성 직물(930)을 일반 의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9a에 나타낸 직물의 단면은 일체형 제품의 경우이고, 9b에 나타낸 직물의 단면은 분리형 제품의 경우이다.
또한, 상기 도 2a 내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도성 직물을 은사와 일반섬유를 혼합하여 형성한다면, 저주파 자극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도 은사로 인한 항균, 방취, 방충, 열반사 작용, 정전기 차단 등의 효과를 지속할 수 있어 기능성 의류 및 생활용품에 크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전도성 직물 을 사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가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종래의 저주파 자극기의 전극으로 사용되었던 패드 등의 수단이 갖는 사용 및 활동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모든 의류, 신발류 및 다양한 생활용품에 응용할 수 있도록 그 사용범위를 넓힘으로써, 생활속에서 자유롭게 저주파 자극을 즐길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직물을 은사와 일반섬유를 합성하여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자극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도 은사로 인한 항균, 방취, 방충, 열반사 작용, 정전기 차단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의류 또는 생활원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사는 금, 은, 동, 구리 및 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은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사는 5 내지 15㎛의 두께를 갖는 은박판을 제조한 후, 상기 은박판을 여러겹 적층하여 0.2 내지 0.5㎜의 폭으로 절단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6.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발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을 갖는 양말; 및
    상기 양말에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되는 저주파 자극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 상부에는 신발 깔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깔창은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아치각을 평균 12.6°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발가락 제 1 지의 아치각은 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발가락 제 2 지의 아치각은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발가락 제 3 지의 아치각은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발가락 제 4 지의 아치각은 8°임
    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상횡궁으로부터 하횡궁을 잇는 발가락 제 5 지의 아치각은 5°임
    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아랫배 또는 엉덩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
  16.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가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17.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아랫배, 엉덩이 및 허벅지 부위 중 어느 한 부위 이상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들.
  18.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가슴, 아랫배, 엉덩이 및 허벅지 부위 중 어느 한 부위 이상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19.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 및 전극으로 활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이용하여 어깨 또는 허리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하기 위한 전극 배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20. 전도성 물질과 일반섬유를 혼합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특정 신체 부위의 저주파 자극을 위해 상기 전도성 물질을 전극으로 활용하고 상기 전극과 저주파 자극기와의 통전 루트로 활용한 의류 또는 생활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0060115180A 2006-11-21 2006-11-21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KR20080045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80A KR20080045923A (ko) 2006-11-21 2006-11-21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180A KR20080045923A (ko) 2006-11-21 2006-11-21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923A true KR20080045923A (ko) 2008-05-26

Family

ID=3966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180A KR20080045923A (ko) 2006-11-21 2006-11-21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592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96Y1 (ko) * 2011-01-07 2012-02-15 김량희 스마트 메디칼 장갑 시스템
KR101235786B1 (ko) * 2009-06-01 2013-02-28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KR101394176B1 (ko) * 2013-11-29 2014-05-15 에인에이 (주) 파동 주파수를 이용한 전기자극장치용 전도성 피복품
KR101865829B1 (ko) * 2017-10-13 2018-06-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KR20200051993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기능성 속옷
KR102117883B1 (ko) * 2019-12-03 2020-06-02 우대기 저주파치료용 의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6B1 (ko) * 2009-06-01 2013-02-28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KR200458596Y1 (ko) * 2011-01-07 2012-02-15 김량희 스마트 메디칼 장갑 시스템
KR101394176B1 (ko) * 2013-11-29 2014-05-15 에인에이 (주) 파동 주파수를 이용한 전기자극장치용 전도성 피복품
KR101865829B1 (ko) * 2017-10-13 2018-06-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WO2019074202A1 (ko) * 2017-10-13 2019-04-18 주식회사 셀로긴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KR20200051993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제이알유니버셜 기능성 속옷
KR102117883B1 (ko) * 2019-12-03 2020-06-02 우대기 저주파치료용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7270B2 (en)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US20170056644A1 (en) Textile-based product
KR20080045923A (ko)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US20090013444A1 (en) Clothing
CN103429105A (zh) 美体伸缩性衣物的系统和方法
BR102015025683A2 (pt) peça de vestuário projetada para reduzir a celulite por micro-massagem
JP2003047664A (ja) 皮膚に接触して装着されることにより、金属療法効果を提供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衛生品
KR102117883B1 (ko) 저주파치료용 의류
RU2300583C2 (ru) Ткань для создания барьерного эффекта против магнитных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и/или металл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эффектов
CN213407473U (zh) 一种微电流理疗智能背心
CN105495706A (zh) 一种磁背心
CN207167790U (zh) 能量波保健内衣
KR20130017350A (ko) 벨트가 부착된 탈착형 히퍼지어
CN113576057A (zh) 多功能服装和多功能服装的制备方法
KR20120003028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KR20120001299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CN215958574U (zh) 单层鞋帮的孕妇鞋
KR200288158Y1 (ko) 미네랄 바이오복
CN213074466U (zh) 一种理疗塑身内衣
CN108245779A (zh) 具有电子理疗功能的贴身穿戴物
CN207269857U (zh) 一种发热保暖裤袜
CN210382695U (zh) 一种抑菌打底裤
CN210642747U (zh) 一种保健舒适鞋
KR20110133975A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WO2023284111A1 (zh) 多功能服装和多功能服装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