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786B1 -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5786B1 KR101235786B1 KR1020100051368A KR20100051368A KR101235786B1 KR 101235786 B1 KR101235786 B1 KR 101235786B1 KR 1020100051368 A KR1020100051368 A KR 1020100051368A KR 20100051368 A KR20100051368 A KR 20100051368A KR 101235786 B1 KR101235786 B1 KR 101235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current
- control signal
- human body
- level
- gir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복부, 허리, 엉덩이 부분에 착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허벅지 부분에 착용되는 허벅지끼움부로 구성된 거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허벅지끼움부는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는 단열성 원단이 배치되고, 상기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자극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는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는 미세전류발생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판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단열성 원단과 외피 사이에는 면상발열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에 적용되는 미세전류발생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구현예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타이밍도이고,
도 7은 도 4의 승압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12: 외피 13: 단열성 원단
14: 면상발열체 18: 허벅지끼움부
150: 미세전류발생기
Claims (8)
- 인체의 복부, 허리, 엉덩이 부분에 착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허벅지 부분에 착용되는 허벅지끼움부로 구성된 거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허벅지끼움부는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 및 외피 사이에는 단열성 원단이 배치되고, 상기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자극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는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자극부재에는 미세전류발생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극부재들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1컨트롤신호, 음의 위상을 가지는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제2컨트롤신호, 및 전원전압의 승압을 위한 제3컨트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미세전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미세전류발생기를 통해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레벨을 확인하여 미리 정해진 레벨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3컨트롤신호를 컨트롤하여 승압전압의 레벨을 변동시킴에 의해 상기 미세전류의 인체공급레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제3컨트롤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전압을 일정레벨의 승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상기 승압전압을 바탕으로 하여 원하는 레벨의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인체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들을 통해 인체의 특정부위에 공급하되, 상기 제1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양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컨트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의 위상을 가지는 상기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 출력부;를 가지며,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분배회로 및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컨트롤 신호 또는 상기 제2컨트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세전류출력부는 인체에 공급되는 미세전류의 인체공급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급레벨 확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부의 승압전압의 레벨을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재는 전도성 고무, 전도성 금속, 전도성 원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내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원단과 외피 사이에는 면상발열체가 설치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그 일면에 카본을 함유한 고분자 광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층이 코팅된 발열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는 온도조절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주기와 일정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컨트롤신호와 상기 제2컨트롤신호는 일정 위상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공급레벨확인신호를 통해 상기 인체접속단자들이 인체에 실제로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미세전류의 발생여부를 컨트롤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3508 WO2010140819A2 (ko) | 2009-06-01 | 2010-06-01 |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8147 | 2009-06-01 | ||
KR1020090048147 | 2009-06-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701A KR20100129701A (ko) | 2010-12-09 |
KR101235786B1 true KR101235786B1 (ko) | 2013-02-28 |
Family
ID=4350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13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5786B1 (ko) | 2009-06-01 | 2010-05-31 |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578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5829B1 (ko) | 2017-10-13 | 2018-06-08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
KR101892518B1 (ko) | 2017-07-03 | 2018-08-29 | 김유곤 | 미세전류발생기 |
KR20190027318A (ko) | 2018-08-21 | 2019-03-14 | 김유곤 | 미세전류발생기 |
KR20190054766A (ko) * | 2017-11-14 | 2019-05-22 | 주식회사 셀로긴 | 체지방 분해 및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 기능성 직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440B1 (ko) * | 2015-09-02 | 2017-02-06 | 김명철 | 가상체험용 웨어러블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0572A (en) * | 1983-06-01 | 1986-04-08 | Bio-Stimu Trend Corp. | Garment apparatus for delivering or receiving electric impulses |
KR200343527Y1 (ko) * | 2003-09-30 | 2004-03-03 | 충-이 유 | 중주파수 및 저주파수 전기자극 마사지 브래지어 |
KR100693811B1 (ko) * | 2006-05-16 | 2007-03-12 | 조동신 | 기능성 유방온열 내의 |
KR20080045923A (ko) * | 2006-11-21 | 2008-05-26 |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
-
2010
- 2010-05-31 KR KR1020100051368A patent/KR10123578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0572A (en) * | 1983-06-01 | 1986-04-08 | Bio-Stimu Trend Corp. | Garment apparatus for delivering or receiving electric impulses |
KR200343527Y1 (ko) * | 2003-09-30 | 2004-03-03 | 충-이 유 | 중주파수 및 저주파수 전기자극 마사지 브래지어 |
KR100693811B1 (ko) * | 2006-05-16 | 2007-03-12 | 조동신 | 기능성 유방온열 내의 |
KR20080045923A (ko) * | 2006-11-21 | 2008-05-26 |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 전도성 직물을 이용한 저주파 자극 시스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2518B1 (ko) | 2017-07-03 | 2018-08-29 | 김유곤 | 미세전류발생기 |
KR101865829B1 (ko) | 2017-10-13 | 2018-06-08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
KR20190054766A (ko) * | 2017-11-14 | 2019-05-22 | 주식회사 셀로긴 | 체지방 분해 및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 기능성 직물 |
WO2019098437A1 (ko) * | 2017-11-14 | 2019-05-23 | 주식회사 셀로긴 | 체지방 분해 및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 기능성 직물 |
KR102023776B1 (ko) * | 2017-11-14 | 2019-09-26 | 주식회사 셀로긴 | 체지방 분해 및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 기능성 직물 |
KR20190027318A (ko) | 2018-08-21 | 2019-03-14 | 김유곤 | 미세전류발생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701A (ko) | 201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5788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 |
KR101040683B1 (ko) | 무릎관절 치료 아대 | |
KR101235786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
CN103052424B (zh) | 功能性电刺激装置和系统及其用途 | |
KR101235783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 |
KR101209102B1 (ko) |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 |
US20110077728A1 (en) |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 |
CN102548611A (zh) | 点刺激装置 | |
KR100994208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 |
KR101235784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 |
KR101235789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 |
JP7236522B1 (ja) | 生物電気フィードバックに基づくインテリジェントな加熱調節可能な物理療法器 | |
KR101235785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베개 | |
KR20120099925A (ko) | 자극패치를 가진 미세전류자극장치 | |
KR100995614B1 (ko) | 미세전류발생장치 | |
CN201286940Y (zh) | 多个刺激线圈的经颅磁场刺激器 | |
KR101235790B1 (ko) | 미세전류 자극용 신발 | |
JP6488499B1 (ja) | 電気刺激治療器 | |
CN201657801U (zh) | 电脉冲保健护腰带 | |
WO2010140818A2 (ko) | 미세전류 자극용 복대 | |
JPS63281663A (ja) | 生体組織刺激装置 | |
WO2010140819A2 (ko) | 미세전류 자극용 거들 | |
WO2010140816A2 (ko) | 미세전류 자극용 버선 | |
KR20190135450A (ko) | 미세전류발생장치 | |
WO2010140820A2 (ko) | 미세전류 자극용 아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