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98B1 - 고체 발효기 - Google Patents

고체 발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98B1
KR101956798B1 KR1020180080131A KR20180080131A KR101956798B1 KR 101956798 B1 KR101956798 B1 KR 101956798B1 KR 1020180080131 A KR1020180080131 A KR 1020180080131A KR 20180080131 A KR20180080131 A KR 20180080131A KR 101956798 B1 KR101956798 B1 KR 10195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osed
moving
raw material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예
Original Assignee
신우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기(주) filed Critical 신우산기(주)
Priority to KR102018008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A23L1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i.e.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and about a sun axis
    • B01F27/75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i.e.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and about a sun axis the stirrers being cylinders, ball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 제국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국실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이동유닛,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출곡 이동유닛,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로 원료를 투입하는 입곡부,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배출하는 출곡부, 상기 입곡부 또는 상기 출곡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료가 유동할 수 있는 원료 유동부 및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출곡부는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이동유닛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고체 발효기{Apparatus for solid fermentation}
본 발명은 고체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고체 발효기는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의 장류와 주정의 원료를 발효시키는 장치이다. 고체 발효기의 원료가 발효되는 공간인 제국실에는 원료를 투입하고 배출하는 입출곡장치, 투입된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체 발효기에는 원료의 발효 환경을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습도 등을 유지하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제국실을 이루는 바닥판 가장자리에는 입출곡장치, 교반장치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레일에는 입출곡장치가 배치된 입출곡 이동유닛과 교반장치가 배치된 교반 이동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입출곡 이동유닛과 교반 이동유닛은 분리되어 있다.
입출곡장치가 입출곡 이동유닛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므로 입출곡 이동유닛 아래에 스크류를 배치하였다. 스크류는 원료 투입 시 바닥판으로 투입된 원료를 펼치고, 원료 배출 시 펼쳐진 원료를 입출곡장치 위치로 모은다.
이와 같은 입출곡 이동유닛과 교반 이동유닛이 제국실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므로 구동 중 충돌의 위험이 있으며 스크류 및 스크류 구동을 위한 모터 등의 설치로 고체 발효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였다.
등록특허 제10-1058190호 (2011.08.12.) 등록특허 제10-0201212호 (1999.03.12.)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인 고체 발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는, 제국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국실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이동유닛,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출곡 이동유닛,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로 원료를 투입하는 입곡부,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배출하는 출곡부, 상기 입곡부 또는 상기 출곡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료가 유동할 수 있는 원료 유동부 및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출곡부는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이동유닛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출곡부가 배치된 설치대, 상기 메인 이동유닛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레일 및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맞물리는 치차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구동으로 상기 치차가 상기 레일과 맞물리면서 상기 설치대는 상기 메인 이동유닛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치차는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은,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맞닿아 회전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곡부는,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향 전환부와 연결된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제2 관 및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관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구동부 구동으로 상기 제2 관과 상기 제국실 바닥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출곡부는, 상기 제2 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 하단에 결합된 제1 기밀부, 그리고 상기 제2 관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이 관통하며 상기 제1 기밀부와 접할 수 있는 제2 기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관 내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밀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관 외부둘레에서 멀어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2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관 내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2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과 대응되게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관 하강으로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이 서로 접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유동부는, 원료가 유동하는 유동관, 그리고 상기 유동관 내부를 상기 입곡부 또는 출곡부 내부와 연결하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유동관과 연결된 관 연결부재, 상기 입곡부와 연결된 입곡 연결부재, 상기 출곡부와 연결된 출곡 연결부재, 상기 관 연결부재, 상기 입곡 연결부재 및 상기 출곡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복합 연결부재 및 상기 복합 연결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 연결부재 내부를 상기 입곡 연결부재 내부 또는 상기 출곡 연결부재 내부와 연결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복합 연결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을 기준으로 움직여 상기 입곡 연결부재 또는 상기 출곡 연결부재에 위치할 수 있는 플랩, 그리고 상기 플랩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플랩을 구동하는 플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국실의 바닥은, 상기 메인 이동유닛이 위치하고 투입된 상기 원료가 깔릴 수 있는 발효영역, 그리고 상기 발효영역과 구획되어 있는 보행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발효영역 바닥은 타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발효영역 둘레는 상기 보행영역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이동유닛은, 상기 격벽을 따라 배치된 레일, 상기 발효영역에 위치하고 양측이 상기 격벽과 접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연결된 치차가 결합된 이동 샤프트 및 상기 이동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 프레임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을 따라 구르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상면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이 설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구르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활차,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하면을 따라 구르는 들림 방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이동프레임 아래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교반 샤프트, 상기 교반 샤프트에 배치된 교반기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교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 샤프트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 상기 원료가 붙지 않도록 털어내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발효기는, 상기 제국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국실 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부,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제2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국실 세척 후 배수되는 폐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상기 드레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폐수의 오염도가 설정 값이 미만이면 상기 회수부는 상기 폐수를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곡부와 출곡부가 배치된 입출곡 이동유닛이 타공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메인 이동유닛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입출곡 이동유닛이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타공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원료를 깔 수 있고 또한 깔린 원료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원료를 깔고 회수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설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고체 발효기의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곡 이동유닛이 메인 이동유닛을 따라 배치된 체인에 구동부의 스프라켓이 맞물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입출곡 이동유닛을 설치비가 저렴한 체인과 스프라켓을 사용하므로 고체 발효기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프레임 이동 시 가이드의 활차와 들림 방지 롤러가 격벽의 상면을 이루는 플레이트 상면과 하면에 접하여 구르므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이 들리지 않는다. 이에 이동 프레임은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대가 이동 프레임을 따라 움직일 때 이동롤러가 이동 프레임에 접하여 구르므로 움직이는 설치대와 이동 프레임이 접하지 않는다. 이에 설치대 이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설치대의 움직임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기 외측으로 교반 샤프트와 연결된 분리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리부 회전으로 원료가 발효영역 측벽에 붙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발효영역의 원료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효되며 원료가 발효영역 둘레면에 붙지 않아 원료의 발효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발효된 원료의 높이에 따라 제2 관가 승강하여 캡이 원료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원료 흡입효율이 높으며 단면적이 넓어지는 캡의 형상에 의해 원료 흡입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이 원료 발효 시 세척관에서 분리되어 보관되고 세척 시 세척관에 결합되므로 원료 발효 시 원료가 노즐에 접하지 않아 원료에 의한 노즐이 막히지 않는다. 이에 노즐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노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오염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제1 세척수 공급부로 회수하여 다시 사용하므로 세척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제국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메인 이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메인 이동유닛의 레일과 이동 구동부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는 도 4의 가이드와 격벽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입출곡 이동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출곡부의 가변관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원료 유동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국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1)는, 본체(100), 메인 이동유닛(300), 입출곡 이동유닛(400), 입곡부(500), 출곡부(600), 원료 유동부(670) 및 교반부(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발효기(1)는 세척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발효기(1)는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인다.
본체(100)는 고체 발효기(1)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은 하부공간(120)과 상부공간(110)의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공간(110)은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의 장류와 주정의 원료가 발효되는 발효 공간인 제국실이다. 제국실 바닥은 원료가 깔리는 발효영역(110a)과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보행영역(110b)으로 구획되어 있다.
발효영역(110a)은 제국실 바닥 중앙에 위치하며, 보행영역(110b)은 발효영역(110a) 둘레를 따라 위치하여 제국실 내부둘레와 연결되어 있다. 발효영역(110a)은 보행영역(110b)으로부터 함몰되어 있으며, 발효영역(110a)의 바닥은 복수의 홀을 갖는 타공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하부공간(120)과 제국실은 연통되어 있다. 이에 하부공간(120)의 공기가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제국실로 유입될 수 있다.
발효영역(110a) 둘레를 이루는 측벽은 보행영역(110b) 바닥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측벽 상면은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면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측벽 상면은 보행영역(110b) 바닥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0) 외부에는 제국실의 항온, 항습 조절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다.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은 원료 종류, 발효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200)는 하부공간(120)과 연결되어 있어 하부공간(120)으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공기는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제국실로 유입되어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에 온도와 습도를 제공한다.
한편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는 하부공간(120)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하부공간(120)을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국실의 내부둘레에는 하부공간(120)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공간(120) 바닥은 일측으로 경사져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메인 이동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이동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메인 이동유닛의 레일과 이동 구동부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는 도 4의 가이드와 격벽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메인 이동유닛(300)은 레일(310), 이동 프레임(320), 이동 샤프트(330) 및 이동 구동부(340)를 포함하며 원료가 발효영역 바닥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깔리도록 발효영역(110a)에서 직선이동 한다. 메인 이동유닛(300)은 가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3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발효영역 폭 방향 양측벽 상면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Y)(도 2참조)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일(310)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레일(310)은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20)은 수직바와 수평바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타공 플레이트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은 발효영역 양측벽 상면에 위치한다. 이동 프레임(320)은 타공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있으며 이동 프레임(320) 양단은 발효영역 측벽 상면 위로 이격되어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이동 샤프트(330)는 이동 프레임(320) 양단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동 샤프트(330)에는 레일(310)과 맞물리는 치차(331)가 결합되어 있다. 치차(331)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치차(331)가 레일(310)과 맞물리면서 이동 프레임(320)은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Y)(도 2참조)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측 이동 샤프트(330)에는 스프라켓(332)이 결합되어 있다.
이동 구동부(340)는 이동 프레임(320)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체인(341)으로 스프라켓(332)과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동 구동부(340)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구동부(340)의 동력이 체인을 통해 스프라켓(332)에 전달되어 치차(331)가 레일(310)과 맞물리면서 이동 프레임(320)이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Y)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320)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랙기어, 피니언, 체인, 스프라켓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고체 발효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을 더 참고하면, 가이드(350)는, 활차(351), 롤러 브라켓(352) 및 들림 방지 롤러(353)를 포함하며 이동 프레임(320)이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활차(351)는 이동 프레임(320) 측면에 결합된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활차(351)는 이동 프레임(32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활차(351)는 측벽 상면을 이루고 있는 플레이트 상면과 접하여 이동 프레임(320) 이동 시 플레이트를 따라 구른다. 활차(351)는 두 개의 휠을 가지며 두 개의 휠은 레일(31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두 개의 휠 사이에 레일(310)이 위치하면서 휠이 레일(310)에 걸리어 이동 프레임(320)이 그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롤러 브라켓(352)은 활차(351)가 결합된 로드와 연결되어 플레이트를 벗어나 있다.
들림 방지 롤러(353)는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여 플레이트 하면과 접하며 롤러 브라켓(352)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들림 방지 롤러(353)는 이동 프레임(320) 이동 시 플레이트 하면을 따라 구른다. 들림 방지 롤러(353)가 플레이트 하면과 접하게 되어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320)은 들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더 참고하여 입출곡 이동유닛(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입출곡 이동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설치대(410), 레일(420), 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이동롤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메인 이동유닛(300)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원료가 타공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깔릴 수 있도록 한다.
설치대(410)는 수직바와 수평바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동 프레임(320)에 배치되어 메인 이동유닛(300)의 이동 방향(Y)과 수직한 방향(X)(도 2 참조)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동롤러(440)는 설치대(410)와 이동 프레임(320) 사이에 복수 배치되어 설치대(4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롤러(440)는 설치대(410)가 이동할 때 이동 프레임(320)을 따라 구르며 설치대(410)가 이동 프레임(320)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동롤러(440)에 의해 움직이는 설치대(410)는 흔들리지 않고 이동 프레임(320)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일(420)은 이동 프레임(320) 길이 방향(X)(도 2 참조)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레일(420)은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30) 전기 에너지로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대(410)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430)의 모터 축에는 레일(420)과 맞물리는 치차(431)가 결합되어 있다. 치차(431)는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30) 구동으로 치차(331)가 레일(420)과 맞물리면서 설치대(410)는 이동 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설치대(4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레일을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형성하므로 랙기어와 피니언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대(410)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체인, 스프라켓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체 발효기(1)의 설계에 따라 설치대(410)를 이동시키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입곡부(500)는 타공 플레이트에 공급된 원료를 깔 수 있다. 입곡부(500)는 설치대(410)에 배치되어 타공 플레이트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다. 입곡부(500)의 하부측은 타공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측벽의 상면 높이에 위치한다. 입곡부(500)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지는 형상이다.
입곡부(500)는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프레임(320)과 이동 프레임(320)이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설치대(410)에 의해 원료를 타공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깔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출곡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출곡부의 가변관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원료 유동부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출곡부(600)는 제1 관(610), 제2 관(620)을 포함하는 가변관 및 승강 구동부(640)를 포함한다. 출곡부(600)는 제1 기밀부(650), 그리고 제2 기밀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곡부(600)는 타공 플레이트의 원료를 흡입하여 본체(100) 외부로 배출한다.
가변관은 설치대(410)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관(610)은 설치대(4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 관(620)은 제1 관(610)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제1 관(610)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깔린 원료 높이가 낮을수록 제2 관(620)은 하강하여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제2 관(620) 하단에는 캡(630)이 결합되어 있으며, 캡(630)은 제2 관(62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캡(630)의 형상에 의해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들이 모아지므로 원료의 흡입력이 높아질 수 있다.
가변관을 제1 관(610), 그리고 제1 관(610)을 따라 승강하는 제2 관(620)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가변관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변관은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승강 구동부(640)는 압축 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640)는 설치대(410)에 위치하여 하우징은 설치대(410)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는 제2 관(620)과 연결되어 있다. 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제2 관(620)은 승강할 수 있다.
제1 기밀부(650)는, 제1 결합부재(651), 그리고 제1 기밀부재(652)를 포함하며, 제2 기밀부(660)는 제2 결합부재(661), 그리고 제2 기밀부재(662)를 포함한다.
제1 기밀부(650)는 제2 관(620) 내부에 위치하여 제1 관(610) 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기밀부(660)는 제2 관(620)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관(610)이 관통하고 있다. 제1 기밀부(650)와 제2 기밀부(660)는 제2 관(620) 하강 시 서로 접하여 제1 관(610)과 제2 관(6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제1 결합부재(651)는 제1 관(610) 하단 내부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제1 기밀부재(652)는 제1 관(610)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재(651)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결합부재(651)와 제1 기밀부재(65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기밀부재(652)의 상면(652a)은 제1 관(610) 외부둘레에서 멀어질수록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제2 결합부재(661)는 제2 관(620) 상단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밀부재(662)는 제2 관(620) 내부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제2 결합부재(661)와 연결되어 있다. 제2 기밀부재(662) 하면(662a)은 제1 기밀부재(652) 경사진 상면과 마주하며 제1 기밀부재(652)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져 있다. 제2 관(620) 하강으로 제2 기밀부재(662) 하면이 제1 기밀부재(652) 상면과 접하게 되면서 제1 관(610)과 제2 관(620)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된다. 이에 제1 관(610)과 제2 관(620)의 틈새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되므로 캡을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되므로 원료 흡입력이 높아질 수 있다.
원료 유동부(670)는 유동관(671), 그리고 방향 전환부(672)를 포함하며 원료를 공급하고 배출한다.
유동관(67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본체(100) 외부에 위치하여 원료 공급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원료 흡입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유동관(671) 일측은 보행영역(110b)과 이동 프레임(320)에 위치하여 설치대(410)와 연결되어 있다. 유동관(671) 일측은 메인 이동유닛(300)과 입출곡 이동유닛(400)이 움직일 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플렉시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방향 전환부(672)는 관 연결부재(672a), 입곡 연결부재(672b), 출곡 연결부재(672c), 복합 연결부재(672d) 및 밸브부(673)를 포함하며 설치대(410)에 배치되어 유동관(671) 내부를 입곡부(500) 또는 출곡부(600) 내부와 연결한다.
관 연결부재(672a)는 유동관(671)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입곡 연결부재(672b)는 입곡부(5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출곡 연결부재(672c)는 제1 관(610)과 연결되어 있다. 관 연결부재(672a), 입곡 연결부재(672b) 및 출곡 연결부재(672c) 내부는 복합 연결부재(672d)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밸브부(673)는 플랩(673a), 그리고 플랩 구동부(673b)를 포함하며 유동관(671) 내부를 입곡부(500) 또는 출곡부(600) 내부와 연결한다.
플랩(673a)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복합 연결부재(672d) 내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움직일 수 있도록 복합 연결부재(672d)와 연결되어 있다. 플랩(673a)은 움직여 입곡 연결부재(672b) 내부 또는 출곡 연결부재(672c) 내부를 막을 수 있다.
이에 플랩(673a)은 유동관(671)의 타측이 원료 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출곡 연결부재(672c) 내부를 막아 유동관(671) 내부와 입곡부(500) 내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원료는 유동관(671)을 따라 유동하여 입곡부(500)를 통해 타공 플레이트에 깔릴 수 있다. 그러나 유동관(671) 타측이 원료 흡입부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입곡 연결부재(672b) 내부를 막아 유동관(671) 내부가 출곡부(600) 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국실의 공기가 가변관 내부로 유입되면서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는 가변관 내부로 흡입되며 유동관(671)을 따라 유동하여 제국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플랩 구동부(673b)는 복합 연결부재(672d) 외부에 배치되어 플랩(673a) 일측과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플랩 구동부(673b)는 압축 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구동부(673b) 구동으로 플랩(673a)이 움직여 유동관(671) 내부를 입곡부(500) 또는 출곡부(600) 내부와 연결한다.
플랩 구동부(673b)는 본체(100) 외부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제국실에 입실하지 않고 본체 외부에서 조작하여 원료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고하여 교반부(70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반부(700)는 교반 샤프트(710), 교반기(720) 및 교반 구동부(730)를 포함하며 타공 플레이트와 이동 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어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를 교반한다. 교반부(700)는 분리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 샤프트(710)는 이동 프레임(32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교반 샤프트(710) 양측은 이동 프레임(320)과 연결된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교반 샤프트(710) 양측면과 브라켓은 발효영역 측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교반기(720)는 교반 샤프트(710)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교반 샤프트(710)와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지름을 갖는 휠, 휠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기(720)는 교반 샤프트(710) 회전으로 회전되어 발효되는 원료가 뭉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료를 치면서 섞는다. 교반기(720)의 구조를 휠과 날개로 한정하지 않으며 교반기(72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교반 구동부(730)는 스프라켓, 모터, 체인 따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반 샤프트(710)를 회전시킨다. 교반 구동부(730)의 모터는 이동 프레임(3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라켓은 모터의 구동축과 교반 샤프트(710)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두 개의 스프라켓은 체인으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교반 구동부(730) 구동으로 교반 샤프트(710)가 회전되어 교반기(720)는 회전하면서 원료를 섞을 수 있다.
분리부(740)는 교반 샤프트(710)를 이동 프레임(320)에 연결하고 있는 브라켓과 측벽 사이에 위치하여 교반 샤프트(710)와 연결되어 있다. 분리부(740)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반 샤프트(710)를 따라 회전하면서 브라켓과 측벽 사이에 위치한 원료를 섞어주며 측벽에 원료가 붙지 않도록 털어낸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세척유닛(800)은 노즐(820), 제1 세척수 공급부(830a), 제2 세척수 공급부(830b), 열교환기(840)를 포함한다. 세척유닛(800)은 드레인(850), 센서(560), 회수부(870) 및 필터부(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유닛(800)은 제국실에서 원료가 배출되면 제국실을 청소하여 고체 발효기(1)의 청결도를 높인다.
노즐(820)은 제국실 내부둘레에 설치된 세척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노즐(820)은 원료 발효 시 세척관에서 분리되며 제국실 세척 시 세척관에 결합된다. 제국실 세척 시 세척관에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노즐(82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노즐(820)은 발효영역, 보행영역, 제국실 내부둘레 등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노즐(820)은 세척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하부공간(120)에서 세척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공간의 세척관에도 노즐(8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세척수 공급부(830a)와 제2 세척수 공급부(830b)는 본체(100)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세척관(81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세척수 공급부(830a)는 세척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제2 세척수 공급부(830b)는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세척관으로 공급한다. 제1 세척수 공급부(830a)가 먼저 구동한 후 세척수를 분사하고, 제1 세척수 공급부(830a) 종류 후 제2 세척수 공급부(830b)가 구동하여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한다.
열교환기(840)는 제1 세척수 공급부(830a)와 제2 세척수 공급부(830b)의 세척수와 열교환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높인다. 이에 온수를 이용하여 제국실을 세척하므로 세척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국실로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이 함유된 상태에서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하부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공간(120) 바닥이 경사면을 이루므로 하부공간(120)으로 유입된 세척수(폐수)는 드레인(850)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드레인(850)에는 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560)가 결합되어 있다. 센서(560)에서 측정된 폐수의 오염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드레인(850)은 폐수를 회수부(870)를 통해 제1 세척수 공급부(830a)로 회수시킨다. 그러나 폐수의 오염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드레인(850)은 폐수를 폐수 처리장으로 배수한다. 회수부(870)에는 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이에 이물질이 여과된 폐수가 제1 세척수 공급부(830a)로 공급될 수 있다.
오염도가 낮은 폐수를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세척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고체 발효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국실이 세척된 상태에서 유동관(671)은 원료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플랩(673a)은 출곡 연결부재(672c) 내부를 막아 유동관(671)이 입곡부(500) 내부와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공급장치(200)는 하부공간(120)으로 기설정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는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는 타공 플레이트의 홀을 통해 제국실로 유입된다.
원료 공급부를 통해 원료가 유동관(671)으로 공급된다. 원료는 유동관(671)을 따라 유동하여 방향 전환부(672) 및 입곡부(500)를 통해 발효영역(110a)으로 배출된다. 이때 메인 이동유닛(300)은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메인 이동유닛(300)이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타공 플레이트 폭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메인 이동유닛(300)과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동시에 움직이거나, 메인 이동유닛(300)이 1차로 움직인 후 정지한 상태에서 입출곡 이동유닛(400)이 2차로 움직일 수 있다. 이후 입출곡 이동유닛(400)이 정지한 후 메인 이동유닛(300)이 다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발효영역(110a)으로 배출되는 원료는 타공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깔린다. 타공 플레이트에 원료가 다 깔리면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메인 이동유닛(300) 상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메인 이동유닛(300)은 원료의 교반을 위한 타공 플레이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타공 플레이트에 원료가 깔리면 교반부(700)는 구동하면서 원료가 뭉치지 않고 최적으로 발효 환경이 조성되도록 원료를 섞는다. 교반부(700)는 메인 이동유닛(300)을 따라 움직이면서 타공 플레이트에 깔린 원료를 전체적으로 섞는다. 교반부(700) 교반으로 원료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효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740)가 교반기(720)를 따라 회전하므로 발효영역(110a)의 측벽에 원료가 붙지 않고 떨어질 수 있다.
발효가 완료되면 유동관(671)은 원료 흡입부와 연결하고, 플랩(673a)은 입곡 연결부재(672b) 내부를 막아 유동관(671) 내부가 출곡 연결부재(672c) 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2 관(620)을 하강시켜 캡(630)이 발효된 원료와 접하도록 한다. 원료 흡입부가 작동하면 캡 주변의 공기가 캡을 통해 가변관 내부로 유입되면 발효된 원료가 공기를 따라 가변관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관(671)을 따라 유동하여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원료가 배출될수록 제2 관(620)은 하강하여 캡(630)은 원료와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원료 배출 시 메인 이동유닛(300)과 입출곡 이동유닛(400)은 움직이며, 이들의 움직이므로 출곡부(600)가 발효영역(110a)에서 전체적으로 움직여 발효영역(110a)의 모든 원료가 모두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발효된 원료가 모두 배출되면 공기공급장치(200)는 정지하고, 세척유닛(800) 구동으로 본체(100) 내부를 세척한다. 이에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세척관에 노즐(820)을 결합한다. 제1 세척수 공급부(830a)의 세척수와 제2 세척수 공급부(830b)의 세척수는 열교환기(840)를 통해 기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며, 세척수가 설정온도까지 가열되면 제1 세척수 공급부(830a)가 세척관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때 노즐(820)들은 회전하면서 본체(100) 내부로 세척수를 강력하게 분사하여 발효영역, 보행영역, 메인 이동유닛, 입출곡 이동유닛, 입곡부, 출곡부 등을 세척한다. 제1 세척수 공급부(830a)를 통해 세척수 분사가 완료되면 제2 세척수 공급부(830b)가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본체(100) 내부로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한다.
제국실로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을 함유한 폐수 상태에서 타공 플레이트의 홀들을 통해 하부공간으로 유입되고, 하부공간의 폐수는 드레인(850)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센서는 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며, 폐수는 오염 정도에 따라 제1 세척수 공급부(830a)로 회수되거나 폐수 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고체 발효기 100: 본체
110: 상부공간 110a: 발효영역
110b: 보행영역 120: 하부공간
200: 공기공급장치 300: 메인 이동유닛
310: 레일 320: 이동 프레임
330: 이동 샤프트 331: 치차
332: 스프라켓 340: 이동 구동부
341: 체인 350: 가이드
351: 활차 352: 롤러 브라켓
353: 들림 방지 롤러 400: 입출곡 이동유닛
410: 설치대 420: 레일
430: 구동부 431: 치차
440: 이동롤러 500: 입곡부
600: 출곡부 610: 제1 관
620: 제2 관 630: 캡
640: 승강 구동부 650: 제1 기밀부
651: 제1 결합부재 652: 제1 기밀부재
652a: 상면 660: 제2 기밀부
661: 제2 결합부재 662: 제2 기밀부재
662a: 하면 670: 원료 유동부
671: 유동관 672: 방향 전환부
672a: 관 연결부재 672b: 입곡 연결부재
672c: 출곡 연결부재 672d: 복합 연결부재
673: 밸브부 673a: 플랩
673b: 플랩 구동부 700: 교반부
710: 교반 샤프트 720: 교반기
730: 교반 구동부 740: 분리부
800: 세척유닛 810: 세척관
820: 노즐 830a: 제1 세척수 공급부
830b: 제2 세척수 공급부 840: 열교환기
850: 드레인 860: 센서
870: 회수부 880: 필터부

Claims (20)

  1. 제국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국실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이동유닛,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출곡 이동유닛,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로 원료를 투입하는 입곡부,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배출하는 출곡부,
    상기 입곡부 또는 상기 출곡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료가 유동할 수 있는 원료 유동부 및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곡부는,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 유동부와 연결된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제2 관 및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관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 구동으로 상기 제2 관과 상기 제국실의 바닥과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출곡부는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이동유닛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체 발효기.
  2. 제1항에서,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은,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제1 관과 상기 승강 구동부가 배치된 설치대,
    상기 메인 이동유닛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레일 및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맞물리는 치차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구동으로 상기 치차가 상기 레일과 맞물리면서 상기 설치대는 상기 메인 이동유닛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고체 발효기.
  3. 제2항에서,
    상기 레일은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치차는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4. 제2항에서,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은,
    상기 설치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맞닿아 회전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출곡부는,
    상기 제2 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 하단에 결합된 제1 기밀부, 그리고
    상기 제2 관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이 관통하며 상기 제1 기밀부와 접할 수 있는 제2 기밀부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7. 제6항에서,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관 내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기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관 외부둘레에서 멀어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고체 발효기.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2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관 내부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2 기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과 대응되게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관 하강으로 상기 제2 기밀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1 기밀부재 상면이 서로 접하면서 기밀이 유지되는
    고체 발효기.
  9. 제국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국실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이동유닛,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출곡 이동유닛,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로 원료를 투입하는 입곡부,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배출하는 출곡부,
    상기 입곡부 또는 상기 출곡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료가 유동할 수 있는 원료 유동부 및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 유동부는,
    원료가 유동하는 유동관, 그리고
    상기 유동관 내부를 상기 입곡부 또는 출곡부 내부와 연결하는 방향 전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곡부 및 상기 출곡부는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 이동유닛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체 발효기.
  10. 제9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유동관과 연결된 관 연결부재,
    상기 입곡부와 연결된 입곡 연결부재,
    상기 출곡부와 연결된 출곡 연결부재,
    상기 관 연결부재, 상기 입곡 연결부재 및 상기 출곡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복합 연결부재 및
    상기 복합 연결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 연결부재 내부를 상기 입곡 연결부재 내부 또는 상기 출곡 연결부재 내부와 연결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1. 제10항에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복합 연결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을 기준으로 움직여 상기 입곡 연결부재 또는 상기 출곡 연결부재에 위치할 수 있는 플랩, 그리고
    상기 플랩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플랩을 구동하는 플랩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2. 제1항에서,
    상기 제국실의 바닥은, 상기 메인 이동유닛이 위치하고 투입된 상기 원료가 깔릴 수 있는 발효영역, 그리고 상기 발효영역과 구획되어 있는 보행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발효영역 바닥은 타공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발효영역 둘레는 상기 보행영역으로부터 돌출된 격벽으로 이루어진
    고체 발효기.
  13. 제12항에서,
    상기 메인 이동유닛은,
    상기 격벽을 따라 배치된 레일,
    상기 발효영역에 위치하고 양측이 상기 격벽과 접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연결된 치차가 결합된 이동 샤프트 및
    상기 이동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이동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4. 제13항에서,
    상기 메인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 프레임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을 따라 구르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5. 제14항에서,
    상기 격벽 상면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이 설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구르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활차,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하면을 따라 구르는 들림 방지 롤러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6. 제13항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이동프레임 아래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교반 샤프트,
    상기 교반 샤프트에 배치된 교반기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반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교반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7. 제16항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 샤프트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 상기 원료가 붙지 않도록 털어내는 분리부
    를 더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8. 제1항에 또는 제9항에서,
    상기 제국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19. 제18항에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국실 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부,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제2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는
    고체 발효기.
  20. 제국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국실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인 이동유닛,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이동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출곡 이동유닛,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로 원료를 투입하는 입곡부,
    상기 입출곡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배출하는 출곡부,
    상기 입곡부 또는 상기 출곡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료가 유동할 수 있는 원료 유동부,
    상기 메인 이동유닛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국실의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부 및
    상기 제국실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국실 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부,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제2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상기 제국실 세척 후 배수되는 폐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상기 드레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폐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에 배치된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폐수의 오염도가 설정 값이 미만이면 상기 회수부는 상기 폐수를 상기 제1 세척수 공급부로 회수하는
    고체 발효기.
KR1020180080131A 2018-07-10 2018-07-10 고체 발효기 KR10195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31A KR101956798B1 (ko) 2018-07-10 2018-07-10 고체 발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31A KR101956798B1 (ko) 2018-07-10 2018-07-10 고체 발효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372A Division KR102107733B1 (ko) 2018-12-03 2018-12-03 고체 발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798B1 true KR101956798B1 (ko) 2019-03-13

Family

ID=6576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31A KR101956798B1 (ko) 2018-07-10 2018-07-10 고체 발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885A (zh) * 2019-06-07 2019-10-11 张玉荣 一种小型机械加工工具清洗设备
KR102122863B1 (ko) * 2019-10-29 2020-06-15 신우산기(주)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CN114481719A (zh) * 2022-04-01 2022-05-13 成都理工大学 一种齿轮入齿缓冲装置
KR102460232B1 (ko) 2022-01-21 2022-10-28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5305165A (zh) * 2022-08-22 2022-11-08 安徽省金裕皖酒业有限公司 空间均温式固态白酒温控发酵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18A (ko) * 1998-05-29 1998-08-17 김봉노 제국기의 세척 및 공조장치
KR100201212B1 (ko) 1996-02-27 1999-06-15 김봉노 제국기의 원료배출 및 청소장치
KR20100100556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한성테크 제국기의 입,출곡장치
KR101058190B1 (ko) 2011-04-11 2011-08-22 장활석 회전식 자동 제국배양장치
KR20170011472A (ko) * 2015-07-23 2017-02-02 정성달 콩곡자 배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212B1 (ko) 1996-02-27 1999-06-15 김봉노 제국기의 원료배출 및 청소장치
KR19980043118A (ko) * 1998-05-29 1998-08-17 김봉노 제국기의 세척 및 공조장치
KR20100100556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한성테크 제국기의 입,출곡장치
KR101058190B1 (ko) 2011-04-11 2011-08-22 장활석 회전식 자동 제국배양장치
KR20170011472A (ko) * 2015-07-23 2017-02-02 정성달 콩곡자 배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885A (zh) * 2019-06-07 2019-10-11 张玉荣 一种小型机械加工工具清洗设备
KR102122863B1 (ko) * 2019-10-29 2020-06-15 신우산기(주) 다층구조 결로방지 고체 발효기
KR102460232B1 (ko) 2022-01-21 2022-10-28 신우산기(주) 고체 발효기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4481719A (zh) * 2022-04-01 2022-05-13 成都理工大学 一种齿轮入齿缓冲装置
CN114481719B (zh) * 2022-04-01 2022-07-15 成都理工大学 一种齿轮入齿缓冲装置
CN115305165A (zh) * 2022-08-22 2022-11-08 安徽省金裕皖酒业有限公司 空间均温式固态白酒温控发酵系统
CN115305165B (zh) * 2022-08-22 2023-09-15 安徽省金裕皖酒业有限公司 空间均温式固态白酒温控发酵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798B1 (ko) 고체 발효기
CN100501915C (zh) 基底清洁和干燥方法及装置
CN201644449U (zh) 轴承清洗流水线
CN205550921U (zh) 一种板材清洗机
CN101875049A (zh) 轴承清洗流水线
CN210700925U (zh) 一种锯片清洗涂油生产线
CN110396465A (zh) 一种制醋用淋醋装置
KR102107733B1 (ko) 고체 발효기
CN111167235A (zh) 一种工业加工中降尘装置
CN214683103U (zh) 一种斗式提升机的链条清洗装置
CN214257744U (zh) 一种可移动式农业喷药装置
CN208933551U (zh) 一种具有废料处理功能的混棉机
CN215800458U (zh) 一种节能高效的手套烧毛装置
CN115487899A (zh) 一种建筑垃圾智能粉碎设备
CN115228219A (zh) 房建施工用降尘、集尘围挡
KR101007584B1 (ko) 클린룸용 에어 샤워 부스
CN219557085U (zh) 足浴器系统
CN113210385A (zh) 一种试管清洗装置
CN112586475A (zh) 一种上下双层喷雾系统防治猕猴桃病虫害装置
CN214526184U (zh) 一种斗式提升机
CN215138781U (zh) 一种生产聚氨酯粘合剂用的搅拌罐
CN212856271U (zh) 一种静电喷涂通道
CN213643508U (zh) 一种环保机械用喷淋装置
CN219785773U (zh) 空调隔板的成型装置
CN213606186U (zh) 一种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