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863B1 -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863B1
KR102122863B1 KR1020190135107A KR20190135107A KR102122863B1 KR 102122863 B1 KR102122863 B1 KR 102122863B1 KR 1020190135107 A KR1020190135107 A KR 1020190135107A KR 20190135107 A KR20190135107 A KR 20190135107A KR 102122863 B1 KR102122863 B1 KR 10212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ondensation
layer structure
doo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예
Original Assignee
신우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0818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228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기(주) filed Critical 신우산기(주)
Priority to KR102019013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16Solid state fermenters, e.g. for koji pro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 발효물이 발효되는 제국실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이 격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획되어 내부가 다층으로 형성된 본체, 그리고 상기 다층 제국실 마다 배치되어 있고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입, 출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Solid fermentation apparatus for multi-layered preventing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고체 발효기는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의 장류와 주정의 원료를 발효시키는 장치이다. 고체 발효기의 원료가 발효되는 공간인 제국실에는 원료를 투입하고 배출하는 입출곡장치, 투입된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체 발효기에는 원료의 발효 환경을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CO2) 등을 유지하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원료를 발효시킴에 있어 제국실의 넓이에 따라 원료 발효 처리 능력이 달라질 수 있다. 고체 발효기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한 영세기업의 경우 제국실의 넓이를 크게 형성할 수 없어 원료 발효 처리 능력이 떨어지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1058190호 (2011.08.12.) 등록특허 제10-0201212호 (1999.03.12.)
본 발명은 발효물 발효 처리 능력을 높이 위해 제국실을 배가시킨 고체 발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국실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체 발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획되어 발효물이 발효되는 제국실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바닥이 상기 발효물이 투입되어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 바닥과 상기 발효 바닥과 구획되어 있는 작업 바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 상기 발효 바닥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효물을 상기 발효 바닥에 포설하는 입곡부, 상기 발효 바닥에 배치되어 있고 발효가 완료된 발효 완료물을 상기 발효 바닥에서 배출시키는 출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다층 제국실 마다 위치하여 상기 격벽에 배치되고 내부에 입구와 출구를 갖는 유동유로가 형성된 결로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유동유로의 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동유로 35℃ 내지 65℃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로 방지부는, 상기 격벽의 아래에 위치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덕트패널, 그리고 상기 덕트패널과 상기 격벽을 연결하며 상기 유동유로를 형성하는 유도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도격벽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열되어 있으며, 배열된 상기 복수의 유도격벽의 일단과 타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상기 유동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발효 바닥과 상기 작업 바닥을 구획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격벽, 그리고 상기 개방홀 마다 배치되어 있는 도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격벽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을 여닫는 도어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작업 바닥에 배치된 출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바닥의 발효 완료물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출곡부의 구동으로 상기 출곡 컨베이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출곡 컨베이어에 배치되어 있고 출곡된 발효 완료물에서 금속성 물질을 분리하는 제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발효 완료물이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연결된 분류부, 상기 분류부와 연결된 집진기 및 상기 분류부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은, 다층 제국실마다 위치하여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된 복수의 제1 관, 상기 복수의 제1 관이 연결된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와 상기 분류부를 연결하는 제2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발효 완료물 중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 사이클론, 그리고 상기 고형물 사이클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 사이클론을 경유한 발효 완료물 중 미분을 배출하는 미분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분 사이클론을 경유한 공기는 상기 집진기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제국실이 다층으로 형성되면서 발효물을 포설할 수 있는 면적이 배가될 수 있다. 이에 고체 발효기를 설치한 공간이 협소한 영세기업에서는 좁은 면적에서 제국실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발효물 발효 처리 능력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풍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입구를 통해 유동유로로 유입된다. 열풍은 유동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유동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이 유동유로를 유동하는 시간이 걸어진다. 유동유로를 유동하는 열풍에 의해 각 제국실과 외부의 온도 차이가 최소화되어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3의 결로 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유동유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3의 C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4의 D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2의 E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3의 결로 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동유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3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4의 D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2의 E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제국실(111a, 111b)이 형성된 본체(10), 입곡 브로워와 연결되어 발효할 발효물을 제국실(111a, 111b)의 바닥에 포설하는 입곡부(30)(도 2 참조) 및 제국실(111a, 111b)에서 발효가 완료된 발효 완료물을 출곡시키는 출곡부(40)를 포함하며, 제국실(111a, 111b)을 배가시켜 발효물 발효 처리 능력을 높인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고하면, 본체(10)는 건축물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효물이 발효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국실(111a, 111b)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11)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1) 설치로 본체(10)의 내부는 제국실(111a, 111b)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국실(111a, 111b)을 2개 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격벽(11)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제국실(111a, 111b)이 다층으로 형성되면서 발효물을 포설할 수 있는 면적이 배가될 수 있다. 이에 고체 발효기를 설치한 공간이 협소한 영세기업에서는 좁은 면적에서 제국실(111a, 111b)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발효물 발효 처리 능력이 높아진다.
각 제국실(111a, 111b)의 바닥은 발효물이 포설되는 발효바닥(113)과 발효물 발효에 따른 장비를 배치하기 위한 작업바닥(114)으로 구획되어 있다. 발효바닥(113)과 작업바닥(114)은 단차를 두고 있다. 지면을 기준으로 작업바닥(114)은 발효바닥(113)보다 낮다. 발효바닥(113)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타공되어 있다.
각 제국실(111a, 111b)의 바닥에는 공조 시스템(20)과 연결된 공조공간(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공조 시스템(20)은 공조공간으로 발효물 발효를 위해 항온, 항습 조절을 위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은 발효물의 종류, 발효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조공간(112a, 112b)으로 공급된 공기는 발효바닥(113)의 타공을 통해 제국실(111a, 111b)로 유입되어 포설된 발효물과 접하여, 발효물에 온도와 습도를 제공한다.
발효바닥(113)에 포설된 발효물은 공기가 공조공간(112a, 112b)에서 타공을 통해 각 제국실(111a, 111b)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므로 발효물은 타공을 통해 공조공간(112a, 112b)으로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각 제국실(111a, 111b)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공조공간(112a, 112b)의 바닥은 경사져 있다. 이에 공조공간(112a, 112b)의 바닥으로 떨어진 유체, 고체 등의 입자 배출이 용이하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고하면, 입곡부(30)는 발효바닥(113)에 위치하여 발효바닥(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입곡부(30)는 평면에서 볼 때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효물을 발효바닥(113)에 포설한다.
한편, 입곡부(30)에는 교반기(31)가 배치되어 있으며 발효바닥(113)에 포설된 발효물을 발효바닥(113)에 펼친다.
도 6을 더 참고하면, 출곡부(40)는 발효바닥(113)에 위치하여 발효바닥(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출곡부(40)는 발효바닥(113)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스크류(41)를 포함한다. 출곡부(40)는 발효바닥(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류(41)의 구동으로 발효바닥(113)에서 발효가 완료된 발효 완료물을 발효바닥(113)의 외부로 배출한다.
입곡부(30)와 출곡부(40)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입곡부(30)와 출곡부(4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고체 발효기(특허등록 제10-1956798호)의 입곡부 및 출곡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결로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도 7 및 도 8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부(50)는 각 제국실(111a, 111b)의 상면에 배치되어 각 제국실(111a, 111b)과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일어날 수 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결로 방지부(50)는 덕트패널(51), 그리고 유도격벽(52)을 포함한다.
덕트패널(51)은 각 제국실(111a, 111b)에 위치하여 천장을 이루는 내부 상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천장과 덕트패널(5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유도격벽(52)은 천장과 덕트패널(51)의 사이에 위치하여 덕트패널(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덕트패널(5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천장과 덕트패널(5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된다. 이때 유도격벽(52)들의 일단과 타단이 선택적으로 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천장과 덕트패널(51)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유로(521)가 형성되고 입구(521a)와 출구(521b)는 연결된다.
유동유로(521)는 입구(521a)와 출구를 갖는다. 유동유로(521)는 입구(521a)를 통해 35℃ 내지 65℃ 또는 20℃ 내지 40℃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53)와 연결되어 있다. 열풍 공급부(53)는 에어로 핀히터(Aerofin Heater)를 포함한다. 열풍 공급부(53)는 발효바닥(113)에서 발효물 발효 종료까지 열풍을 공급한다. 입구(521a)를 통해 유동유로(521)로 유입된 공기(열풍)는 유동유로(521)를 따라 유동하여 출구(521b)를 통해 배출된다. 유동유로(521)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열풍이 유동유로(521)를 유동하는 시간이 걸어진다. 유동유로(521)를 유동하는 열풍에 의해 각 제국실(111a, 111b)과 외부의 온도 차이가 최소화되어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동유로(521)의 입구(521a)와 출구(521b)에는 열풍 유동을 도모하기 위한 휀(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발효바닥(113)과 작업바닥(114)을 구획하고 발효바닥(113)의 발효 완료물을 배출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도 9 및 도 10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60)는 도어격벽(61) 및 도어패널(62)을 포함한다.
도어격벽(61)은 발효바닥(113)과 작업바닥(11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어격벽(6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개방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발효바닥(113)은 개방홀(611)의 개방 시 작업바닥(114)과 연결된다.
도어패널(62)은 개방홀(611) 마다 배치되어 개방홀(611)을 단속한다. 도어패널(62)은 경첩으로 도어격벽(61)과 연결되어 있다. 도어패널(62)은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어패널(62)이 열린 상태에서 출곡부(40)는 작동하고, 출곡부(40)의 스크류(41)에 의해 발효바닥(113)의 발효 완료물은 발효바닥(113)의 외부로 출곡될 수 있다.
한편, 도어패널(62)은 도어격벽(61)에 배치된 도어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액추에이터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한다.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으로 도어패널(62)은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여 열리고 닫힐 수 있다. 그리고 개방홀(611) 마다 출곡부 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액추에이터는 출곡부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출곡부 감지 센서가 출곡부(40)를 감지하면 그 신호가 도어 액추에이터로 전송되어 도어 액추에이터는 도어패널(62)을 열개된다. 이때 발효바닥(113)의 발효 완료물은 발효바닥(113) 외부로 출곡될 수 있다. 그리고 출곡부(40)가 감지되지 않으면 도어 액추에이터는 도어패널(62)을 닫아 개방홀(611)을 폐쇄시킨다. 도어 액추에이터는 도어패널(62)을 닫을 때 출곡부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후 시간차를 두고 작동한다.
위 설명에서 도어패널(62)이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어패널(62)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도어격벽(6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출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도 9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출곡 컨베이어(70)는 도어격벽(61)과 이웃하여 작업바닥(114)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출곡 컨베이어(70)는 도어격벽(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출곡 컨베이어(70)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한다. 출곡 컨베이어(70)의 벨트의 내측에는 콘 형태의 롤러(71)가 배치되어 있다. 콘 형태의 롤러(71)에 의해 벨트의 폭 방향 양측은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한편, 발효바닥(113)과 작업바닥(114)의 단차로 인해 출곡 컨베이어(70)의 벨트 상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발효바닥(113)보다 낮다. 개방홀(611)을 통해 출곡되는 발효 완료물이 출곡 컨베이어(70)의 벨트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유도판(72)이 개방홀(611)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유도판(72)은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출곡부(40)에 의해 발효바닥(113)에서 출곡되는 발효 완료물은 개방홀(611)과 유도판(72)을 통해 출곡 컨베이어(70)의 벨트로 출곡된다. 이때 벨트가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있어 벨트로 출곡된 발효 완료물은 벨트의 폭 방향 양측으로 흘러 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제철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철기는 출곡 컨베이어(70)에 배치되어 있으며 벨트로 출곡된 발효 완료물에서 금속성 물질을 분류한다. 제철기는 출곡 컨베이어(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철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설치대와 설치대의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자석은 영구자석, 전자석, 상자석, 벨트마그네트,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곡 컨베이어(70)의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발효 완료물에 섞여 있는 금속성 물질이 제철기를 통과할 때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금속성 물질은 설치대의 외부 둘레에 붙을 수 있다. 이에 발효 완료물에서 금속성 물질을 분류할 수 있으며, 금속성 물질이 설치대에 붙은 상태에서 설치대에서 자석을 분리하면 금속성 물질은 설치대에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1)는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회수부(80)는 이송관(81), 분류부(82), 집진기(83) 및 배출 컨베이어(84)를 포함한다.
이송관(81)은 제1 관(811), 전환밸브(814) 및 제2 관(813)을 포함하며, 제1 관(811)은 상측 제국실(111a)과 하측 제국실(111b)에 각각 배치되어 각 제국실(111a, 111b)의 출곡 컨베이어(7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관(811)과 출곡 컨베이어(70)의 사이에는 회전밸브(rotary valve)(812)도 11 참조)가 배치되어 있으며 출곡 브로워(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제1 관(811)은 각 제국실(111a, 111b)에서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전환밸브(814)는 3way 밸브를 포함하며 각 제국실(111a, 111b)에서 노출된 제1 관(811)과 연결되어 있다.
제2 관(813)은 전환밸브(814)와 결합되어 분류부(82)와 연결되어 있다. 전환밸브(814)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측 제국실(111a)의 발효물이 제2 관(813)으로 유입되거나, 하측 제국실(111b)의 발효물이 제2 관(8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출곡 컨베이어(70)로 출곡된 발효 완료물은 회전밸브(812)를 통해 제1 관(811)으로 유입되며 출곡 브로워의 구동으로 발효 완료물은 전환밸브(814) 및 제2 관(813)을 이동하여 분류부(82)로 유입될 수 있다.
분류부(82)는 고형물 사이클론(821) 및 미분 사이클론(822)을 포함한다.
고형물 사이클론(821)은 제2 관(813)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이클론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고형물 사이클론(821)으로 유입된 발효 완료물은 고형물 사이클론(821)의 내부에서 원심력에 의해서 선회하면서 고형물은 하부에 형성된 고형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그리고 상부로 상승한 공기와 미분은 상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고형물 배출구에는 배출 로터리 밸브가 배치되어 있어 고형물의 배출을 제어한다.
미분 사이클론(822)은 고형물 사이클론(821)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미분 사이클론(822)으로 유입된 미분과 공기는 미분 사이클론의 내부를 선회한다. 이때 미분 중에 무거운 것은 하부에 형성된 미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상부로 상승한 공기와 미분은 상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미분 배출구에는 로터리 밸브가 배치되어 있어 미분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고형물 사이클론(821) 및 미분 사이클론(822)은 공지의 사이클론(cyclone)과 동일하므로, 이하 고형물 사이클론(821) 및 미분 사이클론(82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집진기(83)는 미분 사이클론(822)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미분 사이클론(822)에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를 필터링하고 공기를 배출시킨다.
배출 컨베이어(84)는 바디, 이송 스크류 및 이송 모터를 포함한다.
바디는 분류부(82)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고형물 사이클론(821) 및 미분 사이클론(822)의 고형물 배출구 및 미분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고형물 배출구와 미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고형물 및 미분의 발효 완료물은 바디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디의 일측에는 분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스크류는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송 모터는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어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어 있다. 이송 모터의 구동으로 이송 스크류는 바디에서 회전하며 바디로 유입된 고형물과 미분의 발효 완료물을 분류 배출구의 방향으로 이송한다.
분류 배출부에는 발효 완료물이 저장되는 탱크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분류 배출구에서 배출된 발효 완료물이 탱크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저장된 발효 완료물은 제조공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고체 발효기 10: 본체
11: 격벽 111a, 111b: 제국실
112a, 112b: 공조공간 113: 발효바닥
114: 작업바닥 20: 공조 시스템
30: 입곡부 31: 교반기
40: 출곡부 41: 스크류
50: 결로 방지부 51: 덕트패널
52: 유도격벽 521: 유동유로
521a: 입구 521b: 출구
53: 열풍 공급부 60: 도어부
61: 도어격벽 611: 개방홀
62: 도어패널 70: 출곡 컨베이어
71: 콘 형태의 롤러 72: 유도판
80: 회수부 81: 이송관
811: 제1 관 812: 회전밸브
813: 제2 관 814: 전환밸브
82: 분류부 821: 고형물 사이클론
822: 미분 사이클론 83: 집진기
84: 배출 컨베이어

Claims (13)

  1.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획되어 발효물이 발효되는 제국실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바닥이 상기 발효물이 투입되어 발효가 이루어지는 발효 바닥과 상기 발효 바닥과 구획되어 있는 작업 바닥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
    상기 발효 바닥과 상기 작업 바닥을 구획하는 도어부,
    상기 작업 바닥에 배치된 출곡 컨베이어,
    상기 발효 바닥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효물을 상기 발효 바닥에 포설하는 입곡부 및
    상기 발효 바닥에 배치되어 있고 발효가 완료된 발효 완료물을 상기 발효 바닥에서 배출시키는 출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입곡부와 상기 출곡부는 상기 발효 바닥에서 직선 이동하며, 상기 발효 바닥의 발효 완료물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출곡부의 구동으로 상기 출곡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2. 제1항에서,
    상기 다층의 제국실 마다 위치하여 상기 격벽에 배치되고 내부에 입구와 출구를 갖는 유동유로가 형성된 결로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3. 제2항에서,
    상기 유동유로의 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동유로 35℃ 내지 65℃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4. 제2항에서,
    상기 결로 방지부는,
    상기 격벽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덕트패널, 그리고
    상기 덕트패널과 상기 격벽을 연결하며 상기 유동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도격벽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도격벽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열되어 있으며, 배열된 상기 복수의 유도격벽의 일단과 타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상기 유동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도어부는,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격벽, 그리고
    상기 개방홀 마다 배치되어 있는 도어패널
    을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7. 제6항에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격벽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을 여닫는 도어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출곡 컨베이어에 배치되어 있고 출곡된 발효 완료물에서 금속성 물질을 분리하는 제철기를 더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10.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11. 제10항에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발효 완료물이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있고 발효 완료물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를 경유한 공기를 필터링 하는 집진기 및
    상기 분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류부에서 배출된 발효 완료물을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12. 제11항에서,
    상기 이송관은,
    다층 제국실마다 위치하여 상기 출곡 컨베이어와 연결된 복수의 제1 관,
    상기 복수의 제1 관이 연결된 전환밸브 및
    상기 전환밸브와 상기 분류부를 연결하는 제2 관
    을 포함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13. 제11항에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발효 완료물 중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 사이클론, 그리고
    상기 고형물 사이클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 사이클론을 경유한 발효 완료물 중 미분을 배출하는 미분 사이클론
    을 포함하며,
    상기 미분 사이클론을 경유한 공기는 상기 집진기를 통해 배출되는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KR1020190135107A 2019-10-29 2019-10-29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KR10212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07A KR102122863B1 (ko) 2019-10-29 2019-10-29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07A KR102122863B1 (ko) 2019-10-29 2019-10-29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863B1 true KR102122863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07A KR102122863B1 (ko) 2019-10-29 2019-10-29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32B1 (ko) 2022-01-21 2022-10-28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778A (ja) * 1994-02-24 1995-09-05 Nagata Jozo Kikai Kk 自動製麹装置の結露防止方法
KR100201212B1 (ko) 1996-02-27 1999-06-15 김봉노 제국기의 원료배출 및 청소장치
US6620614B1 (en) * 1998-04-30 2003-09-16 Prophyta Biologischer Pflanzenschutz Gmbh Solid-state fermenter and method for solid-state fermentation
KR101058190B1 (ko) 2011-04-11 2011-08-22 장활석 회전식 자동 제국배양장치
KR101956798B1 (ko) * 2018-07-10 2019-03-13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778A (ja) * 1994-02-24 1995-09-05 Nagata Jozo Kikai Kk 自動製麹装置の結露防止方法
KR100201212B1 (ko) 1996-02-27 1999-06-15 김봉노 제국기의 원료배출 및 청소장치
US6620614B1 (en) * 1998-04-30 2003-09-16 Prophyta Biologischer Pflanzenschutz Gmbh Solid-state fermenter and method for solid-state fermentation
KR101058190B1 (ko) 2011-04-11 2011-08-22 장활석 회전식 자동 제국배양장치
KR101956798B1 (ko) * 2018-07-10 2019-03-13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32B1 (ko) 2022-01-21 2022-10-28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691B2 (en) Plant for the controlled-speed pneumatic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 and conveyance speed control process
US9126774B2 (en) Pneumatic grain conveying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charging grain or by-passing the discharge of grain into a grain bin
KR102122863B1 (ko)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US8813966B2 (en) Pneumatic vacuum separation plant for bulk materials
WO2023142489A1 (zh) 梯流干选机分选系统
US7147111B2 (en) Hindered-settling fluid classifier
KR20190089473A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
JP6170189B2 (ja) 空気吸引式搬送機のシャッター装置
CN107218792A (zh) 一种颗粒物料冷热气流烘干设备
CN108313761B (zh) 一种用于装载粉状物料的定量装车系统及方法
US35924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blending of granular materials
CN108714567A (zh) 一种用于色选机的下料分选装置
CN113770062B (zh) 一种海产品用履带式色选机
CN206046109U (zh) 用于玉米深加工装置的送料清筛装置
CN208413172U (zh) 一种送料装置
US9302293B2 (en) Dedusting apparatus having dual wash decks with individually adjustable product flow regulation
CN104858136B (zh) 具有致动器控制入口导流板的除尘装置
US4207064A (en) Heating apparatus
CN201692940U (zh) 粉状物料气化沉淀式除渣器
CN219253318U (zh) 一种具有色选功能的高效筛分机
RU2306188C1 (ru) Сепаратор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CN213325707U (zh) 重晶石矿粉加工中的电磁自动给料系统
JPH086227Y2 (ja) 乾燥装置
CN219362052U (zh) 一种防堵塞出料组件
US3350139A (en) Materials transpo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07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110

Effective date: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