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450B1 -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450B1
KR102122450B1 KR1020160109273A KR20160109273A KR102122450B1 KR 102122450 B1 KR102122450 B1 KR 102122450B1 KR 1020160109273 A KR1020160109273 A KR 1020160109273A KR 20160109273 A KR20160109273 A KR 20160109273A KR 102122450 B1 KR102122450 B1 KR 10212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heat dissipation
heat
pair
graphi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633A (ko
Inventor
지호준
정병천
문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0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45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HUE17843781A priority patent/HUE062457T2/hu
Priority to PCT/KR2017/005972 priority patent/WO2018038361A1/ko
Priority to ES17843781T priority patent/ES2952065T3/es
Priority to JP2018535836A priority patent/JP6663023B2/ja
Priority to PL17843781.0T priority patent/PL3382789T3/pl
Priority to EP17843781.0A priority patent/EP3382789B1/en
Priority to CN201780005311.9A priority patent/CN108475830B/zh
Priority to US16/062,991 priority patent/US10749227B2/en
Publication of KR2018002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2/1016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는, 완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폼패드부재; 및 열전도를 위해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그라파이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부재는 복수의 상기 폼패드부재 각각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MATERAIL FOR RADIATING HEA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ATERIAL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이차 전지는 하나의 배터리 셀이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된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면 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경우 배터리 셀에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이 사용되었으며, 통상의 열전달 물질은 열전도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0953679호(공고일자:2010년04월20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대적으로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접촉시 긴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하고 간단하게 작업이 가능한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완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폼패드부재; 및 열전도를 위해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그라파이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부재는 복수의 상기 폼패드부재 각각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부재는 한 쌍의 폼패드부재 각각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고,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중 다른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 중 나머지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거나,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완충이 가능한 복수의 폼패드부재가 구비되는 단계; 열전도를 위해 그라파이트부재로 상기 복수의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단계; 및 상기 그라파이트부재로 상기 복수의 폼패드부재를 둘러싼 후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어느 한 부분을 가압하여 열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완충이 가능한 한 쌍의 폼패드부재가 구비되는 단계; 및 (b) 열전도를 위해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 각각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단계, 또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방열을 위한 방열플레이트;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라파이트부재가 복수의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열전도 경로가 증가하므로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이 가능한 폼패드부재가 사용되어 접촉시 긴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열재가 부착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단순하고 간단하게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가 발열부와 방열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방열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방열재는 전자 부품, 전자 회로가 사용된 제품 등 다양한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방열재가 특히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이러한 설명에 의해 방열재의 사용범위가 배터리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가 발열부와 방열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방열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은 중심물질(1)에 열전도물질(2)을 결합시킨 형태로 구성된다. 하지만, 도 1의 열전달 물질은 열이 전달될 수 있는 경로가 2개(A, B)에 불과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열이 전달될 수 있는 경로가 2개보다 많게 구성되므로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과 비교시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폼패드부재(100)와, 그라파이트부재(200)를 포함한다.
폼패드부재(100)는 완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탄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폼패드부재(100)를 둘러싸면 외력으로부터 그라파이트부재(200)를 완충할 수 있다. 또한, 폼패드부재(100)는 접촉 긴밀성을 향상 내지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방열재(10)가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경우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폼패드부재(100)에 의해 그라파이트부재(200)가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모두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폼패드부재(100)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완충과 접촉 긴밀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재료, 특히 다양한 복합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라파이트부재(200)는 열전도를 위해 폼패드부재(100)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그라파이트부재(200)는 복수의 폼패드부재(100)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그라파이트부재(200)가 복수의 폼패드부재(100)를 둘러싸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지만, 폼패드부재(100)의 개수는 보다 다양할 수 있다. 즉, 폼패드부재(100)는 3개일 수도 있고, 4개일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폼패드부재(100)가 한 쌍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폼패드부재(10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그라파이트부재(200)는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데,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고,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 중 다른의 단부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 중 나머지 하나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는 서로 붙어 있거나 또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싼 후 중심부를 열압착하는 형태에서는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는 서로 붙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둘러싸는 경우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의 경우 열이 전달될 수 있는 4가지 경로(a, b, c, d)를 가질 수 있으며, 열이 전달될 수 있는 경로가 2개인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에 비해 동일 시간에 2배의 열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만약,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3개의 폼패드부재(100) 각각을 둘러싸는 경우를 고려하면, 열이 전달될 수 있는 경로는 6개이므로,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에 비해 동일 시간 3배의 열전달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발열부와 방열부 사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발열부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해서 열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유닛 또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와 같은 조건하에서 단위 시간당 방열부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방열부 온도가 높다는 것은 방열재(10)를 통해 높은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4에서 1 Roll은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이고, 2 Roll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이며, Dual은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이 2개 구비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과 비교시 동일 시간에서 방열부의 온도가 더 높으므로 열전달이 보다 잘 이루어지고 있고 따라서 높은 방열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이 2개 구비된 경우와 비교시 비슷한 방열 효과 내지 근소하게 높은 방열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과 비교시 월등히 향상된 방열 효과를 가지며, 또한, 도 1의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이 2개 구비된 경우와 비교시 작은 면적, 적은 비용으로 비슷하거나 근소하게 향상된 방열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 각각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폼패드부재(10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 6(b)를 참조하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7(b)를 참조하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이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모두 시계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도 2를 참조하면, 그라파이트부재(200)가 복수, 예를 들어,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열전달 경로가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이 비해 증가하므로, 도 4를 참조하면, 열전달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방열재(10)는, 다양한 방법으로 그라파이트부재(200)가 복수의 폼패드부재(100)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열전도가 가능한 그라파이트부재(200)가 완충이 가능한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싼다. 그리고,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면 도 5(b)에서와 같이, 열압착유닛(300)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어느 한 부분, 예를 들어, 중심부를 열압착한다. 여기서, 열압착유닛(30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압착 프레스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5(c)에서와 같이, 열압착된 부분을 열융착 테이프(400)를 통해 부착시키면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는 방열재(1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싼 후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열전도가 가능한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충이 가능한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가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예를 들어 상측에 놓여진다. 그리고, 도 6(b)을 참조하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 즉,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 각각을 둘러싼다. 그리고, 도 6(c)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테이프(500)를 사용하여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을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는 방열재(1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a)를 참조하면, 열전도가 가능한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충이 가능한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중 하나(100b)는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예를 들어 상측에 놓여지고, 다른 하나(100a)는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예를 들어 하측에 놓여진다. 그리고, 도 7(b)을 참조하면,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이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 즉,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이 모두 시계 방향 내지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 각각을 둘러싼다. 그리고, 도 7(c)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테이프(500)를 사용하여 그라파이트부재(200)의 양측 단부(210, 220) 각각을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200)가 한 쌍의 폼패드부재(100a, 100b)를 둘러싸는 방열재(1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800)에 대해 설명하며, 다만, 전술한 방열재(10)에 관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배터리 셀(600)은 양극 전극, 세퍼레이터, 음극 전극, 활물질 및 전해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이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600)은 카트리지(미도시)에 수납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600)이 복수의 카트리지(미도시)에 각각 수납된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미도시)들이 서로 적층되는 카트리지 조립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600)은 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열을 방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열플레이트(7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재(10)는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셀(60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플레이트(7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폼패드부재(100)에 의해 본 실시예의 방열재(10)는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사이에서 접촉 긴밀성을 유지한 채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모두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열전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재(10)가 배터리 셀(600)과 방열플레이트(700) 사이에 부착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단순하고 간단하게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 공정상 문제나 손상 발생시 간단하게 제거하여 다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방열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열전달 물질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높으므로 배터리 모듈(800)의 열을 빠른 시간 내에 방출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800)의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방열재 100 : 폼패드부재
200 : 그라파이트부재 300 : 열압착유닛
400 : 열융착 테이프 500 : 테이프
600 : 배터리 셀 700 : 방열플레이트

Claims (8)

  1. 완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폼패드부재; 및
    열전도를 위해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는 그라파이트부재를 포함하며,
    한 쌍의 폼패드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그라파이트부재가 한 쌍의 상기 폼패드부재 각각을 둘러싸며,
    하나의 상기 그라파이트부재가 한 쌍의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싼 후 이격되어 있는 중심부를 열압착하여 그라파이트부재가 서로 붙도록 마련되되,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고,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중 다른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 중 나머지 하나를 둘러싸며,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폼패드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완충이 가능한 한 쌍의 폼패드부재가 구비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열전도를 위해 하나의 그라파이트부재로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를 각각 둘러싸는 단계; 및
    상기 그라파이트부재가 상기 한 쌍의 폼패드부재를 둘러싼 후 이격되어 있는 상기 그라파이트부재의 중심부를 가압하여 열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재를 제조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방열을 위한 방열플레이트;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항의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60109273A 2016-08-26 2016-08-26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12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3A KR102122450B1 (ko) 2016-08-26 2016-08-26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CT/KR2017/005972 WO2018038361A1 (ko) 2016-08-26 2017-06-08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S17843781T ES2952065T3 (es) 2016-08-26 2017-06-08 Material de disipación de calor,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y módulo de batería que incluye el material de disipación de calor
JP2018535836A JP6663023B2 (ja) 2016-08-26 2017-06-08 放熱材、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HUE17843781A HUE062457T2 (hu) 2016-08-26 2017-06-08 Hõdisszipáló anyag, annak gyártási eljárása, továbbá a hõdisszipáló anyagot magában foglaló telepmodul
PL17843781.0T PL3382789T3 (pl) 2016-08-26 2017-06-08 Materiał rozpraszający ciepło, sposób jego wytwarzania i moduł akumulatorowy zawierający materiał rozpraszający ciepło
EP17843781.0A EP3382789B1 (en) 2016-08-26 2017-06-08 Heat-dissip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heat-dissipation material
CN201780005311.9A CN108475830B (zh) 2016-08-26 2017-06-08 散热材料、制造散热材料的方法及包括散热材料的电池模块
US16/062,991 US10749227B2 (en) 2016-08-26 2017-06-08 Heat dissipation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3A KR102122450B1 (ko) 2016-08-26 2016-08-26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33A KR20180023633A (ko) 2018-03-07
KR102122450B1 true KR102122450B1 (ko) 2020-06-12

Family

ID=6124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273A KR102122450B1 (ko) 2016-08-26 2016-08-26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49227B2 (ko)
EP (1) EP3382789B1 (ko)
JP (1) JP6663023B2 (ko)
KR (1) KR102122450B1 (ko)
CN (1) CN108475830B (ko)
ES (1) ES2952065T3 (ko)
HU (1) HUE062457T2 (ko)
PL (1) PL3382789T3 (ko)
WO (1) WO2018038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0139A1 (de) * 2018-08-17 2020-02-20 Illinois Tool Works Inc. Batteri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20191171A (ja) * 2019-05-20 2020-11-2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放熱構造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バッテリー
US11483948B2 (en) 2019-08-28 2022-10-25 Laird Technologies, Inc. Thermal interface materials including memory foam cores
DE102019131720A1 (de) * 2019-11-25 2021-05-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Prüfen der Korrosionsbeständigkeit von Bauteilen
WO2021106444A1 (ja) * 2019-11-27 2021-06-0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熱伝導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バッテリー
JP2021111481A (ja) * 2020-01-08 2021-08-0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熱伝導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バッテリー
KR20210094924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CN112557396A (zh) * 2020-12-23 2021-03-26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一种检测方法及相关设备
DE102021204435A1 (de) * 2021-05-03 2022-11-0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modul
CN116776478B (zh) * 2023-08-23 2023-11-28 武汉嘉晨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bdu缓冲垫和导热垫的压缩率匹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4783A (ja) * 2011-06-17 2013-01-07 Sony Corp 放熱構造および表示装置
KR101334648B1 (ko) 2012-04-10 2013-12-02 주식회사 컴테크 발열 디바이스용 방열 패드 및 그 제조를 위한 지그
KR101486369B1 (ko) 2014-10-24 2015-01-27 지에스알(주) 방열 패드 및 그 제작방법
US20160004284A1 (en) * 2014-07-03 2016-01-07 Apple Inc. Thermal gap pa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2354A (ja) * 1997-02-24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伝導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5310449A (ja) * 2004-04-19 2005-11-04 Fujitsu Component Ltd バッテリパック
KR101420802B1 (ko) 2008-01-17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모듈용 방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09090897A1 (ja) * 2008-01-18 2009-07-23 Toyo Tire & Rubber Co., Ltd. 電解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
KR100953679B1 (ko) 2009-06-15 2010-04-20 두성산업 주식회사 방열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00884A (ja) * 2009-06-17 2011-01-06 Laird Technologies Inc 適合型多層熱伝導性中間構体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メモリモジュール
WO2012044934A1 (en) * 2010-10-01 2012-04-05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Thermal management structures for battery packs
US9797664B2 (en) 2012-02-20 2017-10-24 Neograf Solutions, Llc Composite heat spreader and battery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KR101243647B1 (ko) * 2012-10-05 2013-03-19 (주)메인일렉콤 그라파이트 페이퍼를 이용하여 방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쿠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917574B (zh) * 2012-10-24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导热垫、制造导热垫的方法、散热装置和电子设备
KR101457797B1 (ko) * 2013-04-22 2014-11-04 주식회사 나노인터페이스 테크놀로지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04168701U (zh) * 2014-11-13 2015-02-18 青岛卓英社科技有限公司 石墨导热泡棉衬垫
CA2976877C (en) * 2015-02-18 2022-06-21 Ttb Holding Company Limited Lithium ion battery module with coo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4783A (ja) * 2011-06-17 2013-01-07 Sony Corp 放熱構造および表示装置
KR101334648B1 (ko) 2012-04-10 2013-12-02 주식회사 컴테크 발열 디바이스용 방열 패드 및 그 제조를 위한 지그
US20160004284A1 (en) * 2014-07-03 2016-01-07 Apple Inc. Thermal gap pad
KR101486369B1 (ko) 2014-10-24 2015-01-27 지에스알(주) 방열 패드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2789B1 (en) 2023-08-02
HUE062457T2 (hu) 2023-11-28
US20180366795A1 (en) 2018-12-20
EP3382789A4 (en) 2019-04-03
JP2019508881A (ja) 2019-03-28
CN108475830B (zh) 2022-04-26
JP6663023B2 (ja) 2020-03-11
CN108475830A (zh) 2018-08-31
WO2018038361A1 (ko) 2018-03-01
KR20180023633A (ko) 2018-03-07
EP3382789A1 (en) 2018-10-03
ES2952065T3 (es) 2023-10-26
US10749227B2 (en) 2020-08-18
PL3382789T3 (pl)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450B1 (ko) 방열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272524B1 (ko) 배터리 셀용 방열판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102058194B1 (ko) 배터리 모듈
KR20190064835A (ko) 배터리 팩
JP2022551238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4553100B2 (ja) 扁平型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JP7161673B2 (ja) 組電池
KR102527004B1 (ko) 배터리 모듈
JP7049548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2015138648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08090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7408652B (zh) 具有改进的冷却结构的电池模块
KR101913365B1 (ko) 배터리 모듈
JP2004355915A (ja) 電池および組電池
JP2023523207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JP202250176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180023637A (ko) 배터리 모듈
KR10264372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15138646A (ja) 電池モジュール
JP7226889B2 (ja) 電池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001545B1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2022014041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16958206U (zh) 电池模块及包含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230076307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0598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